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733B1 -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733B1
KR101406733B1 KR1020120137738A KR20120137738A KR101406733B1 KR 101406733 B1 KR101406733 B1 KR 101406733B1 KR 1020120137738 A KR1020120137738 A KR 1020120137738A KR 20120137738 A KR20120137738 A KR 20120137738A KR 101406733 B1 KR101406733 B1 KR 10140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guide
mounting plate
adjusting mean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894A (ko
Inventor
김해탁
박성권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7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ar passeng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판과, 거치판 전면부에 마련된 하부가이드돌조에 설치되어 크기 및 규격이 다른 스마트폰 종류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한쌍의 걸림부재와, 거치판 전면부에 마련된 상부가이드돌조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돌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스마트폰 종류의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과, 거치판 후면부에 마련되어 거치판 회동을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회동조절수단과,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덧대어져 상기 회동조절수단에 의해 거치판을 지지하며 리벳으로 체결고정되는 덧댐판을 포함한 거치조절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스마트폰 좌우 단부 고정인 횡방향 고정을 이루고, 상기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에 의한 상부가이드돌조에 의해 스마트폰 상부 고정인 종방향 고정을 이루며, 상기 회동조절수단에 의해 스마트폰 회전과 고정을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뒷좌석 탑승자에게 스마트폰을 조작하거나 시청함에 있어 안락한 환경을 누릴 수 있고, 시중에 판매되는 크기 및 규격이 서로 다른 스마트폰 종류에 관계없이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거치 고정할 수 있으며, 탈착이 가능하고, 아울러 주행하는 차량의 급발진 또는 급제동시에도 탑승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신변의 안전성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The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Head Rester}
본 발명은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시중에 판매되는 규격과 크기가 서로 다른 스마트폰을 종류별로 거치 고정하여 뒷좌석 탑승자에게 안락한 시청을 누릴 수 있도록 한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또는 스마트폰을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는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서, 공개특허 제10-2012-0088622호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등록특허 제10-1112601호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공개특허 제10-2012-0019971호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 등 다수의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개특허 제10-2012-0088622호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기술은 사용자가 적절히 판단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신속한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되, 집게부분과, 이 집게부분에 고정되는 유연성 케이블, 상기 케이블 상부에 고정되고 길이조정이 가능한 스마트폰 부착대의 구성부들로 이루어지지만, 이들 구성부들에 의해서는 차량 헤드레스트 후면부 탈착이 불가하고, 목적 및 효과나 각 구성부들의 특징이 본 발명과는 서로 상이하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제10-1112601호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기술은, 핸즈프리 기능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전화통화가 가능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는 기술로서 아암의 슬라이딩 구현을 위해 압축코일스프링을 적용한 바, 본 발명의 판스프링 구조와는 엄연히 다르고 아울러 목적 및 효과에도 상이한 기술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2-0019971호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컴퓨터용 거치대의 기술은, 목적 및 효과면에서 본 발명과 다소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대에 있어 스마트폰 케이스를 함체결합부에 실시예들에 의한 결합방식을 채택한바, 본 발명에 게재된 스마트폰과 직접 결착되는 방식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할 경우 뒷좌석 탑승자들은 대개 스마트폰을 손으로 조작하며 스마트폰 기능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뒷좌석 탑승자들이 손으로 스마트폰 조작에 몰두하다보니, 어깨 결림을 호소하기도 하고, 주행 중에 급발진 또는 급제동과 같은 경우가 발생될 때, 미쳐 대응하지 못하여 탑승자 안전에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물론, 차량 앞좌석 창에 마련된 네비게이션과 같은 툴을 이용하여 뒷좌석 탑승자들도 tv 시청 및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지만, 위치상 뒷좌석에 탑승하다보니 거리가 멀어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며 누리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공개특허 제10-2012-0088622호. 등록특허 제10-1112601호. 공개특허 제10-2012-0019971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 조절 장치는, 뒷좌석 탑승자에게 스마트폰을 조작하거나 시청함에 있어 안락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크기 및 규격이 서로 다른 스마트폰 종류에 관계없이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거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거치 조절 장치를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서 탈착 가능하여 필요시에만 스마트폰 거치 고정을 수행하도록 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는,
차량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장착됨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판;
거치판 전면부에 마련된 하부가이드돌조에 설치되어 크기 및 규격이 다른 스마트폰 종류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한쌍의 걸림부재;
거치판 전면부에 마련된 상부가이드돌조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돌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스마트폰 종류의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
거치판 후면부에 마련되어 거치판 회동을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회동조절수단;
앞솨젓ㄱ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덧대어져 상기 회동조절수단에 의해 거치판을 지지하며 리벳으로 체결고정되는 덧댐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판에는,
상부 중앙에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 이동을 이루게 하는 요부와 철부를 연속형성한 안내요철부가 형성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한쌍의 걸림부재는,
하부가이드돌조의 안내장공에 삽입 배치되되,
기립된 채 스마트폰 간격을 조절하며 걸림을 이루게 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 하부에 형성되어 기립된 걸림편을 지지하며 전복을 방지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 하부에 형성된 채 상기 하부가이드돌조의 안내장공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장코일스프링을 연결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의 구멍에 걸림을 이룬 채 스마트폰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걸림편에 탄성을 제공하며 복귀유도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은,
거치판에 형성된 안내요철부를 따라 수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스마트폰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하게 하는 조절구;
상기 조절구 내에 탄설되어 조절구 상하 이동시, 안내요철부의 요부에서 탄발되며 조절구 고정을 이루고, 안내용철부의 철부에서 탄입되며 조절구 고정을 해제하는 판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구는,
거치판의 안내요철부를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장홈;
좌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판스프링 수용한 채 판스프링의 돌출걸림부만을 노출되게 하는 탄발공;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조절구의 탄발공에서 노출된 채, 안내요철부의 요부에 의해 진출되며 조절구 걸림고정을 이루게 하고, 안내요철부의 철부에 의해 진입되며 조절구 걸림고정을 해제하는 만곡형상의 돌출걸림부;
상기 돌출걸림부를 중심으로 양측부 연장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조절구의 탄발공 내벽에 착설되어 상기 탄발공으로부터 진출됨을 방지하게 하는 한쌍의 제1 절곡부;
상기 한쌍의 제1 절곡부에서부터 연장된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조절구의 탄발공 내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걸림부 탄성력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제2 절곡부;
상기 한쌍의 제2 절곡부에서부터 연장된 후미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돌출걸림부의 탄성력을 유연하게 유도하는 한쌍의 라운딩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회동조절수단은,
덧댐판 또는 밴딩부재와 일체되어 체결구 회전을 구현하게 하는 볼;
거치판에 일체된 채 상기 볼에 포설되어 회전하는 체결구;
상기 체결구 후방에서 체결구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체결구를 가압하여 체결구 고정을 유도하는 조임볼트;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볼과 포설되는 부위를 절취부로 형성하되,
조임볼트의 조임구 가압에 의해 절취부가 합치되어 체결구 고정이 이루어지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는,
조임구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덧댐판 또는 밴딩부재를 택일가능하되,
상기 밴딩부재는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탈착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딩부재는,
시보리인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은
그 후면부에 형성된 찍찍이를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형성된 찍찍이에 탈부착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 조절 장치는, 뒷좌석 탑승자에게 스마트폰을 조작하거나 시청함에 있어 안락한 환경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크기 및 규격이 서로 다른 스마트폰 종류에 관계없이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거치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 조절 장치를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서 탈착 가능하여 필요시에만 스마트폰 거치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주행하는 차량의 급발진 또는 급제동시에도 탑승자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신변의 안전성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요부인 회동조절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일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회동조절수단 작동을 도시한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본 발명의 요부인 하부가이드돌조에 마련된 걸림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이용상태도.
도 8은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이용상태도.
본 발명은 차량 헤드레스트의 후면부에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를 마련하여 뒷좌석 탑승자들로 하여금 스마트폰을 손으로 조작하며 시청하는 불편함을 개선한 것으로 스마트폰 규격과 크기에 관계없이 스마트폰 종류별로 거치고정할 수 있으며, 거치시에는 거치판에 마련된 하부가이드돌조에서 슬라이드 조절되는 걸림편에 의해 스마트폰의 좌우 단부 고정을 이루고, 상하슬라이드되는 상부가이드돌조에 의해 스마트폰의 상하 단부 고정을 이룬 채, 거치판 배면부에 마련된 회동조절수단에 의해 스마트폰 회전조절을 이루게 한 상태로 거치함으로써 뒷좌석 탑승자들에게 편안한 스마트폰 조작 및 시청 환경을 제공하고자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는, 도 7을 참고로, 도 1 내지 2a에서와 같이, 차량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장착됨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판(10)과, 거치판(10) 전면부에 마련된 하부가이드돌조(12)에 설치되어 크기 및 규격이 다른 스마트폰 종류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한쌍의 걸림부재(13)와, 거치판(10) 전면부에 마련된 상부가이드돌조(11)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돌조(11)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스마트폰 종류의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20)과, 거치판(10) 후면부에 마련되어 거치판(10) 회동을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회동조절수단(30)과,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덧대어져 상기 회동조절수단(30)에 의해 거치판(10)을 지지하며 리벳(41)으로 체결고정되는 덧댐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판(10)에는 도 2a 내지 2b를 참고로 도 4 내지 5에서와 같이, 상부 중앙에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20) 이동을 이루게 하는 요부(10aa)와 철부(10ab)를 연속형성한 안내요철부(10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요철부(10a)는,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20)의 조절구(21) 슬라이딩을 이루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한쌍의 걸림부재(13)는 도 6에서와 같이, 하부가이드돌조(12)의 안내장공(12a)에 삽입 배치되되, 기립된 채 스마트폰 간격을 조절하며 걸림을 이루게 하는 걸림편(13a)과, 상기 걸림편(13a) 하부에 형성되어 기립된 걸림편(13a)을 지지하며 전복을 방지하는 지지편(13b)과, 상기 지지편(13b) 하부에 형성된 채 상기 하부가이드돌조(12)의 안내장공(12a)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장코일스프링(13d)을 연결하는 끼움돌기(13c)와, 상기 끼움돌기(13c)의 구멍에 걸림을 이룬 채 스마트폰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걸림편(13a)에 탄성을 제공하며 복귀유도하는 인장코일스프링(13d)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가이드돌조(12)의 안내장공(12a)에서 걸림부재(13)의 걸림편(13a) 벌림을 이루며 스마트폰 폭 간격을 조절한 다음, 상기 걸림편(13a)이 인장코일스프링(13d)의 복귀력에 의해 스마트폰의 좌우 단부를 가압하며 스마트폰 횡방향을 고정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20)은 도 4 내지 5에서와 같이, 거치판(10)에 형성된 안내요철부(10a)를 따라 수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스마트폰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하게 하는 조절구(21)와, 상기 조절구(21) 내에 탄설되어 조절구(21) 상하 이동시, 안내요철부(10a)의 요부(10aa)에서 탄발되며 조절구(21) 고정을 이루고, 안내요철부(10a)의 철부(10ab)에서 탄입되며 조절구(21) 고정을 해제하는 대칭된 한쌍의 판스프링(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20)의 조절구(21)는 거치판(10)의 안내요철부(10a)를 따라 상하슬라이딩을 이루며 스마트폰 높이를 조절한 다음 고정됨으로써 조절구(21)에 결착된 상부가이드돌조(11)에 의해 스마트폰 상단이 걸림되어 스마트폰의 종방향 고정을 이루게 된다. 즉, 하부가이드돌조(12)는 스마트폰 하단을 거치한 상태로 걸림을 이루게 되고, 상부가이드돌조(11)로 하여금 스마트폰 높이 조절을 이루며 스마트폰 종방향 고정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조절구(21)는 거치판(10)의 안내요철부(10a)를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장홈(21a)과, 좌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판스프링(22) 수용한 채 판스프링(22)의 돌출걸림부(22a)만을 노출되게 하는 탄발공(2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22)의 돌출걸림부(22a)만이 탄발공(21b)으로부터 노출되어 안내요철부(10a)를 따라 조절구(21) 슬라이딩시, 상기 판스프링(22)의 돌출걸림부(22a)가 안내요철부(10a)의 철부(10ab)를 지날 때에는 탄발공(21b)으로 탄입되면서 조절구(21) 걸림을 해제하고, 안내요철부(10a)의 요부(10aa)를 지날 때에는 탄발공(21b)에서 탄발되며 조절구(21) 걸림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22)은 조절구(21)의 탄발공(21b)에서 노출된 채, 안내요철부(10a)의 요부(10aa)에 의해 진출되며 조절구(21) 걸림고정을 이루게 하고, 안내요철부(10a)의 철부(10ab)에 의해 진입되며 조절구(21) 걸림고정을 해제하는 만곡형상의 돌출걸림부(22a)와, 상기 돌출걸림부(22a)를 중심으로 양측부 연장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조절구(21)의 탄발공(21b) 내벽에 착설되어 상기 탄발공(21b)으로부터 진출됨을 방지하게 하는 한쌍의 제1 절곡부(22b)와, 상기 한쌍의 제1 절곡부(22b)에서부터 연장된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조절구(21)의 탄발공(21b) 내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걸림부(22a) 탄성력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제2 절곡부(22c)와, 상기 한쌍의 제2 절곡부(22c)에서부터 연장된 후미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돌출걸림부(22a)의 탄성력을 유연하게 유도하는 한쌍의 라운딩부(22d)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 더 부연설명하자면, 상기 판스프링(22)의 돌출걸림부(22a)는 안내요철부(10a)의 요부(10aa)에서 걸림고정되고, 안내요철부(10a)의 철부(10ab)에서는 걸림고정이 유연하게 해제될 수 있는 만곡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2)의 제1절곡부(22b)는 탄발공(21b) 외부로 탈거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판스프링(22)의 제2절곡부(22c)는 탄성력을 구현하도록 하는데에 일조하며, 상기 판스프링(22)의 라운딩부(22d)는 유연한 탄성력을 유도하는데에 일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상기 회동조절수단(30)은 도 2a 내지 2b에서와 같이, 덧댐판(40) 또는 밴딩부재(50)에 장착되어 체결구(32) 회전을 구현하게 하는 볼(31)과, 거치판(10)에 장착된 채 상기 볼(31)에 포설되어 회전하는 체결구(32)와, 상기 체결구(32) 후방에서 체결구(32)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체결구(32)를 가압하여 고정유도하는 조임볼트(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31)은 일측 부분이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어 덧댐판(40) 또는 밴딩부재(5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32)는 볼(31)과 포설되는 부위를 절취부(32a)로 형성하되, 조임볼트(34)의 조임구(33) 가압에 의해 절취부(32a)가 합치되어 체결구(32)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상기 조임볼트(34)는 조임구(33)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3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덧댐판(40) 대신 밴딩부재(50)가 택일가능하되, 상기 밴딩부재(50)는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탈착된다. 여기서, 상기 밴딩부재(50)는 시보리(51)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례로서, 밴딩부재(50)와 일체되는 볼(31) 후면부는 찍찍이로 구성되게 하고 헤드레스트 후면부 또한 찍찍이를 구성되게 하여 볼(31) 후면부에 형성된 찍찍이를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형성된 찍찍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결착될 수 있다. 이는 볼(31)의 견고한 지지를 이루기 위함이다.
도면상에는 밴딩부재의 넓이가 좁게 표현되었지만 거치판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너비 및 가압 텐션력을 갖는 밴딩부재로 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하기에서 표현된 도면에 국한하지 않고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경 및 조합으로부터 안출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회동조절수단(30)은 거치판(10)과 덧댐판(40) 또는 거치판(10)과 밴딩부재(50)를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거치판(10)의 회전조절을 굳이 구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회동조절수단(30)을 생략한 채 거치판(10)과 덧댐판(40) 또는 거치판(10)과 밴딩부재(50)를 서로 결착하는 방식도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폰을 거치판(10)에 거치하여 고정하는 과정과 거치된 이 스마트폰을 소정의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기술한다.
먼저, 스마트폰의 좌우 단부 고정이 필요한데, 이때 거치판(10)에 마련된 하부가이드돌조(12)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경우 걸림편(13a)을 스마트폰의 폭 길이에 맞게 벌린다.
스마트폰 폭 길이가 맞도록 걸림편(13a) 벌림을 조절한 다음 걸림편(13a)을 놓게 되면 인장코일스프링(13d)에 의해 걸림편(13a)은 압축되면서 스마트폰 좌우 단부를 가압하며 스마트폰의 횡방향 고정을 이루게 된다.
곧, 스마트폰의 상하 단부 고정이 필요한데, 이때 거치판(10)에 마련된 상부가이드돌조(11)를 스마트폰의 높이 길이에 맞게 상하 슬라이딩하며 조절함으로써 스마트폰 종방향 고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부가이드돌조(11)의 슬라이드는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20)에 의해 구현되는바, 조절구(21)가 안내요철부(10a)를 따라 슬라이드될 때, 조절구(21)의 탄발공(21b)에 돌출된 판스프링(22)의 돌출걸림부(22a)가 안내요철부(10a)에서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이루게 됨으로써 조절구(21)의 슬라이드 고정과 함께 이 조절구(21)에 결착된 상부가이드돌조(11)의 슬라이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좀 더 부연 설명하면, 이때 판스프링(22)의 돌출걸림부(22a)가 안내요철부(10a)의 철부(10ab)를 지날 때에는 탄발공(21b) 내부로 탄입되어 조절구(21) 슬라이딩을 이루게 되고, 안내요철부(10a)의 요부(10aa)를 지날 때에는 탄발공(21b) 외부로 판스프링(22)의 돌출걸림부(22a)가 탄발되며 요부(10aa)와 걸림되어 조절구(21) 슬라이딩 고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22)의 제1 절곡부(22b)는 탄발공(21b) 외부로 탈거됨을 방지하고 제2 절곡부(22c)는 안내요철부(10a)를 지나는 돌출걸림부(22a)에 의해 탄성력 구현을 이루게 하며, 라운딩부(22d)는 유연한 탄성력 구현을 이루게 한다.
즉, 조절구(21) 내부에 형성된 가로벽에 판스프링(22)의 라운딩부(22d)가 지지되는 구조로서, 이때 판스프링(22)의 라운딩부(22d)는 가로벽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판스프링(22)의 유연한 탄성력 구현을 이루도록 하는 데에 일조한다.
한편, 스마트폰의 거치 고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탑승자가 스마트폰 회전반경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마트폰을 조작하거나 시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치판(1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 회동조절수단(30)에 의해 회전된다. 즉, 거치판(10)을 회전할 경우, 거치판(10)과 결착 또는 일체형인 체결구(32)가 볼(31)과 체결된 채 회전된다.
원하는 방향까지 거치판(10) 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거치판(10) 고정이 필요한데, 이때 체결구(32)에 체결된 조임볼트(34)를 체결구(32)의 절취부(32a)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임볼트(34)와 일체형인 조임구(33)가 절취부(32a)를 가압하게 되면서 절취부(32a) 취합을 이루게 한다. 이때, 취합되는 절취부(32a)에 의해 체결구(32)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거치판(10)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스마트폰은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장착된 거치조절장치에 의해 완전한 거치와 회전을 이루며 고정됨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뒷좌석 탑승자들은 편안히 스마트폰을 시청하거나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급발진시나 급제동시에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신변의 안전성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거치판 10a: 안내요철부
10aa: 요부 10ab: 철부
11 : 상부가이드돌조 12 : 하부가이드돌조
12a: 안내장공 13 : 걸림부재
13a: 걸림편 13b: 지지편
13c: 끼움돌기 13d: 인장코일스프링
20 :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
21 : 조절구 21a: 가이드장홈
21b: 탄발공
22 :탄발스프링 22a: 돌출걸림부
22b: 제1 절곡부 22c: 제2 절곡부
22d: 라운딩부
30 : 회동조절수단
31 : 볼 32 : 체결구
32a: 절취부 33 : 조임구
34 : 조임볼트 40 : 덧댐판
41 : 리벳 50 : 밴딩부재
51 : 시보리

Claims (12)

  1. 차량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장착됨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판;
    거치판 전면부에 마련된 하부가이드돌조에 설치되어 크기 및 규격이 다른 스마트폰 종류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한쌍의 걸림부재;
    거치판 전면부에 구비된 상부가이드돌조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가이드돌조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스마트폰 종류의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
    거치판 후면부에 마련되어 거치판 회동을 조절하며 고정유도하는 회동조절수단;
    앞좌석 헤드레스트 후면부에 덧대어져 상기 회동조절수단에 의해 거치판을 지지하며 리벳으로 체결고정되는 덧댐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은, 거치판에 형성된 안내요철부를 따라 수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스마트폰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하게 하는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 내에 탄설된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조절구의 탄발공에서 노출된 채, 안내요철부의 요부에 의해 진출되며 조절구 걸림고정을 이루게 하고, 안내요철부의 철부에 의해 진입되며 조절구 걸림고정을 해제하는 만곡형상의 돌출걸림부와;
    상기 돌출걸림부를 중심으로 양측부 연장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조절구의 탄발공 내벽에 착설되어 상기 탄발공으로부터 진출됨을 방지하게 하는 한쌍의 제1 절곡부;
    상기 한쌍의 제1 절곡부에서부터 연장된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조절구의 탄발공 내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걸림부 탄성력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제2 절곡부;
    상기 한쌍의 제2 절곡부에서부터 연장된 후미 부위에서 꺾임을 이룬 채, 상기 돌출걸림부의 탄성력을 유연하게 유도하는 한쌍의 라운딩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요철부는,
    상기 거치판의 상부 중앙에서부터 수직 하 방향으로 상기 요부와 철부가 연속형성되어 상하슬라이드조절수단의 이동 및 고정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걸림부재는,
    하부가이드돌조의 안내장공에 삽입 배치되되,
    기립된 채 스마트폰 간격을 조절하며 걸림을 이루게 하는 걸림편;
    상기 걸림편 하부에 형성되어 기립된 걸림편을 지지하며 전복을 방지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 하부에 형성된 채 상기 하부가이드돌조의 안내장공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장코일스프링을 연결하는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의 구멍에 걸림을 이룬 채 스마트폰 간격에 따라 조절되는 걸림편에 탄성을 제공하며 복귀유도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는,
    거치판의 안내요철부를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장홈;
    좌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판스프링 수용한 채 판스프링의 돌출걸림부만을 노출되게 하는 탄발공;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절수단은,
    일측의 연장된 부분이 덧댐판에 장착되어 체결구 회전을 구현하게 하는 볼;
    거치판에 일체된 채 상기 볼에 포설되어 회전하는 체결구;
    상기 체결구 후방에서 체결구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체결구를 가압하여 체결구 고정을 유도하는 조임볼트;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볼과 포설되는 부위를 절취부로 형성하되,
    조임볼트의 조임구 가압에 의해 절취부가 합치되어 체결구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는,
    조임구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137738A 2012-11-30 2012-11-30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40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38A KR101406733B1 (ko) 2012-11-30 2012-11-30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38A KR101406733B1 (ko) 2012-11-30 2012-11-30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94A KR20140069894A (ko) 2014-06-10
KR101406733B1 true KR101406733B1 (ko) 2014-06-13

Family

ID=5112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738A KR101406733B1 (ko) 2012-11-30 2012-11-30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33A (ko) 2019-10-22 2021-04-30 박강혁 차량 머리 받침대 디스플레이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155B1 (ko) * 2014-10-10 2017-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633865B1 (ko) * 2015-02-12 2016-06-27 송준우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KR101696635B1 (ko) 2015-10-27 2017-01-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06240418A (zh) * 2016-08-23 2016-12-21 苏州科技大学 一种带有移动设备支架的汽车头枕
CN106740527B (zh) * 2016-12-12 2023-08-22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暖风口用隔热手机托架
CN106740531A (zh) * 2016-12-15 2017-05-31 苏州纽东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多功能支架
CN106790849A (zh) * 2016-12-15 2017-05-31 苏州纽东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具有调节功能的手机支架
KR200488233Y1 (ko) * 2018-02-07 2018-12-31 강영철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KR102098627B1 (ko) * 2020-01-31 2020-04-08 노아(주) Pcb 워크 스탠드
KR102483983B1 (ko) * 2021-03-26 2023-01-03 최현수 인쇄물 모서리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5Y1 (ko) * 2005-03-21 2005-06-03 류기용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KR20080010631A (ko) * 2006-07-27 2008-01-31 (주)큐세븐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120091895A (ko) * 2011-02-10 2012-08-20 김봉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5Y1 (ko) * 2005-03-21 2005-06-03 류기용 헤드레스트용 모니터 거치대
KR20080010631A (ko) * 2006-07-27 2008-01-31 (주)큐세븐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120091895A (ko) * 2011-02-10 2012-08-20 김봉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33A (ko) 2019-10-22 2021-04-30 박강혁 차량 머리 받침대 디스플레이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94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733B1 (ko)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US5836563A (en) Mobile phone holder
US10266077B2 (en) Child safety seat
US8646838B2 (en) Child booster seat
CN105691317B (zh) 用于车辆座椅的电子设备夹持装置
EP2308716A1 (en) Child seat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US20120120626A1 (en)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101887357B1 (ko) 차일드 시트
CN105691316B (zh) 用于电子设备夹持装置的电连接器
KR20150134589A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10086792B1 (en) Vehicle Seat
KR20080010631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10183596B2 (en) Vehicle seat
US10086723B1 (en) Vehicle seat
KR101560986B1 (ko) 차량용 시트
US9950650B1 (en) Vehicle seat
JP5668423B2 (ja) ポータブル機器固定装置
KR10169663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72955B1 (ko)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EP2412578B1 (en) Device for detachably attaching a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EP4201736A1 (en) Safety seat
CN110770493A (zh) 托件
KR20190035292A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3103767B2 (ja) 椅子の肘掛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