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631A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631A
KR20080010631A KR1020060070897A KR20060070897A KR20080010631A KR 20080010631 A KR20080010631 A KR 20080010631A KR 1020060070897 A KR1020060070897 A KR 1020060070897A KR 20060070897 A KR20060070897 A KR 20060070897A KR 20080010631 A KR20080010631 A KR 2008001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upport
main body
mounting
phon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복
Original Assignee
(주)큐세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세븐 filed Critical (주)큐세븐
Priority to KR102006007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631A/ko
Publication of KR2008001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끝단에는 차량의 유리면에 부착되는 압착판이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휴대폰의 안착을 위한 안착면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끝단에 휴대폰에 구비된 스트랩의 걸이를 위하여 소정의 스트랩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양측에 일정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휴대폰의 양측 상/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스트랩 걸이부와 지지수단을 통하여 휴대폰을 견고한 구조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차량, 거치대, 휴대폰, 스트랩, 지지수단, 지지홀더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MOBILE PHONE HOLDER FOR C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스트랩 걸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지지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간격 조절장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A - 휴대폰 거치대 100 - 지지대
110 - 지지몸체 20 - 압착판
130 - 스트랩 걸이부 200 - 본체
210 - 상케이스 220 - 하케이스
230 - 삽입홈 250 - 지지수단
251 - 삽입구 252 - 지지홀더
260 - 간격 조절장치 261 - 출몰판
263 - 제 1스프링 264 - 저지구
266 - 제 2스프링 267 - 스위치
270 - 이어폰 권취장치 271 - 이어폰
272 - 연결선 280 - 이어폰 걸이구
300 - 휴대폰 320 - 이어잭
310 - 스트랩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모바일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차량안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매우 크며,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행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제작되어 이미 많은 종류의 거치대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크게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면서 고정되는 측면 고정방 식과,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전자의 경우에는 차량의 대쉬보드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전방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내부 양측 벽면에 소정의 고정부를 구비한 포켓 형태의 안착부가 구비된 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고정부가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구조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은 본체의 전면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휴대폰의 후면 배터리에는 소정의 형태로 금속판을 부착함으로써,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휴대폰이 부착 고정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부가 대부분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 만을 제공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차량 주행중 급감속시, 급가속시, 또는 차량의 요동시 휴대폰이 임의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휴대폰들에는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소정의 형태로 사이드 키들이 배열 설치되어 있지만, 고정부가 휴대폰의 양측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사이드 키가 임의적으로 눌려져 휴대폰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휴대폰의 후면 배터리에 별도로 구성되는 금속판을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미관을 크게 손상시키게 되고,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 금속판에 녹이 발생하게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금속판의 제거 또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양측 상/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휴대폰에 구비된 스트랩을 걸기 위한 스트랩 걸이부에 의해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휴대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끝단에는 차량의 유리면에 부착되는 압착판이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휴대폰의 안착을 위한 안착면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끝단에 휴대폰에 구비된 스트랩의 걸이를 위하여 소정의 스트랩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양측에 일정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휴대폰의 양측 상/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 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A) 는 크게 지지대(100)와, 지지대(100)의 선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휴대폰(A)이 안착되는 본체(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굴곡을 가지는 바 형태의 지지몸체(110)와, 지지몸체(110)의 끝단에 형성되며 차량의 유리면에 압착되는 압착판(120) 및, 상기 지지몸체(100)의 상단 전방에 형성되는 스트랩 걸이부(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트랩 걸이부(130)는 휴대폰(A)에 구비되는 스트랩(310)을 걸기 위하여 형성된다. 즉, 최근 출시되는 휴대폰(A)에는 대부분 사용자의 손목 또는 손가락에 걸어 휴대하도록 소정의 스트랩(310)이 제공되는바, 이 스트랩(310)을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랩 걸이부(130)에 걸어 거치시킴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로 휴대폰(A)이 거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스트랩 걸이부(13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스트랩 걸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스트랩 걸이부(130)는 지지몸체(110)의 상단 전방에 형성되는 장착부(131)와, 장착부(131)에 삽입 설치되는 장착구(132)로 구성된다.
이때, 장착부(131)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131a)와, 이 공간부(131a)와 연통되는 구조로 전면 중앙에는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부(131c)가 형성된 안내홀(1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구(132)는 장착부(131)의 공간부(131a)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구 몸체(132a)와, 장착구 몸체(132a)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부(131)의 안내홀(131b)을 통하여 노출되는 "ㄴ"자형의 고리부(132b)가 형성된다.
또한, 안내홀(131b)에 형성된 요철부(131c)와 접촉되는 부분의 고리부(132b)에는 요철부(131c) 사이에 고정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부재(133)가 설치된다.
이로써, 탄성부재(133)는 평상시 요철부(131c)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리부(132b)에 외력이 작용하면 탄성부재(133)가 변형을 일으키면서 요철부(131c)를 타고 넘어가게 되며, 이와 같이 탄성부재(133)가 요철부(131c)를 타고 넘는 상태에서는 다시 탄성부재(133)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요철부(131c)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고리부(132b)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300)에 구비된 스트랩(310)들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더라도 상기 고리부(132b)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휴대폰(300)을 본체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체(200)는 전면에 휴대폰(300)의 안착을 위한 안착면(미도시)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지지수단(25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부분을 함몰하여 형성되는 삽입홈(230)이 구비된 함체형의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200)는 안착면(미도시)이 형성된 상케이스(210)와, 상케이 스(210)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하케이스(220)가 체결구에 의해 체결 조립된 구조이며, 그 내부에는 후술될 간격 조절장치(260) 및, 이어폰 권취장치(270) 등이 설치된다.
또한, 안착면(미도시)에는 휴대폰(300)의 안착시 손상을 방지하도록 고무나, 스폰지 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보호구(미도시)가 접착제에 의해 안착면에 부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지지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지지수단(250)은 본체(200)의 안착면(미도시)에 안착된 휴대폰(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좌우 양측에 한 조로 구비되며 삽입홈(230)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구(251)와, 삽입구(251)에 관통 결합되어 휴대폰(300)의 양측 상/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홀더(252)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홀더(252)는 안착면(211)에 안착된 휴대폰(300)의 양측 상/하단부만을 각각 지지하도록, 일정 직경을 가지는 철심의 양단을 절곡 형성한 지지부(2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253)에는 역시 휴대폰(30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고무나, 스폰지 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보호구(212)가 설치된다.
따라서, 휴대폰(30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키들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구(251)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소정의 안내로(251a) 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홀더(252)의 중앙부분에는 안내로(251a)의 양측 벽면에 밀착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밀착 가압부(252a)가 형성된다.
즉, 삽입구(251)에 대한 지지홀더(25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으로, 안내로(251a)의 양측 벽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지지홀더(252)의 중앙부분을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곡 형성한 밀착 가압부(252a)를 구비함으로써, 안내로(251a)에 대하여 지지홀더(252)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상태로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 위치 조절까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구비되는 간격 조절장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 조로 구성되는 지지수단(250)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250)은 일측 삽입홈(230)에 고정형으로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250)은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는 간격 조절장치(260)에 의해 타측 삽입홈(230)에 대하여 이동형으로 설치되어 지지수단(250) 간의 폭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간격 조절장치(260)는 이동형으로 설치되는 지지수단(250)과 연결되어 본체의(200) 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제 1래칫기어(262)가 구비된 출몰판(261)과, 출몰판(261)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263)과, 출몰판(261)의 출몰을 구속하도록 하단에는 출몰판(261)에 구비된 제 1래칫기어(26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래칫기어(265)가 구비된 저지구(264)와, 저지구(26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스프링(266) 및, 저지구(264)의 구속력을 해제하는 스위치(267)로 구성된다.
출몰판(261)은 단부 중앙에 제 1스프링(263)의 일단이 끼워지는 돌출부(261a)가 형성되고, 하케이스(220)에는 제 1스프링(263)의 타단을 구속하는 구속돌기(221)가 형성된다.
또한, 출몰판(261)의 양단에는 출몰판(261)의 출몰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261b)이 형성되고, 하케이스(220)에는 가이드홀(261b)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222)를 형성하여 출몰판(261)이 일정길이 이상 출몰되는 것을 구속한다.
저지구(264)는 하케이스(220)의 내면에 힌지축(264a)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상단에는 제 2스프링(266)의 일단이 끼워지는 돌출부(254b)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치(267)에 접하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으며, 제 2스프링(266)의 타단은 하케이스(22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23)에 수용되어 걸린다.
스위치(267)는 본체(200)의 상측으로 돌출된 단부를 갖고 그 내부에는 스위치(267)를 가하는 힘을 제거할 시 원상태로 복원 가능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3스프링(269)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격 조절장치(260)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지지수단(250)의 삽입구(251)를 밀어 출몰판(261)을 본체(200) 내부로 밀어 넣으면, 출몰판(261)의 상단에 구비된 제 1래칫기어(262)가 저지구(264)에 구비된 제 2래칫기어(265)를 타고 넘으로면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 후에는 제 1래칫기어(262)와 제 2래칫기어(265)의 조합 특성에 따라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지홀더(252)의 지지구(253)가 휴대폰(300)의 양측 상/하단부에 밀착되면서 휴대폰(300)을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간격 조절장치(260)의 구속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본체(200)의 상측에 노출된 스위치(267)를 누르면 스위치(267)의 타단이 저지구(264)를 밀어주게 되고, 저지구(264)는 힌지축(264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 1래칫기어(262)와 제 2래칫기어(265)의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출몰판(261)은 제 1스프링(263)에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휴대폰(300)의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A)를 이용하여 휴대폰(300)을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휴대폰(300)의 스트랩(310)을 스트랩 걸이부(130)에 건 다음, 휴대폰을 본체(200)의 안착면(21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지지수단(250)의 폭을 조절하여 휴대폰(300)의 양측 상/하단부를 지지하고, 이와 같이 휴대폰(300)이 지지된 상태에서 스트랩 걸이부(130)에 걸인 스트랩(310)이 팽팽해지도록 스트랩 걸이부(13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휴대폰(300)이 견고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200)는 하단 내부에 소정의 릴 모듈에 의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이어폰(271)이 권취된 이어폰 권취장치(270)가 설치되고, 본체(200)의 일측면에는 휴대폰(300)에 구비된 이어잭(320)에 접속 가능한 플러그(272a)가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선(272)이 본체(200)의 내부를 통하여 이어폰 권취장치(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운전 중에도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어폰 권취장치(270)는 이미 종래에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많이 제안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 권취장치(27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체(200)의 일측에는 이어폰을 보관하기 위한 이어폰 걸이구(280)가 형성된다.
이어폰 걸이구(280)는 내부에 소정의 안착공간(281)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중앙부분에 일정 부분이 개구된 개구부(282)를 구비하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 걸이구(280)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체(200)의 하단 일측 뿐만 아니라, 본체(200)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다른 측면에도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에 의하면, 스트랩 걸이부와 지지수단을 통하여 휴대폰을 견고한 구조로 거치시킬 수 있고, 지지수단이 휴대폰의 양측 상/하단부만을 지지하기 때문에 휴대폰에 구비된 사이드 키들이 임의적으 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스트랩 걸이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다른 길이를 가지는 스트랩의 호환이 가능하게 되며, 거치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이어폰 권취장치와, 이어폰 걸이부에 의해 이어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끝단에는 차량의 유리면에 부착되는 압착판이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휴대폰의 안착을 위한 안착면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끝단에 휴대폰에 구비된 스트랩의 걸이를 위하여 소정의 스트랩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양측에 일정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휴대폰의 양측 상/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걸이부는,
    지지대의 끝단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부에 삽입 설치되는 장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전면 중앙에는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요철부가 형성되는 안내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구는,
    상기 장착부의 공간부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구 몸체와, 상기 장착구 몸체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홀을 통하여 노출되는 고리부 및,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리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에 관통 결합되는 구조로 양단에는 휴대폰의 양측 상/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지지부가 절곡 형성된 지지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는 고무나, 스폰지 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보호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소정의 안내로가 형성되고,
    지지홀더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안내로의 양측 벽면이 밀착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밀착 가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의 지지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은 다른 하나의 지지수단으로부터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에는 내부에 소정의 간격 조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장치는,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과 연결되어 본체의 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제 1래칫기어가 형성된 출몰판과,
    상기 출몰판의 출몰에 따라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과,
    상기 출몰판의 출몰을 구속하도록 상단에는 출몰판에 구비된 제 1래칫기어와 맞물려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제 2래칫기어가 형성된 저지구와,
    상기 저지구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지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스프링 및,
    상기 저지구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 내부에는 소정의 릴 모듈에 의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이어폰 권취장치가 설치되고,
    본체의 일측면에는 휴대폰에 구비된 이어잭에 접속 가능한 플러그가 일단에 구비되는 연결선이 본체의 내부를 통하여 이어폰 권취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이어폰의 보관을 위한 이어폰 걸이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0060070897A 2006-07-27 2006-07-2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80010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97A KR20080010631A (ko) 2006-07-27 2006-07-2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97A KR20080010631A (ko) 2006-07-27 2006-07-2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631A true KR20080010631A (ko) 2008-01-31

Family

ID=3922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897A KR20080010631A (ko) 2006-07-27 2006-07-27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631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33B1 (ko) * 2012-11-30 2014-06-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413442B1 (ko) * 2012-01-19 2014-07-24 박성우 다용도 자유 거치대
KR101498922B1 (ko) * 2013-06-28 2015-03-04 정재현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1533568B1 (ko) * 2014-03-27 2015-07-06 김춘규 휴대단말기 거치대
CN105187974A (zh) * 2015-11-05 2015-12-23 金勇� 一种吸盘式耳机
CN105212663A (zh) * 2015-09-28 2016-01-06 重庆跃发日用品有限公司 旋转式吸盘环形卡
CN105212664A (zh) * 2015-09-28 2016-01-06 重庆跃发日用品有限公司 吸盘式环形卡
CN105599693A (zh) * 2016-02-19 2016-05-25 北京电咖汽车科技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仪表板副驾驶侧手机滑轨机构
CN105599692A (zh) * 2016-02-19 2016-05-25 北京电咖汽车科技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仪表台手机夹持装置
CN109555941A (zh) * 2019-01-04 2019-04-02 遂宁欧菲斯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移动终端重力支架
KR20190120652A (ko) 2018-04-16 2019-10-24 유지열 차량용 휴대폰 거치장치
KR20190120648A (ko) 2018-04-16 2019-10-24 유지열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442B1 (ko) * 2012-01-19 2014-07-24 박성우 다용도 자유 거치대
KR101406733B1 (ko) * 2012-11-30 2014-06-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498922B1 (ko) * 2013-06-28 2015-03-04 정재현 고리형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1533568B1 (ko) * 2014-03-27 2015-07-06 김춘규 휴대단말기 거치대
CN105212663A (zh) * 2015-09-28 2016-01-06 重庆跃发日用品有限公司 旋转式吸盘环形卡
CN105212664A (zh) * 2015-09-28 2016-01-06 重庆跃发日用品有限公司 吸盘式环形卡
CN105187974A (zh) * 2015-11-05 2015-12-23 金勇� 一种吸盘式耳机
CN105599693A (zh) * 2016-02-19 2016-05-25 北京电咖汽车科技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仪表板副驾驶侧手机滑轨机构
CN105599692A (zh) * 2016-02-19 2016-05-25 北京电咖汽车科技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仪表台手机夹持装置
KR20190120652A (ko) 2018-04-16 2019-10-24 유지열 차량용 휴대폰 거치장치
KR20190120648A (ko) 2018-04-16 2019-10-24 유지열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CN109555941A (zh) * 2019-01-04 2019-04-02 遂宁欧菲斯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移动终端重力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0631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US8403135B2 (en) Universal ear-bud holder
KR200424288Y1 (ko)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20160001328A (ko)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07607Y1 (ko)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US5828749A (en) Phone holder kit
JP4784422B2 (ja) 携帯機器のストラップ取付構造、および携帯機器
KR200492403Y1 (ko) 자전거용 무선충전 스마트폰 거치대
EP1672888A1 (en) Accessory with speaker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60104563A (ko) 차량용 핸드폰 홀더 및 제어장치
US7640042B2 (en) Buckle phone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0488233Y1 (ko)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KR100774369B1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CN211046512U (zh) 苹果设备二合一辅助充电支架
KR200477138Y1 (ko) 도어트림의 무선충전 암레스트
KR200221488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KR200229295Y1 (ko) 핸즈프리 거치대
KR200253141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CN210490954U (zh) 一种带保护套的手机支架
CN210225520U (zh) 带收纳手机壳组件
KR200159852Y1 (ko) 휴대폰 케이스용 홀더
KR200222016Y1 (ko) 차량용 휴대폰 이어핸즈프리
KR100775526B1 (ko) 이어폰을 갖춘 음향통신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