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22B1 -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922B1
KR101498922B1 KR1020130075824A KR20130075824A KR101498922B1 KR 101498922 B1 KR101498922 B1 KR 101498922B1 KR 1020130075824 A KR1020130075824 A KR 1020130075824A KR 20130075824 A KR20130075824 A KR 20130075824A KR 101498922 B1 KR101498922 B1 KR 10149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mart device
pedestal
guide groov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969A (ko
Inventor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현 filed Critical 정재현
Priority to KR1020130075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9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안치부를 마련하여 휴대폰은 물론 각종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 등의 스마트기기를 안치한 다음 상부에 구비된 걸이를 걸이대상물에 걸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기기의 정보를 보거나 스마트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부위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A hook type cradle for smart devices}
본 발명은 하부에 안치부를 마련하여 휴대폰은 물론 각종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 등의 스마트기기를 안치한 다음 상부에 구비된 걸이를 걸이대상물에 걸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기기의 정보를 보거나 스마트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부위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휴대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전문적인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스마트기기의 사용시 가장 많이 쓰는 손가락인 엄지에 극심한 통증과 염증의 관절질환이 발생하는 블랙베리증후군, 목뼈와 목 근육에 꾸준한 긴장과 스트레스로 생기는 일자목증후군과 거북목증후군, 손목이나 팔을 과도하게 사용해 생기는 손목터널증후군,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 근막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생기는 근막통증증후군 등과 같은 휴대폰증후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는 거치대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83310호에는 『정보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사람의 목에 지지되며 양단부에 연결링이 설치된 지지용 줄과; 상기 지지용 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줄과 장줄과; 상기 한쌍의 단줄의 끝단과 한쌍의 장줄의 끝단에 설치되는 신축용 지지봉과; 상기 신축용 지지봉의 일측에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된 지지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62244호에는 『플렉시블 바를 구비하되 플렉시블 바의 상측에 전후 휴대폰을 끼워 안치하는 안치 홈을 형상하고 안치 홈의 하향으로 레그를 일체로 형상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안치 홈 상단에 탄성 밴드를 결합하여 안치시킨 휴대폰을 탄력에 의해 자제시키는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의 레그에 목걸이 끈을 연결하여 휴대폰을 목에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54704호에는 『본체 또는 덮개의 일부분에 목걸이의 양쪽 끝 부분이 각각 고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일부에 결합 고정되는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복수의 지지점을 갖도록 갈라져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접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서리로부터 지지대 반대쪽으로 돌출하는 벽부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973호에는 『영상기기 받침대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로 구성된 고정판이 있고, 힌지연결부는 상기한 고정판의 한쪽에 배치되며, 힌지블록은 상기한 힌지연결부에 조립되고, 지지대는 상기한 힌지블록에 조립되며, 목줄은 상기한 조립품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받침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스마트기기에서 양손을 완전히 놓은 상태로 스마트기기를 일정대상물에 걸어 놓고 사용하거나, 스마트기기를 거치대에 안치한 상태로 테이블과 같은 장소에 세워 놓는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거치대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안치부를 마련하여 휴대폰은 물론 각종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 등의 스마트기기를 안치한 다음 상부에 구비된 걸이를 걸이대상물에 걸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기기의 정보를 보거나 스마트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부위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좌측에 설치되는 지주와, 한쪽 끝단이 지주의 하단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면서 스마트기기의 모서리부위가 걸쳐지는 안치부로 이루어지는 좌측지지대; 좌측지지대와 동일한 구조로 좌측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좌측지지대에 대향하여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지지대;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우측지지대의 안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길이 연장이 가능하여 스마트기기의 폭에 맞게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장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지주 상부 일단에는 전후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수단에 의해 상단을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지주와 일치하도록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사용시에는 지주와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시켜 설치장소에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주 최상단에는 걸이대상물에 걸 수 있는 고리형태의 걸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이는 굽힘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대는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주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나비볼트로서 나비볼트를 조여 받침대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나비볼트를 풀어 받침대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지주와 안치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지주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결합공이 구비되는 고리부와, 안치부 한쪽 끝단 전방에 위치하는 너트와, 결합공과 안치부 상단을 통과하여 너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장수단은 한쪽 끝단이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연장대가 끼워지며 일면 중앙에는 내부와 연통되면서 다른 쪽 끝단에서부터 한쪽 끝단과 간격을 둔 구간까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가이드 홈의 상부 면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되는 고정대; 한쪽 끝단이 우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이 고정대 내부에 끼움 결합되며, 일면 중앙에 가이드 홈에 대응결합되는 돌출면이 형성되고, 돌출면 상면에 요철부에 대응하는 탄성돌기가 구비되어, 스마트기기의 폭에 맞게 안쪽으로 밀면 탄성돌기가 요철부를 따라 가이드 홈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길이가 짧아지고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탄성돌기가 요철부를 따라 가이드 홈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길이가 길어지는 연장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장수단은 한쪽 끝단이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연장대가 끼워지며 일면 중앙에 내부와 연통되면서 다른 쪽 끝단에서부터 한쪽 끝단과 간격을 둔 구간까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고정대; 한쪽 끝단이 우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고정대의 내부에 끼워져 이동가능한 연장대; 머리부위가 가이드 홈에 위치하고 나사부위는 고정대 내부에 삽입된 연장대 일측 끝단에 체결되어 머리부위를 회전시켜 나사를 조이면 연장대가 가압되어 고정상태가 되고, 머리부위를 회전시켜 나사를 풀어주면 연장대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연장대가 고정대 내부로부터 자유로이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측지지대의 안치부는 스마트기기의 한쪽 모서리 저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와, 수직부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스마트기기의 한쪽 모서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부의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인 모양이 “┓”와 같으며,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우측지지대의 안치부는 스마트기기의 다른 쪽 모서리 저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와, 수직부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스마트기기의 다른 쪽 모서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부의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인 모양이 “┏”와 같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하부에 안치부를 마련하여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 등의 스마트기기를 안치한 다음 상부에 구비된 걸이를 걸이대상물에 걸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기기의 정보를 보거나 스마트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부위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위의 절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안치대의 연결부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수단의 배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3과 같이 휴대전화,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70)를 안치할 수 있도록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지지대(10)와, 좌측지지대(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좌측지지대(10)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우측지지대(20)로 구성된다.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는 구성이 같고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만 다르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좌측지지대(10) 한쪽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좌측지지대(10)는, 지주(31)와 지주(31) 상단에 연장형성되는 걸이(32)와 지주(31) 하단에 연결설치되는 안치부(33)로 구성된다.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와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연장수단(40)이 설치되며,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 상부 일단에는 받침대(50)가 설치된다.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는, 좌측에 설치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지름이 2mm 내지 10mm의 와이어 형태이다.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 최상단에는 걸이대상물에 편리하게 걸 수 있도록 걸이(32)가 구비된다. 걸이(32)의 모양은 훅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대상물은, 고속버스 좌석 배면에 설치된 손잡이, 고속버스 좌석 배면에 설치된 원형 컵 걸이, 일반의자의 등받이 상단 면 등 걸이(32)를 걸 수 있는 부위를 가진 모든 대상물을 의미한다. 이때, 걸이(32)는 지주(31)와 일체형이거나 지주(31)에 나사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걸이(32)는 굽힘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바 형태이거나, 쉽게 굽혀지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걸이(32) 바로 아래에는 연결수단에 의해 지주(31) 상부 일단에 연결설치되는 받침대(50)가 구비된다. 받침대(50)는 일체형 구조이거나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일 수 있다.
좌측지지대(10)에 설치되는 받침대(50)는, 펴서 평판과 같은 설치장소에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50)는 연결수단에 의해 지주(31) 상부 안쪽 측면 일단에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지주(31)와 받침대(5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나비볼트(80)이다. 나비볼트(WING BOLT)는 머리부분이 나비 모양으로 형성된 볼트로서 도구 없이도 나비 모양의 머리를 잡고 회전하면 나비볼트를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즉,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설치장소에 안정적으로 세우고 싶을 경우 나비볼트(80)를 느슨하게 푼 다음 받침대(50)를 원하는 각도로 벌린 상태에서 다시 나비볼트(80)를 조여주면 받침대(50)와 지주(31)의 연결부위가 밀착되면서 받침대(5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이루어져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설치장소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는, 스마트기기(70)의 한쪽 모서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치부(33)의 한쪽 끝단은 연결수단에 의해 지주(31)의 하단과 연결설치된다. 이러한 안치부(33)는 스마트기기(70)의 모서리 저면을 지지하는 수직부(331)와, 수직부(331)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스마트기기(70)의 한쪽 모서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정면에서 볼 때 수직부(331)와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부(331)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3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는 정면에 볼 때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이와 대향 설치되는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는 정면에서 볼 때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와 안치부(33)의 연결수단은, 지주(31) 하단을 원형으로 절곡하여 중앙에 결합공(92)이 구비되는 고리부(91)와, 안치부(33) 한쪽 끝단의 전방에 설치되는 너트(93)와, 결합공(92)과 안치부(33) 한쪽 끝단을 통과하여 너트(93)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비볼트(94)로 구성된다.
따라서, 좌측지지대(10)를 접어서 보관하고 싶을 경우 나비볼트(94)를 느슨하게 푼 다음 지주(31)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지주(31)를 고정대(41)와 나란해 지도록 접으면 좌측지지대(10)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하기 좋은 상태가 된다.
다시 정리하면,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와 받침대(5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받침대(50)를 전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주(31)의 상부 안쪽 측면 일단에 설치되고,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와 안치부(3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지주(31)를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치부(33) 한쪽 끝단에 설치된다.
연장수단(40)은,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와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를 연결하면서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수단(40)은, 크게 좌측지지대(10) 쪽에 설치되는 고정대(41)와, 우측지지대(20) 쪽에 설치되는 연장대(4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대(41)는, 한쪽 끝단이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 안쪽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연장대(42)가 끼워지며 일면 중앙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홈(411)이 고정대(41) 일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홈(411)은 고정대(41)의 다른 쪽 선단에서부터 시작하여 고정대(41) 한쪽 끝단과 일정간격을 둔 구간까지 수평으로 형성된다.
연장대(42)는, 한쪽 끝단이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고정대(41) 내부에 끼움 결합된다. 도 4와 같이 연장대(42)의 일면 중앙에는 가이드 홈(411)에 대응결합되는 돌출면(421)이 형성된다. 이 돌출면(421) 상면 일단에는 요철부(412)에 대응하는 탄성돌기(422)가 구비된다. 탄성돌기(422)는 요철부(412)를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탄성의 삼각 형태이며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마트기기(70)의 폭에 맞게 연장대(42)를 좌측지지대(10) 쪽으로 밀면 탄성돌기(422)가 요철부(412)를 따라 가이드 홈(411)의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연장대(42)가 고정대(41)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반대로, 스마트기기(70)의 폭에 맞게 연장대(42)를 우측지지대(20) 쪽으로 당기면 탄성돌기(422)가 요철부(412)를 따라 가이드 홈(411)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연장대(42)가 고정대(41) 외측으로 나오기 때문에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수단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수단(40)은 좌측지지대(10) 쪽에 설치되는 고정대(41)와, 우측지지대(20) 쪽에 설치되는 연장대(4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대(41)는, 한쪽 끝단이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와 연결된다. 고정대(41) 내부에는 고정대(41)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한 연장대(42)가 끼워진다. 고정대(41)의 일면 중앙에는 내부와 연통되면서 다른 쪽 끝단에서부터 한쪽 끝단과 간격을 둔 구간까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411)이 형성된다.
고정대(41)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연장대(42)는, 한쪽 끝단이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고정대(41)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한 상태로 고정대(41)의 내부에 끼움결합된다. 고정대(41)에 삽입되는 연장대(42)의 끝단 부위에는 고정볼트(4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볼트(43)는, 고정대(41)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대(42)의 일측 끝단에 체결된다. 이에 고정볼트(43)를 풀어주면 연장대(42)가 느슨해져 연장대(42)를 고정대(41) 내부로부터 자유로이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고정볼트(43)를 조이면 연장대(42)가 고정대(41)에 밀착 가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전화, 스마트 탭, 스마트 노트 등의 스마트기기(70)를 안치한 다음 걸이(32)를 걸이대상물에 걸어 사용자가 스마트기기(70)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휴대폰의 정보를 보거나 스마트기기(7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부위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기기(70)를 안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걸이대상물에 거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3과 같이 스마트기기(70)의 폭에 맞추어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싶을 경우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를 양손으로 잡고 우측지지대(20)를 좌측지지대(10) 쪽으로 밀면 연장수단(40)의 연장대(42)가 고정대(41) 내부로 밀리면서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의 간격이 좁혀지고 이에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와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 사이에 간격이 좁혀진다.
이와 같이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와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 사이에 간격을 스마트기기(70)의 폭에 맞춘 다음 스마트기기(70)의 한쪽 모서리는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에 안치하고 다른 쪽 모서리는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에 안치하여 스마트기기(70)를 결합한다.
스마트기기(70)의 결합을 완료한 다음 좌측지지대(10)의 걸이(32)와 우측지지대(20)의 걸이(32)를 고속버스 좌석 배면에 설치된 손잡이, 고속버스 좌석 배면에 설치된 컵 거치대, 일반 의자의 등받이 상면 등의 걸이대상물에 끼워지도록 건다.
이와 같이 스마트기기(70)를 걸이대상물에 건 상태에서 스마트기기(70)를 조작하여 정보를 볼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스마트기기(70)를 계속 들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편안한 자세로 스마트기기(7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잘못된 자세로 스마트기기(70)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여러 가지 스마트기기 증후군 등과 같은 질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받침대(50)는, 좌석버스 손잡이 등에 걸어 사용할 경우 각도 조절 후 좌석 배면에 대어 스마트기기(70)의 시청각도를 조절할 할 수 있고, 흔들리는 버스에서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50)는 좌석버스 손잡이에 걸어 사용시 본 발명이 그네처럼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버스가 코너를 돌 때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므로 스마트기기(70)의 안정적인 시청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을 의자나 선반 문고리 등에 거치할 때는 받침대(50)를 분리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접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다음 스마트기기(70)를 안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테이블과 같은 장소에 세우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와 우측지지대(20)의 지주(31)에 받침대(50)를 결합한다. 즉, 받침대(50)와 지주(31)의 연결부위에 나비볼트(80)를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을 설치장소에 놓고 나비볼트(80)를 풀어 느슨하게 한 다음 본 발명을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받침대(5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지주(31)와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하여 본 발명이 안정적으로 세워지면 나비볼트(80)를 조여 받침대(50)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기기(70)의 폭에 부합하도록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스마트기기(70)의 좌우 하단 모서리를 좌측지지대(10)의 안치부(33)와 우측지지대(20)의 안치부(33)에 안치한다.
이와 같이 테이블과 같은 설치장소에 사용자가 스마트기기(70)를 보기 편한 각도로 세워놓고 스마트기기(70)를 조작할 수 있어 스마트기기(70)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예컨대, 강의실에서 강의를 들으면서 테이블에 세워진 스마트기기(70)로 강의 내용을 정리하거나 필요한 자료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부피로 절첩할 수 있어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즉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를 양손으로 잡고 반대방향을 당겨 고정대(41) 내부에 결합된 연장대(42)가 고정대(41)로부터 완전히 빠지도록 하여 좌측지지대(10)와 우측지지대(20)를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좌측지지대(10)의 지주(31)와 받침대(50)를 연결하는 나비볼트(80)를 느슨하게 푼 다음 받침대(50)를 지주(31)에 밀착되도록 접고, 지주(31)와 안치부(33)를 연결하는 나비볼트(94)를 느슨하게 푼 다음 지주(31)와 받침대(50)를 고정대(41)에 밀착되도록 접는다. 우측지지대(20)의 절첩방법 역시 좌측지지대(10)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받침대(50)와 지주(31)와 고정대(41)가 나란히 밀착되므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가방 등에 넣어 다닐 수 있는 등 휴대가 용이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좌측지지대 20:우측지지대 31:지주
32:걸이 33:안치부 40:연장수단
41:고정대 42:연장대 43:고정볼트
50:받침대 70:스마트기기 80:나비볼트
91:고리부 92:결합공 93:너트
94:나비볼트 331:수직부 332:수평부
411:가이드 홈 412:요철부 421:돌출면
422:탄성돌기

Claims (9)

  1. 좌측에 설치되는 지주와, 한쪽 끝단이 지주의 하단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면서 스마트기기의 모서리부위가 걸쳐지는 안치부로 이루어지는 좌측지지대와, 좌측지지대와 동일한 구조로 좌측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좌측지지대에 대향하여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지지대, 및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우측지지대의 안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길이 연장이 가능하여 스마트기기의 폭에 맞게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장수단을 구비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연장수단은,
    한쪽 끝단이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연장대가 끼워지며 일면 중앙에는 내부와 연통되면서 다른 쪽 끝단에서부터 한쪽 끝단과 간격을 둔 구간까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가이드 홈의 상부 면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되는 고정대와,
    한쪽 끝단이 우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이 고정대 내부에 끼움 결합되며, 일면 중앙에 가이드 홈에 대응결합되는 돌출면이 형성되고, 돌출면 상면에 요철부에 대응하는 탄성돌기가 구비되어, 스마트기기의 폭에 맞게 안쪽으로 밀면 탄성돌기가 요철부를 따라 가이드 홈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길이가 짧아지고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탄성돌기가 요철부를 따라 가이드 홈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길이가 길어지는 연장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주 상부 일단에는,
    전후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수단에 의해 상단을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지주와 일치하도록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사용시에는 지주와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시켜 설치장소에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를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주 최상단에는,
    걸이대상물에 걸 수 있는 고리형태의 걸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걸이는,
    굽힘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5. 청구항 2에 있어서,
    받침대는,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주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나비볼트로서 나비볼트를 조여 받침대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나비볼트를 풀어 받침대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지주와 안치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지주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결합공이 구비되는 고리부와, 안치부 한쪽 끝단 전방에 위치하는 너트와, 결합공과 안치부 상단을 통과하여 너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연장수단은,
    한쪽 끝단이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연장대가 끼워지며 일면 중앙에 내부와 연통되면서 다른 쪽 끝단에서부터 한쪽 끝단과 간격을 둔 구간까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고정대;
    한쪽 끝단이 우측지지대의 안치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고정대의 내부에 끼워져 이동가능한 연장대;
    머리부위가 가이드 홈에 위치하고 나사부위는 고정대 내부에 삽입된 연장대 일측 끝단에 체결되어 머리부위를 회전시켜 나사를 조이면 연장대가 가압되어 고정상태가 되고, 머리부위를 회전시켜 나사를 풀어주면 연장대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연장대가 고정대 내부로부터 자유로이 인출가능한 상태가 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좌측지지대의 안치부는 스마트기기의 한쪽 모서리 저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와, 수직부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스마트기기의 한쪽 모서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부의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인 모양이 “┓”와 같으며,
    좌측지지대의 안치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우측지지대의 안치부는 스마트기기의 다른 쪽 모서리 저면을 지지하는 수직부와, 수직부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스마트기기의 다른 쪽 모서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수직부의 바깥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인 모양이 “┏”와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20130075824A 2013-06-28 2013-06-28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149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24A KR101498922B1 (ko) 2013-06-28 2013-06-28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24A KR101498922B1 (ko) 2013-06-28 2013-06-28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969A KR20150008969A (ko) 2015-01-26
KR101498922B1 true KR101498922B1 (ko) 2015-03-04

Family

ID=5257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824A KR101498922B1 (ko) 2013-06-28 2013-06-28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19Y1 (ko) * 2016-10-01 2018-10-25 이기광 휴대폰 거치대
KR102094781B1 (ko) * 2018-05-02 2020-03-30 이종곤 다용도 거치대
KR102488695B1 (ko) * 2021-04-09 2023-01-17 창신리빙(주) 조리용기 뚜껑 거치대
KR102344893B1 (ko) * 2021-06-25 2021-12-30 안호철 스마트폰 다용도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80Y1 (ko) * 1999-10-11 2000-03-15 유승훈 휴대폰 거치대
KR20080010631A (ko) * 2006-07-27 2008-01-31 (주)큐세븐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80Y1 (ko) * 1999-10-11 2000-03-15 유승훈 휴대폰 거치대
KR20080010631A (ko) * 2006-07-27 2008-01-31 (주)큐세븐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80046361A (ko) *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969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922B1 (ko)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US20120187257A1 (en) Tablet PC Stand
US9956979B1 (en) Stroller attachment
US8844448B2 (en) Neck harness sling hand free reversible desk
US9856895B2 (en) Reversible universal support for a display unit
US20160182698A1 (en) Hands-Fre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30038995A1 (en) Hanging support for tablet/notebook computer
US20210140579A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468795Y1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US9936803B2 (en) Portable table assembly
KR20180050495A (ko)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컵 손잡이
KR101183408B1 (ko) 휴대가능한 단말기 거치대
KR20110054934A (ko)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0479463Y1 (ko)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KR20120040168A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102347934B1 (ko) 다용도 목걸이형 스마트폰 거치대
CN203504632U (zh) 一种手机支架
WO2015139227A1 (zh) 用于平板电脑的便携式可延展托架
US20130025204A1 (en) Device configured for hanging, supporting, and gripping
CN209984689U (zh) 一种便于移动的输液架
US8850992B1 (en) Portable articulated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objects on a user's lap
US20120025057A1 (en) Body- mounted portable view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JP3208205U (ja) ヘアドライヤー装置
JP6440652B2 (ja) 携帯品の携帯装置
KR200468307Y1 (ko) 휴대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