KR20210036245A -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245A
KR20210036245A KR1020200066359A KR20200066359A KR20210036245A KR 20210036245 A KR20210036245 A KR 20210036245A KR 1020200066359 A KR1020200066359 A KR 1020200066359A KR 20200066359 A KR20200066359 A KR 20200066359A KR 20210036245 A KR20210036245 A KR 2021003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unit
functional material
data processor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혁 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ublication of KR2021003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는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와,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피커부와, 표시부와, 본체부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내장된 스피커부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방출홀부와, 제 1 또는 제 2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며, 저면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들과, 수용 공간에 장착되어 데이터 프로세서와 전기적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부들과, 저장부에 장착되어 공급부로부터의 기능성 물질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무화시키는 무화 발생부와,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음향 표출 기능을 수행하며, 공급부들 중의 제 1 공급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저장부에 공급하고, 무화 발생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무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공급부들 중의 제 2 공급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저장부에 공급하고, 저장부 내의 촉매제와 반응하여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NECKBAND-TYPE SOUND CONVERTOR WITH MULTIPLE FUNCTIONAL MATERIAL SUPPLYING UNIT}
본 발명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향 방출뿐만 아니라, 복수의 기능성 물질들을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폰이나 PMP 폰 등 멀티미디어가 스마트폰의 주요 기능으로 내장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하여 여러 가지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로 인해 무선 헤드셋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무선 통신 방식 중에서, 블루투스는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으로 이도 컴퓨터, 스마트폰, 헤드셋,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인쇄기 등의 기기 간에 정보 전송을 처리한다. 블루투스는 통상 10미터에서 최대 수백 미터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용 케이블 없이 목에 건 상태에서 음향을 재생하는 넥밴드 형태의 스피커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
본 발명은 음향 방출뿐만 아니라, 복수의 기능성 물질들을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는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와,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피커부와, 표시부와, 본체부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내장된 스피커부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방출홀부와, 제 1 또는 제 2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며, 저면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들과, 수용 공간에 장착되어 데이터 프로세서와 전기적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부들과, 저장부에 장착되어 공급부로부터의 기능성 물질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무화시키는 무화 발생부와,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음향 표출 기능을 수행하며, 공급부들 중의 제 1 공급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저장부에 공급하고, 무화 발생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무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공급부들 중의 제 2 공급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저장부에 공급하고, 저장부 내의 촉매제와 반응하여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급부들 중의 제 3 공급부는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코로나 방전을 수행하여 생성된 음이온을 기능성 물질로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공급부는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장착 및 분리되며 내부에 기능성 물질로 액상인 발향액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서 제 1 수용 공간과 저장 공간을 연통시키며 발향액을 제 1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 또는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홀이 형성된 분리부와, 케이스의 저면 외부 또는 저장 공간으로부터 케이스의 상면 외부까지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케이스의 외측면에 데이터 프로세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와, 전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공급홀을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제 1 공급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가 구비되며, 데이터 프로세서는 전기 접속부들을 통하여 제 1 공급부 및 무화 발생부를 제어하여 무화된 발향액을 연통관을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공급부는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장착 및 분리되며 내부에 기능성 물질로 액상인 과산화수소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서 제 1 수용 공간과 저장 공간을 연통시키며 과산화수소를 제 1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 또는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홀이 형성된 분리부와, 케이스의 저면 외부 또는 저장 공간으로부터 케이스의 상면 외부까지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케이스의 외측면에 데이터 프로세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와, 전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공급홀을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제 2 공급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가 구비되며, 데이터 프로세서는 전기 접속부들을 통하여 제 2 공급부를 제어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연통관을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음향 방출뿐만 아니라, 복수의 기능성 물질들을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건강 상태를 회복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공급부(40a)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결합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공급부(40b)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결합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3 공급부(40c)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결합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기능성 물질 공급 기능은 발향 기능과, 산소 공급 기능과, 음이온 공급 기능 중의 적어도 2개 이상을 포함한다.
먼저, 발향 기능은 향 입자의 배출을 통하여 향기의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Sweet Orange(심신안정, 우울증 개선 효과), 라벤더(불안, 우울 감정 해소 및 수면 유도 효과), 로즈마리(운동신경 자극, 각성상태 초래, 뇌기능에 대한 자극 효과), 베르가모트(시상하부의 활동 균형을 잡아주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기분을 좋게 하는 효과), 티트리(면역기능 강화, 항진균 작용, 염증완화 효과) 등에 의한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피톤치드의 경우, 사비넨 성분이 세포의 콜라겐을 증가 시켜 피부 재생 효과와, 피부의 멜라닌을 줄여 기미, 주근깨 등 색소 침착에 효과적이며, 아토피 유발균에 대한 항진효과, 레지오넬라균 등에 대한 살균효과를 제공한다. 발향 기능을 위해, 상술된 성분들의 액상이 발향액으로 지칭된다. 발향 기능은 음향 표출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산소 공급 기능은 촉매제인 효소(예를 들면, catalase 등)와 과산화 수소를 반응시켜 물과 산소로 분해한 이후에 산소를 공급하거나, 고체 산소(예를 들면, 수산화 칼슘(Ca(OH)2), 과산화 나트륨 (Na2O2), 초산화 칼륨(KO2) 등으로 구성된 분말)와 이산화탄소나 물을 반응시켜 산소를 생성하여 생성된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이다. 산소 공급 기능은 음향 표출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산소가 안면 피부에 산소를 공급할 경우, 피부 노폐물 정화,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으며, 고 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경우 인지능력 및 생리 기능의 활성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음이온 공급 기능은 공기 중 산소를 전기 분해하여 음이온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음이온은 공기 중 오염물질(담배연기,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 탄소 등)을 중화시켜 침전(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30a), (30b)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30)를 구비한다. 본체부(30)는 착용자의 목 뒷편 및 측면에 접촉되며, 제 1 및 제 2 단부(30a), (30b) 각각과 연결된 연결부(3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을 지니도록 된다.
본체부(30)는 그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내장된 스피커들(도 5의 스피커부(144))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방출홀부(32a), (32b)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방출홀부(32a), (32b)의 저면인 본체부(30)의 내측 공간에 스피커들이 안착된다.
또한, 본체부(30)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한 기능성 물질을 공급하는 제 1 내지 제 4 공급부(40a, 40b, 40c, 40d) 각각이 독립적으로 탈착되거나 안착 고정된 본체부(30)의 수용 공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의 수용 공간들은 제 1 내지 제 4 공급부(40a, 40b, 40c, 40d)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 1 또는 제 2 단부(30a, 30b)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장착되는 제 1 내지 제 4 공급부(40a, 40b, 40c, 40d)가 착용자의 입이나 코에 근접되거나, 그 하방 공간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내지 제 4 공급부(40a~40d)가 탈착형인 예시가 기재되고 있으나, 본체부(30)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공급부(40a)는 발향 기능을 위한 것이고, 제 2 공급부(40b)는 산소 공급 기능을 위한 것이고, 제 3 공급부(40c)는 음이온 공급을 위한 것이고, 제 4 공급부(40d)는 발향 기능이나 산소 공급 기능을 위한 것이다. 하기에서 순차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제 1 공급부(40a)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결합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가 착용자의 목과 어깨에 장착되어 경사진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 2에서 도시된다.
제 1 공급부(40a)는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장착(삽입) 및 분리되며 내부에 기능성 물질로서 액상인 발향액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S1)을 형성하는 케이스(C)와, 케이스(C) 내부에서 제 1 수용 공간(S1)과 외부 공간 또는 저장 공간(S2)을 연통시키며 발향액을 제 1 수용 공간(S1)으로부터 외부 공간 또는 저장 공간(S2)으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이 형성된 분리부(41)와, 케이스(C)의 저면 외부 또는 저장 공간(S2)으로부터 케이스(C)의 상면 외부까지 연통시키는 연통관(42)과, 케이스(C)의 외측면(또는 저면)에 제 1 및 제 2 단자(45a, 45b)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 접속부(45)와,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밸브(47a), (47b)(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 등)를 구비하는 밸브 구동부(4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리부(41)에는 제 1 수용 공간(S1)과 제 1 공급홀(41a) 사이와, 제 1 수용 공간(S1)과 제 2 공급홀(41b) 사이에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의 직경보다 크며 제 1 수용 공간(S1)의 직경보다 작은 제 1 및 제 2 공급 공간(S11), (S12)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수용 공간(S1) 내의 발향액이 제 1 및 제 2 공급 공간(S11), (S12)으로 유입된다.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개방된 경우에, 제 1 또는 제 2 공급 공간(S11), (S12) 내의 발향액이 외부 공간이나 저장 공간(S2)으로의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할 수 있는 동작부(49)가 분리부(41) 또는 케이스(C)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동작부(49)는 적어도 일부분의 공급 공간(S11) 내에서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과 마주 보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공급 공간(S11), (S12) 각각은 동작부(49)로부터 또는 동작부(49)와 제 1 또는 제 2 공급홀(41a), (41b) 사이의 각 지점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공급홀(41a), (41b)까지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노즐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작부(49)는 제 1 및 제 2 공급 공간(S11), (S12) 내의 발향액의 저장 공간(S2)으로의 공급 및 차단 그리고 발향액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소자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압전 소자와 진동판의 적층 구조체, 발열소자가 구비된 발열 구조체, 열전소자가 구비된 열전 구조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가 개방된 상태에서, 적층 구조체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압전 소자가 상하 방향으로 휨에 의해 제 1 및 제 2 공급 공간(S11), (S12) 내의 발향액을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로 밀어서 저장 공간(S2)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열 구조체나 열전 구조체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열하여 제 1 및 제 2 공급 공간(S11), (S12)이나 제 1 수용 공간(S1) 내의 기체 및 발향액(특히 기체)을 팽창시켜 발향액을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로 밀어서 저장 공간(S2)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본체부(30)의 수용 공간 내의 저면에는 저장 공간(S2)을 형성하는 저장부(33)가 형성된다. 저장부(33)는 저장 공간(S2)의 저면에 무화 발생부(146)이 장착되며, 제 1 공급부(40a)로부터 저장 공간(S2)으로 공급된 발향액이 무화 발생부(146)와 접촉되도록 유인하기 위한 경사부(3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의 수용 공간 내의 저면에는 저장부(33)와 분리되며, 저장 공간(S2)의 발향액과 접촉되지 않는 제 1 및 제 2 단자(150a, 150b)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 1 전기 접속부(150)가 형성된다. 전기 접속부(45)와 제 1 전기 접속부(150)는 제 1 공급부(40a)가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가 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제 1 공급부(40a)가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때,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은 저장 공간(S2)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써, 발향액이 저장 공간(S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제 1 공급부(40a)가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때, 연통관(42)의 일단은 저장 공간(S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된다.
도 3은 제 2 공급부(40b)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결합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가 착용자의 목과 어깨에 장착되어 경사진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 3에서 도시된다.
도 3의 제 2 공급부(40b)의 구조는 도 2의 제 1 공급부(40a)의 구조와 동일하며, 제 1 공급부(40a)의 제 1 수용 공간(S1)과 제 1 및 제 2 공급 공간(S11), (S12)에 발향액 대신에 기능성 물질로서 액상인 과산화수소가 수용되며, 제 2 공급부(40b)는 과산화수소를 제 2 수용 공간(S2)으로 공급 및 공급 차단한다.
본체부(30)의 수용 공간 내의 저면에는 저장 공간(S2)을 형성하는 저장부(33)가 형성되며, 저장부(33) 내에는 효소(E)가 채워져 있다. 저장부(33)는 저장 공간(S2)의 저면에 위치된 효소(E)와, 제 1 공급부(40b)로부터 저장 공간(S2)으로 공급된 과산화수소가 효소(E)와 접촉되도록 유인하기 위한 경사부(3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의 수용 공간 내의 저면에는 저장부(33)와 분리되며, 저장 공간(S2)의 과산화수소와 접촉되지 않는 제 1 및 제 2 단자(151a, 151b)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 접속부(150)가 형성된다. 전기 접속부(45)와 제 2 전기 접속부(151)는 제 2 공급부(40b)가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가 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제 2 공급부(40b)가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때, 제 1 및 제 2 공급홀(41a), (41b)은 저장 공간(S2)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써, 과산화수소가 저장 공간(S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제 2 공급부(40b)가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때, 연통관(42)의 일단은 저장 공간(S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된다.
도 4은 제 3 공급부(40c)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결합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가 착용자의 목과 어깨에 장착되어 경사진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 4에서 도시된다.
제 3 공급부(40c)는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장착(삽입) 및 분리되며 내부에 공기가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S1)을 형성하는 케이스(C1)와, 케이스(C1)의 상측이면서 제 1 수용 공간(S1)의 상측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 1 수용 공간(S1)와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연통홀(42a, 42b)과, 외부 공간에 인접한 케이스(C1)의 내측면(제 1 수용 공간(S1)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장착된 방전 전극(D)과, 제 1 수용 공간(S1)의 하측에서 방전 전극(D)을 마주보며 일정 간격 이격된 접지 전극(G)과, 케이스(C)의 외측면(또는 저면)에 방전 전극(D) 및 접지 전극(G) 각각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단자(45a, 45b)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 접속부(4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의 수용 공간 내의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단자(45a, 45b)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단자(152a, 152b)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 3 전기 접속부(152)가 형성된다. 전기 접속부(45)와 제 3 전기 접속부(150)는 제 3 공급부(40c)가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가 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제 3 공급부(40c)가 전기 접속부(4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방전 전극(D)과 접지 전극(G) 사이에 전압이 본체부(30)로부터 인가되어 방전 전극(D)과 접지 전극(G)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된다. 이러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다량의 전자가 방출되며, 방출된 전자가 공기 중의 산소 및 수분과 충돌하면서 산소 및 수분을 음이온화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기능성 물질인 음이온은 제 1 및 제 2 연통홀(42a, 42b)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외부 공간으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제 4 공급부(40d)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예를 들면 피톤치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편백 나무 큐브나 조각이나 산소를 생성할 수 있는 고체 산소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는 피톤치드나 고체 산소가 공급되는 공급 통로를 구비하며, 이 공급 통로를 통하여 생성된 피톤치드나 산소가 외부 공간으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5는 도 1의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기능성 물질의 공급부는 제 1 내지 제 4 공급부(40a~40d)로 구성되나, 상술된 바와 같이 제 4 공급부(40d)는 본체부(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어 없이도 기능성 물질을 방출하는 것이기에, 도 5에서는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만이 기재된다.
제 1 및 제 2 공급부(40a, 40b) 각각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45)(예를 들면, Pogo pin 등과 같은 전기 소자 등을 포함함)와, 전기 접속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접속부(45)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 받아 밸브(47a), (47b) 각각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여 발향액 또는 과산화수소의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하는 밸브 구동부(47)와, 전기 접속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접속부(45)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동작부(4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3 공급부(40c)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45)(예를 들면, Pogo pin 등과 같은 전기 소자 등을 포함함)와, 전기 접속부(4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코로나 방전을 위한 방전 전극(D)과 접지 전극(G)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기능성 물질의 선택/선택 해제, 기능성 물질 방출 기능의 동작/중지, 음향 방출 기능의 동작/중지, 기능성 물질의 방출 농도의 설정, 방출 시간의 설정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0)에 인가하는 입력부(140)와, 사용자에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의 동작 상태나 기능성 물질의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42)와, 전자 통신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41)와, 음향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190)에 인가하는 마이크부(143)과, 데이터 프로세서(190)로부터 음향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하는 스피커부(144)와, 데이터 프로세서(190)의 제어에 의해 제 1 공급부(40a)로부터 공급되는 발향액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무화시키는 무화 발생부(146)와,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각각과의 전기 접속부(45)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며 데이터 프로세서(19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공급 및 공급 차단하는 제 1 내지 제 3 전기 접속부(150, 151, 152))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와의 통신 상태에서 음향 재생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부(144)에 인가하여 음향 표출 기능을 수행하며, 기능성 물질의 방출 기능과,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의 결합 상태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입력부(140), 표시부(142), 통신부(141), 마이크부(143), 스피커부(144)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무화 발생부(146)는 발향액에 에너지(예를 들면, 열, 초음파 진동 등)을 인가하여 발향액이 무화되도록 하는 소자(예를 들면, 발열 코일, 초음파 진동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3 전기 접속부(150), (151), (152) 각각은 예를 들면, Pogo pin 등과 같은 전기 소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제 1 내지 제 3 전기 접속부(150, 151, 152) 각각과 전기 접속부들(45)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표시부(142)를 통하여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각각의 결합 상태(결합, 미결합)를 표시하고, 통신부(141)를 통하여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음향 표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는 제 4 공급부(40d)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결합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결합 감지부는 본체부(30)의 수용 공간에 형성되며, 예를 들면, 압력 센서, 근접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결합 감지부로부터의 감지값에 따라 제 4 공급부(40d)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상태를 표시부(142)에 표시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입력부(140)로부터의 기능성 물질의 선택 및/또는 기능성 물질 방출 기능의 동작 및 동작 중지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내지 제 3 전기 접속부(150, 151, 152) 각각으로의 전기 신호인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각각의 제어 시에, 입력부(140)로부터 방출 농도의 설정 입력 또는 방출 시간의 설정 입력 등을 획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방출 농도 또는 방출 시간에 대응하여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각각을 제어한다.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각각이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전기 접속부(45)와 제 1 내지 제 3 전기 접속부(150) 각각 간의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여, 동작 중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어떠한 제어 신호도 인가하지 않는다. 밸브 구동(47)는 제어 신호인 전원을 공급 받지 않은 상태이기에, 밸브(47a), (47b)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각각이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삽입 장착된 경우에는,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기능성 물질의 방출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제 1 공급부(40a)의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제 1 전기 접속부(150)로 개방 신호를 인가하고, 밸브 구동부(47)는 전기 접속부(45)를 통하여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개방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부(49)도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 1 공급부(40a) 내의 발향액이 제 1 내지 제 2 공급홀(41a), (41b)을 통하여 저장부(33)의 저장 공간(S2)에 공급되어 채워진다. 다음으로,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개방 신호를 인가한 이후 일정 시간 이후에, 무화 발생부(146)를 제어하여 저장 공간 내의 발향액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발향액을 무화시키며, 무화된 발향액 기체는 상승하여 연통관(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무화 발생부(146)를 제어함에 있어서, 결합 확인된 제 1 공급부(40a)에 대응하여 저장된 발향 농도를 판독하고, 판독된 발향 농도에 대응하여 무화 발생부(146)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 2 공급부(40b)의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제 2 전기 접속부(151)로 개방 신호를 인가하고, 밸브 구동부(47)는 전기 접속부(45)를 통하여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개방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부(49)도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 2 공급부(40b)의 과산화수소가 제 1 내지 제 2 공급홀(41a), (41b)을 통하여 저장부(33)의 저장 공간(S2)에 공급되며, 저장 공간(S2) 내의 효소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산소는 연통관(4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제 3 공급부(40c)의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제 3 전기 접속부(152)로 방전 신호를 인가하고, 전기 접속부(45)로부터 방전 신호를 인가 받은 방전 전극(D)과 접지 전극(G) 사이에 방전이 수행되어 음이온이 발생되어 제 1 및 제 2 연통홀(42a, 42b)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190)는 음향 표출 기능과 기능성 물질의 방출 기능을 동시에 또는 교번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공급부(40a~40c) 중의 어느 하나의 공급부라도 탈착형이 아닌 고정형일 경우, 상술된 전기 접속부(45)와 제 1 내지 제 3 전기 접속부(150, 151, 152)는 다른 구성(예를 들면, 전기적 배선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될 수 있기에, 그 설명이 생략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40a, 40b, 40c, 40d: 제 1, 제 2, 제 3, 제 4 공급부

Claims (4)

  1.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와;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피커부와;
    표시부와;
    본체부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내장된 스피커부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방출홀부와;
    제 1 또는 제 2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며, 저면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들과;
    수용 공간에 장착되어 데이터 프로세서와 전기적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기능성 물질을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부들과;
    저장부에 장착되어 공급부로부터의 기능성 물질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무화시키는 무화 발생부와;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음향 표출 기능을 수행하며, 공급부들 중의 제 1 공급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저장부에 공급하고, 무화 발생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무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공급부들 중의 제 2 공급부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을 저장부에 공급하고, 저장부 내의 촉매제와 반응하여 생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부들 중의 제 3 공급부는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코로나 방전을 수행하여 생성된 음이온을 기능성 물질로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공급부는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장착 및 분리되며 내부에 기능성 물질로 액상인 발향액을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서 제 1 수용 공간과 저장 공간을 연통시키며 발향액을 제 1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 또는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홀이 형성된 분리부와, 케이스의 저면 외부 또는 저장 공간으로부터 케이스의 상면 외부까지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케이스의 외측면에 데이터 프로세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와, 전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공급홀을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제 1 공급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가 구비되며, 데이터 프로세서는 전기 접속부들을 통하여 제 1 공급부 및 무화 발생부를 제어하여 무화된 발향액을 연통관을 통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공급부는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장착 및 분리되며 내부에 기능성 물질로 액상인 과산화수소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서 제 1 수용 공간과 저장 공간을 연통시키며 과산화수소를 제 1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 또는 저장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홀이 형성된 분리부와, 케이스의 저면 외부 또는 저장 공간으로부터 케이스의 상면 외부까지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케이스의 외측면에 데이터 프로세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와, 전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공급홀을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부의 수용 공간에 제 2 공급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 접속부가 구비되며, 데이터 프로세서는 전기 접속부들을 통하여 제 2 공급부를 제어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연통관을 통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1020200066359A 2019-09-25 2020-06-02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20210036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75 2019-09-25
KR20190118175 2019-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45A true KR20210036245A (ko) 2021-04-02

Family

ID=742375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48A KR102205696B1 (ko) 2019-09-25 2019-11-25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1020200066359A KR20210036245A (ko) 2019-09-25 2020-06-02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48A KR102205696B1 (ko) 2019-09-25 2019-11-25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05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8988A1 (zh) * 2022-11-08 2024-05-16 华北理工大学 一种抑郁症治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53A (ko) * 2002-09-05 2004-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테마별로 향수를 분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60098722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향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41820B1 (ko) *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200481800Y1 (ko) * 2015-08-21 2016-11-10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발향타입 넥밴드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101745866B1 (ko) * 2016-03-24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696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9237B (zh) 数字香味散布系统和网络
JP2021508132A (ja) 嗅覚刺激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117363B2 (en) Intraoral communications and processing device
KR20180033122A (ko) 스위칭가능한 디지털 향기 발생 및 방출, 그리고 증기 및 액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6245A (ko)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US20160154468A1 (en) Intraoral User Interface
CN106982740B (zh) 一种建立焦虑动物模型的实验装置
GB2432532A (en) Sterilization method and sterilization apparatus
JP2003187945A (ja) 空気イオン発生器および空気イオンの供給方法
CN104889994A (zh) 智能健康服务机器人
CN206285286U (zh) 氢氧分子雾化装置
US20040123863A1 (en) Method of controlling oxygen inhaling through involuntary action of human and product thereof
US20140235938A1 (en) Ganja vibe
CN106491334A (zh) 一种多重互动按摩器
US202200448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patients with diseases associated with viruses
KR102306509B1 (ko) 수면 관리 기능을 구비한 음향 변환 장치
CN201504565U (zh) 新型烟灰缸
JP3210611U (ja) 水素酸素水噴霧化装置
CN107497050A (zh) 一种多功能便携式偏头痛治疗仪
CN113693299A (zh) 一种雾化控制方法及装置
CN210301980U (zh) 一种入睡辅助设备
CN202457531U (zh) 一种儿童智能枕头
JP7360756B1 (ja) 磁性流体を用いた表示装置
CN203735904U (zh) 芬芳健康枕
CN201558408U (zh) 一种负离子氧吧保健仪的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