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70Y1 - 양우산 휴대구 - Google Patents

양우산 휴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70Y1
KR200470570Y1 KR2020130008222U KR20130008222U KR200470570Y1 KR 200470570 Y1 KR200470570 Y1 KR 200470570Y1 KR 2020130008222 U KR2020130008222 U KR 2020130008222U KR 20130008222 U KR20130008222 U KR 20130008222U KR 200470570 Y1 KR200470570 Y1 KR 200470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ders
umbrella
holder
cent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교
Original Assignee
허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은교 filed Critical 허은교
Priority to KR2020130008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45B7/005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crank-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 A45B2200/109Sockets therefor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을 놓고도 양산 또는 우산을 사용하여 햇빛이나 눈비를 피할 수 있게 하는 양우산 휴대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된 멜빵(20); 상기 멜빵(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산 또는 우산의 중심대(2)를 탄성적으로 압박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이 개구된 끼움공간(11)을 제공하는 반원통 형상의 중심대홀더(10); 상기 중심대홀더(10)를 상기 멜빵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고정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우산 휴대구{Apparatus For Holding Umbrella Or Sun Shade}
본 고안은 양우산 휴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을 놓고도 양산 또는 우산을 사용하여 햇빛이나 눈비를 피할 수 있게 하는 양우산 휴대구에 관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햇빛이나 눈비를 가리기 위해 양산이나 우산이 사용된다. 양산 또는 우산(이하, '양우산'이라 함)을 사용할 경우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그의 중심대(기둥)을 잡고 있어야 한다. 사용중에 양 손을 다른 곳에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머리와 어깨 사이에 양우산의 중심대를 끼워 눈비 등으로부터 가리기도 한다. 특히 한 손에 우산을 들고 다른 손에 가방을 들고 있는 경우에 전화라도 걸려오거나 주머니에서 지갑을 꺼낼 때에는 불편함이 많다. 근래와 같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을 수시로 이용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비가 내리는 곳에서 버스 또는 사람을 기다릴 경우에도 양 손이 자유롭다면 여러모로 매우 편리하고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과 필요성 때문에 종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33371호 또는 제20-2002-0037127호가 제안된 바 있었으나 사용상 거추장스럽거나 우산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3337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3712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양산이나 우산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양우산 휴대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방향이나 높이를 쉽게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리를 극대화시킨 양우산 휴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된 멜빵; 상기 멜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산 또는 우산의 중심대를 탄성적으로 압박함으로써 마찰력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이 개구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반원통 형상의 중심대홀더; 상기 중심대홀더를 상기 멜빵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우산 휴대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홀더고정구는 상기 멜빵에 고정되는 원형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으로 하여금 외력을 가해야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대홀더는 상기 회전판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판은 상기 베이스판에 마련되는 원형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회전되며;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안착부의 원주벽을 따라 톱니 형태로 마련되는 요철레일; 상기 요철레일을 향해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외주벽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멜빵은 한쪽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선형 밴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고정구가 클립수단에 의해 상기 멜빵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홀더고정구는 상기 멜빵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시키거나 상기 멜빵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심대홀더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멜빵은 지퍼가 부착된 포켓 또는 가방 형태로 펼쳐질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양산 또는 우산을 쓸 수 있는 양우산 휴대구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법이 간단하며, 햇빛 또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양산 또는 우산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양우산 휴대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기타 효과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 구체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양우산 휴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양우산 휴대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양우산 휴대구의 홀더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방향에서 취한 양우산 휴대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4에 대응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멜빵의 펼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양우산 휴대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3 내지 도 8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면서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양우산 휴대구는 기본적으로 멜빵(20), 중심대홀더(10) 및 홀더고정구(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양우산 휴대구는 양산 또는 우산 모두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멜빵(20)은 사용자의 한쪽 어깨에 걸 수 있도록 길고 넓적한 밴드 형태로 되어 있다. 멜빵(20)의 내측면에는 어깨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멜빵(20)은 선형의 밴드 양단에 벨크로테잎(21,22)과 같은 결속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링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필요에 따라 어깨만이 아닌 다른 곳(예를 들어 난간, 나무 등의 고정체)에도 양산 또는 우산을 쉽게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멜빵(20)은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되어 있을 수 있고,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신체와의 접촉면에 쿠션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중심대홀더(10)는 멜빵(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산 또는 우산의 중심대(2)를 탄성적으로 압박하여 마찰력으로써 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이 개구된 끼움공간(11)을 제공한다.
중심대홀더(10)는 반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적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다(도 4 내지 도 5 참조). 예를 들어 중심대홀더(10)를 카본섬유로 하는 경우 탄성이 좋고 경량이기 때문에 유익하다.
중심대(2)를 도 1의 화살표(A1) 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중심대홀더(10)는 외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중심대(2)가 끼움공간(11)에 안착되도록 한다. 중심대(2)가 중심대홀더(10)에 끼워지면 중심대홀더(10)는 탄성적으로 오므라들면서 중심대(2)의 외주면을 압박하게 되는데, 중심대홀더(10)는 이러한 압박하는 힘으로써 중심대(2)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심대(2)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중심대홀더(10)의 내측면에는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마찰패드(12)가 접착 또는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대홀더(10)의 길이(L, 도 2 참조)는 중심대(2)의 고정력과 비례하게 될 것이다. 너무 길면 튼튼하기는 하겠지만 휴대 및 사용상 불편할 것이며 너무 짧으면 고정력이 약할 것이다. 중심대홀더(10)의 길이(L)가 100 ~ 200mm 의 범위 내에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오랜 사용에 의해 중심대홀더(10)의 탄성력이 약해지거나 강한 바람에 의해 중심대(2)가 중심대홀더(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수단이 중심대홀더(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잠금수단은 밀폐용 반찬용기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원터치형 클램프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중심대(2)를 중심대홀더(10)에 끼운 다음 잠금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중심대홀더(10)가 벌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중심대홀더(10)는 홀더고정구(30)를 매개로 하여 멜빵(20)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홀더고정구(30)는 중심대홀더(10)가 멜빵(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홀더고정구(30)는 멜빵(20)에 고정되는 원형의 베이스판(31), 베이스판(31) 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32) 및 어느 정도 이상의 외력을 가해야만 회전판(31)이 베이스판(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한다. 회전제한수단은 베이스판(31)과 회전판(32)에 걸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중심대홀더(10)는 회전판(32)에 고정됨으로써 베이스판(31)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사용의 편의를 위해 홀더고정구(30)의 직경이 중심대홀더(10)의 길이(L)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더고정구(30)는 착용감과 밀착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어깨의 곡선에 맞게 어느 정도 만곡될 수 있는 연질 합성수지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회전제한수단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회전판(32)은 베이스판(31)에 움푹 패인 형태로 마련되는 원형의 안착부(311)에 안착된다. 회전판(32) 역시 원판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회전판(32)은 안착부(3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회전판(32)이 베이스판(3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커버(322)가 고정나사에 의해 베이스판(31) 위에 체결된다. 고정커버(322)는 회전판(32) 위를 부분적으로 덮은 상태로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요철레일(312)이 베이스판(31)의 안착부(311)의 원주벽을 따라 톱니 형태로 마련된다. 요철레일(312)이 설치되는 범위가 곧 회전판(32) 내지 중심대(2)를 회전시킬 수 있는 범위가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요철레일(312)은 180°의 범위로 마련된다.
걸림구(321)가 요철레일(312)을 향해 탄성적으로 돌출되게끔 회전판(32)의 외주벽에 설치된다. 걸림구(321)는 얇은 스프링판의 중심부(321a)가 "C" 또는 "<" 형태가 되도록 절곡된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펴지면서 회전판(32)의 중심부측으로 움츠러들 수 있게 되어 있다. 걸림구(321)의 양쪽 가장자리(321b)는 유동 가능하게끔 회전판(32)에 끼워진다. 요철레일(312)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의 오목한 부위에 걸림구(321)가 요철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회전판(32)은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회전될 수 없게 된다.
사용자가 회전판(32)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그 힘이 걸림구(321)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정도를 넘게 되면, 걸림구(321)가 요철레일(312) 위를 타고 넘게 될 것이고 이에 의해 회전판(32)이 회전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구(321)가 코일스프링(미도시됨)에 의해 요철레일(312)을 향해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코일스프링이 외력에 의해 압착되게 되면 걸림구(321)가 요철레일(312)로부터 이탈되면서 회전판(32)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판(32) 내지 중심대홀더(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2)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양산 또는 우산의 중심대(2)를 같은 방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언급한 것처럼 멜빵(20)은 한쪽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선형 밴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31)이 클립수단에 의해 멜빵에 고정된다. 클립수단은 홀더고정구(30)로 하여금 멜빵(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클립수단(40,60)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그중 하나의 클립수단(40)을 설명한다. 클립수단(40)은 홀더고정구(30)의 양측에 마련된다. 손잡이레버(41)와 누름핑거(42)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누름핑거(42)는 힌지핀(43)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핑거(43)는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멜빵(20)을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박력에 의해 홀더고정구(30)와 멜빵(20)이 고정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양쪽에 설치된 손잡이레버(41)를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회전시킴으로써 홀더고정구(30)를 멜빵(20)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다른 예에 따른 클립수단(6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홀더고정구(30)의 일측에는 일측 힌지핀(63)을 중심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회전될 수 있는 누름바(62)가 연결된다. 홀더고정구(30)의 타측에는 타측 힌지핀(67)을 중심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회전될 수 있는 잠금구(61)가 연결된다. 잠금구(61)에는 손잡이레버(64)가 돌출 연장된다. 누름바(62)의 선단(65)과 잠금구의 선단(65)은 각각 요철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누름바(62)가 멜빵(20)을 압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구조는 여성들이 사용하는 머리핀과 유사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중심대홀더(10)의 양측에는 회전판(3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빵(20)은 폭이 넓은 부분(23)과 폭이 좁은 부분(24)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어깨에 걸쳐지는 부분은 폭이 넓은 부분(23)이 된다. 폭이 좁은 부분(24)은 겨드랑이 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멜빵(20)은 필요시 지퍼가 부착된 포켓 또는 가방 형태가 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그러면 멜빵(20) 내부에 홀더고정구(30)를 넣어 보관할 수가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양산 또는 우산을 가방 형태로 변화될 수 있는 멜빵(20) 내부에 보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5,26은 결속수단의 다른 예로서 허리띠 또는 가방에 널리 사용되는 버클을 나타낸다. 폭이 넓은 부분(23)의 길이(W)는 200 ~ 300mm가 될 수 있다. 도면부호 27은 쿠션부재 내지 미끄럼 방지패드를 나타낸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홀더고정구(30)가 사용자의 등쪽에 있도록 멜빵(20)을 맨 상태이며 뒷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홀더고정구(30)가 사용자의 가슴쪽에 있도록 멜빵(20)을 맨 상태이며 옆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멜빵(20)을 착용할 수 있다.
도 7은 양산 또는 우산(1)을 화살표(A3) 방향으로 기울여 고정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양산 또는 우산의 중심대(2)에 설치되는 중심대손잡이(3) 또는 회전손잡이(50)를 잡고 돌림으로써, 사용자의 양 옆방향으로 양산 또는 우산(1)을 기울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양산 또는 우산(1)을 화살표(A4) 방향으로 기울여 고정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의 앞뒤 방향으로 양산 또는 우산(1)을 기울일 수 있게 된다. 이는 멜빵(20)을 착용한 상태에서 클립수단(40,60)을 해제하여 홀더고정구(3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어깨의 곡면을 따라 홀더고정구(30)의 경사도가 변하게 되고 따라서 양산 또는 우산(1)의 앞뒤 방향으로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햇빛이 경사지게 비추거나 눈비가 바람때문에 비스듬히 내릴 경우에는 그 방향을 향해 양산 또는 우산을 기울여야 하기도 하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스럽게 충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양산 또는 우산 2 : 중심대
3 : 중심대손잡이 10 : 중심대홀더
11 : 끼움공간 12 : 마찰패드
20 : 멜빵 21,22 : 벨크로테잎
25,26 : 버클 30 : 홀더고정구
31 : 베이스판 32 : 회전판
40,60 : 클립수단 41,64 : 손잡이레버
42 : 누름핑거 43,63 : 힌지핀
61 : 잠금구 62 : 누름바
311 : 안착부 312 : 요철레일
321 : 걸림구

Claims (7)

  1.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된 멜빵;
    상기 멜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산 또는 우산의 중심대를 탄성적으로 압박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방향이 개구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반원통 형상의 중심대홀더;
    상기 중심대홀더를 상기 멜빵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고정구는 상기 멜빵에 고정되는 원형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으로 하여금 외력을 가해야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대홀더는 상기 회전판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 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우산 휴대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베이스판에 마련되는 원형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회전되며;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안착부의 원주벽을 따라 톱니 형태로 마련되는 요철레일; 상기 요철레일을 향해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철레일에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외주벽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우산 휴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홀더의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우산 휴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빵은 한쪽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선형 밴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고정구는 클립수단에 의해 상기 멜빵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홀더고정구는 상기 멜빵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시키거나 상기 멜빵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우산 휴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빵은 지퍼가 부착된 포켓 또는 가방 형태로 펼쳐질 수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우산 휴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빵은 선형의 밴드 양단에 설치되는 벨크로테잎 또는 버클과 같은 결속수단에 의해 링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우산 휴대구.
KR2020130008222U 2013-10-07 2013-10-07 양우산 휴대구 KR200470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22U KR200470570Y1 (ko) 2013-10-07 2013-10-07 양우산 휴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22U KR200470570Y1 (ko) 2013-10-07 2013-10-07 양우산 휴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70Y1 true KR200470570Y1 (ko) 2013-12-30

Family

ID=514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22U KR200470570Y1 (ko) 2013-10-07 2013-10-07 양우산 휴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21Y1 (ko) * 2015-05-19 2015-12-01 윤일현 휴대용 우산꽂이
KR101691472B1 (ko) * 2015-07-06 2017-01-09 이광재 배낭에 탈착이 용이한 스틱 걸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311Y1 (ko) * 1999-11-11 2000-04-15 김주희 어깨걸이식 휴대폰 케이스
KR200369510Y1 (ko) 2004-09-01 2004-12-04 김세진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US7275668B1 (en) * 2003-11-14 2007-10-02 Emmitt Carroll Umbrella/cup holde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311Y1 (ko) * 1999-11-11 2000-04-15 김주희 어깨걸이식 휴대폰 케이스
US7275668B1 (en) * 2003-11-14 2007-10-02 Emmitt Carroll Umbrella/cup holder device
KR200369510Y1 (ko) 2004-09-01 2004-12-04 김세진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21Y1 (ko) * 2015-05-19 2015-12-01 윤일현 휴대용 우산꽂이
KR101691472B1 (ko) * 2015-07-06 2017-01-09 이광재 배낭에 탈착이 용이한 스틱 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582B2 (en) Umbrella with two belts
US7200897B2 (en) Holder for eyeglasses
US3204650A (en) Umbrella
US5609175A (en) Handle and handle accessory for hand carried articles
US10631602B2 (en) Umbrella holder
US2085984A (en) Umbrella holder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US20170332771A1 (en) Cane holder
KR200470570Y1 (ko) 양우산 휴대구
GB2529986A (en) Backpack for mobile terminal user
US20090014485A1 (en) Carrier device having adjustable strap and the usage thereof
CN215189744U (zh) 可调节且可穿戴的装置
US20100243689A1 (en) Hands-free umbrella harness
US9408457B2 (en) Hands-free bag carrying device
US20130298952A1 (en) Umbrapack
CA3154950C (en) Umbrella case
US4821317A (en) Elastic telephone handset support
CN207285459U (zh) 一种适应性强的背伞装置
KR20100001919U (ko) 우산 또는 양산의 손잡이 구조
CN205866226U (zh) 一种能撑伞的背包
CN214759648U (zh) 一种具有快速更换背带的防火式休闲包
KR101302275B1 (ko) 가방용 램프
KR200411415Y1 (ko) 우산 착용구
CA2436994A1 (en) Clamp attachment for a cane
CN212787819U (zh) 一种带雨伞的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