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766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0766B1 KR101420766B1 KR1020120144217A KR20120144217A KR101420766B1 KR 101420766 B1 KR101420766 B1 KR 101420766B1 KR 1020120144217 A KR1020120144217 A KR 1020120144217A KR 20120144217 A KR20120144217 A KR 20120144217A KR 101420766 B1 KR101420766 B1 KR 1014207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main body
- sliding member
- supporting
- sli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슬라이딩부재와, 제1탄성부재와,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본체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재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와 마주보는 제2측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홈부를 구비하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는 제2지지부가 제1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부재를 탄성 가압한다. 걸림부재는 홈부에 걸리면서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 내에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navigation),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래의 기능 외에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 게임, 카메라, 일정 관리, 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다양한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에서 사용시 거치대를 사용하여 거치시키는데,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거치대를 결합시킨 다음, 거치대를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나 유리면에 흡착부재 또는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장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직접 힌지 결합 또는 볼조인트 결합되기 때문에, 거치장치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치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장치의 결합 위치에 정렬시켜야만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장치에 제대로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설치가 번거로우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장치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장치로부터 분리시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74817호(공개일:2004.08.26),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9613호(공개일:1999.03.15),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2333호(등록일:2006.11.24) 등이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74817호(공개일:2004.08.26),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9613호(공개일:1999.03.15),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2333호(등록일:2006.11.24)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부재와 걸림 구조를 조합하여 거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장치에 결합시키거나 거치장치로부터 분리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 내에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와 마주보는 제2측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홈부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홈부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걸림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홈부에 걸리거나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부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의 스트로크가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부착되며,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부는 한 쌍 마련되며, 한 쌍의 제1지지부 중 하나의 제1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측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장치에 결합시키거나 거치장치로부터 분리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 내에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따르면, 슬라이딩부재와 본체의 결합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에 따르면,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와 지지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슬라이딩부재와 걸림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제1지지부 중 하나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슬라이딩부재와 걸림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제1지지부 중 하나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와 지지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슬라이딩부재와 걸림부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의 제1지지부 중 하나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100)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 내에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체(110)와, 슬라이딩부재(120)와, 제1탄성부재(130)와, 걸림부재(140)와, 제2탄성부재(150)와, 축부재(160)와, 충격흡수부재(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100)에 의해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10)는, 내비게이션, 태블릿 PC, PMP, PDA, DMB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기기를 의미한다.
상기 본체(110)는, 휴대용 단말기(1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며, 하부에는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제1측부(11)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1)를 구비한다. 제1지지부(111)는 한 쌍 마련되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체(110)의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방지부재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체의 후면(110b)에는 한 쌍의 결합부(112)가 형성된다. 한 쌍의 결합부(112)는 본체의 후면(110b)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결합부(112) 각각에는 후술할 축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10)는 지지유닛(20)에 의해 차량 내부 또는 실내에 지지되며, 사용자의 시야에 최적인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20)는, 본체(1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지지부(121)와, 다수의 홈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지지부(121)는 슬라이딩부재(120)의 단부에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10)의 제1측부(11)와 마주보는 제2측부(12)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111)는 한 쌍 마련되지만, 제2지지부(121)는 1개 마련된다. 상기 다수의 홈부(122)는 슬라이딩부재(12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각각의 홈부(12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홈부(122)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제2지지부(121)가 제1지지부(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부재(120)를 탄성 가압한다. 제1탄성부재(130)는 본체(110) 내부에서 슬라이딩부재(120)의 하측에 설치되는데, 일단부는 슬라이딩부재(12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본체(11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제1탄성부재(130)는 한 쌍 마련되고, 슬라이딩부재(120)의 양측 하부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제1탄성부재(130)로는 스프링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140)는, 홈부(122)에 걸리면서 슬라이딩부재(1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40)가 슬라이딩부재의 홈부(122)에 걸린 상태에서는, 제1탄성부재(130)가 슬라이딩부재(120)에 슬라이딩부재(1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탄성 가압력을 작용하지만 홈부(122)에 걸린 걸림부재(140)에 의해 슬라이딩부재(120)는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된다.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장치(100)에 거치할 때는 위와 같이 걸림부재(140)가 슬라이딩부재의 홈부(122)에 걸리도록 하여 제2지지부(121)가 휴대용 단말기(10)의 제2측부(12)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40)가 슬라이딩부재의 홈부(122)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제1탄성부재(130)가 슬라이딩부재(120)에 슬라이딩부재(1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탄성 가압력을 작용하므로 슬라이딩부재(120)는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위치가 변경된다.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장치(100)로부터 분리할 때는 위와 같이 걸림부재(140)가 슬라이딩부재의 홈부(122)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제2지지부(121)가 휴대용 단말기(10)의 제2측부(12)로부터 떨어지게 한 다음,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장치(100)에서 꺼낼 수 있다.
걸림부재(140)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제2결합부(141)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2결합부(141)는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본체의 결합부(112)의 이격 거리보다는 짧게 배치된다. 제2결합부(141) 각각에는 후술할 축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50)는, 걸림부재(140)를 슬라이딩부재의 홈부(122)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제2탄성부재(150)는 후술할 축부재(160)에 끼워지며, 일단부(150a)는 걸림부재(14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150b)는 본체의 후면(110b)에 의해 지지되면서, 걸림부재(140)를 슬라이딩부재의 홈부(122) 측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탄성부재(150)로는 토션스프링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160)는, 본체의 결합부(112)에 걸림부재(140)를 결합시키고, 중앙부에는 제2탄성부재(150)가 끼워진다. 본체의 결합부(112) 사이에 걸림부재의 제2결합부(141)가 배치되고, 본체 결합부(112)의 제1관통홀과 걸림부재 제2결합부(141)의 제2관통홀이 동축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축부재(160)가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끼워지면서 본체의 결합부(112)에 걸림부재(140)를 결합시키게 된다.
걸림부재(140)는 축부재(16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홈부(122)에 걸리거나 홈부(12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걸림부재(14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탄성부재(150)에 의해 걸림부재(140)는 슬라이딩부재의 홈부(122) 측으로 탄성 가압되어 홈부(122)에 걸리게 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40)에 외력을 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걸림부재(140)는 홈부(122)로부터 이탈되도록 위치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부재(12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드부(113)에는 슬라이딩부재(120)의 양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20)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23)를 포함하는데, 가이드돌기(123)는 슬라이딩부재(120)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이드홈(114)에 각각 삽입된다.
슬라이딩부재(120)가 본체(11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지만 본체(110)로부터 이탈되어 본체(110)와 분리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가이드홈(114)의 상측 단부(114a)와 하측 단부(114b)에 가이드돌기(123)가 걸림으로써, 슬라이딩부재(120)의 슬라이딩 운동의 스트로크가 한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재(120)와 본체(110)는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가이드홈(114)과 가이드돌기(123)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어느 한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170)는, 제1지지부(111) 및 제2지지부(121)에 부착되며, 휴대용 단말기(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차량의 운행 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에는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는데, 제1지지부(111) 및 제2지지부(121)에 충격흡수부재(170)를 부착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충격흡수부재(170)로는 압축 스폰지, 고무 등 탄성이 우수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를 사용자의 시야에 최적인 각도로 조정하거나 다양한 크기의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하기 위하여,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로 지지유닛(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지지부(111) 중 하나의 제1지지부(111a)는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지지부(111a)의 단부는 본체(110) 내부에서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측부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지지부(111a)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11)를 지지하고,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10)를 거치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에서 제1측부(11)와 제2측부(12) 사이에 배치되는 제3측부(13)를 지지한다. 이때, 다른 하나의 제1지지부(111b)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11)를 지지하고, 제2지지부(121)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2측부(12)를 지지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를 세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111a)가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측부(11)와 제3측부(13)를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는, 탄성부재와 걸림 구조를 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장치에 결합시키거나 거치장치로부터 분리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 내에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는, 걸림부재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이 제한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는, 가이드홈의 상하측 단부에 가이드돌기가 걸리면서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의 스트로크가 한정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와 본체의 결합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충격흡수부재를 부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본체
120 : 슬라이딩부재
130 : 제1탄성부재
140 : 걸림부재
120 : 슬라이딩부재
130 : 제1탄성부재
140 : 걸림부재
Claims (6)
-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와 마주보는 제2측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홈부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홈부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걸림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홈부에 걸리거나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단부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의 스트로크가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부착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한 쌍 마련되며,
한 쌍의 제1지지부 중 하나의 제1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측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측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217A KR101420766B1 (ko) | 2012-12-12 | 2012-12-12 |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4217A KR101420766B1 (ko) | 2012-12-12 | 2012-12-12 |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080A KR20140076080A (ko) | 2014-06-20 |
KR101420766B1 true KR101420766B1 (ko) | 2014-07-17 |
Family
ID=5112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4217A KR101420766B1 (ko) | 2012-12-12 | 2012-12-12 |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076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2411Y1 (ko) * | 2014-09-02 | 2017-01-2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명판 부착대 |
KR102120409B1 (ko) * | 2018-11-16 | 2020-06-08 | 주식회사 코너스톤 |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
KR102522141B1 (ko) * | 2021-10-01 | 2023-04-13 | 서일용 | 단말기 거치대 |
KR20240009110A (ko) * | 2022-07-13 | 2024-01-22 | 서일용 | 확성기가 구비된 운송수단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6237A (ko) * | 2011-03-18 | 2012-09-26 | 여영규 |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
-
2012
- 2012-12-12 KR KR1020120144217A patent/KR1014207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6237A (ko) * | 2011-03-18 | 2012-09-26 | 여영규 |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080A (ko) | 2014-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0766B1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 |
US9103489B2 (en) | Terminal stand | |
US20180251078A1 (en) |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 |
US8282063B2 (en) | Holder | |
KR101875432B1 (ko) |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 |
US20100021803A1 (en) | Electronic device | |
CN104369696B (zh) | 车载支架及车载支架音响 | |
WO2015100966A1 (zh) | 便携式显示装置 | |
KR20140036700A (ko) | 이동단말기 후면 커버 | |
TW201401680A (zh) | 晶片卡固持結構 | |
KR101418154B1 (ko) | 스피커유닛을 구비하는 단말기 | |
KR20160003654U (ko) | 무선충전 크래들 | |
KR200488939Y1 (ko) | 스마트 장치 거치대 | |
JP2014203490A (ja) | 電子デバイスの振動抑制機構 | |
KR20150114837A (ko) |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 |
US8807271B2 (en) | Speaker device with vibration absorbing function and audio display device therewith | |
CN104134450A (zh) | 数据存储设备固定装置 | |
JP5837193B2 (ja) | 携帯式電子設備ターミナルのスライド板ヒンジ | |
US20110157793A1 (en) | Slide-type electronic device | |
CN203872323U (zh) | 蓝牙耳机及其弹出机构 | |
CN102006344B (zh) | 一种滑轨及具有该滑轨的手机 | |
KR200474320Y1 (ko) |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 |
CN104081675A (zh) | 便携式终端设备支承座 | |
KR20090075382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 장치 | |
CN209972349U (zh) | 平板电子设备的车用夹持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