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066A -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066A
KR20190032066A KR1020170120545A KR20170120545A KR20190032066A KR 20190032066 A KR20190032066 A KR 20190032066A KR 1020170120545 A KR1020170120545 A KR 1020170120545A KR 20170120545 A KR20170120545 A KR 20170120545A KR 20190032066 A KR20190032066 A KR 2019003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lighting guide
light
light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479B1 (ko
Inventor
노삼종
전종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479B1/ko
Priority to CN201790001372.3U priority patent/CN210156301U/zh
Priority to PCT/KR2017/012007 priority patent/WO2018080234A1/ko
Priority to US16/345,223 priority patent/US10886083B2/en
Publication of KR2019003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노브는, 내외측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노브 마크부가 마련된 노브 바디와, 노브 마크부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노브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를 포함한다. 노브 조명부는, 빛을 발생하는 노브 광원 소자와, 노브 광원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노브 마크부로 가이드하는 노브 라이팅 가이드를 포함하며, 노브 라이팅 가이드는, 외측 가장자리에 노브 광원 소자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구비되고 일면에 노브 마크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가 마련된 라이팅 가이드 바디와,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를 통해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내측으로 입사되는 빛을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로 반사시키기 위해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돌기를 갖는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SWITCH KNOB AND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이 배치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 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차량 윈도우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 각종 장치의 조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의 측면에 레버 스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근래의 자동차용 스위치는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이러한 이유로 조명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가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211210호 (2012. 12. 11)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노브는, 내외측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노브 마크부가 마련된 노브 바디; 및 상기 노브 마크부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조명부는, 빛을 발생하는 노브 광원 소자와, 상기 노브 광원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노브 마크부로 가이드하는 노브 라이팅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 라이팅 가이드는,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브 광원 소자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구비되고 일면에 상기 노브 마크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가 마련된 라이팅 가이드 바디와,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내측으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돌기를 갖는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는,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중심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 마크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엠보싱부의 넓이는 상기 사이드 마크의 넓이보다 큰 것이 좋다.
상기 노브 마크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크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는, 상기 센터 마크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엠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엠보싱부의 넓이는 상기 센터 마크의 넓이보다 큰 것이 좋다.
상기 센터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의 직경이 상기 사이드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좋다.
상기 센터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 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사이드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큰 것이 좋다.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는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노브 광원 소자는 상기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와 각각 마주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는 대칭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는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무게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는 여덟 개의 변을 갖는 팔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는 네 개가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변들 중에서 두 개씩 상호 마주하는 두 쌍의 변들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변들 중에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배치되는 변들은 다른 변들에 비해 길이가 짧은 것이 좋다.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는 그 변들 중에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배치되지 않은 변들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고정홈 각각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복수의 노브 지지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는 오목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노브는, 상기 노브 바디의 측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퍼메이션 스위치 노브와, 상기 컨퍼메이션 스위치 노브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컨퍼메이션 스위치를 구비하는 컨퍼메이션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퍼메이션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노브 조명부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회전을 감지 출력하는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와, 사용자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외측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노브 마크부가 마련된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마크부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조명부는, 빛을 발생하는 노브 광원 소자와, 상기 노브 광원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노브 마크부로 가이드하는 노브 라이팅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 라이팅 가이드는,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브 광원 소자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구비되고 일면에 상기 노브 마크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가 마련된 라이팅 가이드 바디와,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내측으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돌기를 갖는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조작을 위한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노브 마크부를 노부 조명부로 음영이 발생하지 않게 조명할 수 있어 고품질의 스위치 노브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노브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하우징부 및 그 내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푸시 스위치부 및 로터리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노브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노브를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노브 조명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노브 조명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노부 조명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은 하우징부(100)와, 기판(200)과,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로터리 스위치부(4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와, 푸시 스위치부(600)와, 스위치 노브(7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은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닛으로서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 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외부 케이스(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외부 케이스(20)의 내측에는 하우징부(1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홀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구비한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기판(200)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상측을 덮도록 하우징 베이스(130)와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를 통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 베이스(130)와 함께 기판(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이루는 공간을 분리하여 로터리 스위치부(4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작동 시 간섭 발생을 방지하는 공간 분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 홀더(120)의 중앙에는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삽입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가 마련된다.
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판(20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전기 소자는 기판(200)에 형성되는 배선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플렉서블 기판이나 케이블과 같은 별토 부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소자는 기판(200)의 양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202)가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기판(200)의 일단에는 기판 커넥터(201)가 구비된다. 기판 커넥터(201)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제어부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기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일단이 하우징부(100)에 수용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포함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사전 설정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부로 노출된 끝단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스위치 노브(700)가 결합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형, 또는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축회전 또는 틸팅 동작의 중심을 이룰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하우징 홀더(120)와 로터리 스위치부(400)의 로터리 블록(4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에는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가 돌출 구비된다.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축방향 회전 운동, 수평 가압력에 의한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운동,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시 운동 등의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축회동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로 제어부와 같은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직접적인 접촉 방식의 스위치로 구현된다. 즉,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블록(410)과,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를 포함한다. 로터리 블록(410)은 기판(2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로터리 블록(410)은 스위치 샤프트 힌지(3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로터리 블록(410)의 내측에는 로터리 블록 수용 가이드(413)가 구비된다. 로터리 블록 수용 가이드(413)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와 맞물림 가능하다.
또한 로터리 블록(410)은 기판(200)을 향한 단부, 즉 상단에 복수의 로터리 블록 가동부(415)를 구비한다. 로터리 블록 가동부(415)는 기판(200) 측을 향하여 돌출 내지 요홈 형상을 취한다. 즉, 로터리 블록 가동부(415)는 소정의 높낮이를 갖는 단차 구조로 형성된다. 로터리 블록 가동부(415)는 회전하면서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기판(200)의 저면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로터리 블록(410)이 스위치 샤프트부(310)와 함께 축회동하는 경우 로터리 블록 가동부(415)의 단차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즉,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축회전에 의하여 로터리 블록(410)이 회전할 때, 로터리 블록 가동부(415)가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에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동작을 통해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의 온/오프 상태가 절환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리 블록 가동부(415)와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로터리 블록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로터리 블록(410)의 회전에 따른 보다 정확한 로터리 동작 신호 구현이 가능하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그 동작 시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축회전을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게 하는 로터리 디텐트부(430)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부(430)는 로터리 디텐트(431)와,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와, 로터리 디텐트 로드(433)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로터리 블록(410)의 저면에 배치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는 하우징 베이스(130)에 지지되며, 로터리 디텐트 로드(433)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로터리 디텐트(435)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곡선 프로파일을 갖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프로파일 타입의 로터리 디텐트(431)는 디텐트 스테이블 포지션(4311)과, 디텐트 경사 포지션(4313)을 포함한다. 디텐트 스테이블 포지션(4311)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로터리 디텐트 로드(433)가 이에 접하게 된다. 디텐트 경사 포지션(4313)은 디텐트 스테이블 포지션(4311)과 연결된다.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로터리 디텐트 로드(433)가 디텐트 경사 포지션(4313)에 접촉하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로터리 디텐트 로드(433)가 디텐트 경사 포지션(4313)을 따라 디텐트 스테이블 포지션(4311)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터리 디텐트(431)는 단순한 디텐팅 촉각을 제공하는 기능을 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회동을 원위치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푸시 스위치부(600)는 푸시 홀더(610)와, 푸시 스위치(620)와, 푸시 리턴부(630)를 포함한다.
푸시 홀더(610)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200)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될 수 있다.
푸시 홀더(610)는 푸시 홀더 바디(611)와, 푸시 홀더 사이드(615)와,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포함한다. 푸시 홀더 바디(611)의 중앙에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가 마련된다. 푸시 홀더 사이드(615)는 푸시 홀더 바디(611)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푸시 홀더 사이드(615)는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지지한다.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푸시 홀더 사이드(615)로부터 스위치 샤프트부(310)의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이동할 때 푸시 스위치(62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푸시 스위치(620)는 기판(200)의 저면에 배치되고, 푸시 홀더(61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푸시 스위치(620)의 푸시 동작 스트로크는 로터리 스위치(420)의 가동 스트로크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시 동작의 스트로크를 증대시키면 과도한 동작 내지 과소한 동작으로 인한 스위치 파손, 또는 미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홀더(6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푸시 홀더(610)를 탄성 지지한다.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리턴 바디(631)와, 푸시 리턴 사이드(633)와, 푸시 리턴 러버캡(635)을 포함한다. 푸시 리턴 바디(621)는 중앙에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632)가 형성된다. 푸시 리턴 사이드(633)는 푸시 리턴 바디(621)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푸시 리턴 사이드(633)의 일면으로부터 푸시 리턴 러버캡(635)이 돌출 구비된다. 푸시 리턴 러버캡(635)은 푸시 홀더 사이드(615)를 탄성 지지하여 수직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푸시 리턴 바디(621)와 푸시 리턴 사이드(633) 및 푸시 리턴 러버캡(635)은 일체화될 수도 있고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와,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부(100) 내에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20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 및 스위치 샤프트부(30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탄성부(553)와, 리턴 그루브(557)를 포함한다.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리턴 탄성부(553)는 하우징부(100)에 지지되어 리턴 플런저(555)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리턴 플런저(557)는 하우징 커버(110)에 지지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축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턴 그루브(557)는 리턴 플런저(555)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원위치 복귀시킬 수 있다. 리턴 그루브(557)는 디렉셔널 슬라이부(510)에 형성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와,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하우징 커버(110) 사이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관통 배치된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홀더(120) 사이에 배치된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중앙에는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관통할 수 있는 미디엄 관통구(533)가 구비된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에는 미디엄 사이드(535)가 형성된다. 미디엄 사이드(535)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져 디렉셔널 리턴부(55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를 구비한다.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일면, 즉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아랫면, 즉 하우징 홀더(12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는 하우징 커버(110)의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를 향한 내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될 수 있다. 즉,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맞물리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가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동일 평면 상에서 투영되는 경우 90도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 및 하우징 베이스(130) 사이에 배치된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관통하는 바텀 관통구(542)가 구비되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를 포함한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상면에는 바텀 가이드(541)가 배치된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측면에는 리턴 그루브(557)가 형성될 수 있는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가 연장 형성된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하부에는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킬 수 있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에 디렉셔널 틸팅 동작을 위한 외력이 가해질 때, 기판(200)에 대해 4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가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각 꼭지점 단부 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 중 적어도 하나에는 리턴 플런저(555)의 진입을 제한하는 리턴 더미 그루브(557d)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4개가 구비되고 이들 중의 하나 이상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는 리턴 그루브(557) 대신 리턴 더미 그루브(557d)가 배치되어 리턴 플런저(555)가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제조 시 작업자가 리턴 플런저(555)의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오조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총 4개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취하면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만 리턴 더미 그루브(557d)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최소 부품으로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디텐팅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스위치 노브(70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하우징부(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연결된다.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한쪽 끝단이 하우징부(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700)와 연결된다. 하우징부(100)와 스위치 노브(700) 사이에는 노브 넥 하우징(800)이 배치된다. 노브 넥 하우징(800)은 하우징부(100)에 결합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싼다.
도 1,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치 노브(7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결합되는 노브 바디(710)와, 노브 바디(7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730)와, 노브 바디(7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컨퍼메이션 스위치부(750)와, 노브 스토퍼부(790)를 포함한다. 노브 스토퍼부(790)는 스위치 노브(700)의 이중 동작 규제를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브 바디(710)는 노브 바디 베이스(711)와, 노브 바디 커버(712)와, 노브 샤프트 연결부(717)를 포함한다. 노브 샤프트 연결부(717)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노브 바디 베이스(711)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노브 바디 커버(712)는 노브 바디 베이스(711)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노브 바디 베이스(711)에 결합되며, 노브 바디 베이스(711)와 노브 바디 커버(712)의 사이에는 다른 구성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노브 바디 커버(712)에는 노브 바디(710)의 내외측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노브 마크부(713)가 마련된다. 노브 마크부(713)는 센터 마크(714)와, 센터 마크(714)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마크(715)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브 마크부(713)를 통해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의 동작에 관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는 네 개의 사이드 마크(715)가 센터 마크(714)를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노브 마크부(713)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노브 바디(710)의 내측에는 노브 기판(720)과, 노브 지지돌기(725)와, 노브 조명부(730)가 배치된다. 노브 기판(720)에는 전원이나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전극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노브 지지돌기(725)는 노브 조명부(730)에 구비되는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가 노브 기판(7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노브 조명부(730)는 노브 마크부(713)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노브 바디(710)의 내측에 배치된다. 노브 조명부(730)는 노브 마크부(713)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노브 마크부(713)의 시인성을 높여주고, 다양한 색상의 빛을 노브 마크부(713)를 통해 출사시킴으로써 노브 마크부(713)를 통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의 작동 상태에 따라 노브 조명부(730)가 상이한 색상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노브 조명부(730)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의 작동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노브 조명부(730)는 노브 광원 소자(731)와,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를 포함한다.
노브 광원 소자(731)는 노브 기판(720)에 결합되어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에 빛을 조사한다. 노브 광원 소자(731)는 LED 등 빛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노브 광원 소자(731)는 복수 개가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의 둘레에 이격 배치된다.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는 복수의 노브 광원 소자(731)에서 발생하는 빛을 노브 마크부(713)로 가이드한다. 노브 마크부(713)가 넓은 경우 노브 광원 소자(731)로 노브 마크부(713) 전체에 균일한 빛을 조사하기가 쉽지 않은데,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를 이용하면 적은 수의 노브 광원 소자(731)를 이용하여 노브 마크부(713)에 빛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는 노브 기판(720)의 상측에 노브 광원 소자(731)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와 노브 광원 소자(731)를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면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와 노브 광원 소자(731)를 상하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스위치 노브(7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와,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740)를 포함한다.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노브 광원 소자(731)와 마주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735)가 구비된다. 그리고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일면에는 노브 바디 커버(712)의 노브 마크부(713)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736)가 마련된다.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는 전후좌우 대칭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는 여덟 개의 변을 갖는 팔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735)는 네 개가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변들 중에서 두 개씩 상호 마주하는 두 쌍의 변들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변들 중에서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735)가 배치되는 변들은 다른 변들에 비해 길이가 짧다.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735)는 대략 노브 광원 소자(731)의 광출사부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변들 중에서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735)가 배치되지 않은 변들에는 라이팅 가이드 고정홈(737)이 마련된다. 노브 라이팅 가이드(733)를 노브 기판(720) 상에 설치할 때, 노브 기판(7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노브 지지돌기(725)가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고정홈(737) 각각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노브 지지돌기(725)는 적어도 일부가 라이팅 가이드 고정홈(737)에 삽입되어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측부에 접함으로써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740)는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735)를 통해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내측으로 입사되는 빛을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736)로 반사시키기 위해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타면에 배치된다.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740)는 노브 마크부(713)의 센터 마크(7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터 엠보싱부(741)와, 노브 마크부(713)의 복수의 사이드 마크(715)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744)를 포함한다.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744)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중심 외측에 이격 배치된다. 사이드 엠보싱부(744)는 도시된 것과 같이 네 개가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무게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엠보싱부(741)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2)를 포함하고, 사이드 엠보싱부(744)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5)를 포함한다. 센터 엠보싱부(741)의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2)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빛을 센터 마크(714) 측으로 반사시키고, 사이드 엠보싱부(744)의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5)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빛을 사이드 마크(715) 측으로 반사시킨다. 센터 엠보싱부(741)의 넓이는 센터 마크(714)의 넓이보다 크고, 사이드 엠보싱부(744)의 넓이는 사이드 마크(715)의 넓이보다 크다.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의 크기에 따라 노브 마크부(713)로 반사되는 광량이 달라지게 된다. 즉, 도 13의 (a)와 같이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7)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7)에 의해 노브 마크부(713)로 반사되는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반면, 도 13의 (b)와 같이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8)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8)에 의해 노브 마크부(713)로 반사되는 광량이 상대적으로 작다. 노브 마크부(713)로 반사되는 광량이 많으면 노브 마크부(713) 중에 음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의 크기와 배치 구조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노브 마크부(713)를 음영이 발생하지 않게 조명할 수 있다.
센터 엠보싱부(741)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2)의 직경은 사이드 엠보싱부(744)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45)의 직경보다 작다. 그리고 센터 엠보싱부(741)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742) 간의 이격 거리는 사이드 엠보싱부(744)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742)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크다. 센터 엠보싱부(741)의 경우 복수의 노브 광원 소자(731)에서 조사되는 빛이 집중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이에 구비되는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742)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742)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센터 마크(714)를 밝기를 사이드 마크(715)의 밝기에 맞출 수 있다.
노브 조명부(730)는 도시된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노브 광원 소자(731)의 개수나,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의 형상,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740)의 구조는 노브 마크부(713)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가 팔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라이팅 가이드 바디(734)는 팔각형 이외의 다양한 다른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센터 엠보싱부(741)가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엠보싱부(744)가 실질적으로 육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센터 엠보싱부(741)나 사이드 엠보싱부(744)의 형상이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노부 조명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노브 조명부(760)는 노브 광원 소자(731)와, 노브 라이팅 가이드(763)를 포함한다. 노브 광원 소자(731)는 상술한 것과 같다.
노브 라이팅 가이드(763)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64)와,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770)를 포함한다. 라이팅 가이드 바디(764)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노브 광원 소자(731)와 마주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765)가 구비된다. 그리고 라이팅 가이드 바디(764)의 일면에는 노브 바디 커버(712)의 노브 마크부(713)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766)가 마련된다.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766)는 오목면으로 이루어진다.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770)는 센터 엠보싱부(771)와, 센터 엠보싱부(771)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784)를 포함한다. 센터 엠보싱부(771)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64)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72)를 포함하고, 사이드 엠보싱부(784)는 라이팅 가이드 바디(764)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785)를 포함한다.
이 밖에 노브 조명부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가 평면이나, 오목면, 또는 볼록면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여 광경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컨퍼메이션 스위치부(750)는 노브 바디(710)의 측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퍼메이션 스위치 노브(751)와, 노브 바디(7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컨퍼메이션 스위치(753)를 포함한다. 컨퍼메이션 스위치(753)는 컨퍼메이션 스위치 노브(751)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노브 기판(720)에 설치된다.
컨퍼메이션 스위치부(750)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확인을 위한 용도 또는 차량 조작을 위한 다양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퍼메이션 스위치부(750)는 차선이탈경보, 추돌방지 등의 차량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이나 반자율,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 등을 통한 차선 변경, 앞차 거리 설정 등의 차량 주행 안전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퍼메이션 스위치부(750)를 통한 신호 존재를 체크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조작 의지가 반영된 입력인지 아니면, 운전자의 다른 동작,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조작 과정 상에서 의도치 않은 단순 접촉으로 인한 입력인지 여부 등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컨퍼메이션 스위치부(750)의 조작되는 경우, 노브 조명부(730)가 컨퍼메이션 스위치부(750)의 조작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20 : 외부 케이스 100 :하우징부
200 : 기판 300 : 스위치 샤프트부
400 : 로터리 스위치부 500 : 디렉셔널 스위치부
600 : 푸시 스위치부 700 : 노브
730, 760 : 노브 조명부 750 : 컨퍼메이션 스위치부

Claims (13)

  1. 내외측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노브 마크부가 마련된 노브 바디; 및
    상기 노브 마크부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조명부는, 빛을 발생하는 노브 광원 소자와, 상기 노브 광원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노브 마크부로 가이드하는 노브 라이팅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 라이팅 가이드는,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브 광원 소자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구비되고 일면에 상기 노브 마크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가 마련된 라이팅 가이드 바디와,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내측으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돌기를 갖는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는,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중심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마크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엠보싱부의 넓이는 상기 사이드 마크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마크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드 마크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는, 상기 센터 마크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엠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엠보싱부의 넓이는 상기 센터 마크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의 직경이 상기 사이드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 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사이드 엠보싱부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 돌기들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는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노브 광원 소자는 상기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와 각각 마주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는 대칭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 엠보싱부는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무게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는 여덟 개의 변을 갖는 팔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는 네 개가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변들 중에서 두 개씩 상호 마주하는 두 쌍의 변들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변들 중에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배치되는 변들은 다른 변들에 비해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는 그 변들 중에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배치되지 않은 변들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고정홈 각각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는 복수의 노브 지지돌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는 오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바디의 측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퍼메이션 스위치 노브와, 상기 컨퍼메이션 스위치 노브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컨퍼메이션 스위치를 구비하는 컨퍼메이션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퍼메이션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노브 조명부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노브.
  13.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회전을 감지 출력하는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와, 사용자 조작을 위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외측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노브 마크부가 마련된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마크부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조명부는, 빛을 발생하는 노브 광원 소자와, 상기 노브 광원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노브 마크부로 가이드하는 노브 라이팅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 라이팅 가이드는,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노브 광원 소자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가 구비되고 일면에 상기 노브 마크와 마주하는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가 마련된 라이팅 가이드 바디와,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입사부를 통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내측으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라이팅 가이드 광출사부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라이팅 가이드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라이팅 가이드 반사돌기를 갖는 라이팅 가이드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0170120545A 2016-10-27 2017-09-19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59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45A KR102594479B1 (ko) 2017-09-19 2017-09-19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CN201790001372.3U CN210156301U (zh) 2016-10-27 2017-10-27 开关旋钮和具有该开关旋钮的操作模块
PCT/KR2017/012007 WO2018080234A1 (ko) 2016-10-27 2017-10-27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오퍼레이팅 모듈
US16/345,223 US10886083B2 (en) 2016-10-27 2017-10-27 Switch knob and operating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45A KR102594479B1 (ko) 2017-09-19 2017-09-19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66A true KR20190032066A (ko) 2019-03-27
KR102594479B1 KR102594479B1 (ko) 2023-10-27

Family

ID=6590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545A KR102594479B1 (ko) 2016-10-27 2017-09-19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267Y1 (ko) * 1994-09-28 1998-04-21 배순훈 전자제품의 기능스위치작동노브 체결구조
JP2008021613A (ja) * 2006-07-14 2008-01-31 Tokai Rika Co Ltd 照明装置
KR200441429Y1 (ko) * 2007-03-12 2008-08-18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101211210B1 (ko) 2011-10-07 2012-12-11 주식회사 대동 차량용 노브 스위치 장치
KR20160052896A (ko) * 2014-10-29 2016-05-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70051704A (ko) * 2015-10-30 2017-05-1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267Y1 (ko) * 1994-09-28 1998-04-21 배순훈 전자제품의 기능스위치작동노브 체결구조
JP2008021613A (ja) * 2006-07-14 2008-01-31 Tokai Rika Co Ltd 照明装置
KR200441429Y1 (ko) * 2007-03-12 2008-08-18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101211210B1 (ko) 2011-10-07 2012-12-11 주식회사 대동 차량용 노브 스위치 장치
KR20160052896A (ko) * 2014-10-29 2016-05-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70051704A (ko) * 2015-10-30 2017-05-1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479B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960737B1 (ko)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10522308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KR101850842B1 (ko)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KR101189026B1 (ko) 스티어링 휠 햅틱 스위치 장치
JP2022156181A (ja) 操作ボタンスイッチ、操作装置、エレベータおよび自動運転車両
KR20190032066A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11735379B2 (en) Keyswitch assembly
KR10250645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CN210156301U (zh) 开关旋钮和具有该开关旋钮的操作模块
US20130248343A1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KR20140076349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514154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10011098A (ko) 접촉 및 비접촉식 차량용 룸램프 스위치 장치
JP2005122294A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JP7446208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190071501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116997B1 (ko) 스위치 장치
KR102598067B1 (ko) 슬림형 텀블러 버튼의 조명장치
KR2019004283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US11415739B2 (en)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a symbol and input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46127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오퍼레이팅 모듈
KR20180046125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