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293A -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293A
KR20170079293A KR1020150189700A KR20150189700A KR20170079293A KR 20170079293 A KR20170079293 A KR 20170079293A KR 1020150189700 A KR1020150189700 A KR 1020150189700A KR 20150189700 A KR20150189700 A KR 20150189700A KR 20170079293 A KR20170079293 A KR 2017007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ion
humidifier
white nois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to KR102015018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293A/ko
Publication of KR2017007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24F11/0009
    • F24F11/00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착용한 상태로 사용자의 이동 간에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넥 밴드, 헤드 셋 또는 백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수증기를 발생시켜 분사하기 위한 가습부; 상기 가습부와 대칭되는 위치인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방출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을 출력하기 위한 백색 소음 출력부; 상기 UV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상기 가습부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를 통해 방출되는 음이온을 향해 방출하기 위한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및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사용량을 분석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ANION AND HUMID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겨울철에는 실내에 가습기를 비치하고 가습기로부터 분사되는 수증기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적당한 습도(55%~60% 정도)로 유지한다.
그리고, 황사가 있거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계절에는 실내에 음이온 발생기를 비치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살균함으로써 실내의 불쾌한 잡내를 제거하고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실내 습도를 높이고, 황사, 미세먼지 또는 매연 등에 의해 발생되는 호흡기 질환 등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된 가습기와 음이온 발생기 또는 가습과 음이온 발생의 기능이 구비한 음이온 가습기 등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이온 가습기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하기는 용이하나, 전원 공급이나 장시간 휴대의 불편함 등의 이유로 외출 시 휴대한 상태로 사용자의 이동 중에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황사나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바이러스나 전염병 등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으나, 간호사나 간병인과 같이 환자와의 접촉이 잦은 사람들이나 산모나 노약자와 같이 바이러스 노출에 취약한 사람들의 경우, 마스크만으로는 예방 효과에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8986호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6297호 '밴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469호 '음이온 방사 헤드셋'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용한 상태로 외출 시 사용자의 이동 간에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제공한다.
더불어, 부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파 파를 제공하여 면역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 얼굴의 주변의 수증기나 음이온 또는 공기 등에 대한 살균 또는 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는, 넥 밴드, 헤드 셋 또는 백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수증기를 발생시켜 분사하기 위한 가습부; 상기 가습부와 대칭되는 위치인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방출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을 출력하기 위한 백색 소음 출력부; 상기 UV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상기 가습부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를 통해 방출되는 음이온을 향해 방출하기 위한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및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사용량을 분석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및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의 작동을 선택하고, 사용 시간을 설정 및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및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가 동시에 작동할 경우, 상기 가습부로부터 분사되는 수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이 서로 교차되어 수증기와 음이온이 서로 융합된 상태로 상기 UV 원적외선과 함께 사용자의 입이나 코 부위로 직접 제공되어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가습부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를 향하여 음이온을 방출하기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백색 소음 파일을 웹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녹음 기능을 통해 녹음하여 저장하고,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백색 소음 파일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 받아 출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 기초한 날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 분무세기와 사용시간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과 분무세기의 증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주변에 부는 바람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풍력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력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과 분무세기의 증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대기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대기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대기 오염 수치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과 분무세기의 증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한 상태로 외출 시 사용자의 이동 간에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제공한다.
더불어, 부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파 파를 제공하여 면역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 얼굴의 주변의 수증기나 음이온 또는 공기 등에 대한 살균 또는 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넥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와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헤드 셋 형태로 이루어진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백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와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는, 본체(110), 가습부(120), 음이온 발생부(130), 백색 소음 출력부(140),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 제어부(160) 및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본체(110)에는 속도 센서부(181), 풍력 센서부(182) 및 대기 측정 센서부(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대략 C자 형태의 넥 밴드(neck band)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 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가습부(120),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 상기 제어부(160), 상기 전원부(170), 상기 GPS 모듈(150), 상기 속도 센서부(181), 상기 풍력 센서부(182) 및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183)가 설치 및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가습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수증기 또는 습기를 발생시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대략 C자 형태의 넥 밴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본체(110)의 일측단은 넥 밴드의 두 측단부 중 한 측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습부(120)는 습기 방출부(121), 물통(122), 분리 결합부(123), 가습 작동 버튼(124) 및 작동 LED(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기 방출부(121)는 상기 가습부(1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또는 습기가 분사되는 부분으로, 수증기 또는 습기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입 또는 코 부분을 향해 수증기 또는 습기가 분사되도록 그 내부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122)은 상기 분리 결합부(123)에 의해 상기 본체(110)의 일측단부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수증기 또는 습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천연 소독수 또는 수돗물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물통(122)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수용된 천연 소독수 또는 수돗물 등의 양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LED(125)의 점멸 상태에 따라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결합부(123)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단부와 상기 물통(122)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과 나사홈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 결합부(123)에는 상기 물통(122)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홈 부분의 표면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습 작동 버튼(124)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가습부(120)를 작동 또는 종료시키기 위한 버튼으로, 최초에 한번 눌려질 경우(작동 시) 상기 작동 LED(125)가 턴온되어 점등되며, 다시 한번 눌려질 경우(작동 종료 시) 상기 작동 LED(125)가 턴오프되어 멸등(턴 오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 LED(125)는 상기 가습 작동 버튼(124)의 조작에 따라 점멸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LED(125)는, 상기 물통(122)이 상기 본체(110)에 결합될 경우 상기 물통(122)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물통(122)의 투명한 재질에 의해 외부에서 그 점멸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습부(120)와 대칭되는 위치인 상기 본체(110)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대략 C자 형태의 넥 밴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본체(110)의 타측단은 넥 밴드의 두 측단부 중 상기 가습부(120)의 반대쪽 측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는 음이온 발생모듈(131), 음이온 방출부(132), 음이온 작동 버튼(133), 송풍부(134) 및 분리 결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131)은 음이온 발생을 위한 하드웨어적인 회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코로나 방전 등을 이용한 통상의 발생 방법을 통해 음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방출부(132)는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131)로부터 생성된 음이온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송풍부(134)에 의해 특정 방향을 향해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131)로부터 생성된 음이온이 상기 송풍부(134)에 의해 사용자의 입 또는 코 부분을 향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이온 방출부(132)를 통해 방출되는 음이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기 방출부(121)를 통해 방출되는 수증기 또는 습기와 특정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접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수증기 또는 습기의 물분자와 융합되며, 이렇게 융합된 수증기 또는 습기와 음이온은 사용자의 입 또는 코 부분으로 바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작동 버튼(13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가습부(120)를 작동 또는 종료시키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송풍부(134)는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131)을 통해 생성된 음이온을 상기 음이온 방출부(132)을 통하여 특정 방향을 향해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상기 송풍부(134)는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131)로부터 생성된 음이온을 사용자의 입 또는 코 부분을 향하여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분리 결합부(135)는 상기 본체(110)의 타측단부와 상기 음이온 발생모듈(131)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과 나사홈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140)는 소정의 백색 소음을 이어폰(141)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듣도록 출력할 수 있다. 백색 소음이란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는 신호로 알파파의 발생을 도와주고 집중력/안정 효과가 있는 소음이다. 백색 소음은 귀에 쉽게 익숙해지기 때문에 작업에 방해되는 일이 거의 없으며, 오히려 거슬리는 주변 소음을 덮어주는 작용을 한다. 백색소음에는 진공청소기나 사무실의 공기정화장치 그리고 파도소리, 빗소리, 폭포소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백색 소음 출력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다양한 백색 소음 파일을 전송 받아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백색 소음 파일을 웹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녹음 기능을 통해 녹음하여 저장하고,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저장된 백색 소음 파일을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전송 받아 출력할 수 있따.
한편, 백색 소음이 무분별하게 장시간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140)의 사용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는 UV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방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가습부(120)의 물통(122)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로부터 방출되는 UV 원적외선은 투명한 물통(122) 내부를 살균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가습부(120)에서 분사되는 수증기 및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에서 방출되는 음이온과 함께 융합되어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는 상기 가습부(120)의 물통(122)과 더불어 수증기와 음이온과 더불어 사용자 얼굴 주변의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가 상기 가습부(120)의 물통(122)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는, 상기 가습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를 통해 방출되는 음이온을 향해 UV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위치이면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뒷 부분 즉 사용자 착용 시 사용자 뒷목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가습부(120),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140) 및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 조절, 사용시간 설정, 사용위치 파악 및 사용량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부(141), 타이머 설정부(142), 분무량 설정부(143), 분무세기 설정부(144) 및 사용정보 획득부(1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에 내장된 상기 속도 센서부(181), 상기 풍력 센서부(182) 및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183)와 연결되어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61)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비콘(Beacon)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10)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설정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145)를 통해 취합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사용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 설정부(162)는 상기 가습부(120),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 백색 소음 출력부(140) 및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의 사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경우, 시간 차이를 두고 서로 교대로 또는 동시에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160)와 접속되면,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설정 시간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대 동작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가습부(120)의 작동 시간을 10분으로,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작동 시간을 10분으로, 그리고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시간 간격을 0으로 설정하게 되면, 상기 가습부(120)가 10분 동안 먼저 동작한 후 동작이 종료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가 10분 동안 동작한 후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횟수를 1회로 설정한 경우 상기와 같은 교대 동작을 1회 실시한 후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작동은 모두 종료되며 교대 동작을 3회로 설정한 경우 상기와 같은 교대 동작을 3회 반복한 후 모두 종료된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가 먼저 작동된 후 상기 가습부(120)가 작동되는 순서로도 설정 가능하며,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시간 간격 조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시간 간격은 5분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가습부(120)의 동작 종료 후 5분이 지난 시점에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 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습부(120)만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 작동 시간을 10분으로, 동작 횟수를 5회로, 시간 간격을 2분으로 각각 설정할 경우, 상기 가습부(120)는 2분 마다 10분씩 총 5회에 걸쳐 동작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가습부(120),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140) 및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의 개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습부(120),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140) 및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 중 어떤 것을 동작시킬 것인지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구성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거나 동작 시간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시 동작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가습부(120)의 작동 시간을 10분으로,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의 작동 시간을 10분으로, 동작 시간 간격을 5분으로, 그리고 동작 횟수를 6회로 설정한 경우 상기 가습부(120)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130)는 10분 동안 5분 간격 마다 총 6회에 걸쳐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분무량 설정부(163)는 상기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설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120)로부터 분사되는 수증기 또는 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무량 설정부(143)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설정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GPS 모듈(150), 상기 속도 센서부(181), 상기 풍력 센서부(182) 및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183)를 통해 각각 측정된 센싱 값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가습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 또는 습기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무세기 설정부(164)는 상기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설정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120)로부터 분사되는 수증기 또는 습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무세기 설정부(144)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설정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GPS 모듈(150), 상기 속도 센서부(181), 상기 풍력 센서부(182) 및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183)를 통해 각각 측정된 센싱 값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가습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 또는 습기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165)는, 상기 타이머 설정부(162), 상기 분무량 설정부(163), 상기 분무세기 설정부(164) 및 전원부(170)로부터 설정 또는 사용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취합한 후 상기 무선 통신부(161)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량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내장된 GPS 모듈(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 분무세기와 사용시간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GPS 모듈(미도시)을 통해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위치에 기반한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무선 통신부(141)를 통해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날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농도나 황사경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 분무세기와 사용시간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와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 등을 통해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하철이나 버스 내에 탑승함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실내 모드가 활성화되어 감염 예방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가 실내 감염 예방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습부(120), 음이온 발생부(130), 백색 소음 출력부(140) 및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150) 중 일부 구성을 선택적으로 자동 실행하고, 실행되는 구성의 사용시간이나 시간간격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GPS 모듈(미도시)을 통해 현재 위치가 외부(노상)인 것으로 파악할 경우, 대기 오염 방지 모드가 활성화되어 황사나 미세먼지에 대응하기에 적합한 구성들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실행되는 구성의 사용시간이나 시간간격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하루 사용량과 사용 기능들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이동 경로에 대한 데이터도 함께 관리함으로써, 전염병 발생시 대응자료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부(181)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이동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이동 속도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 자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이 얼마나 빠르고 느린지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속도 센서부(181)를 통해 측정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지 또는 정지하고 있는지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속도 센서부(181)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이동 속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가 점차 증가되도록 상기 분무량 및 분무세기 설정부(143, 144)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속도 센서부(181)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이동 속도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가 점차 감소되도록 상기 분무량 및 분무세기 설정부(143, 144)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속도 센서부(181)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60)에서 이동 속도의 증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는 사용자가 빠르게 이동하고 있더라도 상기 가습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나 습기가 사용자의 입이나 코에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풍력 센서부(182)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주변에 부는 바람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풍력 센서부(182)를 통해 측정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풍력 센서부(182)를 통해 감지된 바람의 세기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가 점차 증가되도록 상기 분무량 및 분무세기 설정부(143, 144)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풍력 센서부(182)를 통해 감지된 바람의 세기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가 점차 감소되도록 상기 분무량 및 분무세기 설정부(143, 144)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는 사용자 주변에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더라도 상기 가습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나 습기가 사용자의 입이나 코에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183)는 현재 주변의 대기상태(예를 들어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기 측정부(180)를 통해 측정된 대기상태에 따라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183)를 통해 측정된 대기 오염 수치(예를 들어 미세먼지농도)가 점차 높아질수록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가 점차 증가되도록 상기 분무량 및 분무세기 설정부(143, 144)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183)를 통해 측정된 대기 오염 수치(예를 들어 미세먼지농도)가 점차 낮아질수록 상기 가습부(120)의 분무량과 분무세기가 점차 감소되도록 상기 분무량 및 분무세기 설정부(143, 144)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는 사용자 주변에 대기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가습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나 습기가 사용자의 입이나 코에 효율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70)는 상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거나,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145)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10)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데이터들도 송수신될 함께 송수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는 넥 밴드 형태로 제작되어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머리 띠나 헤드 셋(headset) 형태 또는 백 밴드(backband)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헤드 셋 형태로 이루어진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100')는 머리 띠나 헤드 셋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머리 윗 부분에서 코와 입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가습 및/또는 음이온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백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휴대용 가습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습기(100'')는 백 밴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귀 부분에서 코와 입을 향해 가습 및/또는 음이온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는 머리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모자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유해 물질이 수증기를 통해 1차적으로 제거되며 음이온을 통해 2차적으로 추가 제거됨에 따라 유해물질을 2중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이온 가습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간에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며, 수증기 또는 습기가 음이온과 융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입이나 코와 같은 호흡기로 직접 전달되어 무형의 1차 장벽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함께 유해물질 제거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축사가 있는 곳이나 바이러스 전염 의심 구역 등에 착용하여 출입하는 경우, 살균 가능한 가습액 분사와 음이온 방출을 통해 바이러스 예방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스모그, 황사나 매연이 극심한 지역의 경우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의 전방부 즉 상기 가습부(120)와 음이온 발생부(130) 사이에 날개 없는 선풍기(미도시)와 같은 송풍 수단을 추가 설치하여 가동함으로써, 스모그나 황사 등이 심한 경우 수증기와 음이온이 사용자의 입이나 코로 더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 없는 선풍기(미도시)는, 상기 USB 포트부(17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17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USB 포트부(171)를 통해 연결 시 상기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상술한 기능의 구성들과 마찬가지로 타이머 설정이나 시간 간격 설정, 강약 제어 등 상기 휴대 단말기(1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100)는 기본적으로 가습과 음이온 발생의 기능과 더불어 부가적 기능으로서 백색 소음, UV 원적외선 및 송풍 기능을 모두 사용할 경우 습기와 음이온이 사용자의 입과 코에 보다 더 잘 전달될 뿐만 아니라, 면역역 및 기억력 증대와 황사, 스모그, 미세먼지, 매연 등을 오염물질을 살균 또는 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 주변에 노출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100', 100'':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110, 110', 110'': 본체
120, 120', 120'': 가습부 121, 121': 습기 방출부
122, 122', 122'': 물통 123, 123': 분리 결합부
124: 가습 작동 버튼 125: 작동 LED
130: 음이온 발생부 131: 음이온 발생모듈
132: 음이온 방출부 133: 음이온 작동 버튼
134: 송풍부 135: 분리 결합부
140: 백색 소음 출력부 141: 이어폰
150: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 160, 160': 제어부
161: 무선 통신부 162: 타이머 설정부
163: 분무량 설정부 164: 분무세기 설정부
165: 사용정보 획득부 170, 170': 전원부
171: USB 포트부 181: 속도 센서부
182: 풍력 센서부 183: 대기 측정 센서부
10: 휴대 단말기

Claims (8)

  1. 넥 밴드, 헤드 셋 또는 백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수증기를 발생시켜 분사하기 위한 가습부;
    상기 가습부와 대칭되는 위치인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방출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부;
    소정의 백색 소음을 출력하기 위한 백색 소음 출력부;
    상기 UV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상기 가습부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를 통해 방출되는 음이온을 향해 방출하기 위한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
    외부 장치와 무선 접속 가능하고,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및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사용량을 분석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 및 상기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의 작동을 선택하고, 사용 시간을 설정 및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 상기 음이온 발생부 및 UV 원적외선 살균 램프부가 동시에 작동할 경우, 상기 가습부로부터 분사되는 수증기와 상기 음이온 발생부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이 서로 교차되어 수증기와 음이온이 서로 융합된 상태로 상기 UV 원적외선과 함께 사용자의 입이나 코 부위로 직접 제공되어 장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상기 가습부를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를 향하여 음이온을 방출하기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백색 소음 파일을 웹 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 또는 녹음 기능을 통해 녹음하여 저장하고,
    상기 백색 소음 출력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백색 소음 파일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 받아 출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 기초한 날씨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 분무세기와 사용시간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과 분무세기의 증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의 주변에 부는 바람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풍력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력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과 분무세기의 증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대기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대기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대기 오염 수치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분무량과 분무세기의 증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1020150189700A 2015-12-30 2015-12-30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20170079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00A KR20170079293A (ko) 2015-12-30 2015-12-30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00A KR20170079293A (ko) 2015-12-30 2015-12-30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293A true KR20170079293A (ko) 2017-07-10

Family

ID=5935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700A KR20170079293A (ko) 2015-12-30 2015-12-30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293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07B1 (ko) * 2018-06-23 2018-07-11 홍창범 스마트 디퓨저
KR20190008579A (ko) * 2017-07-13 2019-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장치
KR20190012292A (ko) * 2017-07-26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장치
WO2019093567A1 (ko) * 2017-11-10 2019-05-16 조성아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풍시스템
KR102033422B1 (ko) * 2018-04-19 2019-10-17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 치료장치
KR20190137374A (ko) 2018-06-01 2019-12-11 김태호 노이즈 삽입 기능을 추가한 이어폰
KR20200109428A (ko) * 2019-03-12 2020-09-23 임준영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KR102157371B1 (ko) * 2019-12-04 2020-10-20 주식회사 퓨레스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102205696B1 (ko) * 2019-09-25 2021-01-21 주식회사 이엠텍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20220002049A (ko) * 2020-06-30 2022-01-06 최재원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WO2023283676A1 (en) * 2021-07-15 2023-01-19 Cosmoaesthetics Pty Ltd A personal neck-wearable air purification device
KR102552524B1 (ko) * 2022-11-30 2023-07-06 조강인 넥 밴드형 공간 제균 블루투스 이어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579A (ko) * 2017-07-13 2019-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장치
KR20190012292A (ko) * 2017-07-26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장치
WO2019093567A1 (ko) * 2017-11-10 2019-05-16 조성아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풍시스템
KR102033422B1 (ko) * 2018-04-19 2019-10-17 주식회사 옵토웰 비염 치료장치
KR20190137374A (ko) 2018-06-01 2019-12-11 김태호 노이즈 삽입 기능을 추가한 이어폰
KR101877707B1 (ko) * 2018-06-23 2018-07-11 홍창범 스마트 디퓨저
KR20200109428A (ko) * 2019-03-12 2020-09-23 임준영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KR102205696B1 (ko) * 2019-09-25 2021-01-21 주식회사 이엠텍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102157371B1 (ko) * 2019-12-04 2020-10-20 주식회사 퓨레스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220002049A (ko) * 2020-06-30 2022-01-06 최재원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WO2023283676A1 (en) * 2021-07-15 2023-01-19 Cosmoaesthetics Pty Ltd A personal neck-wearable air purification device
KR102552524B1 (ko) * 2022-11-30 2023-07-06 조강인 넥 밴드형 공간 제균 블루투스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9293A (ko)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101460942B1 (ko) 마스크
US7036502B2 (en) Air curtain device
US20210339061A1 (en) Air mask
JP5567703B2 (ja) 顔面シールドに沿って変化する曲率半径を有する顔面シールドを備えたフードを含んでいる医学用/外科用個人防護システム
JP2017530730A (ja) 紫外線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る呼吸装置
CN106963001A (zh) 一种多功能口罩
JP2018504159A5 (ko)
KR20170031956A (ko) 넥밴드형 음이온 발생장치
KR102188598B1 (ko) 에어쉴드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마스크
JP6274912B2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US20230191169A1 (en) Headpiece, face shield and method of using a headpiece
KR20200021877A (ko)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
CN105571010A (zh) 一种头戴式户外便携空气净化器
CN202086816U (zh) 离子产生器
KR101932062B1 (ko) 유아용 정화 마스크
KR20170097938A (ko) 전기집진기가 장착된 공기청정마스크
JP4295143B2 (ja) 携帯型空気浄化装置
CN205606765U (zh) 一种负离子空气净化及检测装置
CN105771105A (zh) 一种智能防霾装置
KR101988033B1 (ko) 공기청정장치
ES1247543U (es) Prenda de proteccion facial contra agentes infecciosos
KR20210136887A (ko) 안면보호형 멀티 공기청정기
CN210250389U (zh) 设备带
WO2021224773A1 (en) Face mask for filtering microbial loads and suspended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