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428A -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428A
KR20200109428A KR1020190028330A KR20190028330A KR20200109428A KR 20200109428 A KR20200109428 A KR 20200109428A KR 1020190028330 A KR1020190028330 A KR 1020190028330A KR 20190028330 A KR20190028330 A KR 20190028330A KR 20200109428 A KR20200109428 A KR 20200109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main body
type
neckla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167B1 (ko
Inventor
임준영
Original Assignee
임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영 filed Critical 임준영
Priority to KR102019002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1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61N2005/063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using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는, 신축성 재일을 구비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구비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LED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대향 측인 상기 본체의 외측 면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수증기를 분사하는 가습부; 상기 발광부와 가습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A Necklace Type of Humidification Apparatus Combined with Improving Neck Wrinkle}
본 발명은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LED광을 조사하고 가습기로 수증기를 분사하여 목주름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물의 증발을 도와서 공기 중의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로서, 주로 건조한 겨울철에 많이 사용된다. 겨울에는 여름보다 기온이 낮아 습도가 여름보다 10~20% 낮아지고 여름보다 건조한 환경이 조성된다.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사무실, 비행기, 기차 등의 실내 공간의 난방기구 사용으로 인해 더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건조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 되면 호흡기, 안구 등에 각종 질환이 유발되고,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어 주름 및 트러블이 생길 위험이 크다.
이를 위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해 주는 것이 필요하며, 습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줌으로써 건조한 공기에 노출 되지 않도록 하여 호흡기, 안구, 피부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한 실내외 공기의 습도를 조절해 주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가습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 휴대용 가습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7-0006487호(발명의 명칭 : 휴대용 가습기)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도중에도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통,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증발시키는 증발유닛을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몸에 걸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통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습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목에 가습을 위한 물통을 걸고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불편하며, 가습의 기능만 가지고 있어서 기능이 단조로워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용감이 편리하며 다채로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습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축성 재질을 구비한 목걸이 타입의 본체 내부에 가습부와 발광부를 구비하여 가습 기능은 물론 목주름 개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사용자의 편리한 착용 및 유연한 목의 움직임을 위해 자바라 형식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 파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부의 LED 광과 사용자의 신체를 자연스럽게 이격시킬 수 있는 에어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가습부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분사하는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피부 개선용 약제가 도포된 시트를 본체에서 인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는, 신축성 재일을 구비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구비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LED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대향 측인 상기 본체의 외측 면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수증기를 분사하는 가습부; 상기 발광부와 가습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C자 형상으로서 일 단에 제 1 결합부를 구비하고 타 단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2 결합부의 결합으로 O 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 측에는, 자바라 형식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 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기주입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는 에어 튜브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로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에어 튜브 사이의 상기 본체의 표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에 의하면,
1) 가습 기능을 수행하는 가습부와 피부개선 기능을 담당한 발광부가 목걸이 타입의 장치에 포함시켜 보다 편리한 착용 상태를 보장하면서 가습과 목주름개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2) 본체에 자바라 형식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 파트를 추가함으로써, 목 둘레가 다른 여러 사용자가 호환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3) 에어 튜브를 추가함으로써 발광부가 사용자의 목에 직접 닿지 않도록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화상 방지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가습부에서 생성된 수증기 분사의 각도 또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수증기가 분사되는 문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5) 본체에서 피부개선을 위한 시트가 추가로 인출되어 LED 광 조사에 의한 목주름 개선 기능을 한층 보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에 에어 튜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에 추가로 장착되는 키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에 케어 시트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투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는,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는 본체(100), 본체(100)의 내측 면에 구비되어 목에 LED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0), 발광부(110)의 대향 측에 구비된 노즐(121)을 통해 수증기를 분사하는 가습부(120), 발광부(110)와 가습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C-type, O-type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에 지지되는데, 다시 말해 본체(100)는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는 목걸이와 같은 구조라 할 수 있다. 본체(100)는 비행기용 베개와 같이 일정한 두께와 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행기 좌석에 앉은 사용자의 목을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쿠션체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0)는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유연하고 가벼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본체(100)를 편리하게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성 재질은 본체(100)의 특정 부분에만 적용되거나 아니면 전체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후술할 발광부(110), 가습부(120), 컨트롤러(130)와 같은 전기적 구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전기적 구성의 작동을 위하여 본체(100)에는 기판이 장착된다.
기판은 발광부(110), 가습부(120), 컨트롤러(130)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하나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발광부(110), 가습부(120), 컨트롤러(130) 각각을 처리하도록 별개의 기판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은 본체(100)의 유연성을 위해 FPC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기판은 전기가 충전되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 장치를 수용할 수 있으며, 외부전원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기판은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된 배터리를 통하여 후술할 발광부(110)와 가습부(120) 및 컨트롤러(13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발광부(110)는 LED 광을 피부에 조사하여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것으로서, 본체(100)의 내측 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내측 면이라 함은 사용자의 목에 닿는 부분을 포함하는 면을 말한다. 이러한 본체(100)의 내측 면에서 LED 광을 쏘아 사용자의 목에 조사함으로써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LED 광을 405 내지 415nm의 파장으로 조사하면 염증을 유발하는 박테리아를 죽여 여드름 치료가 가능하며, 416 내지 525nm로 조사하면 미세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 526 내지 590nm 로 조사하면 주름을 유발하는 염증을 줄여 주며, 630 내지 660nm의 LED 광은 콜라겐 생성을 도와 피부 탄력 및 재생 효과, 800 내지 900nm의 LED 광은 피부 재생 촉진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효과적인 목주름 개선을 위해 405 내지 900nm의 파장으로 LED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LED 광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주름 개선을 위해 10분 내지 3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부(120)는 수증기 또는 습기를 생성시켜 분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초음파식, 가열식, 자연증발식 등이 있고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휴대성을 위해 구조가 간편한 초음파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습부(120)는 물을 수용하는 물통, 물통에서 공급된 물을 초음파진동에 의해 수증기로 만들어 주는 수증기 발생수단, 생성된 수증기를 분사시키는 노즐(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증기 발생수단은 공지기술을 참조하면 되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노즐(121)은 본체(100)의 외측 면, 즉, 발광부(110)의 대향 측에 구비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목에 직접적으로 수증기가 닿지 않도록 처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습부(120)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였을 때 주변의 습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건조한 호흡기, 안구, 피부 건강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발광부(110)와 가습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여기서 컨트롤러(130)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에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발광부(110)와 가습부(120)를 구동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따른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기능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체(1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고, 컨트롤러(130)를 작동시킨다. 컨트롤러(130)는 발광부(110)와 가습부(1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목에 LED 광을 조사하고, 가습부(120)의 노즐(121)을 통해 수증기를 분사시킨다.
본체(100)는 목걸이 형태의 간편한 구조로 착용이 편리하여, 사용자가 비행기, 기차, 사무실 등 어떤 상황에서나 일종의 목 보호 내지 의자의 헤드레스트와 이격되었을 때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목 보호를 위해 목걸이 형식의 본체(100)를 일정 시간 착용하고 있을 경우 가습 기능과 발광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여 목걸이 착용의 효율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는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가습부(120)는 노즐(121)을 통해 수증기를 분사하여 주변 공기의 습도를 조절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호흡기, 피부, 안구 건강 개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0)에는 자바라 형식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 파트(1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신축 파트(14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바라 형식의 구조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신축 파트(143)는 본체(100)의 일 측에 형성되는데, 만일 본체(100)의 끝단에 위치하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체(100)의 끝단을 제외한 어느 위치에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바라 형식의 신축 파트(143)를 본체(100)에 추가함으로써, 목 둘레가 다른 여러 사용자가 호환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만일 신축 파트(143)가 구비되지 않으면 본체(100)의 둘레 길이 조절이 되지 않아 상이한 목 둘레를 가진 여러 사용자들이 하나의 본체(100)를 호환하기 어려운데, 신축 파트(143)를 추가함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호환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장치를 착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C자 형상의 양끝 단에 제 1,2 결합부(141,142)를 구비하여, 결합하면 O 자 형상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부(141)는 돌기, 제 2 결합부(142)는 제 1 결합부(141)와 결합할 수 있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결합부(141)는 본체(100)의 일 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결합부(142)는 제 1 결합부(141)와 반대 측인 본체(100)의 타 단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결합부(141)와 제 2 결합부(142)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쉽사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결합부(141)의 외주면 및 제 2 결합부(142)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2 결합부(141,142)가 나사산 결합을 할 수 있다. 이때 제 1 결합부(141)가 회전하면서 제 2 결합부(1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결합부(141)는 베어링을 매개로 공회전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체(100) 일 단, 즉, 제 1 결합부(141)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을 시켜 제 2 결합부(142)에 제 1 결합부(141)를 나사산 결합 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양자간에 긴밀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제 1,2 결합부(141,142)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상술한 과정의 반대로 제 1 결합부(141)를 동작시키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에 에어 튜브(2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0)의 내측 면에는 에어 튜브(200)가 장착될 수 있다. 에어 튜브(200)는 투명한 재질로서 구멍이 뚫린 튜브의 형태로, 여기서 에어 튜브(200)에 뚫린 구멍은 공기 주입구(210)를 의미한다. 이러한 에어 튜브(200)의 공기 주입구(210)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내부에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에어 튜브(200)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아니면 별도의 소형 피스톤을 제공하여 이 피스톤을 통해 공기 주입구(21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에어 튜브(200)는 두 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개수라면 특정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에어 튜브(200)가 본체(100)의 내측 면에 장착된 경우, 발광부(110)는 에어 튜브(200) 사이의 본체(100)의 표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에어 튜브(200)는 LED와 사용자의 목의 안정적인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만일 LED가 사용자의 목과 접촉하면 상술한 목주름 개선 효과를 거두기 힘들 뿐만 아니라 오히려 LED 열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 튜브(200)가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목과 LED 간의 거리를 보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에어 튜브(200)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LED와 사용자의 목 간 거리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튜브(20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만일 에어 튜브(200) 아래 측인 본체(100)의 표면에 발광부(110)가 형성될 경우 LED 광이 에어 튜브(200)를 지나 사용자의 목에 전달할 수 있는 LED 광의 경유 역할도 겸비한다.
다시 말해, 에어 튜브(200) 아래 측인 본체(100)의 표면에 발광부(110)가 형성될 경우 직진성을 가진 LED 광의 특성으로 인해 장애물이 있으면 LED 광이 투과되지 못하고 장애물에 반사되는데, 에어 튜브(200)를 투명 재질로 하면 이러한 장애 요소를 제거하여 LED 광이 자연스럽게 에어 튜브(200)를 투과하여 사용자의 목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3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에서는 에어 튜브(200)의 광 투과성 성질을 설명하였는데 추가적으로 하기에서는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에어 튜브(200)에 부가되는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추가적으로, 도 4에서 발광부(110)는 에어 튜브(200) 사이뿐 아니라 에어 튜브(200) 아래 측의 본체(100) 표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에어 튜브(2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러(220)가 충진될 수 있다. 필러(220)는 볼록 렌즈 형상의 투명성 구조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필러(220)는 투명성 겔로 이루어져 후술할 유동성을 확보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필러(220)는 에어 튜브(200) 내의 체적보다 작은 체적으로 이루어져 에어 튜브(200) 내에서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에어 튜브(200)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러(220)가 에어 튜브(200) 내에서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후술할 광 수렴 기능을 제공하면서 위치 가변적인 광 투과 매체로서의 역할을 겸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필러(220)는 볼록 렌즈 형상으로 이루어져, LED 광을 한 곳으로 수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만일 필러(220) 표면이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LED 광이 한 곳으로 수렴하지 않는데 이 경우 특정 피부 영역의 집중적인 목주름 개선 효과를 수행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필러(220)를 볼록 렌즈 형상으로 하면 LED 광이 한 지점으로 수렴되어 특정 피부 영역의 집중적인 목주름 개선의 효과가 증대 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수렴 기능을 제공하는 필러(220)가 에어 튜브(200) 내에서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에어 튜브(200) 내의 필러(220) 위치를 간단한 동작으로 조작하여 가변 이동 시킬 수 있어 LED 광이 수렴되는 피부 영역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러(2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기능성 파우더(230)가 충진될 수 있다.
기능성 파우더(230)는 필러(220)로 안내된 LED 광이 피부의 어느 한 곳에만 불필요하게 수렴되지 않도록 LED 광을 수렴이 예상되는 피부 영역 주변으로 일부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필러(220)의 광굴절과 다른 광 굴절율을 가져 필러(220) 자체가 가진 광의 굴절과 또 다른 굴절 경로를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 파우더(230)가 필러(220)와 다른 굴절율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능성 파우더(230)는 서로 다른 크기로서 구 또는 타원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광을 흡수하는 흑체만 아니면 여러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필러(220)의 투명 재질에 대응하도록 투명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기능성 파우더(230) 없이 볼록 렌즈 형상의 필러(220)만 에어 튜브(200) 내에 제공될 경우 필요 이상으로 LED 광이 특정 위치에만 한정 또는 집중된다는 문제가 따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지 위해 기능성 파우더(230)를 추가하면 기본적으로는 필러(220) 본연의 기능에 입각하여 LED 광을 특정 피부 영역에 집중시키되 부가적으로 일부의 LED 광을 집중 영역 주변으로 확산시킴으로써 LED 광 수렴영역을 확장할 뿐 아니라 보다 LED 광을 피부에 보다 자연스럽게 분배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에 추가로 장착되는 키트(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가습장치는 가습부(120)의 노즐(121)에서 분사되는 수증기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키트(3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300)는 본체(100)에 탈착되거나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증기 분사 거리를 조절하거나 수증기 분사각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 키트(310), 각도 조절 키트(320), 길이 가변 키트(3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5(a)는 길이 조절 키트(310)에 관한 것으로, 우선 본체(100)의 외측 면에서 노즐(121)의 주변 부위에는 노즐(121)을 둘러싸도록 함입 형성된 결합 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홈(150)은 노즐(121)을 감싸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5(a)에 따른 길이 조절 키트(310)는 이 결합 홈(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결합 홈(150)에 대응되는 결합 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부(312)를 일 단에 구비하고 내부에 노즐(121)과 내통되도록 관통된 관통로(313)를 구비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토퍼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되어 결합 홈(150)의 일 측에는 스토퍼가 삽입되는 보조 홈을 구비함으로써 이 스토퍼와 보조 홈 간의 결합에 의해 길이 조절 키트(310)가 결합 홈(150)에 결합되었을 때 쉽사리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 시에는 결합 돌기 주변 부위를 가볍게 눌러 스토퍼를 보조 홈에서 이탈시킨 다음 결합 돌기를 결합 홈(1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길이 조절 키트(310)는 공지의 자동차 안테나, 즉 서로 직경 차를 가지는 복수 개의 실린더가 접철되는 접이식 안테나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길이를 늘이고 싶은 경우 길이 조절 키트(310)의 끝단을 잡아당기면 복수 개의 실린더가 접힌 상태에서 펴지는 동작으로 전체적으로 길이가 증가하고, 사용자가 길이 조절 키트(310)의 끝단을 누르면 해당 실린더가 접철되는 방식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로써, 가습부(120)에서 노즐(121)을 통해 분사되는 수증기가 사용자의 머리카락에 닿거나 얼굴이나 목 부위에 분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바, 다시 말해 사용자의 신체에서 보다 이격된 위치에서 수증기를 분사함으로 수증기가 오히려 사용자의 신체를 적시는 악영향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b)는 각도 조절 키트(320)에 관한 것으로서 도 5(a)에서의 결합 홈(150)이 노즐(121) 주변 부위를 관통 처리한 것과 달리 도 5(b)에서의 결합 홈(150)은 노즐(121)을 감싸는 부위를 확공 처리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확공 처리된 결합 홈(150)에는 결합 홈(15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샤프트와 같은 구조의 힌지(160)가 장착되고 각도 조절 키트(320)의 단부에는 이 힌지(1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힌지 결합 홈(321)을 구비할 수 있다. 힌지 결합 홈(321)은 도입부(322)와 힌지 결합부(323)라는 서로 직경 차이를 갖는 2개의 홈으로 이루어져 각도 조절 키트(320)가 결합 홈(150)에 진입 시에는 도입부(322)가 힌지(160)를 지나면서 힌지 결합 홈(321)이 힌지(160)에 이르도록 안내하고, 각도 조절 키트(320)가 결합 홈(150)에 결합 시에는 힌지 결합 홈(321)이 힌지(160)와 결합되어 도입부(322)가 힌지(160) 주변을 막아 쉽사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만일 각도 조절 키트(32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각도 조절 키트(320)를 잡아당기면 도입부(322)가 벌어지면서 힌지(160)를 지나 각도 조절 키트(320)가 결합 홈(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힌지 결합 홈(321)이 형성된 각도 조절 키트(320)의 단부가 일정 각도로 결합 홈(150)에서 회동되기 위해서는 결합 홈(150)은 내부에서 표면 방향으로 그 폭이 벌어지도록 다시 말해 외협내광(外狹內廣)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각도 조절 키트(320)의 단부는 라운딩지도록 처리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각도 조절 키트(320)의 단부가 결합 홈(150)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각도 조절 키트(320)와 결합 홈(150) 사이의 틈으로 수증기가 새어나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부를 구비한 각도 조절 키트(320) 역시 내부에 관통로(313)가 관통 형성되어 가습부(120)의 노즐(121)에서 분사된 수증기가 이 관통로(313)를 따라 지나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각도 조절 키트(320)를 손쉽게 회동시키면서 가습부(120)에서 분사된 수증기가 최종적으로 분사되는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c)는 도 5(a)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되 도 5(a)와 달리 본체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길이 가변 키트(330)에 관한 것이다.
도 5(c)에 따른 길이 가변 키트(330)는 노즐(121)을 둘러싼 본체(100)의 일 영역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제 1,2 바디(331,332)와 부속 구성을 구비한다.
우선 제 1 바디(331)는 상술한 본체(100)의 일 영역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블록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것으로, 본체(100) 측 밑 부분은 노즐(121)과 내통된 제 1 관통로(333)가 관통 형성되되 제 1 관통로(333)의 끝단 부위는 제 1 관통로(333)를 포함한 상태로 내측으로 함입된 장착홈(336)이 함입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장착홈(33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관통로(333)는 후술할 승강 회전축(335)과 겹치지 않도록 제 1 바디(331)의 중앙에서 일 측으로 편심된 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 2 바디(332)는 제 1 바디(331)에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블록과 같은 구조로 장착홈(336)에 삽입 결합되되 이 역시 제 1 관통로(333)와 내통 가능하게 관통된 제 2 관통로(334)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 1 바디(331)와 나사산 결합을 한다.
이러한 제 2 바디(332)의 저면에는 승강 회전축(335)이 결합되는데, 이 승강 회전축(335)은 장착홈(336)의 바닥면에서 그 아래 측, 즉 장착홈(336)의 내측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승강 회전축(335)은 제 2 바디(332)를 지지하면서 회전되어 제 2 바디(33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 모터(337)는 승강 회전축(335)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바디(331)의 일 측(장착홈(336)의 바닥면 내부 일 측)에 장착되어 승강 회전축(33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술한 컨트롤러(130)는 이와 같은 구동 모터(337)를 구동 제어하는 승강 구동모듈(131)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구동모듈(131)은 본체(100)의 일 측에 모터 구동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 모터 구동 스위치의 누름 작용에 의해 구동 모터(337)를 구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구동 모터(337)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때 승강 회전축(335) 역시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2 바디(332)를 제 1 바디(331)에서 이격, 즉 상승되는 방향으로 나사산 결합 관계에 의해 이동시킨다. 반대로, 구동 모터(337) 및 승강 회전축(335)이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2 바디(332)를 제 1 바디(331)로 근접, 즉 하강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체(100) 기준으로 수증기의 분사 거리의 고저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길이 가변 키트(330)에 따르면, 번거롭게 키트(300)를 탈착할 필요 없이 구동 모터(337)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만 길이 가변 파트(3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증기의 분사 거리를 가변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에 케어 시트(500)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투시 단면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0)의 일 측 내에는 중공부(400)가 구비되고 이러한 중공부(400)의 일 측에는 롤러(41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중공부(400)에서 본체(100)의 내측 면으로 내통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내측 면 일 측에는 시트 슬릿(420)이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중공부(400)는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롤러(410)는 케어 시트(500)를 권취하고 있는데, 케어 시트(500)는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어 시트(500)는 공지의 상처 치료용 밴드와 유사한 구조로서, 베이스층(510), 피부개선제를 포함한 케어층(520), 이면지(530)의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베이스층(510)은 후술할 케어층(520)이 도포될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공지의 부착식 패드/밴드를 이루는 베이스에 대한 여러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케어층(520)은 피부개선제 자체 또는 피부개선제를 포함한 별도의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피부개선제라 함은 공지의 자외선차단제, 주름방지제, 미백제 등과 같이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피부개선제는 공지의 화장품과 같이 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피부에 닿으면 체온에 의해 연화되거나 유화되어서 피부에 흡수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이면지(530)는 케어층(520) 상에 적층되어 케어 시트(500)가 롤러(410)에 와인딩되어 있을 때 피부개선제가 불필요하게 유출되거나 상호 접착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다시 말해 미사용시 피부개선제의 불필요한 누출을 방지 및 보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접착제를 매개로 한 상태에서 외층과 내층이라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면지(530)가 접착제를 매개로 이중충으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가 케어 시트(5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이면지(530)의 외층 및 내층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피부개선제를 포함한 케어층(520)이 노출되도록 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목의 특정 부위에 피부개선제가 닿는 방향으로 케어 시트(5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케어 시트(50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절취선(54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절취선(541)의 방향은 시트 슬릿(420)의 방향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케어 시트(500)에 복수 개의 절취선(541)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케어 시트(500)를 일정 부분만큼을 편리하게 절취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541)의 인근 부위의 이면지(530) 외측 면에 링 형상의 압착된 상태의 머리끈(542)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머리끈(542)은 특히 여성인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묶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바,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가습부(120)에 의해 수증기가 외부로 분사될 시에 수증기가 여성 사용자의 머리카락에 닿지 않도록 머리끈(542)을 이면지(530)에서 분리시켜 머리끈(542)으로 편리하게 머리를 묶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한 도 6의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롤러(410)에 와인딩 처리 되어 있는 케어 시트(500)를 사용할 만큼 손으로 잡아당기고, 케어 시트(500)에 형성된 절취선(541)을 따라 케어 시트(500)를 절취한다. 머리 묶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케어 시트(500)의 이면지(530)에 압착되어 있는 머리끈(542)을 사용하여 머리를 묶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절취한 케어 시트(500)에 부착된 이면지(530)를 떼어 내고 케어층(520)이 피부를 향한 방향으로 케어 시트를(500) 목의 특정 부위에 부착한다.
이러한 케어 시트(500)가 와인딩 처리 된 롤러(410)를 본체(100)에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LED 광을 통하여 목주름 케어를 함과 동시에 피부개선제를 통한 피부 관리를 겸할 수 있어서 피부 개선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110: 발광부
120: 가습부 121: 노즐
130: 컨트롤러 131: 승강 구동모듈
141: 제 1 결합부 142: 제 2 결합부
143: 신축 파트 150: 결합 홈
160: 힌지 200: 에어 튜브
210: 공기 주입구 220: 필러
230: 기능성 파우더 300: 키트
310: 길이 조절 키트 312: 결합부
313: 관통로 320: 각도 조절 키트
321: 힌지 결합 홈 322: 도입부
323: 힌지 결합부 330: 길이 가변 키트
331: 제 1 바디 332: 제 2 바디
333: 제 1 관통로 334: 제 2 관통로
335: 승강 회전축 336: 장착홈
337: 구동 모터 400: 중공부
410: 롤러 420: 시트 슬릿
500: 케어 시트 510: 베이스층
520: 케어층 530: 이면지
541: 절취선 542: 머리끈

Claims (11)

  1.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로서,
    신축성 재질을 구비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 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구비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목에 LED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대향 측인 상기 본체의 외측 면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수증기를 분사하는 가습부;
    상기 발광부와 가습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C자 형상으로서 일 단에 제 1 결합부를 구비하고 타 단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2 결합부의 결합으로 O 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 측에는,
    자바라 형식의 주름이 형성된 신축 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면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기주입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는 에어 튜브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로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에어 튜브 사이의 상기 본체의 표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에어 튜브 사이 및 상기 에어 튜브 아래 측인 상기 본체 표면의 일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 튜브의 내부 중 적어도 일부에는,
    볼록렌즈 형상의 투명성 겔(gel) 형태의 필러(filler)가 적어도 하나가 유동 가능하게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크기로서 구 및 타원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투명 재질의 복수 개의 기능성 파우더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주변을 둘러싼 상기 본체의 외측 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결함 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 가능한 길이 조절 키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주변을 둘러싼 상기 본체의 외측 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결함 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홈의 일 측에 장착된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 조절 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둘러싼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는 길이 가변 키트가 구비되되,
    상기 길이 가변 키트는,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결합된 것으로, 중앙부위에서 내측으로 함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과 상기 노즐을 연통하여 연결하는 제 1 관통로가 구비된 제 1 바디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중앙 부위에 제 2 관통로가 관통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바디 및,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디의 저면에서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 내측 부위까지 회전 가능하게 연장된 승강 회전축과, 상기 승강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 면으로 내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 면 일 측에 형성된 시트 슬릿 및, 상기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케어 시트를 와인딩 처리하여 상기 케어 시트를 상기 슬릿으로 인출하는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케어 시트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에 적층된 겔 타입의 피부개선제를 포함한 케어층 및, 상기 피부개선제에 적층된 이면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시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의 인근 부위에는,
    링 형상의 머리끈이 압착된 상태로 상기 이면지의 외측 표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타입의 목주름 개선 기능 겸용 가습장치.
KR1020190028330A 2019-03-12 2019-03-12 목걸이 타입의 광조사 겸용 가습장치 KR10218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30A KR102183167B1 (ko) 2019-03-12 2019-03-12 목걸이 타입의 광조사 겸용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30A KR102183167B1 (ko) 2019-03-12 2019-03-12 목걸이 타입의 광조사 겸용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428A true KR20200109428A (ko) 2020-09-23
KR102183167B1 KR102183167B1 (ko) 2020-11-25

Family

ID=7270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330A KR102183167B1 (ko) 2019-03-12 2019-03-12 목걸이 타입의 광조사 겸용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5428A (zh) * 2021-12-13 2022-10-28 南通大学附属医院 烧伤科患者用局部烧伤部位隔空护理保护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112A (ko) 2022-03-21 2023-10-04 이성호 엘이디 광치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675Y1 (ko) * 2000-07-07 2001-01-15 박상규 목 교정구
JP2010246754A (ja) * 2009-04-16 2010-11-04 Panasonic Corp 光照射装置
KR101645928B1 (ko) * 2016-06-08 2016-08-05 홍정택 웨어러블 스마트 마사지기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CN207979985U (zh) * 2017-11-09 2018-10-19 深圳市精利盛实业有限公司 智能按摩仪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675Y1 (ko) * 2000-07-07 2001-01-15 박상규 목 교정구
JP2010246754A (ja) * 2009-04-16 2010-11-04 Panasonic Corp 光照射装置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101645928B1 (ko) * 2016-06-08 2016-08-05 홍정택 웨어러블 스마트 마사지기
CN207979985U (zh) * 2017-11-09 2018-10-19 深圳市精利盛实业有限公司 智能按摩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5428A (zh) * 2021-12-13 2022-10-28 南通大学附属医院 烧伤科患者用局部烧伤部位隔空护理保护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167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1938B2 (ja) 皮膚美容マスク装置および金と銀を含む複合層構造が適用された皮膚美容マスク装置
KR102183167B1 (ko) 목걸이 타입의 광조사 겸용 가습장치
JP2009525773A (ja) 体カバー、眼鏡および/または少なくとも部分的なヘッド・カバー、人体の少なくとも一部を放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体カバーの使用法
CN101548929A (zh) 脸部按摩面具
KR20160095878A (ko) 미용 마스크
JP6997545B2 (ja)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50135618A (ko) 치료 또는 미용용 발광모듈
TW201938227A (zh) 溫熱器具
EP1147752A1 (en) Steam generating unit, mask and eye pillow respectively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2010063542A (ja) 眼疲労治癒具
JP6812548B2 (ja) マッサージ機能があるマスクとこれを含むマスクシステム
TW201204425A (en) Face mask having light emitting elements
CN108671337B (zh) 一种美容用补水喷雾器
JP2011201060A (ja) 波形発熱体製造方法、波形発熱体。
KR20110014922A (ko) 광학적 치료시트 및 치료장치
CN108244727A (zh) 一种面罩
CN211158185U (zh) 一种多功能美容仪
KR200460885Y1 (ko)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마스크 팩
KR20210002890A (ko) 마스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패키지
JP2016507292A (ja) 治療用物質と一体化された全方向伸縮性衣料品
JP2012029743A (ja) 頭部マッサージ用ドライミスト噴霧装置
CN206822960U (zh) 一种led颈膜
CN211095181U (zh) 石墨烯发热护腰
CN211912169U (zh) 一种护理用精神舒缓放松头套
CN207950164U (zh) 一种具有美容功能的led艾灸护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