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664A -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664A
KR20160065664A KR1020140169948A KR20140169948A KR20160065664A KR 20160065664 A KR20160065664 A KR 20160065664A KR 1020140169948 A KR1020140169948 A KR 1020140169948A KR 20140169948 A KR20140169948 A KR 20140169948A KR 20160065664 A KR20160065664 A KR 2016006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ring
fixed
coupled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엠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엠
Priority to KR102014016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664A/ko
Publication of KR2016006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차랑에 고정 시켜 설치 할 수 있도록 하며, 각도조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고정이 쉽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때, 차량의 대시보드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이 되기 때문에 대시보드에 고정대의 흔적이 남지 않으며, 구형 볼부재를 활용하여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고, 고정대에 스마트폰 고정 시 하부고정부를 조작하여 쉽게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Fixed Mounts Smartphone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차량에 고정 시켜 설치 할 수 있도록 하며, 각도조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고정이 쉽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가 보급되고 있으며, 그를 위한 액세서리 또한 다양하게 시장에 제품으로 선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스마트폰을 부착하여 전화가 오면 운전자가 신속하게 스마트폰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대가 설치되고, 이러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방 대시보드에 고정된다.
이러한,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제작되어 이미 많은 종류의 거치대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크게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면서 고정되는 측면 고정방식과,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전자의 경우 차량의 대쉬보드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전방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전면에는 내부 양측 벽면에 소정의 고정부를 구비한 포켓 형태의 안착부가 구비된 본체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고정부가 휴대폰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구조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자석을 이용하는 방식은 본체의 전면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스마트폰의 후면 배터리에는 소정의 형태로 금속판을 부착함으로써,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휴대폰의 부착 고정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부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수동 조절로 인한 주행중 사용자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발생했고, 최근의 스마트폰들은 다양한 기능을 위하여 양측면에 소정의 상태로 사이드 키들이 배치되어 사용되지만, 고정부가 휴대폰의 양측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사이드 키가 임의적으로 눌러져 휴대폰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된다는 단점이 발생했다.
또한, 후자의 경우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휴대폰의 후면 배터리에 별도로 구성되는 금속판을 부착시켜야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미관을 크게 손상시키게 되고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 금속판에 녹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금속판의 제거 또한 불편한 단점이 발생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41189호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경우 스마트폰에 별도의 결합 용품이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분실시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발생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125196호 '휴대폰 거치대'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 단가가 많이 들 뿐더러 흡착판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고정하였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흡착력 저하 및 스마트폰 후면에 자국이 남는 단점이 발생했다.
(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41189호(2005.12.29) (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125196호(2013.11.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거치가 간단하도록 하며, 차량의 대시보드 및 스마트폰에 거치의 흔적 또는 흠집이 남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가 주행중에도 간단이 설치가 간단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에 있어서, 상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볼부재(130)를 포함하고 차량 내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대(100), 후부에 상기 볼부재(130)가 안착하는 소켓(211)을 포함하고 하부로 레일(212)이 형성되며 상부로 상부체결홈(213)이 형성된 상부체결몸체(210),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을 따라 이동하고 전부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면(221)을 형성하고 후부로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부(220), 및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는 상부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상부체결대(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상기 상부체결대(200)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몸체(110),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량과 흡착하는 흡착부재(121), 상기 흡착부재(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흡착스프링(122), 및 상기 흡착스프링(122)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지지몸체(110)의 어느 일측으로 배출되어 결합된 흡착레버(123)를 포함하는 하부흡착판(120),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어느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소켓(211)에 안착하는 볼부재(130), 상기 소켓(211)에 안착된 볼부재(130)를 고정하는 잠금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대(200)는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에 연결되고 내부 상측 연장된 양 옆단으로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가 형성된 하부고정부(220),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고 양 옆단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형성된 상부고정부(230), 상기 제1하부고정날개(222a) 및 제2하부고정날개(222b)의 상측으로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하부스프링(240a) 및 제2하부스프링(240b), 상기 제1하부스프링(240a) 및 제2하부스프링(240b)의 상측으로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는 제1하부스프링고정대(250a) 및 제2하부스프링고정대(250b), 상기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의 하측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각각 감싸고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 상기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의 각각의 중앙을 관통하여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을 고정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는 제1상부스프링고정대(270a) 및 제2상부스프링고정대(270b), 일측에 홈을 형성하며 홈의 하부가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와 연결되는 제1이동고정대(280a) 및 제2이동고정대(280b), 상기 제1이동고정대(280a) 및 제2이동고정대(280b)의 홈에 하부가 안착되고 사선으로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전부이동대(290a), 상기 전부이동대(290a)의 중간으로 부터 연장되어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후부이동대(29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부(220)의 거치면(221)으로 스마트폰의 체결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부재(223)를 추가로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이 되기 때문에 대시보드에 고정대의 흔적이 남지 않으며, 구형 볼부재를 활용하여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고, 고정대에 스마트폰 고정 시 하부고정부를 조작하여 쉽게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3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상부체결대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상부체결대 내부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하부지지대 분해도이다.
도 6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실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에 있어서, 상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볼부재(130)를 포함하고 차량 내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대(100), 후부에 상기 볼부재(130)가 안착하는 소켓(211)을 포함하고 하부로 레일(212)이 형성되며 상부로 상부체결홈(213)이 형성된 상부체결몸체(210),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을 따라 이동하고 전부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면(221)을 형성하고 후부로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부(220), 및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는 상부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상부체결대(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상기 상부체결대(200)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몸체(110),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량과 흡착하는 흡착부재(121), 상기 흡착부재(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흡착스프링(122), 및 상기 흡착스프링(122)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지지몸체(110)의 어느 일측으로 배출되어 결합된 흡착레버(123)를 포함하는 하부흡착판(120),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어느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소켓(211)에 안착하는 볼부재(130), 상기 소켓(211)에 안착된 볼부재(130)를 고정하는 잠금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대(200)는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에 연결되고 내부 상측 연장된 양 옆단으로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가 형성된 하부고정부(220),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고 양 옆단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형성된 상부고정부(230), 상기 제1하부고정날개(222a) 및 제2하부고정날개(222b)의 상측으로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하부스프링(240a) 및 제2하부스프링(240b), 상기 제1하부스프링(240a) 및 제2하부스프링(240b)의 상측으로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는 제1하부스프링고정대(250a) 및 제2하부스프링고정대(250b), 상기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의 하측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각각 감싸고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 상기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의 각각의 중앙을 관통하여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을 고정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는 제1상부스프링고정대(270a) 및 제2상부스프링고정대(270b), 일측에 홈을 형성하며 홈의 하부가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와 연결되는 제1이동고정대(280a) 및 제2이동고정대(280b), 상기 제1이동고정대(280a) 및 제2이동고정대(280b)의 홈에 하부가 안착되고 사선으로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전부이동대(290a), 상기 전부이동대(290a)의 중간으로 부터 연장되어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후부이동대(29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부(220)의 거치면(221)으로 스마트폰의 체결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부재(223)를 추가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사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는 하부지지대(100), 상부체결대(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하며, 고정수단을 통해 차량에 고정된다. 이때 하부지지대(100)의 고정수단으로 스티커, 나사, 자석, 흡착판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흡착판을 사용하여 도시 하였으나 차량의 어느 일측에 고정을 함에 있어 그 형태 및 종류가 다양함을 명시한다.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상측의 상부체결대(200)와 결합하며, 상부체결대(200)와 상부체결대(200)에 체결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체결대(200)는 후부에 하부지지대(100)와 결합하며, 상부체결몸체(210), 하부고정부(220), 상부고정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결몸체(210)는 후부에 상기 볼부재(130)가 안착하는 소켓(211)을 포함하고 하부로 레일(212)이 형성되며 상부로 상부체결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고정부(220)는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을 따라 이동하고 전부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면(221)을 형성하고 후부로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며, 거치면(221)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고 스마트폰 거치 시 하부고정부(220)와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체결대는 상부체결몸체(210), 하부고정부(220), 상부고정부(230)로 이루어져 구성되며, 스마트폰 고정 시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을 통해 하부고정부(220)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부고정부(230)와 맞물려 스마트폰을 체결하는 것이다.
도 3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상부체결대 내부 사시도이며, 도 4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상부체결대 내부 좌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상부체결대(200)는 내부로 하부고정부(220), 상부고정부(230), 제1하부스프링(240a), 제2하부스프링(240b), 제1하부스프링고정대(250a), 제2하부스프링고정대(250b), 제1상부스프링(260a), 제2상부스프링(260b), 제1상부스프링고정대(270a), 제2상부스프링고정대(270b), 제1이동고정대(280a), 제2이동고정대(280b), 전부이동대(290a), 후부이동대(290b)를 포함하여 구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부(220)는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에 연결되고 내부 상측 연장된 양 옆단으로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는 하부고정부(220)가 내부 상측으로 올라가며 구성되고 하부고정부(220)의 내부 상측 연장된 양 옆단에 구성되어 상기 제1하부스프링(240a), 제2하부스프링을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고 하부고정부(220)와 제1하부스프링(240a), 제2하부스프링(240b)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고정부(230)는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고 양 옆단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상부고정날개, 제2상부고정날개(231b)는 상구고정부()의 양 옆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상부스프링(260a), 제2상부스프링(260b)과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고 상부고정부(230)와 제1상부고정날개(231a), 제2상부고정날개(231b)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하부스피링(), 제2하부스프링(240b)은 상기 하부고정부(220)의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에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고 하부고정부(220)가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을 따라 이동시 제1하부스프링(240a), 제2하부스프링(240b)과 하부고정부(22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탄성력으로 인한 하부고정부(220) 내 스마트폰을 떨어트리지 않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하부스프링고정대(250a), 제2하부스프링고정대(250b)는 제1하부스프링(240a) 및 제2하부스프링(240b)의 상측으로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며, 제1하부스프링(240a), 제2하부스프링(240b)를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상부스프링(260a), 제2상부스프링(260b)은 상기 상부고정부(230)의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의 하측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각각 감싸고 끼움 결합하여 연결되며, 상기 하부고정부(220)가 레일(21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상부고정부(230)가 하부고정부(220)의 이동에 따라 전부로 이동할 시 탄성력으로 인하여 전부로 이동한 상부고정부(230)가 다시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상부스프링고정대(270a), 제2상부스프링고정대(270b)는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의 각각의 중앙을 관통하여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을 고정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며, 제1상부스프링(260a), 제2상부스프링(260b)을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이동고정대(280a), 제2이동고정대(280b)는 일측에 홈을 형성하며 홈의 하부가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와 연결된다. 이때 제1이동고정대(280a), 제2이동고정대(280b)는 하부고정부(220)의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와 연결되어 하부고정부(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같이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전부이동대(290a)는 상기 제1이동고정대(280a) 및 제2이동고정대(280b)의 홈에 하부가 안착되고 사선으로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상부가 연결된다. 이때 하부고정부(220)의 레일(212)을 통한 상하 운동으로 제1이동고정대(280a), 제2이동고정대(280b)가 상하 운동을 하게 되며, 제1이동고정대(280a), 제2이동고정대(280b)에 연결된 전부이동대(290a)가 상하 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전부이동대(290a)는 사선으로 상부고정부(230)에 연결되어 있어 전부이동대(290a)의 상하 운동으로 상부고정부(230)가 전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부이동대(290b)는 전부이동대(290a)의 상기 전부이동대(290a)의 중간으로 부터 연장되어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사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부이동대(290a)를 도와 상부고정부(230)가 원활이 전부이동을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데 있어 하부고정부(220)의 거치면(221)에 마찰부재(223)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부재(223)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데 있어서, 스마트폰이 거치 시 마찰력을 높혀 원활한 고정이 되기 위하여 구성되며 그 형태 및 구성이 다양함을 명시한다.
도 5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하부지지대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하부지지대(100)는 하부지지몸체(110), 하부흡착판(120), 볼부재(130), 잠금캡(1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상기 상부체결대(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흡착판(120)은 하부지지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착부재(121), 흡착스프링(122) 흡착레버(1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부재(121)는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량과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착스프링(122)은 상기 흡착부재(121)의 상부에 결합되고 흡착레버(12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착레버(123)는 상기 흡착스프링(122)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지지몸체(110)의 어느 일측으로 배출되고 흡착레버(123)를 통해 흡착부재(121)가 차량에 흡착하도록 한다.
상기 볼부재(130)는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어느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소켓(211)에 안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볼부재(130)를 회전하여 상부체결대(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잠금캡(140)은 중앙에 볼부재(130)를 포함하고 소켓(211)에 안착된 볼부재(1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하부지지몸체(110), 하부흡착판(120), 볼부재(130), 잠금캡(140)으로 구성되며, 하부흡착판(120)으로 차량내 어느 일측에 고정을 하게 되고, 볼부재(130)를 통해 상기 상부체결대(2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며, 각도조절이 끝난 상부체결대(200)를 잠금캡(140)을 활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도 6은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스마트폰 고정 시 하부고정부(220)의 거치면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게 되고 레일을 따라 하부고정부(220)를 상하운동시 내측 상단에 연결된 제1이동고정대(280a), 와 제2이동고정대(280b)가 하부고정부(220)를 따라 상하로 운동하게 되고 제1이동고정대(280a), 제2이동고정대(280b)에 연결된 전부이동대(290a)가 이동하면서 상부체결몸체(210)내에 있는 상부고정부를 전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하부고정부(220)의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에 연결된 제1하부스프링(240a), 제2하부스프링(240b)의 탄성력으로 스마트폰을 고정하게 되고, 상부고정부(230)의 제1상부고정날개(231a), 제2상부고정날개(231b)에 연결된 제1상부스프링(260a), 제2상부스프링(260b)의 탄성력으로 상부고정부(230)가 원위치로 돌아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이 되기 때문에 대시보드에 고정대의 흔적이 남지 않으며, 구형 볼부재(130)를 활용하여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고, 고정대에 스마트폰 고정 시 하부고정부(220)를 조작하여 쉽게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0 : 하부지지대 110 : 하부지지몸체
120 : 하부흡착판 121 : 흡착부재
122 : 흡착스프링 123 : 흡착레버
130 : 볼부재 140 : 잠금캡
200 : 상부체결대 210: 상부체결몸체
211 : 소켓 212 : 레일
213 : 상부체결홈 220 : 하부고정부
221 : 거치면 222a : 제1하부고정날개
222b : 제2하부고정날개 223 : 마찰부재
230 : 상부고정부 231a : 제1상부고정날개
231b : 제2상부고정날개 240a : 제1하부스프링
240b : 제2하부스프링 250a : 제1하부스프링고정대
250b : 제2하부스프링고정대 260a : 제1상부스프링
260b : 제2상부스프링 270a : 제1상부스프링고정대
270b : 제2상부스프링고정대 280a : 제1이동고정대
280b : 제2이동고정대 290a : 전부이동대
290b : 후부이동대

Claims (4)

  1.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에 있어서,
    상부의 일측에 돌출되는 볼부재(130)를 포함하고 차량 내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대(100);
    후부에 상기 볼부재(130)가 안착하는 소켓(211)을 포함하고 하부로 레일(212)이 형성되며 상부로 상부체결홈(213)이 형성된 상부체결몸체(210),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을 따라 이동하고 전부에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면(221)을 형성하고 후부로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부(220), 및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는 상부고정부(230)를 포함하는 상부체결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100)는,
    상기 상부체결대(200)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몸체(110);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량과 흡착하는 흡착부재(121),
    상기 흡착부재(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흡착스프링(122), 및
    상기 흡착스프링(122)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지지몸체(110)의 어느 일측으로 배출되어 결합된 흡착레버(123)를 포함하는 하부흡착판(120);
    상기 하부지지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어느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소켓(211)에 안착하는 볼부재(130);
    상기 소켓(211)에 안착된 볼부재(130)를 고정하는 잠금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대(200)는,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내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체결몸체(210)의 레일(212)에 연결되고 내부 상측 연장된 양 옆단으로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가 형성된 하부고정부(220);
    상기 상부체결몸체(210)의 상부체결홈(213)에 안착되고 양 옆단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형성된 상부고정부(230);
    상기 제1하부고정날개(222a) 및 제2하부고정날개(222b)의 상측으로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하부스프링(240a) 및 제2하부스프링(240b),
    상기 제1하부스프링(240a) 및 제2하부스프링(240b)의 상측으로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는 제1하부스프링고정대(250a) 및 제2하부스프링고정대(250b),
    상기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의 하측으로 제1상부고정날개(231a) 및 제2상부고정날개(231b)가 각각 감싸고 끼움 결합하여 연결된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
    상기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의 각각의 중앙을 관통하여 제1상부스프링(260a) 및 제2상부스프링(260b)을 고정하고 상부체결몸체(210)와 연결되는 제1상부스프링고정대(270a) 및 제2상부스프링고정대(270b),
    일측에 홈을 형성하며 홈의 하부가 제1하부고정날개(222a), 제2하부고정날개(222b)와 연결되는 제1이동고정대(280a) 및 제2이동고정대(280b),
    상기 제1이동고정대(280a) 및 제2이동고정대(280b)의 홈에 하부가 안착되고 사선으로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상부가 연결되는 전부이동대(290a),
    상기 전부이동대(290a)의 중간으로 부터 연장되어 상부고정부(230) 하부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후부이동대(29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220)의 거치면(221)으로 스마트폰의 체결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부재(223)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1020140169948A 2014-12-01 2014-12-01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20160065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48A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4-12-01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48A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4-12-01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64A true KR20160065664A (ko) 2016-06-09

Family

ID=5613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948A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4-12-01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6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33U (ko) 2017-09-01 2019-03-11 이창석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90001257U (ko) 2017-11-21 2019-05-29 이승용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KR20190076101A (ko) 2017-12-22 2019-07-02 이창석 휴대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189B1 (ko) 2004-10-26 2006-01-10 이호상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20130125196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형지테크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189B1 (ko) 2004-10-26 2006-01-10 이호상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20130125196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형지테크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33U (ko) 2017-09-01 2019-03-11 이창석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90001257U (ko) 2017-11-21 2019-05-29 이승용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KR20190076101A (ko) 2017-12-22 2019-07-02 이창석 휴대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12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120120626A1 (en)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US9845058B2 (en) Heavy duty magnet mount
KR101406733B1 (ko)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20160065664A (ko)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US11480292B2 (en) Tablet PC and smartphone mount
AU2013206563A1 (en) Shock absorbing caster assembly
US9108575B2 (en) Configurable and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ccessories on motor vehicle dashboards
CN204641581U (zh) 移动设备夹持器
KR20120124742A (ko) 흡착구
CN106131263A (zh) 汽车座椅用平板或手机支架
CN106427717B (zh) 一种车载折叠桌板
KR20160004443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L1642771T3 (pl) Płytka nośna lusterka
CN111439184B (zh) 一种车载可收纳桌板
EP2412578B1 (en) Device for detachably attaching a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2008894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차량거치대용 가변형홀더
CN210652931U (zh) 一种夹装牢靠手机支架安装固定座机构
CN208119070U (zh) 多用汽车手机支架及固定座
CN110667487A (zh) 一种高光洁汽车用车载支架
KR20180002287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N204210344U (zh) 一种汽车及其前排座椅
CN220108038U (zh) 一种弹夹手机支架
CN217928180U (zh) 多功能磁吸式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