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39Y1 - 스마트 장치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 장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39Y1
KR200488939Y1 KR2020170004794U KR20170004794U KR200488939Y1 KR 200488939 Y1 KR200488939 Y1 KR 200488939Y1 KR 2020170004794 U KR2020170004794 U KR 2020170004794U KR 20170004794 U KR20170004794 U KR 20170004794U KR 200488939 Y1 KR200488939 Y1 KR 200488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sliding
support
space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709U (ko
Inventor
우병옥
김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알
Priority to KR2020170004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3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스마트 장치의 거치 동작만으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에 적절히 대응하며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 차량 등과 같은 공간에서의 스마트 장치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의 측면과 하부면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다양한 스마트 크기에 대응하여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장치의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크기 조절하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인 구동없이 자동으로 편리하게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두루 갖추고, 스마트 장치를 다른 모델로 교체하더라도 이에 따른 새로운 거치대의 구입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재구입에 따른 불피요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한 거치대 폐기가 필요하지 않아 처분에 따른 낭비의 방지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 거치대는, 스마트 장치가 안착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에 결합되는 후면커버부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커버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 장치가 고정되게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길이 확장되는 일단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상호 역방향 이동하는 제1 및 제2 암으로 이루어진 측면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지지부에 의해 상기 전면커버부에 고정된 상기 스마트 장치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출몰되는 하부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 장치 거치대{Portable Smart Device Holder For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마트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 장치를 사용자 주위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가 가능하되,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스마트 장치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크기 조절이 가능하면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낙하방지로 인한 사용의 편리가 증대되는 스마트 장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네비게이션(navigation),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P3(MPEG audio layer-3), 전자사전 등의 스마트 장치(이하, '스마트 장치'라 함)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래의 기능 외에 음악 및 동영상 재생, 게임, 카메라, 일정 관리, 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장치는 차량에서 사용시 거치대를 사용하여 거치시키는데, 이때, 차량용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나 유리면에 흡착부재 또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는 차량 밖에서도 네비게이션 기능 이외로도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수시로 거치대에서 스마트 장치를 탈부착 하게 되는데, 좁은 차 안에서의 탈부착은 불편이 따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와 그에 맞는 적절한 거치방법이 요구되는 거치대에 맞게 스마트 장치의 탈부착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칫 스마트 장치를 떨어트려 흠집이 나거나 스마트 장치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장치 거치대는 차량 운전뿐만 아니라 학업이나 업무 중에 스마트 장치를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등의 용도로도 이용되기도 하며, 근래에 출시된 스마트 장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 할지라도 제조사마다 그 크기가 상이 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적절한 거치대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장치에 맞는 거치대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스마트 장치를 다른 모델로 교체하게 되면 거치대까지 함께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 장치 교체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이거니와 사용 가능한 상태의 거치대가 폐기 처분되는 등 자원 낭비 문제도 발생되게 된다.
이 때문에 근래의 거치대는 스마트 장치를 장착 및 분리할 때 다수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물리적인 힘을 가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에 맞게 맞춰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 및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마트 장치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의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52095호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전면부에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 본체 전면부의 지정된 위치에 인입 및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스위치,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 1 스위치에 의해 이격 간격이 가변되어 휴대용 기기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제 1 암 및 제 2 암 및 본체 내부에서 제 1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버튼과, 본체 내부에서 제 2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버튼을 포함하여, 제 1 암 및 제 2 암의 이격 간격을 가변시키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를 제시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를 거치면에 접촉시키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도 휴대용 기기를 홀더에 안전하게 장착되게 하고, 홀더 양측의 버튼을 누르는 단순한 조작으로 홀더에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번거로운 조작이나 강한 물리적 힘을 가할 필요 없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휴대용 기기를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문헌의 거치대는 기기를 안착시켜 고정할 시, 스마트 장치의 상하 방향 길이에 맞도록 조절한 후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받침 기능의 브래킷을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노브가 스크류 방식으로 적용되어 있어 브래킷의 길이조정이나 고정을 위한 동작을 위해 풀거나 조이도록 매번 돌려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0796468호(2008.01.15) 2. 한국 등록특허 제10-0870641호(2008.11.20) 3.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74817호(2004.08.26) 4. 한국 등록특허 제10-1601112호(2016.03.02)
스마트 장치의 거치 동작만으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에 적절히 대응하며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 차량 등과 같은 공간에서의 스마트 장치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스마트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의 측면과 하부면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다양한 스마트 크기에 대응하여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마트 장치의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크기 조절하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인 구동없이 자동으로 편리하게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두루 갖춘 스마트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마트 장치를 다른 모델로 교체하더라도 이에 따른 새로운 거치대의 구입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재구입에 따른 불피요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한 거치대 폐기가 필요하지 않아 처분에 따른 낭비의 방지가 가능한 스마트 장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장치 거치대는, 스마트 장치가 안착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에 결합되는 후면커버부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커버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 장치가 고정되게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길이 확장되는 일단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상호 역방향 이동하는 제1 및 제2 암으로 이루어진 측면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지지부에 의해 상기 전면커버부에 고정된 상기 스마트 장치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출몰되는 하부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스마트 장치가 안착되는 장치안착커버와, 상기 장치안착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지지부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장치안착커버의 전방으로 전진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마트 장치의 밀착에 의해 후퇴되어 원위치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며,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버튼부가 전방으로 전진되게 하되 상기 측면지지부에 걸림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장치안착커버의 전방에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측면지지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규제체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규제체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제1 암과 제2 암의 슬라이딩 이동이 완료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사이에 개재되어져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되도록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규제체는 상기 버튼부의 후퇴를 통해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사이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도록 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암은,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방향으로 상호 역방향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되 외력에 의해 길이 단축되며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푸셔암과, 상기 푸셔암과 연결되어 상기 푸셔암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길이 가변시 상기 공간부로부터 배출되어 길이 확장되는 가이드암과, 상기 가이드암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암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암은 가이드암의 각각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푸셔암에 가해진 외력의 역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시켜 상기 푸셔암이 상기 공간부로부터 자동 배출되게 하는 탄성력제공체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면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슬라이딩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상하 위치 이동되되 상기 스마트 장치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면커버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지지대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면지지부는 상기 공간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게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에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규제하는 푸셔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푸셔부는, 상기 공간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커버부를 향해 전후로 위치 이동되는 눌림체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눌림체와 연결되되 상기 눌림체에 의해 전후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와 상기 전면커버부에 일단과 타단이 위치되며, 상기 걸림체에 탄성력을 인가시켜 상기 걸림체의 위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걸림체에 걸림된 상기 슬라이딩지지대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상기 걸림체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스마트 장치 거치대는, 스마트 장치의 거치 동작만으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에 적절히 대응하며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 차량 등과 같은 공간에서의 스마트 장치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의 측면과 하부면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다양한 스마트 크기에 대응하여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스마트 장치의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크기 조절하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인 구동없이 자동으로 편리하게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두루 갖춘 장점을 갖는다.
스마트 장치를 다른 모델로 교체하더라도 이에 따른 새로운 거치대의 구입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재구입에 따른 불피요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한 거치대 폐기가 필요하지 않아 처분에 따른 낭비의 방지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작동예.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전면커버부를 분리시킨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작동시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후면커버부를 분리시킨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작동시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 거치대에 스마트 장치를 거치시킨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후방을 보인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작동예,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 거치대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 장치를 사용자 주위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가 가능하되,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스마트 장치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크기 조절이 가능하면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여 낙하방지로 인한 사용의 편리가 증대되는 스마트 장치 거치대로서, 몸체부(10), 측면지지부(20), 하부면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는 스마트 장치(1)가 안착되는 전면커버부(11)와 전면커버부(11)에 결합되는 후면커버부(12)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된다.
전면커버부(11)는 몸체부(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스마트 장치(1)가 거치되는 부분 으로서, 장치안착커버(111), 버튼부(112), 이동규제체(113)로 이루어진다.
장치안착커버(111)는 스마트 장치(1)가 안착된다.
이러한, 장치안착커버(111)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처리된 대략 사각의 판상페로 구비되며, 내부 중심측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수용홈(1112)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1112)이 형성된 장치안착커버(111)의 소정 위치에는 관통홈(1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홈(1112)은 후술될 버튼부(112)가 위치되며, 관통홈(1111)은 버튼부(112)가 장치안착커버(111)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며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규제체(113)의 일부가 관통된다.
이러한, 장치안착커버(111)의 하부측 테두리에는 식별띠(도면부호 미기재)를 구비하여 심미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고, 식별띠를 형광 재질로 구비하여 야간 사용시 위치 확인 등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하부측 테두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버튼부(112)는 수용홈(1112)에 대응되는 형상인 대략 육각형의 판상체로 이루어져 장치안착커버(111)의 수용홈(1112)에 구비되며, 측면지지부(20)의 슬라이딩 이동시 장치안착커버(111)의 전방으로 전진되어 고정되고, 스마트 장치(1)의 밀착에 의해 후퇴되어 수용홈(1112)에 원위치된다.
이때, 버튼부(112)는 후면의 중심측에 수용홈(1112)을 관통한 이동규제체(113)의 일단에 연결되어져 지지되면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러한, 버튼부(112)에는 흡집 및 미끄럼 등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논슬립패드가 부착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식별띠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규제체(113)는 버튼부(112)와 연결되어 공간부(13)에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며, 위치 이동을 통해 버튼부(112)가 전방으로 전진되게 하되 측면지지부(20)에 걸림되어 버튼부(112)가 장치안착커버(111)의 전방에 고정되게 하면서 측면지지부(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이동규제체(113)는 대략 사각형 판상체로 구비되어 공간부(13)에 위치하되, 판상체의 일측면 중심측은 수용홈(1112)을 관통하여 이동규제체(113)에 연결되도록 일부가 돌출된다. 즉, 사각의 판상체 부분에 돌출부위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ㅜ"자인 형태를 갖는다.
이동규제체(113)는 후술될 측면지지부(20)의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슬라이딩 이동이 완료되면 탄성체(333)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1 및 제2 암(21, 22)의 사이에 개재되어져 제1 및 제2 암(21, 22)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된 바를 위해 이동규제체(113)의 후방에는 후면커버부(12)에 일단이 위치되는 탄성공급체(1131)가 구비된다.
또한, 이동규제체(113)는 버튼부(112)의 후퇴를 통해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 제1 및 제2 암(21, 22)의 사이에서 이탈되어 제1 및 제2 암(21, 22)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도록 한다.
전술된 바에 따른 이동규제체(113)를 자세히 설명하면, 버튼부(112)가 수용홈(1112)에 위치된 경우 제1 암(21)과 제2 암(22)의 후방에 "ㅜ"자 형상인 이동규제체(113)의 사각형 판상체 부분이 위치하고 있다가,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슬라이딩 이동시 탄성공급체(113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되어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된 바를 의해 제1 암(21)과 제2 암(22)은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게 되며, 스마트 장치(1)의 안착시의 접촉으로 인한 버튼부(112)의 후퇴로 이동규제체(113) 가 탄성공급체(1131)를 길이 단축시키면서 후방으로 후퇴되어져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사이에서 이탈되게 되어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도록 한다.
후면커버부(12)는 전면커버부(11)와의 결합을 통해 공간부(13)가 형성되도록 대략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된 차량거치커버(121)를 통해 전면커버부(11)의 후방에 위치된다.
이때, 차량거치커버(121)의 모서리 측에는 전면커버부(11)와 결합을 위한 볼트체결홈(1211)이 다수 구비되며, 중심측에는 이동규제체(113)에 탄성력을 인가시키는 탄성공급체(1131)가 삽입되어져 고정되는 고정홈(1214)이 구비된다.
또한, 차량거치커버(121)의 하부쪽 중심측에는 후술될 하부면지지부(30)의 푸셔부(33)가 삽입되는 삽입홈(1212)이 구비되며, 이 삽입홈(1212)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후술될 하부면지지부(30)가 상하로 이동시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1213)이 위치된다.
이러한, 후면커버부(12)의 차량거치커버(121)의 후방에는 전면커버부(11)에 거치된 스마트 장치(1)를 차량 등에 부착시켜 비치되도록 하기 위해 흡착식거치대(미도시) 등과 결합되기 위한 거치대결합부(122)가 구비된다.
이때, 거치대결합부(122)는 흡착식거치대와 볼조인트 되기 위해 분할된 형태의 원형 단면의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이를 조임하기 위한 조임체(1221)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전면커버부를 분리시킨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작동시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후면커버부를 분리시킨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작동시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측면지지부(20)는 몸체부(10)의 측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공간부(13)에 구비되며, 전면커버부(11)에 안착된 스마트 장치(1)가 고정되게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길이 확장되는 일단이 스마트 장치(1)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상호 역방향 이동하는 제1 및 제2 암(21, 2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암(21, 22)은 푸셔암(211, 221), 가이드암(212, 222), 지지암(213, 223)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푸셔암(211, 221)이 몸체부(10)의 공간부(13)에서 전후로 위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동소이하므로 도면부호로서 각각이 구분되도록 도시하면서 제1 및 제2 암(21, 22)을 별도 설명하지 않고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제1 및 제2 암(21, 22)은 길이 확장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길이가 실제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이 아닌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몸체부(10)로 일측의 단부가 삽입되면 반대측 단부가 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푸셔암(211, 221)은 공간부(13)에서 몸체부(10)의 측방향으로 상로 역방향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되 손가락에 의한 외력에 의해 길이 단축되며 공간부(13)로 삽입된다.
이러한, 푸셔암(211, 221)은 직사각 판상체인 바(bar)타입의 형태를 갖되, 전후로 상호 포개진 형태로서 몸체부(10)의 측방향으로 구비되며, 몸체부(10)의 외측에 위치된 단부에는 손가락을 이용한 외력을 가하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가이드암(212, 222)은 푸셔암(211, 221)과 연결되어 푸셔암(211, 221)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길이 가변시 공간부(13)로부터 배출되어 길이 확장된다.
이때, 가이드암(212, 222)은 공간부(13)에 위치된 푸셔암(211, 221)의 단부에서 상측 또는 하측의 방향에 위치되는게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이동규제체(113)가 가이드암(212, 222)의 사이에 개재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암(212, 222)은 공간부(13)에 위치시 상호 접촉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동규제체(113)가 후방에 탄성공급체(1131)에 의해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가로막도록 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시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라면 이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암(212, 222)의 후면에는 이탈없는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역할의 레일부(도면부호 미기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지지암(213, 223)은 가이드암(212, 22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스마트 장치(1)의 측면을 지지한다.
즉, 지지암(213, 223)은 몸체부(10)의 외측에 위치된 가이드암(212, 222)의 단부에 결합되어 몸체부(10)의 외측에 위치되되, 스마트 장치(1)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가이드암(212, 222)의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암(213, 223)에는 스마트 장치(1)의 측면을 가압시 흡집 및 미끄럼 등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버튼부(112)와 같이 논슬립패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에 따른 구성을 갖는 본 개시의 제1 및 제2 암(21, 22)은 가이드암(212, 222)의 각각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푸셔암(211, 221)에 가해진 외력의 역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시켜 푸셔암(211, 221)이 공간부(13)로부터 자동 배출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제1 암(21)의 가이드암(212)과 제2 암(22)의 가이드암(222)에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력제공체(23)가 연결된다.
따라서, 가이드암(212, 222)에 외력을 가해 이동규제체(113)를 의해 슬라이동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스마트 장치(1)를 안착시키면, 버튼부(112)의 후퇴로 인해 이동규제체(113)가 제1 및 제2 암(21, 22)의 사이에서 이탈되면 탄성력제공체(23)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암(21, 22)의 원상태로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는 스마트 장치(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면지지부(30)가 구비된다.
하부면지지부(30)는 몸체부(10)의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공간부(13)에 구비되며, 측면지지부(20)에 의해 전면커버부(11)에 고정된 스마트 장치(1)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몸체부(10)로부터 출몰된다.
이러한, 본 개시의 하부면지지부(30)는 절곡된 부위가 스마트 장치(1)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대략 세로부와 가로부를 갖는 대략 "ㄴ"자 형태로 구비되며, 슬라이딩지지대(31), 안착지지대(32)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지지대(31)는 몸체부(10)의 하부측 공간부(13)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몸체부(10)에 삽입되거나 배출된다.
슬라이딩지지대(31)는 "ㄴ"자 형태인 하부면지지부(30)의 세로부에 해당되며, 사각형의 판상체로 구비되며, 중심에는 후술된 푸셔부(33)과 관통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타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지지대(31)는 중공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돌기(312)와, 걸림돌기(312)의 외측에 해당하는 가장자리에 높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레일홈(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기(312)는 슬라이딩지지대(31)의 전방에 구비되는데, 한 각이 직각인 삼각형 즉, 직각삼각형의 형태로서 슬라이딩지지대(31)의 높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돌기(312)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해당하는 경사면을 가져 후술될 푸셔부(33)에 직각삼각형의 밑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슬라이딩지지대(31)가 걸림된 위치에서 하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312)는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슬라이딩지지대(31)가 푸셔부(33)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더라도 반대방향인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몸체부(10)에 삽입될 시에는 걸림없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 장치(1)의 높이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더라도 구애받지 않고 적절히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일홈(311)은 후면커버부(12)의 가이드레일(1213)에 대응되는 절개부를 갖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인 봉상으로 구비되어 슬라이딩지지대(3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안착지지대(32)는 슬라이딩지지대(31)에 연결되어 슬라이딩지지대(31)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몸체부(10)의 하부에서 상하 위치 이동되되 스마트 장치(1)의 하부를 지지하여 전면커버부(11)에 안착된 스마트 장치(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안착지지대(32)는 "ㄴ"자 형상인 슬라이딩지지대(31)의 가로부에 해당되며, 전방을 향하는 바(bar)타입의 평팡체로 구비되되, 전방을 향하는 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되어져 스마트 장치(1)가 미끄럼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안착지지대(32)의 상부면에는 버튼부(112)와 지지암(213) 등에서 흡집 및 미끄럼 등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논슬립패드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개시의 하부면지지부(30)는 공간부(13)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후면커버부(12)에 구비되되, 슬라이딩 이동시 슬라이딩지지대(31)에 걸림되어 슬라이딩지지대(31)의 슬라이딩 이동을 규제하는 푸셔부(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푸셔부(33)는 눌림체(331), 걸림체(332), 탄성체(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눌림체(331)는 머리부를 갖는 볼트와 같이 단면이 대략 "ㅜ"자형으로 구비되어 머리부가 후면커버부(1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공간부(13)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후면커버부(12)에 구비되어 전면커버부(11)를 향해 전후로 위치 이동된다.
이러한, 눌림체(331)는 스마트 장치(1)의 높이방향 길이에 맞추도록 사용되는 슬라이딩지지대(31)의 작동을 위해 후술될 걸림체(332)가 슬라이딩지지대(31)로부터 이격되도록 눌러서 사용하는 버튼의 역할을 한다.
걸림체(332)는 전면커버부(11)의 전방에 위치되어 눌림체(331)와 연결되되 눌림체(331)에 의해 전후로 위치 이동되며 슬라이딩지지대(31)에 선택적으로 걸림된다.
이러한, 걸림체(332)는 상기된 바를 위해, 눌림체(331)에 결합되기 위하여 눌림체(331)에 대응되는 중공이 중심부에 형성된 원통체로 구비되되, 슬라이딩지지대(31)의 걸림돌기(312)에 걸림되기 위한 바(bar)타입의 걸림바가 원통체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체(332)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으로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는데, 자유로운 슬라이딩 이동으로 걸림이 방해되지 않도록 후방으로 탄성력을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푸셔부(33)에는 탄성체(333)가 구비된다.
탄성체(333)는 걸림체(332)와 전면커버부(11)에 일단과 타단이 위치되며, 걸림체(332)에 탄성력을 인가시켜 걸림체(332)의 위치 이동을 규제하여 걸림체(332)에 걸림된 슬라이딩지지대(31)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걸림체(332)를 통해 몸체부(10)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탄성체(333)에 의해 푸셔부(33)를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걸림체(332)가 걸림돌기(312)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 거치대에 스마트 장치를 거치시킨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후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도 1 내지 3 및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스마트 장치 거치대의 푸셔암(211, 221)을 각각 가압하여 지지암(213, 223)의 각각이 몸체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되, 가압을 유지하여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사이에 이동규제체(113)가 위치되어 지지암(213, 223)이 이동이 정지된 상태로서 스마트 장치(1)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가 되게한다.
이때, 버튼부(112)는 전방을 향해 이동되어 전면커버부(11)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후, 후면커버부(12)의 눌림체(331)를 끝까지 눌러 걸림체(332)가 걸림돌기(312)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 자중에 의해 안착지지대(32)가 몸체부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될 수 있는 거리까지 슬라이딩지지대(31)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다음, 전술된 과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유지되면, 스마트 장치(1)를 버튼부(112)를 밀면서 전면커버부(11)를 향해 안착시킨다.
이때, 이동규제체(113)가 제1 암(21)과 제2 암(22)으로부터 이탈되어져 제1 및 제2 암(21, 22)의 역방향 이동에 의해 지지암(213, 223)이 동시에 이동되어 스마트 장치(1)의 각각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후, 안착지지대(32)의 하부면을 상부를 향해 밀면 스마트 장치(1)의 하부면이 지지되어 완벽한 고정이 가능해 진다.
만약, 스마트 장치(1)를 탈거하고자 할 때는 전술된 과정의 역순을 따르는 것으로도 가능하나, 제1 및 제2 암(21, 22)의 눌림만으로도 쉽게 탈거가 가능하다.
물론, 전술된 사용방법은 기본적인 사용법에 따르는 것이므로 전술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식거치대와 결합이 선행 또는 후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고 자유로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스마트 장치 거치대는, 스마트 장치의 거치 동작만으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에 적절히 대응하며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 차량 등과 같은 공간에서의 스마트 장치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장치의 측면과 하부면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다양한 스마트 크기에 대응하여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장치의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크기 조절하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인 구동없이 자동으로 편리하게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을 두루 갖추고, 스마트 장치를 다른 모델로 교체하더라도 이에 따른 새로운 거치대의 구입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재구입에 따른 불피요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한 거치대 폐기가 필요하지 않아 처분에 따른 낭비의 방지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스마트 장치
10 : 몸체부 11 : 전면커버부
111 : 장치안착커버 1111 : 관통홈
1112 : 수용홈 112 : 버튼부
113 : 이동규제체 1131 : 탄성공급체
12 : 후면커버부 121 : 차량거치커버
1211 : 볼트체결홈 1212 : 삽입홈
1213 : 가이드레일 1214 : 고정홈
122 : 거치대결합부 1221 : 조임체
13 : 공간부
20 : 측면지지부 21 : 제1 암
211 : 푸셔암 212 : 가이드암
213 : 지지암 22 : 제2 암
221 : 푸셔암 222 : 가이드암
223 : 지지암 23 : 탄성력제공체
30 : 하부면지지부 31 : 슬라이딩지지대
311 : 레일홈 312 : 걸림돌기
32 : 안착지지대 33 : 푸셔부
331 : 눌림체 332 : 걸림체
333 : 탄성체

Claims (9)

  1. 스마트 장치가 안착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에 결합되는 후면커버부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커버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 장치가 고정되게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길이 확장되는 일단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상호 역방향 이동하는 제1 및 제2 암으로 이루어진 측면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지지부에 의해 상기 전면커버부에 고정된 상기 스마트 장치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세로부와 가로부를 갖는 "ㄴ"자 형태인 슬라이딩지지대와 안착지지대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출몰되는 하부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스마트 장치가 안착되는 장치안착커버와, 상기 장치안착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지지부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장치안착커버의 전방으로 전진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마트 장치의 밀착에 의해 후퇴되어 원위치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전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며,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버튼부가 전방으로 전진되게 하되 상기 측면지지부에 걸림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장치안착커버의 전방에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측면지지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규제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규제체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제1 암과 제2 암의 슬라이딩 이동이 완료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사이에 개재되어져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부의 후퇴를 통해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사이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암의 역방향 슬라이딩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암은,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방향으로 상호 역방향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되 외력에 의해 길이 단축되며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푸셔암과, 상기 푸셔암과 연결되어 상기 푸셔암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길이 가변시 상기 공간부로부터 배출되어 길이 확장되는 가이드암과, 상기 가이드암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암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암은 가이드암의 각각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푸셔암에 가해진 외력의 역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시켜 상기 푸셔암이 상기 공간부로부터 자동 배출되게 하는 탄성력제공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면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것으로서 사각형의 판상체로 구비되되, 중심에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타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의 전방에 한 각이 직각삼각형의 형태로서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의 높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지지대가 걸림된 위치에서 하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몸체부에 삽입시 걸림없이 이동되어 상기 스마트 장치의 높이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더라도 구애받지 않고 대응하여 지지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외측 가장자리에 높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 "ㄷ"자 형상인 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지지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가이드 하는 레일홈이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와,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상하 위치 이동되되 상기 스마트 장치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면커버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전방을 향하는 바(bar)타입의 평판체로 구비되되 전방을 향하는 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스마트 장치가 미끄럼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부면에 논슬립패드가 부착된 안착지지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간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게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에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규제하는 푸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부는, 상기 공간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커버부를 향해 전후로 위치 이동되는 것으로서 "ㅜ"자 단면 형태를 가져 머리부를 갖는 볼트형으로 구비되어 눌림되는 버튼 역할의 눌림체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눌림체와 연결되되 상기 눌림체에 의해 전후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것으로서 상기 눌림체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눌림체에 대응되는 중공이 중심부에 형성된 원통체로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지지대의 걸림돌기에 걸림되기 위한 바(bar)타입의 걸림바가 상기 원통체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외력으로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와 상기 전면커버부에 일단과 타단이 위치되며, 상기 걸림체에 탄성력을 인가시켜 상기 걸림체의 위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걸림체에 걸림된 상기 슬라이딩지지대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상기 걸림체를 통해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셔부를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체가 상기 걸림돌기에 고정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장치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70004794U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장치 거치대 KR200488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94U KR200488939Y1 (ko)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장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94U KR200488939Y1 (ko)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장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09U KR20190000709U (ko) 2019-03-20
KR200488939Y1 true KR200488939Y1 (ko) 2019-04-08

Family

ID=6589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94U KR200488939Y1 (ko) 2017-09-11 2017-09-11 스마트 장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158B1 (ko) * 2019-05-22 2020-02-06 메가브로스 주식회사 이동수단용 스마트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9397B (zh) * 2019-12-31 2021-05-14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支架
KR102253650B1 (ko) * 2020-01-29 2021-05-17 김용빈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06120B1 (ko) * 2020-09-21 2021-01-21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부속기기가 탑재된 텔레비젼
KR102235107B1 (ko) * 2020-12-03 2021-04-01 최성현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폰 충전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811B2 (ja) 1996-08-02 2000-06-12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音声翻訳通信研究所 構文解析木データベース構築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811U (ja) * 1998-01-23 1998-08-07 株式会社カシムラ 携帯電話機等の車載用ホルダー
KR20040074817A (ko) 2003-02-19 2004-08-2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100870641B1 (ko)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KR100796468B1 (ko) 2006-11-13 2008-01-21 (주)대우루컴즈 네비게이션용 거치대
KR101252095B1 (ko) * 2011-03-18 2013-04-12 여영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101601112B1 (ko) 2014-05-14 2016-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25648B1 (ko) * 2014-05-22 2016-05-30 (주)코리아하이텍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811B2 (ja) 1996-08-02 2000-06-12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音声翻訳通信研究所 構文解析木データベース構築支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158B1 (ko) * 2019-05-22 2020-02-06 메가브로스 주식회사 이동수단용 스마트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09U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KR101601112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KR101406733B1 (ko)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252095B1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101426915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JP2019091985A (ja) 携帯端末保持具
KR200477762Y1 (ko) 스마트폰 충전겸용 거치대
KR20160001328A (ko) 무선충전 기능을 가진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20100213335A1 (en) Swivelable fixing seat
KR20160003654U (ko) 무선충전 크래들
US2011018200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200407607Y1 (ko)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CN106427717B (zh) 一种车载折叠桌板
KR101725018B1 (ko) 경광용 기구
KR20120124740A (ko) 휴대기기 거치대
KR101420766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KR20120005732U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CN208119070U (zh) 多用汽车手机支架及固定座
KR20160065664A (ko)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10208467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60004443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102356557B1 (ko)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KR101471517B1 (ko) 차량용 cd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