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501A -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501A
KR20190071501A KR1020170172594A KR20170172594A KR20190071501A KR 20190071501 A KR20190071501 A KR 20190071501A KR 1020170172594 A KR1020170172594 A KR 1020170172594A KR 20170172594 A KR20170172594 A KR 20170172594A KR 20190071501 A KR20190071501 A KR 20190071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holder
detent
switch
knob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세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501A/ko
Publication of KR2019007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부와, 일단이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하우징부로부터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푸시 스위치부와, 사용자 조작을 위해 스위치 샤프트부와 연결되도록 하우징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를 포함하고, 스위치 노브부는, 노브 기판과, 노브 기판을 지지하도록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노브 베이스와, 스위치 샤프트부와 동심의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노브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노브 홀더와, 노브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노브 기판을 덮는 노브 캡과, 노브 홀더의 회전에 따른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노브 로터리 스위치와, 노브 베이스와 노브 홀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하여 노브 홀더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하도록 노브 베이스와 노브 홀더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디텐트 스토퍼를 구비하는 로터리 디텐트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이루되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이 배치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 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차량 윈도우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 각종 장치의 조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한다.
노브가 회전 동작하는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의 경우,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는 디텐트 기능을 갖는다. 노브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회전하는 구성요소와 정지된 구성요소 중 어느 한쪽에 요철부를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요철부와 맞닿는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스프링 커버를 사용하고, 복잡한 구조의 스프링 사용으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프링의 상하 위치 편차에 따라 조작감이 변하기 쉽고, 장시간 사용 시 스프링의 유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그리스가 아래로 흘러내려 조작감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698647호 (2017. 01. 23) 등록특허공보 제1706426호 (2017. 02. 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시간 사용에도 편차없이 원활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부;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푸시 스위치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노브 기판과, 상기 노브 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노브 베이스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동심의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노브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노브 홀더와, 상기 노브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노브 기판을 덮는 노브 캡과,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에 따른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노브 로터리 스위치와, 상기 노브 베이스와 상기 노브 홀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하여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하도록 상기 노브 베이스와 상기 노브 홀더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디텐트 스토퍼를 구비하는 로터리 디텐트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 베이스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삽입되는 노브 베이스 결합홈을 갖고, 외주면에 노브 베어링이 배치되는 노브 베이스 허브와, 상기 노브 베이스 허브와 연결되며, 상면에 상기 노브 기판이 배치되고, 하면에 상기 로터리 디텐트가 상기 노브 베이스 허브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노브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홀더는, 상기 노브 베이스 허브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노브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 홀더 허브와, 상기 노브 홀더 허브와 연결되며, 상기 디텐트 스토퍼를 지지하도록 상기 노브 베이스 바디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노브 홀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는,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측으로 돌출되는 디텐트 스토퍼 돌기와, 상기 디텐트 스토퍼 돌기와 연결되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와, 상기 디텐트 스토퍼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노브 홀더 바디에 고정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홀더는,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는 노브 홀더 고정부와, 상기 디텐트 스토퍼 바디를 떠받치도록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노브 홀더 받침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는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는 복수 개가 상기 복수 개의 노브 홀더 고정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 홀더 받침돌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는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 및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는 각각 두 개씩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는 상기 두 개의 노브 홀더 고정부 각각의 중심과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 면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스토퍼 돌기는 두 개가 상기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로부터 각각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의 중심에서 상기 노브 홀더 받침돌기의 중심까지의 이격 각도(α)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10° ≤ α ≤ 30°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에는 상기 노브 베이스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노브 홀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 고정부는 상기 노브 홀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브라켓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에는 상기 노브 홀더 고정돌기의 돌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노브 홀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 고정부는 상기 노브 홀더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후크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의 끝단에 연결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노브 홀더 바디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그립 링 그루브가 구비된 노브 그립 링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가장자리에는 노브 홀더 후크부 결합홈이 마련된 노브 홀더 후크부가 배치되고, 상기 노브 그립 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브 홀더 후크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그립 링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 복합적인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스위치 노브부의 회전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 기구의 디텐트 스토퍼가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취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스위치 노브부의 회전 조작에 따른 원활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디텐트 기구의 디텐트 스토퍼가 로터리 디텐트와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스위치 노브부의 회전을 디텐팅시키는 과정에서 부품 간의 충돌로 인한 타격음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노브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노브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노브 홀더와 디텐트 스토퍼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노브 그립 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다양한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노브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본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은 스위치 본체부(100)와, 스위치 본체부(100)와 결합되는 스위치 노브부(700)를 포함한다. 스위치 노브부(7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스위치 본체부(10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은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자 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 본체부(100)는 하우징부(200)와, 기판(300)과, 스위치 샤프트부(4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와, 푸시 스위치부(6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00)는 하우징 커버(210)와, 하우징 홀더(220)와, 하우징 베이스(230)를 구비한다. 하우징 커버(210)는 하우징 베이스(230)의 상측을 덮도록 하우징 베이스(230)와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210)와 하우징 베이스(230)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하우징 홀더(220)와 기판(300) 등이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210)의 중간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211)가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 관통구(211)를 통해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220)는 하우징 커버(210)와 하우징 베이스(23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 베이스(230)와 함께 기판(300)을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 홀더(220)는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222)와,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224)를 포함한다.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222)와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224)는 서로 맞물리어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222)에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221)가 형성되며, 하우징 홀더 관통구(221)를 통해 스위치 샤프트부(400)가 하우징 홀더(2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224)의 내측에는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 가이드홈(225)이 형성된다.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 가이드홈(225)에 스위치 샤프트부(400)에 구비되는 샤프트 힌지 가이드(421)가 삽입된다. 샤프트 힌지 가이드(421)는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 가이드홈(225) 속에서 움직일 수 있다.
기판(300)은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판(30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전기 소자는 기판(300)에 형성되는 배선 패턴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플렉서블 기판이나 케이블과 같은 별도 부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소자는 기판(300)의 양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0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302)가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기판(300)의 일단에는 기판 커넥터(301)가 구비된다. 기판 커넥터(301)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제어부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기 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부(400)는 일단이 하우징부(200)에 수용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스위치 샤프트부(40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410)와,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를 포함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410)는 사전 설정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410)의 외부로 노출된 끝단에 스위치 노브부(700)가 결합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410)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형, 또는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틸팅 동작의 중심을 이룰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는 하우징 홀더(220)의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222)와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2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에는 샤프트 힌지 가이드(421)가 돌출 구비된다.
스위치 샤프트부(400)는 수평 가압력에 의한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운동,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시 운동 등의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지만, 샤프트 힌지 가이드(421)로 인해 축회전 동작은 제한된다. 샤프트 힌지 가이드(421)는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축회전을 제한하도록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224)와 맞물리는 구조를 취한다. 즉, 샤프트 힌지 가이드(421)가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224)의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 가이드홈(225)에 삽입됨으로써, 스위치 샤프트부(400)는 축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의 상대 가동은 가능하나, 축회전은 억제된다.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와,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부(200) 내에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30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 및 스위치 샤프트부(40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와,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하우징 커버(210)와 하우징 홀더(220) 사이에 배치된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중앙에는 스위치 샤프트부(400)가 관통할 수 있는 미디엄 관통구(533)가 구비된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를 구비한다.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일면, 즉 하우징 커버(21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아랫면, 즉 하우징 홀더(22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는 하우징 커버(210)의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를 향한 내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될 수 있다. 즉,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맞물리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가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동일 평면 상에서 투영되는 경우 90도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 및 하우징 베이스(230) 사이에 배치된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가 관통하는 바텀 관통구(542)가 구비되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를 포함한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상면에는 바텀 가이드(541)가 배치된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측면에는 리턴 그루브(557)가 형성되는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가 연장 형성된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하부에는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킬 수 있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에 디렉셔널 틸팅 동작을 위한 외력이 가해질 때, 기판(300)에 대해 4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가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탄성부(553)와, 리턴 그루브(557)를 포함한다.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2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리턴 탄성부(553)는 하우징부(200)에 지지되어 리턴 플런저(555)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 커버(210)에 지지되어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축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턴 그루브(557)는 리턴 플런저(555)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원위치 복귀시킬 수 있다. 리턴 그루브(557)는 디렉셔널 슬라이부(510)에 형성된다.
이러한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공보 제1698647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푸시 스위치부(600)는 푸시 홀더(610)와, 푸시 스위치(620)와, 푸시 리턴부(630)를 포함한다.
푸시 홀더(610)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300)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4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4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이동할 수 있다. 푸시 홀더(610)는 푸시 홀더 바디(611)와, 푸시 홀더 사이드(615)와,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포함한다. 푸시 홀더 바디(611)의 중앙에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가 마련된다. 푸시 홀더 사이드(615)는 푸시 홀더 바디(61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푸시 홀더 사이드(615)는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지지한다.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푸시 홀더 사이드(615)로부터 스위치 샤프트부(410)의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스위치 샤프트부(400)가 수직 이동할 때 기판(300)의 하측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6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푸시 스위치(620)는 기판(300)의 저면에 배치되고, 푸시 홀더(61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홀더(6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푸시 홀더(610)를 탄성 지지한다.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리턴 바디(631)와, 푸시 리턴 사이드(633)와, 푸시 리턴 러버캡(635)을 포함한다. 푸시 리턴 바디(621)는 중앙에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632)가 형성된다. 푸시 리턴 사이드(633)는 푸시 리턴 바디(621)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푸시 리턴 사이드(633)의 일면으로부터 푸시 리턴 러버캡(635)이 돌출 구비된다. 푸시 리턴 러버캡(635)은 푸시 홀더 사이드(615)를 탄성 지지하여 수직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푸시 리턴 바디(621)와 푸시 리턴 사이드(633) 및 푸시 리턴 러버캡(635)은 일체화될 수도 있고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푸시 스위치부(60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공보 제1698647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위치 노브부(70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스위치 샤프트부(400)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본체부(100)의 하우징부(200) 외측에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부(70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에 결합되는 노브 베이스(710)와, 노브 베이스(710)에 배치되는 노브 기판(717)과, 노브 베이스(7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노브 홀더(740)와, 노브 홀더(740)와 결합되는 노브 그립 링(760)과, 노브 홀더(740)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하기 위한 로터리 디텐트 기구(770)와, 노브 홀더(740)의 회전에 따른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노브 로터리 스위치(780)와, 조명 기능을 갖는 노브 조명부(790)를 포함한다.
노브 베이스(71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의 일단에 연결되어 노브 기판(717) 등의 구성요소를 지지한다. 노브 베이스(71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가 삽입되는 노브 베이스 결합홈(712)을 갖는 노브 베이스 허브(711)와, 상면에 노브 기판(717)이 배치되도록 노브 베이스 허브(711)와 연결되어 노브 기판(717)을 떠받치는 노브 베이스 바디(714)를 포함한다. 노브 베이스(71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410)의 끝단이 노브 베이스 허브(711)에 구비되는 노브 베이스 결합홈(7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스위치 샤프트부(400)와 결합된다. 노브 베이스 허브(711)의 외주면에는 노브 베이스 베어링 지지부(715)가 구비된다. 노브 베이스 베어링 지지부(715)는 노브 베이스 허브(7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노브 베어링(720)을 노브 홀더(740)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노브 베어링(720)은 노브 베이스(710)와 노브 홀더(740) 사이에서 노브 홀더(7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노브 베이스(71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 샤프트부(400)에 결합되어 노브 기판(717) 등의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노브 기판(717)은 노브 베이스 바디(714)의 상면에 배치된다. 노브 기판(717)에는 전기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배선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노브 기판(717)은 다양한 형태의 배선 라인을 통해 스위치 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노브 기판(717)에는 노브 로터리 스위치(780)나 노브 조명부(790)의 부품 등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노브 베이스(710)의 상측에는 노브 캡(723)이 배치되어 노브 기판(717)과 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을 덮는다. 노브 캡(723)은 노브 그립 링(760)에 결합되는 노브 데코 링(726)을 통해 노브 그립 링(760)과 연결될 수 있다. 노브 데코 링(726)은 노브 캡(723)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부(7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마무리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노브 홀더(740)는 스위치 샤프트부(400)와 동심의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노브 베이스(7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브 홀더(740)는 노브 베이스 허브(711)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노브 베어링(7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 홀더 허브(741)와, 노브 베이스 바디(714)와 마주하도록 노브 홀더 허브(741)와 연결되는 노브 홀더 바디(746)를 포함한다.
노브 홀더 허브(741)의 중앙에는 노브 홀더 관통홀(742)이 형성되며, 노브 홀더 관통홀(742) 속에 노브 베이스 허브(711)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노브 홀더 허브(741)가 노브 베이스 허브(711)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노브 홀더 허브(741)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베어링 지지부(743)(744)가 구비된다. 이들 노브 홀더 베어링 지지부(743)(744)는 노브 홀더 허브(741)의 내주면으로부터 노브 베이스 허브(711) 측으로 돌출되어 노브 베어링(720)을 노브 홀더(740)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베어링 지지부(743)(744)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즉, 하나의 노브 홀더 베어링 지지부(743)는 노브 베어링(720)의 상단과 접하도록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노브 홀더 베어링 지지부(744)는 노브 베어링(720)의 하단과 접하도록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된다. 노브 베어링(720)은 이들 노브 홀더 베어링 지지부(743)(744)에 의해 그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됨으로써 노브 홀더(740)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노브 베이스 허브(711)와 노브 홀더 허브(741)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노브 홀더 바디(746)는 노브 홀더 허브(741)의 둘레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노브 홀더 허브(741) 주위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노브 홀더 바디(746)와 노브 홀더 허브(741)는 노브 홀더 스포크(757)를 통해 연결된다. 복수의 노브 홀더 스포크(757)는 노브 홀더 허브(741)의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노브 홀더 허브(741)와 노브 홀더 바디(746)를 연결한다.
노브 홀더 바디(746)의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노브 홀더 후크부(747)와 복수 개의 노브 홀더 삽입홈(749)이 구비된다. 노브 홀더 후크부(747)에는 노브 홀더 후크부 결합홈(748)이 마련된다. 이들 노브 홀더 후크부(747)와 노브 홀더 삽입홈(749)은 노브 그립 링(760)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노브 그립 링(760)이 노브 홀더 후크부(747)와 노브 홀더 삽입홈(749)을 통해 노브 홀더(740)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노브 그립 링(76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노브 홀더 바디(746)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사용자가 노브 그립 링(760)을 통해 노브 홀더(7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브 그립 링(760)은 노브 홀더 바디(746)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의 그립 링 바디(761)를 포함한다. 그립 링 바디(761)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그립 링 걸림돌기(762) 및 복수 개의 그립 링 결합돌기(763)가 배치된다. 복수 개의 그립 링 걸림돌기(762)는 노브 홀더 바디(746)의 노브 홀더 후크부 결합홈들(748)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그립 링 결합돌기(763)는 노브 홀더 바디(746)의 노브 홀더 삽입홈들(749)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그립 링 걸림돌기(762)가 노브 홀더 후크부 결합홈(748)에 삽입되고 그립 링 결합돌기(763)가 노브 홀더 삽입홈(749)에 삽입됨으로써 노브 그립 링(760)이 노브 홀더(740)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노브 그립 링(760)의 외주면에는 그립 링 그루브(764)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그립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노브 베이스 바디(714)와 마주하는 노브 홀더 바디(746)의 일면에는 노브 홀더 고정부(750)가 구비된다. 노브 홀더 고정부(750)는 로터리 디텐트 기구(770)의 디텐트 스토퍼(772)를 노브 홀더 바디(746)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로터리 디텐트 기구(770)는 노브 홀더(74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킴으로써 노브 홀더(740)의 원치 않는 회전을 방지하여 노브 로터리 스위치(780)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노브 홀더(740)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시킨다. 로터리 디텐트 기구(770)는 노브 베이스(710)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771)와, 로터리 디텐트(771)와 접촉하여 노브 홀더(74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킬 수 있도록 노브 홀더(740)에 배치되는 디텐트 스토퍼(772)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771)는 노브 홀더 바디(746)와 마주하는 노브 베이스 바디(714)의 일면에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771)는 노브 베이스 허브(711)의 주위에 복수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노브 홀더(740)의 회전 방향으로 교번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디텐트 스토퍼(772)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와,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에 돌출 구비되는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와, 노브 홀더 바디(746)에 고정될 수 있도록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에 연결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를 포함한다. 디텐트 스토퍼(772)는 노브 홀더(740)의 회전 시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가 로터리 디텐트(771)와 접촉한 상태로 상대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노브 홀더(740)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할 수 있다.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는 판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는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편으로 형성되고,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의 중앙에서 돌출 절곡되어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는 로터리 디텐트(771)를 향해 완만하게 굽은 아치형의 돌기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노브 홀더(740)의 회전 시 원활한 디텐팅 동작과 더불어 노브 홀더(74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회전 동작할 수 있도록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는 복수 개가 노브 홀더(74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균등 분할 배치될 수 있다.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는 복수 개가 노브 홀더 바디(746)의 노브 홀더 고정부(750)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776)과,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776)의 끝단에 연결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 후크부(778)를 포함한다. 디텐트 스토퍼 고정 후크부(778)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776)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는 노브 홀더 바디(746)의 노브 홀더 고정부(750)에 배치되는 노브 홀더 고정돌기(751) 및 노브 홀더 걸림돌기(752)에 대응하는 고정 브라켓 결합홈(777)과 고정 후크부 결합홈(779)을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 결합홈(777)은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776)에 형성되고, 고정 후크부 결합홈(779)은 디텐트 스토퍼 고정 후크부(778)에 마련된다. 노브 홀더 고정돌기(751)는 노브 홀더 바디(746)의 상면에서 노브 베이스 바디(714)를 향해 돌출된다. 노브 홀더 걸림돌기(752)는 노브 홀더 바디(746)에 형성되는 노브 홀더 바디홈(753) 속에 노브 홀더 고정돌기(751)의 돌출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다. 디텐트 스토퍼(772)는 고정 브라켓 결합홈(777)에 노브 홀더 고정돌기(751)가 삽입되고, 고정 후크부 결합홈(779)에 노브 홀더 걸림돌기(75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노브 홀더 바디(746)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텐트 스토퍼(772)는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와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한다.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 상에 180도 간격으로 균등 각 분할 배치되고,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도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 상에 180도 간격으로 균등 각 분할 배치된다.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는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로부터 각각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대칭형 구조의 디텐트 스토퍼(772)는 노브 홀더(740)의 회전 시 더욱 안정적인 디텐팅 기능을 수행하는데 유리하다.
노브 홀더 바디(746)에 구비되는 노브 홀더 고정부(750)는 디텐트 스토퍼(772)의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즉, 노브 홀더 고정부(750)는 노브 홀더 관통홀(742) 주위에 두 개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밖에, 노브 홀더 바디(746)에는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는 노브 홀더 관통홀(742) 주위에 배치되어 디텐트 스토퍼(772)를 떠받친다.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의 중간 부분을 떠받침으로써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가 유격 발생없이 로터리 디텐트(771)에 더욱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는 노브 홀더 고정부(750)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는 두 개의 노브 홀더 고정부(750) 각각의 중심(Cf)과 노브 홀더(740)의 회전 중심(Cr)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P)에 대해 면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노브 홀더 고정부(750)의 노브 홀더 고정돌기(751) 양측으로 각각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디텐트 스토퍼(772)가 편차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노브 홀더 고정부(750)로부터 이격된 각도(α)는 10°~ 30°인 것이 좋다. 즉,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10° ≤ α ≤ 30°
(α는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노브 홀더 고정부(750)로부터 이격된 각도)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노브 홀더 고정부(750)로부터 이격된 각도(α)가 10°미만인 경우,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가 위치하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의 중간 부분에 대한 지지력이 작아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가 로터리 디텐트(771)에 접하는 밀착력이 부족하기 쉽다. 이 경우, 노브 홀더(740)가 작은 힘으로 회전할 수 있어 노브 홀더(740)가 원치 않은 회전 동작을 할 수 있다.
반면,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노브 홀더 고정부(750)로부터 이격된 각도(α)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가 위치하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의 중간 부분에 대한 지지력이 지나치게 커져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가 로터리 디텐트(771)에 접하는 밀착력이 과도하게 되기 쉽다. 이 경우, 로터리 디텐트(771)와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 간의 마찰력이 커지고, 노브 홀더(7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큰 힘이 요구되어 조작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755)가 도시된 것과 같이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디텐트 스토퍼 바디(773)의 중간 부분을 떠받침으로써, 노브 홀더(740)의 회전 시 디텐트 스토퍼 돌기(774)가 로터리 디텐트(771)에 더욱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로터리 디텐트(771)를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리 디텐트 기구(770)가 편차없이 조작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노브 로터리 스위치(780)는 노브 홀더(7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노브 홀더 바디(746)에 배치되는 엔코더 로터(781)와, 엔코더 로터(781)의 회전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로터리 센서(784)를 포함한다. 엔코더 로터(781)는 노브 홀더(740)의 회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782)을 갖는다. 로터리 센서(784)는 기판(300)에 배치되어 노브 홀더(740)가 회전하는 경우 엔코더 로터 슬릿(782)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로터리 센서(784)는 노브 기판(717)에 결합되어 노브 베이스 바디(714)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미도시)를 통해 엔코더 로터(781)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센서(784)는 광센서, 또는 엔코더 로터(78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밖에, 노브 로터리 스위치(780)는 노브 홀더(740)의 회전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노브 조명부(790)는 노브 기판(717)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 램프(791)와, 노브 조명 램프(79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가이드하기 위한 노브 조명 가이드(792)와, 노브 조명 가이드(792)에 의해 가이드되는 빛을 노브 캡(723)의 외부로 출사시키는 노브 렌즈(793)를 포함한다. 노브 조명 가이드(792)는 적어도 일부분이 노브 조명 램프(79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노브 조명 램프(79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노브 렌즈(793)로 가이드한다. 노브 렌즈(793)는 노브 캡(723)의 둘레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노브 조명 가이드(792)에 의해 가이드되는 빛을 노브 캡(723)의 외부로 출사시킨다. 노브 조명부(790)는 스위치 노브부(700)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한 색상 도는 패턴의 빛을 노브 캡(723)의 외측으로 방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스위치 노브부(700) 조작에 따른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 복합적인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은 노브 홀더(740)의 회전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 기구(770)의 디텐트 스토퍼(772)가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취함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스위치 노브부(70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원활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오퍼레이팅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노브 홀더(740)나 로터리 디텐트 기구(77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노브 홀더(740) 상의 디텐트 스토퍼(772) 지지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노브 홀더(740)의 노브 홀더 고정부 및 디텐트 스토퍼(772)의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가 각각 두 개씩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노브 홀더 고정부(750)와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775)의 개수나 배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100 : 스위치 본체부 200 : 하우징부
300 : 기판 400 : 스위치 샤프트부
500 : 디렉셔널 스위치부 600 : 푸시 스위치
700 : 스위치 노브부 710 : 노브 베이스
717 : 노브 기판 720 : 노브 베어링
723 : 노브 캡 740 : 노브 홀더
760 : 노브 그립 링 770 : 로터리 디텐트 기구
780 : 노브 로터리 스위치 790 : 노브 조명부

Claims (10)

  1. 하우징부;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푸시 스위치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노브 기판과,
    상기 노브 기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노브 베이스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동심의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노브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노브 홀더와,
    상기 노브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노브 기판을 덮는 노브 캡과,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에 따른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노브 로터리 스위치와,
    상기 노브 베이스와 상기 노브 홀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하여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하도록 상기 노브 베이스와 상기 노브 홀더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디텐트 스토퍼를 구비하는 로터리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베이스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삽입되는 노브 베이스 결합홈을 갖고, 외주면에 노브 베어링이 배치되는 노브 베이스 허브와,
    상기 노브 베이스 허브와 연결되며, 상면에 상기 노브 기판이 배치되고, 하면에 상기 로터리 디텐트가 상기 노브 베이스 허브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노브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홀더는,
    상기 노브 베이스 허브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노브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 홀더 허브와,
    상기 노브 홀더 허브와 연결되며, 상기 디텐트 스토퍼를 지지하도록 상기 노브 베이스 바디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노브 홀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는,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측으로 돌출되는 디텐트 스토퍼 돌기와,
    상기 디텐트 스토퍼 돌기와 연결되는 디텐트 스토퍼 바디와,
    상기 디텐트 스토퍼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노브 홀더 바디에 고정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홀더는,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상면에 배치되는 노브 홀더 고정부와,
    상기 디텐트 스토퍼 바디를 떠받치도록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노브 홀더 받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는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는 복수 개가 상기 복수 개의 노브 홀더 고정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 받침돌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는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로부터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 및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는 각각 두 개씩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노브 홀더 받침돌기는 상기 두 개의 노브 홀더 고정부 각각의 중심과 상기 노브 홀더의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 면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스토퍼 돌기는 두 개가 상기 두 개의 디텐트 스토퍼 고정부로부터 각각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의 중심에서 상기 노브 홀더 받침돌기의 중심까지의 이격 각도(α)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10° ≤ α ≤ 30°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에는 상기 노브 베이스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노브 홀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 고정부는 상기 노브 홀더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브라켓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 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 고정부에는 상기 노브 홀더 고정돌기의 돌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노브 홀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 고정부는 상기 노브 홀더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후크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스토퍼 고정 브라켓의 끝단에 연결되는 디텐트 스토퍼 고정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노브 홀더 바디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그립 링 그루브가 구비된 노브 그립 링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홀더 바디의 가장자리에는 노브 홀더 후크부 결합홈이 마련된 노브 홀더 후크부가 배치되고,
    상기 노브 그립 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브 홀더 후크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그립 링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0170172594A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190071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94A KR20190071501A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94A KR20190071501A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501A true KR20190071501A (ko) 2019-06-24

Family

ID=6705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94A KR20190071501A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16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로타리 버튼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47B1 (ko) 2014-10-29 2017-01-23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706426B1 (ko) 2014-10-29 2017-02-14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47B1 (ko) 2014-10-29 2017-01-23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706426B1 (ko) 2014-10-29 2017-02-14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16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로타리 버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6689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N211578626U (zh) 杆式车辆远程变速开关装置
KR20170041336A (ko) 스크롤 푸시 스위치 모듈
KR20190071501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JP4318527B2 (ja) 室内照明灯
KR10256583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180042517A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2442657B1 (ko)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10143528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9004283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514154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N113432057B (zh) 一种用于车辆的角度调节结构及一种阅读灯
JP4299574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102674728B1 (ko) 다기능 노브
KR20190032066A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948255B1 (ko) 조명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크롤 스위치
JP4262661B2 (ja) 力覚付与型入力装置
JP2005122294A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JP2004303684A (ja) スイッチ装置
JP7143230B2 (ja) 車両用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