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707B1 - 스마트 디퓨저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707B1
KR101877707B1 KR1020180072414A KR20180072414A KR101877707B1 KR 101877707 B1 KR101877707 B1 KR 101877707B1 KR 1020180072414 A KR1020180072414 A KR 1020180072414A KR 20180072414 A KR20180072414 A KR 20180072414A KR 101877707 B1 KR101877707 B1 KR 10187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sensing
neckband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범
Original Assignee
홍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범 filed Critical 홍창범
Priority to KR102018007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24F2003/168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향제를 통과하여 배출하되,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넥밴드형 이어폰을 수용홈에 거치시키는 방향부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주변의 온도, 습도, 가스,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방향부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넥밴드형 이어폰이 상기 수용홈에 거치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넥밴드형 이어폰의 외표면을 따라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넥밴드형 이어폰을 거치하면서 향을 분사할 수 있어 탁상형 송풍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디퓨저{SMART DIFFUSER}
본 발명은 스마트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디퓨저의 분사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디퓨저는 사무실, 집, 또는 가게 등 자신의 생활 공간을 은은한 향으로 채워줌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게 해준다. 오랫동안 향이 유지되고 다양한 스틱 모양을 사용해 인테리어 효과도 줄 수 있다. 또한 천연재료와 아로마 오일을 이용한 디퓨저의 경우 향기와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목과 코를 시원하게 뚫어주어 편안한 호흡을 유도해 호흡기 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디퓨저도 있고, 불면증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향을 사용해 숙면 효과를 높이는 디퓨저도 개발되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011호(2014년 1월 28일 공고)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향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넥밴드형 이어폰을 거치하면서 향을 분사할 수 있어 탁상형 송풍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디퓨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방향부를 드론형태로 구현하여 비행을 하면서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는 스마트 디퓨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향제를 통과하여 배출하되,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넥밴드형 이어폰을 수용홈에 거치시키는 방향부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주변의 온도, 습도, 가스,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방향부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넥밴드형 이어폰이 상기 수용홈에 거치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넥밴드형 이어폰의 외표면을 따라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넥밴드형 이어폰을 거치하면서 향을 분사할 수 있어 탁상형 송풍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향부를 드론형태로 구현하여 비행을 하면서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 중 방향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 중 조명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 중 조명부가 회전하여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가 드론 형태의 방향부를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에 넥밴드형 이어폰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7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에 넥밴드형 이어폰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100)는 몸체부(110), 방향부(120), 조명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110)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로 형성된다. 몸체부(110)는 방향부(120), 조명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내부에 수용한다.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다. 이는 방향부(12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체부(11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거나 내부의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내부로부터 출력되는 조명이 확산되도록 확산시트나 도광판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몸체부(110)는 원통형, 직육면체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표면에는 조명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반사홈이 형성되어 난반사를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향부(12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향제를 통과하여 배출한다. 방향부(120)는 모터와 팬을 포함하며, 몸체부(110) 내부의 유로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방향제를 통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가 기 설정된 단계별 속도로 구동되면서 방향제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나 속도가 가변되어 방향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방향제는 하나 이상의 종류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방향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방향되는 방향제에만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향부(12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거나, 내부 배터리(170)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조명부(13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130)는 엘이디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130)는 기 설정된 색상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PWM 제어가 되어 조명의 색상 및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부(130)는 타이머 제어가 가능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30)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3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거나, 내부 배터리(170)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0) 또는 관리서버(20)와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빅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경우, 빅데이터는 관리서버(20)로부터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집이 가능한 음성, 문자, SNS 대화목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방향부(120) 및 조명부(130)의 출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10)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근접하는 경우 제어부(150)로 근접정보를 출력하고, 이탈하는 경우 이탈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한다. 제어부(150)는 빅데이터 중 사용자의 감정정보에 따라 방향부(120) 및 조명부(130)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빅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나타내는 어휘나 단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10)이 근접하면 그로부터 빅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방향부(120)의 종류, 세기 등을 제어하고, 조명부(130)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맞춤형으로 방향부(120)나 조명부(130)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100)는 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주변의 온도, 습도, 가스,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한다. 감지부(160)는 주변의 온도, 습도, 가스, 조도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리정보는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기초정보로 사용된다. 가스정보는 실내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주거나,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경우 방향량을 증가사킬 수 있도록 하는 기초정보로 이용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따라 방향부(120) 또는 조명부(130)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주변의 가스정보에 따라 화재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 중 방향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향부(120)는 방향제(121), 제1 홀더(122), 제2 홀더(123), 디스크(124), 구동팬(125), 상부커버(126) 및 분배부(127)를 포함한다.
방향제(121)는 고형제로 기 설정된 향을 농축하여 형성된다. 방향제(121)의 형태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향제(121)는 휘발성을 가지고 바람에 의해 방향이 될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제(121)의 크기 및 형상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방향제(121)는 후술하는 제1 홀더(122)에 수용된다.
제1 홀더(122)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제1 홀더(122)는 측면에 제1 통공(122-1)이 형성된다. 제1 통공(122-1)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홀더(122)는 내부의 공간에 방향제(121)를 수용한다. 이는 방향제(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제1 홀더(122)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디스크(124)가 위치하여 방향제(12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홀더(123)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제2 홀더(123)는 측면에 제2 통공(123-1)이 형성된다. 제2 통공(123-1)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홀더(123)는 내부의 공간에 제1 홀더(122)를 수용한다. 제2 홀더(123)는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몸체부와 공간적으로 구분되도록 한다. 제2 통공(123-1)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1 통공(122-1)을 통해 제1 홀더(122) 내측의 방향제(121)로 유입된다.
디스크(124)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디스크(124)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3 통공(124-1)이 형성된다. 이 경우, 판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기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124)는 제1 홀더(122)의 항부에 위치하여 방향제(12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크(124)의 제3 통공(124-1)은 제2 통공(123-1)을 통해 제1 통공(122-1)을 거친 공기가 방향제(121)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한다.
구동팬(125)은 제3 통공(124-1)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로펠러를 회동시킨다. 이 경우, 프로펠러는 단면이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팬(125)은 제어부에 의해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구동팬(125)이 회전하면서 제2 통공(123-1)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제2 통공(123-1)을 거쳐 제3 통공(124-1)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방향제(121)를 거친 공기는 구동팬(125)을 거쳐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커버(126)는 중앙에 제4 통공(126-1)이 형성되며, 디스크(124)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구동팬(125)을 수용한다. 상부커버(126)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부커버(126)는 내부의 구동팬(125)을 보호하는 커버이다. 제4 통공(126-1)은 구동팬(125)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커버(126)는 몸체부의 상단과 결합하여 내부의 제1 홀더(122), 제2 홀더(123), 디스크(124), 구동팬(125)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배부(127)는 제4 통공(126-1)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끼움결합된다. 분배부(127)는 제4 통공(126-1)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분배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배부(127)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분배부(127)는 상부커버(126)의 제4 통공(126-1)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배부(127)는 방향제(121)의 향이 방향되도록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 중 조명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 중 조명부가 회전하여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300)는 몸체부(310), 방향부(320), 조명부(330), 통신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몸체부(310), 방향부(320), 통신부(34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몸체부(110), 방향부(120), 통신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감지부(360), 배터리(370)의 구성이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서의 감지부(160), 배터리(17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도록 한다.
조명부(330)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복수의 엘이디(331)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조명부(330)는 엘이디(331), 회전축(332) 및 회전모터(333)를 포함한다. 엘이디(331)는 막대형상의 어레이로 구성된다. 엘이디(331)는 몸체부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점멸된다. 이 경우, 엘이디(331)는 회전시 점멸 패턴의 변화에 따른 잔상을 이용하여 기호, 문자, 도형을 출력할 수 있다.
회전축(332)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형으로 형성된다. 회전축(332)은 절곡되어 일측이 엘이디(331)와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모터(333)와 연결된다. 회전축(332)은 일측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고, 타측이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된다. 회전축(332)은 복수의 엘이디(331)를 몸체부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모터(333)는 출력측에 회전축(332)이 연결된다. 회전모터(333)는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모터(333)의 구동속도, 구동방향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회전모터(333)는 회전축(332)을 회전시킴에 따라 엘이디(331)가 몸체부 내부에서 일정한 회전반경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모터(333)는 내부 배터리(370)로 구동되거나,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회전모터(333)에는 감속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조명부(33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복수의 엘이디(331)의 점멸패턴을 회전면에서 형성하도록 한다. 제어부(350)는 복수의 엘이디(331)의 점멸패턴의 잔상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35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가변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50)는 엘이디(331)의 색상을 가변적으로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50)는 감지부(360)를 이용하여 주변의 환경 변화에 따라 엘이디(331)로 표시되는 기호, 문자, 도형의 내용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부(330)를 통해 "오늘 기분 어때?"와 같이 사용자와 대화 응답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퓨저(300)가 사용자의 감정상태, 일정 등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경우 조명부(330)를 통해 답변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답변 내용은 사용자의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최적의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SNS, 이메일, 전화내용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가 드론 형태의 방향부를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500)는 몸체부(510), 방향부(520), 조명부(530), 통신부(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몸체부(310), 조명부(330), 통신부(34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몸체부(110), 조명부(130), 통신부(1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500)의 방향부(520)는 몸체부(510)와 도킹되어 충전되고, 기 설정된 분사스케줄에 따라 몸체부(510)로부터 이탈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팬(525)을 구동시켜 비행하면서 방향제를 분사한다. 방향부(520)는 몸체부와 탈착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부(520)는 몸체부(510)와 도킹되는 경우 내부 배터리(570)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방향부(520)는 복수개의 구동팬(525)으로 형성되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제를 방향시킬 수 있다. 방향부(520)는 복수의 향을 각각 필요에 의해 발산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부(520)는 일부는 바람만 송풍하고, 일부는 방향만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향부(520)는 비행모드로 전환시 구동팬(525)의 구동방향을 반대로 하여 추진력을 얻어 몸체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의 배터리로 구동팬(525)이 구동된다. 방향부(520)는 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방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구역을 방향하는 경우 방향부(520)를 비행시켜 방향을 시킬 수 있다. 방향부(520)에는 감지부, 제어부(550)가 추가로 탑재될 수 있다. 방향부(520)는 몸체부와 통신을 통해 이착륙을 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방향부(520)가 도킹모드인 경우 구동팬(525)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는 방향을 위한 것으로, 도 1이나 도 2의 방향구조와 동일하다. 방향모드인 경우 구동팬(52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방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방향부(520)가 비행모드인 경우 구동팬(525)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가 출력되도록 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기 설정된 회전속도 이상이면 몸체부로부터 방향부(520)가 이탈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방향부(520)의 비행경로를 조절하여 몸체부로부터 이착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에 넥밴드형 이어폰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7에 따른 스마트 디퓨저에 넥밴드형 이어폰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퓨저(500)의 방향부(520)는 넥밴드형 이어폰(501)과 도킹된다. 이 경우, 넥밴드형 이어폰(501)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커브 구조로 형성되며, 와이어로 형성된 이어폰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넥밴드형 이어폰(501)은 양단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주입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방향부(520)는 구동팬(525)을 통해 넥밴드형 이어폰(501)의 외표면을 따라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 경우, 넥밴드형 이어폰(501)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공(502)은 넥밴드형 이어폰(501)에서 외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넥밴드형 이어폰(501)는 'U'자 형태의 굴곡되어진 부분의 단면은 베르누이 원리가 적용되도록 에어포일(Airfoil)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넥밴드형 이어폰(501)의 단면의 좁은 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압차이를 발생시킨다.
방향부(520)는 넥밴드형 이어폰(501)을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하도록 거치시킨다. 이 경우, 넥밴드형 이어폰(501)의 양단은 방향부(520)의 수용홈에 각각 삽입된다. 방향부(520)는 배터리(57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배터리(570)는 수용홈 일측에 형성된 전극(571)을 통해 넥밴드형 이어폰(501)이 접속하면 전원을 충전시킨다.
구동팬(525)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넥밴드형 이어폰(501)의 외표면을 따라 공기가 분사되도록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 경우, 넥밴드형 이어폰(501) 내부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부(520)는 구동팬(525)을 통해 방향제(5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방향제(521)를 거치지 않고 공기만 주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기공(502)은 넥밴드형 이어폰(501)의 외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넥밴드형 이어폰(501)은 'U'자 형태의 굴곡되어진 부분의 단면은 베르누이 원리가 적용되도록 에어포일(Airfoil)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넥밴드형 이어폰(501)의 단면의 좁은 틈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압차이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넥밴드형 이어폰(501)을 거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넥밴드형 이어폰(501)을 통해 향을 분사할 수 있어 탁상형 송풍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디퓨저 110 : 몸체부
120 : 방향부 121 : 방향제
122 : 제1 홀더 122-1 : 제1 통공
123 : 제2 홀더 123-1 : 제2 통공
124 : 디스크 124-1 : 제3 통공
125 : 구동팬 126 : 상부커버
126-1 : 제4 통공 127 : 분배부
130 : 조명부 140 : 통신부
150 : 제어부 160 : 감지부
170 : 배터리
300 : 디퓨저 310 : 몸체부
320 : 방향부 330 : 조명부
331 : 엘이디 332 : 회전축
333 : 회전모터 340 : 통신부
350 : 제어부 360 : 감지부
370 : 배터리
500 : 디퓨저 501 : 넥밴드형 이어폰
502 : 배기공 510 : 몸체부
520 : 방향부 521 : 방향제
525 : 구동팬 530 : 조명부
540 : 통신부 550 : 제어부
560 : 감지부 570 : 배터리
571 : 전극

Claims (1)

  1.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향제를 통과하여 배출하되,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넥밴드형 이어폰을 수용홈에 거치시키는 방향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주변의 온도, 습도, 가스, 조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방향부의 출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넥밴드형 이어폰이 상기 수용홈에 거치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넥밴드형 이어폰의 외표면을 따라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퓨저.
KR1020180072414A 2018-06-23 2018-06-23 스마트 디퓨저 KR10187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414A KR101877707B1 (ko) 2018-06-23 2018-06-23 스마트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414A KR101877707B1 (ko) 2018-06-23 2018-06-23 스마트 디퓨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632A Division KR101874285B1 (ko) 2018-02-02 2018-02-02 빅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707B1 true KR101877707B1 (ko) 2018-07-11

Family

ID=6291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414A KR101877707B1 (ko) 2018-06-23 2018-06-23 스마트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7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63A (ko) 2018-11-13 2020-05-21 (주)나누미 다향 스마트 디퓨저
KR20210041786A (ko) 2019-10-08 2021-04-16 (주)나누미 스마트 디퓨저
KR102406622B1 (ko) * 2021-04-28 2022-07-01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슬라이딩식 가이드를 가진 공기청정 헤드폰 시스템
KR102406623B1 (ko) * 2021-04-28 2022-07-05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 시스템
KR102406638B1 (ko) * 2021-04-28 2022-07-05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회전식 가이드를 가진 공기청정 헤드폰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888A (ko) * 2007-10-08 2009-04-13 류건우 담배 냄새 막는 이어폰
US20110108632A1 (en) * 2009-11-12 2011-05-12 Hayloft Enterprises, Inc. Air freshener vent clip and accessory
WO2013184251A1 (en) * 2012-06-08 2013-12-12 Brandywine Product Group International Inc. Air freshener
JP3199669U (ja) * 2015-06-24 2015-09-03 株式会社ヴァーテックス 芳香具
KR101710828B1 (ko) * 2016-02-24 2017-02-27 황만수 음이온발생부가 구비된 이어폰
KR20170031956A (ko) * 2015-09-14 2017-03-22 유제빈 넥밴드형 음이온 발생장치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888A (ko) * 2007-10-08 2009-04-13 류건우 담배 냄새 막는 이어폰
US20110108632A1 (en) * 2009-11-12 2011-05-12 Hayloft Enterprises, Inc. Air freshener vent clip and accessory
WO2013184251A1 (en) * 2012-06-08 2013-12-12 Brandywine Product Group International Inc. Air freshener
JP3199669U (ja) * 2015-06-24 2015-09-03 株式会社ヴァーテックス 芳香具
KR20170031956A (ko) * 2015-09-14 2017-03-22 유제빈 넥밴드형 음이온 발생장치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101710828B1 (ko) * 2016-02-24 2017-02-27 황만수 음이온발생부가 구비된 이어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63A (ko) 2018-11-13 2020-05-21 (주)나누미 다향 스마트 디퓨저
KR20210041786A (ko) 2019-10-08 2021-04-16 (주)나누미 스마트 디퓨저
KR102406622B1 (ko) * 2021-04-28 2022-07-01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슬라이딩식 가이드를 가진 공기청정 헤드폰 시스템
KR102406623B1 (ko) * 2021-04-28 2022-07-05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 시스템
KR102406638B1 (ko) * 2021-04-28 2022-07-05 주식회사 서비타이저 회전식 가이드를 가진 공기청정 헤드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707B1 (ko) 스마트 디퓨저
KR101874285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디퓨저
EP2986329B1 (en) Portable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flame simulator
US5301458A (en) Insect killer
US11326612B2 (en) Fan for ventilating or conditioning environment
EP2565518B1 (en) Imitation candle
JP2019534156A (ja) 拡散装置及び方法
EP3163180A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109789236A (zh) 扩散装置和方法
US20170135492A1 (en) Polifunctional bed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GB2473290A (en)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CN206190618U (zh) 无叶风扇
ES2621893T3 (es) Cabezal de difusión de niebla para una instalación de nebulización
EP3882512A1 (en) Fan lamp
US4573938A (en) Spaceship type toy
WO2019035105A1 (es) Estructura para formar una pantalla de nube de partículas de líquido y uso en un dispositivo de proyección lumínica de imágenes en espacio libre
JP5900960B2 (ja) 帯電粒子送出装置
CN208626278U (zh) 一种扩香设备及香味盒
US10207231B1 (en) Overhead fan mis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219606993U (zh) 一种便携式香薰led氛围灯
CN205478224U (zh) 风扇
US3885344A (en) Stands for model aircraft
CN214746215U (zh) 一种旋转环绕喷雾式香薰加湿器
CN214701071U (zh) 一种高灵活度喷圈香薰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