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07Y1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07Y1
KR200468307Y1 KR2020130000615U KR20130000615U KR200468307Y1 KR 200468307 Y1 KR200468307 Y1 KR 200468307Y1 KR 2020130000615 U KR2020130000615 U KR 2020130000615U KR 20130000615 U KR20130000615 U KR 20130000615U KR 200468307 Y1 KR200468307 Y1 KR 200468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enter
spring
pulled out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현 filed Critical 정재현
Priority to KR202013000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가 연결된 휴대폰 안치대와 휴대폰 안치대와 연결설치되는 양각대의 양각 끝단에 보조양각을 설치하여, 휴대폰을 휴대폰 안치대에 거치한 다음 목걸이를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고 보조양각을 일정 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에 안정적으로 놓거나, 테이블과 같은 바닥에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로 세워놓는 등 휴대폰에서 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지지대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A NECKLACE TYPE CRADLE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목걸이가 연결된 휴대폰 안치대와 휴대폰 안치대와 연결설치되는 양각대의 양각 끝단에 보조양각을 설치하여, 휴대폰을 휴대폰 안치대에 거치한 다음 목걸이를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고 보조양각을 일정 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에 안정적으로 놓거나, 테이블과 같은 바닥에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로 세워놓는 등 휴대폰에서 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의 소형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전문적인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폰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핸드폰의 사용시 가장 많이 쓰는 손가락인 엄지에 극심한 통증과 염증의 관절질환이 발생하는 블랙베리증후군, 목뼈와 목 근육에 꾸준한 긴장과 스트레스로 생기는 일자목증후군과 거북목증후군, 손목이나 팔을 과도하게 사용해 생기는 손목터널증후군,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 근막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생기는 근막통증증후군 등과 같은 휴대폰증후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핸드폰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는 거치대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83310호에는 『정보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사람의 목에 지지되며 양단부에 연결링이 설치된 지지용 줄과; 상기 지지용 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줄과 장줄과; 상기 한쌍의 단줄의 끝단과 한쌍의 장줄의 끝단에 설치되는 신축용 지지봉과; 상기 신축용 지지봉의 일측에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된 지지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62244호에는 『플렉시블 바를 구비하되 플렉시블 바의 상측에 전후 휴대폰을 끼워 안치하는 안치 홈을 형상하고 안치 홈의 하향으로 레그를 일체로 형상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안치 홈 상단에 탄성 밴드를 결합하여 안치시킨 휴대폰을 탄력에 의해 자제시키는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의 레그에 목걸이 끈을 연결하여 휴대폰을 목에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54704호에는 『본체 또는 덮개의 일부분에 목걸이의 양쪽 끝부분이 각각 고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일부에 결합 고정되는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복수의 지지점을 갖도록 갈라져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접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서리로부터 지지대 반대쪽으로 돌출하는 벽부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973호에는 『영상기기 받침대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로 구성된 고정판이 있고, 힌지연결부는 상기한 고정판의 한쪽에 배치되며, 힌지블록은 상기한 힌지연결부에 조립되고, 지지대는 상기한 힌지블록에 조립되며, 목줄은 상기한 조립품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받침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흔들리는 버스 안에서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양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로 놓고 휴대폰을 조작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휴대폰을 휴대폰 거치대에 결합된 상태로 테이블에 세워 놓거나, 휴대폰을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 등의 위치에 받쳐놓는 등 어떠한 장소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걸이가 연결된 휴대폰 안치대와 휴대폰 안치대와 연결설치되는 양각대의 양각 끝단에 보조양각을 설치하여, 휴대폰을 휴대폰 안치대에 거치한 다음 목걸이를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고 보조양각을 일정 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에 안정적으로 놓거나, 테이블과 같은 바닥에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로 세워놓는 등 휴대폰에서 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지지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휴대폰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휴대폰 안치대; 체결수단에 의해 휴대폰 안치대와 결합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각도로 벌어지며 안테나 식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하나로 접을 수 있는 2개의 다리인 양각과,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양각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몸에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세우거나 바닥에 밀착되도록 일자로 벌려 바닥에 세울 수 있는 보조양각으로 이루어지는 양각대; 양쪽 끝단이 휴대폰 안치대에 연결되어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폰 안치대와 양각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보조양각은 상단이 양각 끝단과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게 구성되며, 양각의 하단 사이에는 안테나 식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결대의 양단을 연결설치하여 양각 사이가 연결대에서 의해 고정되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보조양각을 일정 각도로 벌려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폰 안치대는 중앙부위 상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상부의 중앙부위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의 좌, 우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파형의 가이드요철부가 형성되며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는 연결부위의 좌, 우면 중 가이드요철부에 대응하는 일단에는 가이드요철부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돌기가 설치되어, 끝단을 당겨 휴대폰의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상부연장대; 중앙부위 하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부연장대와 대향 설치되는 구조로서, 하부의 중앙부위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의 좌, 우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파형의 가이드요철부가 형성되며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는 연결부위의 좌, 우면 중 가이드요철부에 대응하는 일단에는 가이드요철부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돌기가 설치되어, 휴대폰의 하단이 걸쳐지는 끝단에 형성된 단턱을 당겨 휴대폰의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단턱은 중앙과 좌우 양측에 충전케이블과 이어폰을 결합할 수 있는 충전구멍과 이어폰 홈이 구비되도록 “
Figure 112013031670308-utm00001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면서 이 단턱에는 목걸이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와 체결수단에 의해 양각대의 헤드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구비되는 하부연장대; 중앙부위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부위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휴대폰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휴대폰의 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며, 물림턱에는 목걸이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와 체결수단에 의해 양각대의 헤드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구비되는 좌측물림대; 중앙부위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부위와 연결되도록 좌측물림대와 대향 설치되는 구조로서,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휴대폰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휴대폰의 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며, 물림턱에는 목걸이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와 체결수단에 의해 양각대의 헤드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구비되는 우측물림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 나사공에는 휴대폰 안치대의 배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구성되면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후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좌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좌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우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우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상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 상측면을 감싸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곽커버 또는, 휴대폰 안치대의 배면 중앙에 설치할 수 있도록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연결대; 중앙연결대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좌측인출대; 좌측인출대와 대향하여 중앙연결대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우측인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물림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 나사공에는 휴대폰 안치대의 배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구성되면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후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좌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좌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우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우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상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 상측면을 감싸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곽커버가 결합되며 이 외각커버의 배면에는, 외곽커버의 후판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연결대; 중앙연결대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좌측인출대; 좌측인출대와 대향하여 중앙연결대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우측인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물림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의하면, 목걸이가 연결된 휴대폰 안치대와 휴대폰 안치대와 연결설치되는 양각대의 양각 끝단에 보조양각을 설치하여, 휴대폰을 휴대폰 안치대에 거치한 다음 목걸이를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고 보조양각을 일정 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에 안정적으로 놓거나, 테이블과 같은 바닥에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로 세워놓는 등 휴대폰에서 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외곽커버로 휴대폰 안치대에 거치되는 휴대폰 외곽을 감싸 휴대폰의 동영상 등을 시청시 주변 사람들이 볼 수 없게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야간의 어두운 버스 안에서 휴대폰을 볼 때 휴대폰 불빛이 세어나가는 것을 막아 다른 승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며, 실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에도 휴대폰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보조물림대를 휴대폰 안치대 배면 또는 휴대폰 안치대에 설치되는 외곽커버 배면에 설치하여 보조배터리 팩 등과 같은 물림대상물을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사용용도에 따라 동영상 시청시에는 휴대폰을 가로로 거치하고 전자책이나 인터넷 검색시에는 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하는 등 간단한 조작에 의해 휴대폰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안치대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안치대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각대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양각의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외곽커버의 접힘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외곽커버의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물림대의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물림대의 정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휴대폰(300)이 거치되는 휴대폰 안치대(10)와, 상부에 휴대폰 안치대(10)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2개의 다리인 양각(22)으로 이루어지는 양각대(20)와, 양단을 휴대폰 안치대(10)에 연결하여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폰 안치대(10)와 양각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3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휴대폰 안치대(10)는 도 2, 3과 같이 휴대폰(300) 배면이 밀착하여 안치됨과 동시에 휴대폰(300)의 상하좌우 면을 견고하게 잡아주어 휴대폰(30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폰 안치대(10)는 휴대폰 안치대(10)의 중앙부위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연장대(11)와, 이에 대향하여 중앙부위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연장대(12)와, 중앙부위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물림대(13)와, 이에 대향하여 중앙부위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물림대(14)의 십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부연장대(11)는, 휴대폰 안치대(10) 중앙부위의 상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 연결되는 연결부위(111)가 중앙부위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중앙부위의 상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12)의 좌, 우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파형의 가이드요철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연장대(11)의 연결부위(111)는 휴대폰 안치대(10) 중앙부위 상부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공(112)에 대응 결합되어 결합공(112)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요철부(113)에 대응하는 상부연장대(11)의 연결부위(111) 일단에는 가이드요철부(113)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돌기(115)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연장대(11)의 끝단에는 휴대폰(300) 상단을 잡아주는 단턱(116)이 형성되고 이 단턱(116)에는 목걸이(3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연결할 수 있는 고리(117)가 구비된다.
따라서, 휴대폰(300)의 높이에 맞추어 상부연장대(11)의 길이를 연장하고 싶을 경우 단턱(116)을 잡고 휴대폰(300) 상단 높이에 맞추어 상부연장대(11)를 당기면 탄성돌기(115)가 가이드요철부(11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연장대(11)의 연결부위(111)가 중앙부위로부터 상 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상부연장대(11)의 길이가 연장된다. 휴대폰(300) 상단 높이에 맞춘 다음 손을 놓으면 탄성돌기(115)가 가이드요철부(113) 사이의 골에 위치되어 상부연장대(11)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도면상에 상부연장대(11) 상단에 단턱(116)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연장대(11)는 단턱(116)이 없는 연결부위(111)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이어폰 연결단자나 충전, 전원 버튼 등이 휴대폰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턱(116)이 있을 경우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턱(116)을 제거한 연결부위(111)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부연장대(12)는, 상부연장대(11)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안치대(10) 중앙부위의 하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 연결되는 연결부위(111)가 중앙부위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부연장대(1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조로서, 중앙부위의 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12)의 좌, 우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파형의 가이드요철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연장대(12)의 연결부위(111)는 도 3, 4와 같이 중앙부위 하부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공(112)에 대응 결합되어 결합공(112)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요철부(113)에 대응하는 하부연장대(12)의 연결부위(111) 일단에는 가이드요철부(113)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돌기(115)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연장대(12)의 끝단에는 휴대폰(300) 하단이 걸쳐지는 단턱(116)이 형성되고 이 단턱(116)에는 목걸이(3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연결할 수 있는 고리(117)와 나사공(118)이 구비된다. 하부연장대(12)의 나사공(118)은 양각대(20)의 헤드부(21)에 마련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대응하여 체결된다.
한편, 하부연장대(12)의 단턱(116)은 중앙과 좌, 우 양측에 충전케이블과 이어폰을 결합할 수 있는 충전구멍(1161)과 이어폰 홈(1162)이 구비되도록 "
Figure 112013006949949-utm00002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하부연장대(12)의 단턱(116)에 충전구멍(1161)이 구비된 경우 전원단자가 하단에 마련된 휴대폰에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연장대(12)과 상부연장대(11)의 단턱(116)을 충전구멍(1161)이 구비되도록 "
Figure 112013006949949-utm00003
"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전원단자가 상단에 마련된 휴대폰은 물론 전원단자가 하단에 마련된 휴대폰에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폰(300)의 높이에 맞추어 하부연장대(12)의 길이를 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싶을 경우 단턱(116)을 잡고 휴대폰(300) 하단 높이에 맞추어 하부연장대(12)를 당기면 탄성돌기(115)가 가이드요철부(113)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연장대(12)의 연결부위(111)가 중앙부위로부터 하 방향으로 인출되면서 하부연장대(12)의 길이가 연장된다. 휴대폰(300) 하단 높이에 맞춘 다음 손을 놓으면 탄성돌기(115)가 가이드요철부(113) 사이의 골에 위치되어 하부연장대(12)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상부연장대(11)와 하부연장대(12)의 단턱(116) 끝단에는 휴대폰을 거치할 때 휴대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 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물림대(13)는, 도 2, 3, 5와 같이 휴대폰 안치대(10) 중앙부위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111)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119)의 양단 중 한쪽 끝단은 연결부위(111)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중앙부위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좌측물림대(13)의 좌측 끝단에는 휴대폰(300) 측면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물림턱(120)이 형성되고, 이 물림턱(120)에는 목걸이(30)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117)와 나사공(118)이 형성된다. 이 나사공(118)은 양각대(20)의 헤드부(21)에 구비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대응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좌측물림대(13)에 휴대폰(300)을 고정하고 싶을 경우 물림턱(120)을 잡고 휴대폰(300) 폭에 맞추어 좌측물림대(13)를 당기면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111)가 스프링(119)을 당기면서 인출됨에 따라 좌측물림대(13)의 길이가 연장되고, 물림턱(120)을 놓으면 인장되었던 스프링(119)이 수축되고 연결부위(111)가 중앙부위 쪽으로 당겨지면서 물림턱(120)이 휴대폰(300)에 밀착되어 휴대폰(3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우측물림대(14)는, 좌측연장대(13)와 동일한 구조로 좌측연장대(13)에 대향하여 휴대폰 안치대(10) 중앙부위 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위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111)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119)의 양단 중 한쪽 끝단은 연결부위(111)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중앙부위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우측물림대(14)의 우측 끝단에는 휴대폰(300) 측면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물림턱(120)이 형성되고, 이 물림턱(120)에는 목걸이(30)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117)와 나사공(118)이 구비된다. 이 나사공(118)은 양각대(20)의 헤드부(21)에 구비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대응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우측물림대(14)에 휴대폰(300)을 고정하고 싶을 경우 물림턱(120)을 잡고 휴대폰(300) 폭에 맞추어 우측물림대(14)를 당기면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111)가 스프링(119)을 당기면서 인출됨에 따라 우측물림대(14)의 길이가 연장되고, 물림턱(120)을 놓으면 인장되었던 스프링(119)이 수축되고 중앙부위 쪽으로 연결부위(111)가 당겨지면서 물림턱(120)이 휴대폰(300)에 밀착되어 휴대폰(3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좌측물림대(13)와 우측물림대(14)의 물림턱(120) 끝단에는 휴대폰을 거치할 때 휴대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 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각대(20)는, 도 6과 같이 휴대폰 안치대(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헤드부(21)와, 헤드부(21)의 하부로 2개의 다리로 이루어지는 양각(22)과, 양각(22)의 끝단에 설치되는 보조양각(23)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1)는 회전이 자유로운 볼 헤드(BALL HEAD)로서 휴대폰 안치대(10)를 결합한 상태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헤드부(21)에는 상, 하부연장대(11, 12)의 단턱(116)과 좌, 우물림대(13, 14)의 물림턱(120)에 구비된 나사공(118)에 부합하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휴대폰 안치대(10)를 결합할 수 있다.
양각(22)은, 2개의 다리로서 헤드부(21) 저면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헤드부(21)의 저면과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좌, 우 양쪽의 다리가 일정각도로 벌어질 수 있으며, 안테나 식으로 다단으로 인출하여 길이를 연장하거나 1단으로 접을 수 있다.
한편,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목걸이(30)의 양단은 휴대폰 안치대(10)의 고리(117)에 연결되며, 도 1과 같이 목걸이(30) 일단과 양각대(20)의 양각(22) 끝단은 보조연결끈(500)을 연결하여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목걸이(30)를 걸었을 때 휴대폰 안치대(10)와 결합된 양각대(20)가 균형을 맞추어 휴대폰 사용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보조양각(23)은, 도 7과 같이 양각(22)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이가 일정각도로 벌어져 양각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조양각(23)은 2개의 다리로 이루어지며 이 다리의 상단이 힌지축(231)에 의해 양각(22) 끝단과 연결되어 힌지축(231)을 중심으로 양쪽 다리가 180도까지 벌어질 수 있다. 보조양각(23)은 환봉 형태보다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각대(20)와 결합된 휴대폰 안치대(10)에 목걸이(30)를 연결한 상태에서 양각(22)을 일정각도로 벌리고 양각(22) 끝단의 보조양각(23)을 일정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 등의 몸에 놓으면 보조양각(23)이 사람의 발과 같은 역할을 하여 양각대(20)를 휴대폰 사용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보조양각(23)이 없을 경우 양각(22)의 끝단이 휴대폰 사용자의 몸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고 미끄러질 수 있다.
보조양각(23)의 하단에는 고무 등과 같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의 커버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각대(20)는 구조상 다리가 2개이므로 테이블이나 바닥에 세우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보조양각(23)을 180도의 일자형태로 벌린 다음 양각대(20)를 세우면 보조양각(23)이 사람의 발과 같은 역할을 하여 테이블이나 바닥에 안정적으로 양각대(22)를 세울 수 있다.
이때, 양각대(20)를 테이블이나 바닥에 세울 경우 일정각도로 벌어진 양각(22) 사이의 하단에는 양각(22)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양각(22) 사이를 연결대(40)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40)는 안테나 식으로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므로 벌어진 양각(22)의 폭에 맞추어 연결대(40) 길이를 다단으로 연장한 다음 연결대(40)의 양단을 양각(22)에 각각 연결하여 양각(22)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연결대(40)를 양각(22) 하단에 결합하기 쉽도록 양각(22) 하단에 고리를 형성하고 연결대(40)의 양단에는 양각(22)에 설치된 고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훅이 형성된다.
한편, 휴대폰 안치대(10) 중앙에 나사공(118)을 형성하여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외곽커버(50) 또는 보조물림대(60)를 탈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곽커버(50)는 도 9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시 휴대폰 안치대(10)에서 분리하여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도 10과 같이 휴대폰 안치대(10)를 감쌀 수 있도록 펼친 다음 후판(51)에 형성된 나사공(118)을 휴대폰 안치대(1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8)과 일치시켜 체결수단으로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고정결합한다.
이러한 외곽커버(50)는 휴대폰의 동영상을 시청시 불빛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휴대폰 안치대(10)의 배면을 감싸는 후판(51)과, 휴대폰 안치대(10) 좌측을 감싸는 좌판(52)과, 휴대폰 안치대(10) 우측을 감싸는 우판(53)과, 휴대폰 안치대(10) 상부를 감싸는 상판(54)으로 구성된다.
즉, 후판(51)은 휴대폰 안치대(10)의 배면 전체를 감싸도록 사각형태 구성되면서 휴대폰 안치대(1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8)에 일치하는 나사공(118)이 중앙에 구비된다.
좌판(52)은, 사각 형태로 한쪽 절첩 모서리(55) 부위가 후판(51)의 좌측 모서리와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우판(53)은, 좌판(52)과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판(52)과 동일한 사각 형태이며 한쪽 절첩 모서리(55) 부위가 후판(51)의 우측 모서리와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판(54)은, 사각 형태로 한쪽 절첩 모서리(55) 부위가 후판(51)의 상부 모서리와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외곽커버(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후판(51)에 좌판(52)과 우판(53)과 상판(54)이 밀착되도록 좌판(52)과 우판(53)과 상판(54)을 후판(51)의 각 모서리와 연결된 절첩 모서리(55) 부위를 중심으로 접는다.
외곽커버(50)를 휴대폰 거치대(10)에 결합할 경우에는 후판(51)에 겹쳐지도록 접혀진 좌판(52)과 우판(53)과 상판(54)이 펼쳐지도록 좌판(52)과 우판(53)과 상판(54)을 후판(51)의 각 모서리와 연결된 절첩 모서리(55) 부위를 중심으로 펼친다. 그런 다음 휴대폰 안치대(10) 배면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8)과 후판(51)의 나사공(118)을 일치시켜 체결수단으로 결합한다. 물론 후판(51)의 안쪽 면이 휴대폰 안치대(10)의 배면을 향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외곽커버(50)는 휴대폰 안치대(10)에 휴대폰(300)을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폰 안치대(10) 외곽 즉, 휴대폰 안치대(10)에 거치되는 휴대폰(300) 외곽을 감싸 휴대폰의 동영상 등을 시청시 주변 사람들이 볼 수 없게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야간의 어두운 버스 안에서 휴대폰을 볼 때 휴대폰 불빛이 세어나가는 것을 막아 다른 승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며, 실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에도 휴대폰의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보조물림대(60)는, 도 10, 11과 같이 보조배터리 팩 등과 같은 물림대상물(400)을 잡아주는 것으로서 휴대폰 안치대(10)의 배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중앙연결대(61)와, 중앙연결대(61)의 좌측으로 인출되는 좌측인출대(62)와, 중앙연결대(61)의 우측으로 인출되는 우측인출대(63)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중앙연결대(61)는 휴대폰 안치대(10)의 배면 중앙에 설치할 수 있도록 휴대폰 안치대(1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8)에 일치하는 나사공(118)이 중앙에 구비된다.
좌측인출대(62)는, 중앙연결대(61)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61)와의 연결부위(111)가 중앙연결대(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119)에 의해 중앙연결대(61)와 연결되며, 끝단에 물림대상물(400)을 잡아주는 물림턱(120)이 마련된다. 좌측인출대(62)에 물림대상물(400)을 물리고자 할 경우 물림대상물(400)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120)을 물림대상물(400)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61)에 삽입된 연결부위(111)가 스프링(119)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120)을 놓으면 스프링(119)이 축소되고 연결부위(111)가 당겨지면서 물림턱(120)이 물림대상물(400)에 밀착되어 물림대상물(400)을 견고하게 잡아준다.
우측인출대(63)는, 좌측인출대(62)와 대향하여 중앙연결대(61)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61)와의 연결부위(111)가 중앙연결대(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119)에 의해 중앙연결대(61)와 연결되며 끝단에 물림대상물(400)을 잡아주는 물림턱(120)이 마련된다. 우측인출대(63)에 물림대상물(400)을 물리고자 할 경우 물림대상물(400)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120)을 물림대상물(400)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61)에 삽입된 연결부위(111)가 스프링(119)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120)을 놓으면 스프링(119)이 축소되고 연결부위(111)가 당겨지면서 물림턱(120)이 물림대상물(400)에 밀착되어 물림대상물(400)을 견고하게 잡아준다.
한편, 보조물림대(60)는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결합하거나,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외곽커버(50)를 먼저 결합한 다음 외곽커버(50) 배면에 결합한다.
외곽커버(50) 배면에 보조물림대(60)를 결합할 경우,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외곽커버(50)를 먼저 결합한다. 이때, 체결수단으로 사용하는 볼트는 도 9와 같이 볼트머리에 나사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곽커버(50)의 나사공(118)과, 휴대폰 안치대(10)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8)에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외곽커버(50)를 결합한다. 그런 다음 보조물림대(60)의 중앙연결대(61)에 형성된 나사공(118)과,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외곽커버(50)를 결합시 사용한 체결수단의 볼트머리에 형성된 나사공을 일치시켜 여기에 다른 볼트를 체결하여 외곽커버(50) 배면에 보조물림대(60)를 결합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목걸이(30)가 연결된 휴대폰 안치대(10)와 휴대폰 안치대(10)와 연결설치되는 양각대(20)의 양각(22) 끝단에 보조양각(23)을 설치하여, 휴대폰(300)을 휴대폰 안치대(10)에 거치한 다음 목걸이(30)를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고 보조양각(23)을 일정 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에 안정적으로 놓거나, 테이블과 같은 바닥에 휴대폰(300)을 거치한 상태로 양각대(10)를 세워 놓는 등 휴대폰에서 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3과 같이 휴대폰 안치대(10)에 휴대폰(300)을 안치한다. 휴대폰 안치대(10)에 휴대폰을 안치시 먼저 좌측물림대(13)와 우측물림대(14)를 휴대폰(300)의 폭에 맞추어 연장한 다음 좌측물림대(13)와 우측물림대(14)의 물림턱(120)을 휴대폰(300) 좌, 우측에 밀착함과 동시에 상부연장대(11)와 하부연장대(12)의 길이를 늘려 상부연장대(11)와 하부연장대(12)의 단턱(116)이 휴대폰(300) 상, 하단에 밀착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좌측물림대(13)의 물림턱(120)을 당기면 휴대폰 안치대(10)의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111)가 스프링(119)을 당기면서 인출됨에 따라 좌측물림대(13)의 길이가 연장되고, 물림턱(120)을 놓으면 물림턱(120)이 휴대폰(300) 좌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우측물림대(14)의 물림턱(120)을 당기면 휴대폰 안치대(10)의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111)가 스프링(119)을 당기면서 인출됨에 따라 우측물림대(14)의 길이가 연장되고 물림턱(120)을 놓으면 물림턱(120)이 휴대폰(300) 우측면에 밀착되어 휴대폰(300)의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연장대(11)의 단턱(116)을 잡고 상향으로 당기면 탄성돌기(115)가 가이드요철부(113)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연장대(11)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하부연장대(12) 역시 단턱(116)을 잡고 하향으로 당기면 탄성돌기(115)가 가이드요철부(113)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하부연장대(12)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상부연장대(11)와 하부연장대(12)의 단턱(116)은 휴대폰(30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한다.
하부연장대(12)의 단턱(116)은 충전구멍(1161)과 이어폰 홈(1162)이 구비된 "
Figure 112013006949949-utm00004
"와 같은 형태로 휴대폰 안치대(10)에 휴대폰(300)을 거치한 상태에서 단턱(116)의 충전구멍(1161)을 통해 휴대폰(300)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단턱(116)의 이어폰 홈(1162)을 통해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폰 안치대(10)의 하부연장대(12)에 형성된 단턱(116)의 나사공(118)과, 좌측물림대(13)의 물림턱(120)에 형성된 나사공(118)과, 우측물림대(14)의 물림턱(120)에 형성된 나사공(118) 중 어느 하나의 나사공(118)을 도 6과 같이 양각대(20) 헤드부(21)에 구비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체결하여 양각대(20) 헤드부(21)에 휴대폰 안치대(10)를 결합한다.
그리고 목걸이(30)의 양단을 휴대폰 안치대(10)의 상부연장대(11)에 형성된 단턱(116)의 고리(117)와 하부연장대(12)에 형성된 단턱(116)의 고리(117)에 연결하거나, 휴대폰 안치대(10)의 좌측물림대(13)에 형성된 물림턱(120)의 고리(117)와 우측물림대(14)에 형성된 물림턱(120)의 고리(117)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도 12와 같이 목걸이(30)를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고 양각대(20)의 양각(22) 끝단을 잡고 하향으로 당겨 양각(22)의 길이를 조절하고 양각(22) 사이를 벌려 각도를 조절한다. 양각(22)은 안테나 식 구조로서 양각(22) 끝단을 당기면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다리들이 복수의 단으로 인출되면서 길이가 연장되며, 양각(22)의 상단은 힌지축에 의해 헤드부(21)와 연결되어 있어 양각(22) 사이를 일정 각도로 벌릴 수 있다.
양각(22)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한 다음 양각(22) 끝단의 보조양각(23) 사이를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에 놓는다. 보조양각(23)은 사람의 발과 같은 역할을 하여 양각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목걸이(30)와 보조양각(23)에 의해 휴대폰 사용자에 몸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손을 완전히 땐 상태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양각대(20)를 테이블이나 바닥에 세워놓고 싶을 경우에는, 도 6, 7과 같이 보조양각(23) 사이를 일자형태의 180도로 벌려 바닥에 놓으면 보조양각(23)이 사람의 발과 같이 양각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양각대(20)를 잡고 있지 않더라고 양각대(20)를 세울 수 있다. 이때, 일정 각도로 벌어진 양각(22)이 움직이지 않도록 양각(22) 하단 사이를 연결대(40)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40) 역시 안테나 식 구조로 벌어진 양각(22) 사이의 폭에 맞추어 길이를 연장한 다음 양단을 양쪽 다리에 연결한다.
또한, 도 8, 9와 같이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외곽커버(50)를 결합하여 휴대폰의 동영상 등을 시청시 주변 사람들이 볼 수 없게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야간의 어두운 버스 안에서 휴대폰을 볼 때 휴대폰 불빛이 세어나가는 것을 막아 다른 승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며, 실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에도 휴대폰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외곽커버(50)를 결합시 후판(51)에 접혀있던 좌판(52)과 우판(53)과 상판(54)을 후판(51)의 모서리와 연결된 절첩 모서리(55)를 중심으로 펼쳐 박스 형태로 만든 다음 후판(51)의 나사공(118)과 휴대폰 안치대(1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118)을 일치시켜 여기에 체결수단을 결합한다. 물론 후판(51) 안쪽 면이 휴대폰 안치대(10)의 배면을 향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도 10, 11과 같이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보조물림대(60)를 결합하여 보조물림대(60)에 보조배터리 팩을 물려두었다가 휴대폰 배터리가 소진되었을 경우 보조물림대(60)에 결합된 보조배터리 팩을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물림대(60)에 물림대상물(400)을 물리고 싶을 경우 좌측인출대(62)와 우측인출대(63)의 물림턱(120)을 물림대상물(400)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61)에 삽입된 연결부위(111)가 스프링(119)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120)을 놓으면 스프링(119)이 축소되면서 물림턱(120)이 물림대상물(400)에 밀착되어 물림대상물(400)을 견고하게 잡아준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양각(22) 끝단에 보조양각(23)이 설치되어 있어 목걸이(30)를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건 상태에서 양각대(20)를 휴대폰 사용자의 무릎, 배, 가슴 등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안치대(10)에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로 보조양각(23)을 일자형태로 벌려 양각대(20)를 테이블이나 바닥에 세울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외곽커버(50)를 설치하여 휴대폰의 동영상을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없게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휴대폰 불빛이 세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막아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에도 휴대폰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안치대(10) 배면에 보조물림대(60)를 결합하여 보조물림대(60)에 보조배터리 팩을 물려두었다가 휴대폰 배터리가 소진되었을 경우 보조물림대(60)에 결합된 보조배터리 팩을 휴대폰에 연결함으로써 휴대폰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사용용도에 따라 동영상 시청시에는 휴대폰을 가로로 거치하고 전자책이나 인터넷 검색시에는 휴대폰을 세로로 거치하는 등 간단한 조작에 의해 휴대폰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휴대폰 안치대 11:상부연장대 12:하부연장대
13:좌측물림대 14:우측물림대 20:양각대
21:헤드부 22:양각 23:보조양각
30:목걸이 40:연결대 50:외곽커버
51:후판 52:좌판 53:우판
54:상판 55:절첩 모서리 60:보조물림대
61:중앙연결대 62:좌측인출대 63:우측인출대
111:연결부위 112:결합공 113:가이드요철부
115:탄성돌기 116:단턱 117:고리
118:나사공 119:스프링 120:물림턱
231:힌지축 300:휴대폰 400:물림대상물
500:보조연결끈 1161:충전구멍 1162:이어폰 홈

Claims (5)

  1. 휴대폰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휴대폰 안치대; 체결수단에 의해 휴대폰 안치대와 결합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각도로 벌어지며 안테나 식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하나로 접을 수 있는 2개의 다리인 양각과,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양각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각도로 벌려 휴대폰 사용자의 몸에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세우거나 바닥에 밀착되도록 일자로 벌려 바닥에 세울 수 있는 보조양각으로 이루어지는 양각대; 양쪽 끝단이 휴대폰 안치대에 연결되어 휴대폰 사용자의 목에 걸어 휴대폰 안치대와 양각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휴대폰 안치대는,
    중앙부위 상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서, 상부의 중앙부위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의 좌, 우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파형의 가이드요철부가 형성되며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는 연결부위의 좌, 우면 중 가이드요철부에 대응하는 일단에는 가이드요철부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돌기가 설치되어, 끝단을 당겨 휴대폰의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상부연장대; 중앙부위 하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부연장대와 대향 설치되는 구조로서, 하부의 중앙부위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의 좌, 우면 중 어느 한쪽 면에는 파형의 가이드요철부가 형성되며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는 연결부위의 좌, 우면 중 가이드요철부에 대응하는 일단에는 가이드요철부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돌기가 설치되어, 휴대폰의 하단이 걸쳐지는 끝단에 형성된 단턱을 당겨 휴대폰의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단턱은 중앙과 좌우 양측에 충전케이블과 이어폰을 결합할 수 있는 충전구멍과 이어폰 홈이 구비되도록 “
    Figure 112013031670308-utm00018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면서 이 단턱에는 목걸이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와 체결수단에 의해 양각대의 헤드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구비되는 하부연장대; 중앙부위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부위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휴대폰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휴대폰의 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며, 물림턱에는 목걸이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와 체결수단에 의해 양각대의 헤드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구비되는 좌측물림대; 중앙부위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부위와의 연결부위가 중앙부위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부위와 연결되도록 좌측물림대와 대향 설치되는 구조로서,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휴대폰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부위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휴대폰의 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며, 물림턱에는 목걸이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을 걸 수 있는 고리와 체결수단에 의해 양각대의 헤드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구비되는 우측물림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조양각은 상단이 양각 끝단과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게 구성되며, 양각의 하단 사이에는 안테나 식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결대의 양단을 연결설치하여 양각 사이가 연결대에서 의해 고정되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보조양각을 일정 각도로 벌려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 나사공에는,
    휴대폰 안치대의 배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구성되면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후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좌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좌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우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우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상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 상측면을 감싸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곽커버 또는,
    휴대폰 안치대의 배면 중앙에 설치할 수 있도록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연결대; 중앙연결대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좌측인출대; 좌측인출대와 대향하여 중앙연결대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우측인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물림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 나사공에는,
    휴대폰 안치대의 배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사각형태로 구성되면서 휴대폰 안치대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후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좌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좌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우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측면을 감싸는 우판; 절첩 모서리 부위가 후판의 상측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 전에는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에 밀착되며 사용시 절첩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펼쳐져 휴대폰 안치대의 외곽 상측면을 감싸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곽커버가 결합되며 이 외각커버의 배면에는,
    외곽커버의 후판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일치하는 나사공이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연결대; 중앙연결대 좌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좌측인출대; 좌측인출대와 대향하여 중앙연결대 우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중앙연결대와의 연결부위가 중앙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의해 중앙연결대와 연결되는 구조로서, 물림대상물을 잡아주는 끝단에 형성된 물림턱을 물림대상물의 폭에 부합하도록 당기면 중앙연결대에 삽입된 연결부위가 스프링을 당기면서 인출되고, 물림턱을 놓으면 스프링이 축소되면서 물림턱이 물림대상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우측인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물림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2020130000615U 2013-01-24 2013-01-24 휴대폰 거치대 KR200468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15U KR200468307Y1 (ko) 2013-01-24 2013-01-24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15U KR200468307Y1 (ko) 2013-01-24 2013-01-24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07Y1 true KR200468307Y1 (ko) 2013-08-06

Family

ID=5139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15U KR200468307Y1 (ko) 2013-01-24 2013-01-24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662Y1 (ko) * 2016-08-24 2017-10-16 김형오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95A (ko) * 2008-08-12 2010-02-22 김국원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101148150B1 (ko) * 2009-11-19 2012-05-23 팅크웨어(주)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95A (ko) * 2008-08-12 2010-02-22 김국원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101148150B1 (ko) * 2009-11-19 2012-05-23 팅크웨어(주)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662Y1 (ko) * 2016-08-24 2017-10-16 김형오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253098U (zh) 一种手持稳定器
US9125475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US930661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10281083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holder
US20090060473A1 (en) Portable Video Media Device Holder
US9103491B2 (en) Electronic product carrier adapted to be hung on a neck
KR200468795Y1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0468307Y1 (ko) 휴대폰 거치대
KR101498922B1 (ko)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CN204191860U (zh) 便携式遮阳挡雨背包
CN207518657U (zh) 一种手机支架
CN205377390U (zh) 带支架可悬挂的手机充电装置
KR102347934B1 (ko) 다용도 목걸이형 스마트폰 거치대
US20080278113A1 (en) Structure for Linking Battery Charger And Storage Unit
KR101308042B1 (ko) 레저용 스틱
CN206201811U (zh) 一种易安装的画架子
CN219643951U (zh) 多功能手机支架
CN209932085U (zh) 一种具有支架及充电功能的座椅
WO2014014168A1 (ko) 스마트폰 받침대
CN210088522U (zh) 一种多功能手电照明灯
CN214900959U (zh) 具有防止线路缠绕的直播支撑装置
CN203554027U (zh) 手机充电挂架
GB2516492A (en) A Secure Flexible Portable Accessory Holder
CN217851767U (zh) 一种吊床支架
CN210803949U (zh) 一种便携式投影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