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257U -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257U
KR20190001257U KR2020170005933U KR20170005933U KR20190001257U KR 20190001257 U KR20190001257 U KR 20190001257U KR 2020170005933 U KR2020170005933 U KR 2020170005933U KR 20170005933 U KR20170005933 U KR 20170005933U KR 20190001257 U KR20190001257 U KR 201900012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ion
fixed
guide groove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350Y1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2020170005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5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의 일 양태는,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파트; 휴대형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 파트; 및 상기 고정 파트에 대하여 그 일단이 회동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거치 파트에 대하여 그 타단이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파트;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PORTABLE DEVICE HOLD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형 기기를 차량에 거치하기 위한 위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는, 주로 차량의 대시보드(dash board)나 앞유리에 흡착되어 고정되거어 사용된다. 대시보드나 앞유리에 흡착되는 거치대의 경우에는, 대시보드의 형상에 따라서 흡착력이 저하되거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량용 CD 슬롯에 삽입되거나 공조부의 루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의 거치대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공조부의 루버에 삽입되는 형태의 거치대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향하지 않는 범위에서 간단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는,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파트와 휴대형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 파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파트는, 휴대형 기기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조인트나 힌지 등에 의하여 고정 파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의 거치대는, 사용자에 대하여 휴대형 기기의 단순한 각도 조절 이외에 적극적인 위치 조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3508호 (명칭: 차량용 거치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65664호(명칭: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2564호(명칭: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에 대하여 휴대형 기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의 일 양태는,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파트; 휴대형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 파트; 및 상기 고정 파트에 대하여 그 일단이 회동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거치 파트에 대하여 그 타단이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파트;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 파트는,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의 관통 개구가 형성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의 타면에 구비되고, 차량의 공조부에 구비되는 루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클립;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2개의 마찰 부재; 및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마찰 부재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고,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하우징이 그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마찰 부재의 일부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내주면에 밀착되는 연결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이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파트가 상기 고정 파트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이 회전하고, 상기 연결 하우징과 마찰 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파트에 대하여 상기 연결 파트가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마찰 부재에는, 기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마찰면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면은,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영역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 하우징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에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하거나 상기 가이드 홈 상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부로의 상기 고정 하우징의 삽입 및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한 상기 연결 하우징의 회전이 안내되거나, 상기 연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고정 하우징의 임의 탈거가 방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홈; 및 상기 제1가이드 홈의 일단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홈;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이 상기 연결 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이 상기 연결 하우징에 삽입된 후 상기 연결 하우징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2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 파트 및 휴대형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 파트에 연결되는 연결 파트가, 고정 파트에 대해서는 회동하고, 거치 파트에 대해서는 관절 운동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휴대형 기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하우징이 연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하우징과 마찰 부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 파트에 대하여 연결 파트가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에서는, 고정 하우징이 연결 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 및 고정 하우징에 대한 연결 하우징의 회전이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에 의하여 안내됨과 동시에 연결 하우징에 대한 고정 하우징의 탈거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조립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휴대형 기긱 거치대는, 고정 파트(100), 거치 파트(200) 및 연결 파트(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파트(300)의 일단이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해서는 회동 운동하고, 상기 연결 파트(300)의 타단이 상기 거치 파트(200)에 대하여 관절 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파트(100)는, 차량의 일측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파트(100)는, 공조를 위한 차량의 송풍구, 실질적으로는, 풍향의 조절을 위한 루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파트(100)가, 고정 하우징(110), 고정 클립(120), 2개의 마찰 부재(130) 및 탄성 부재(1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하우징(110)은,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는 2개의 관통 개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 개구(111)는,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는 가이드 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13)은, 후술할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로의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삽입 및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대한 연결 하우징(3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113)은, 연결 하우징(320)으로부터의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113)이 제1 및 제2가이드 홈(113A)(113B)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 홈(113A)은,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가이드 홈(113A)은,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 홈(113B)은, 상기 제1가이드 홈(113A)의 일단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가이드 홈(113B)은,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타면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120)은,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타면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 클립(120)은, 실질적으로 차량, 즉 루버 등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클립(120)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마찰 부재(130)는,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111)를 통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마찰 부재(130)의 일부가 연결 하우징(32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 부재(130)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 POM) 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찰 부재(130)에는, 마찰면(131)이 구비된다. 상기 마찰면(131)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찰면(131)이 기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면(131)은,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영역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면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마찰 부재(130)에는 걸림 돌기(133) 및 삽입 보스(135)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 돌기(133)는, 상기 마찰 부재(130)가 상기 관통 개구(111)를 통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완전하게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 돌기(133)는,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내주면 일측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 보스(135)는, 상기 탄성 부재(140)의 일단이 삽입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 부재(130)가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테두리면에 상기 걸림 돌기(133)가 구비되고, 그 내면에 상기 삽입 보스(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마찰 부재(130)에 부여한다. 상기 탄성 부재(140)로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140)는, 그 양단이 상기 삽입 보스(135)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것이다.
상기 거치 파트(200)는, 실질적으로 휴대형 기기가 거치되는 곳이다. 상기 거치 파트(200)는, 휴대형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 부재(210) 및 상기 거치 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연결 파트(300)의 타단을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볼 조인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 파트(20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 파트(300)는, 상기 고정 파트(100) 및 거치 파트(200)를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파트(300)의 일단이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하여 회동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 파트(300)의 타단이 상기 거치 파트(200)에 대하여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파트(300)의 길이에 해당하는 궤적만큼 휴대형 기기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파트(300)가, 연결 로드(310) 및 연결 하우징(32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로드(31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로드(310)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 하우징(320)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 로드(310)의 타단은 상기 볼 조인트(220)에 의하여 상기 거치 파트(200), 실질적으로 거치 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하우징(320)을 포함하는 상기 연결 로드(3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하우징(320)은,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하우징(320)은,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그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마찰 부재(130)의 일부가 상기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파트(300)가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대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320)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하우징(320)과 마찰 부재(1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하여 상기 연결 파트(300)가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하우징(320)에 가이드 돌기(321)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321)는, 예를 들면, 상기 제1가이드 홈(113A)과 대향되게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321)가, 상기 제1가이드 홈(113A)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로의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삽입이 안내된다. 상기 연결 하우징(320)이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대하여 화전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321)가 상기 제2가이드 홈(113B)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대한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회전이 안내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321)가 상기 제2가이드 홈(113B) 상에 위치되면,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상기 연결 하우징(320)으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상기 마찰 부재(130) 및 탄성 부재(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 부재(130)의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111)를 통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누른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하우징(110)을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321)는, 상기 제1가이드 홈(113A)을 따라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하우징(110)을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에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 파트(100) 및 연결 파트(300)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320)과 마찰 부재(13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한 상기 연결 파트(300)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 파트 110: 고정 하우징
111: 관통 개구 113: 가이드 홈
120: 고정 클립 130: 마찰 부재
133: 걸림 돌기 135: 삽입 보스
140: 탄성 부재 200: 거치 파트
210: 거치 부재 220: 볼 조인트
300: 연결 파트 310: 연결 로드
320: 연결 하우징 321: 가이드 돌기

Claims (5)

  1.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파트(100);
    휴대형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 파트(200); 및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하여 그 일단이 회동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거치 파트(200)에 대하여 그 타단이 관절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파트(300); 를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트(100)는,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의 관통 개구(111)가 형성되는 고정 하우징(110);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타면에 구비되고, 차량의 공조부에 구비되는 루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클립(120);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관통 개구(111)를 통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2개의 마찰 부재(130); 및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마찰 부재(130)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140);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30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 로드(310); 및
    상기 연결 로드(3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일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그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개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마찰 부재(130)의 일부가 상기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내주면에 밀착되는 연결 하우징(320);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파트(300)가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하여 회동하면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대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320)이 회전하고, 상기 연결 하우징(320)과 마찰 부재(1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파트(100)에 대하여 상기 연결 파트(300)가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130)에는, 기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마찰면(131)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면(131)은,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영역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는 가이드 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320)에는 가이드 돌기(321)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321)가, 상기 가이드 홈(113)을 따라서 이동하거나 상기 가이드 홈(113) 상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내부로의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삽입 및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대한 상기 연결 하우징(320)의 회전이 안내되거나, 상기 연결 하우징(320)으로부터의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임의 탈거가 방지되는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113)은,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홈(113A); 및
    상기 제1가이드 홈(113A)의 일단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홈(113B);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상기 연결 하우징(3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 돌기(321)가 상기 제1가이드 홈(113A)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110)이 상기 연결 하우징(320)에 삽입된 후 상기 연결 하우징(320)이 상기 고정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321)가 상기 제2가이드 홈(113B)을 따라서 이동하는 차량용 휴대형 거치대.
KR2020170005933U 2017-11-21 2017-11-21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KR200490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33U KR200490350Y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933U KR200490350Y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57U true KR20190001257U (ko) 2019-05-29
KR200490350Y1 KR200490350Y1 (ko) 2019-11-01

Family

ID=6665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933U KR200490350Y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377A (ko) 2020-08-25 2022-03-04 전인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564B1 (ko) 1995-12-27 1998-12-15 김태구 자동차도어의 힌지구조
KR0173508B1 (ko) 1995-12-23 1999-02-18 김종진 열연 압연라인 코블 데이터 분석장치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KR101726176B1 (ko) * 2016-11-18 2017-04-12 (주)신형아이엔티 차량의 송풍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508B1 (ko) 1995-12-23 1999-02-18 김종진 열연 압연라인 코블 데이터 분석장치
KR0162564B1 (ko) 1995-12-27 1998-12-15 김태구 자동차도어의 힌지구조
KR20160065664A (ko) 2014-12-01 2016-06-09 (주)제이에스엠 차량용 스마트폰 고정 거치대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KR101726176B1 (ko) * 2016-11-18 2017-04-12 (주)신형아이엔티 차량의 송풍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50Y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637B2 (ja) ヒンジ装置
JPWO2013187122A1 (ja) アシストグリップ
US6775884B2 (en) Clip-type friction hinge device
JP2016538180A (ja) 自動車用の通気口ダイヤル
JPH04231271A (ja) ロツク防止装置の液圧装置の取付け兼固定装置
KR20190001257U (ko)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JP5330965B2 (ja) 回動体の制動構造
EP2212155B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KR101939381B1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JP4318527B2 (ja) 室内照明灯
KR20160068545A (ko)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KR2002466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080000283U (ko) 멀티미디어 장치용 거치대
KR102064280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JP4701023B2 (ja) ヒンジ構造
JP2021014147A (ja) レジスタ
KR20190071501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JP2020522431A (ja) 自動車のエアベント用ダンパーダイヤル
JP2702447B2 (ja) チェーン金具構造
JP5414341B2 (ja) 車両用内装装置
JP5806655B2 (ja) 車両用携帯端末保持装置
KR200489242Y1 (ko) 차량용 거치대
JP4303665B2 (ja) 可動式スピーカ装置
KR200384168Y1 (ko) 로터리스위치의 스토퍼
KR10040589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