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896A -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896A
KR20160052896A KR1020140148226A KR20140148226A KR20160052896A KR 20160052896 A KR20160052896 A KR 20160052896A KR 1020140148226 A KR1020140148226 A KR 1020140148226A KR 20140148226 A KR20140148226 A KR 20140148226A KR 20160052896 A KR20160052896 A KR 2016005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housing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647B1 (ko
Inventor
홍영록
정태섭
김근희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6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28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rotatable knob or wh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스위치 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및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를 포함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스위치부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브 기판과, 상기 노브 하우징 내부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와의 사이에 상기 노브 기판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와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 간의 상대 회동을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이루되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되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기능이 콘솔 스위치로 집중된다.
근래 자동차의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정확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스위치 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및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를 포함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스위치부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브 기판과, 상기 노브 하우징 내부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와의 사이에 상기 노브 기판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와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 간의 상대 회동을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힌지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가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고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고 타단이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와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의 내측 일면으로 상기 노브 기판을 향하여 복수 개의 로터리 엔코더 슬릿을 구비하는 로터리 엔코더와, 상기 노브 기판에 상기 로터리 엔코더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 바디를 축으로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 대하여 축회동하는 경우, 상기 로터리 엔코더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에 배치되는 로터리 엔코더의 회동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를 향하여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의 저면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의 내측 일면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로터리 디텐트 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는 상기 노브 기판을 상기 노브 스위치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 탄성부(202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하우징은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와 맞물림 결합되는 노브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내지 조작을 위한 용도로 빛을 통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노브 조명부(20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브 조명부(2070)는; 상기 노브 기판의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 램프(2071)와, 상기 노브 조명 램프의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가 상기 노브 커버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브 조명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노브 하우징 커버 측으로 전달하는 노브 조명 가이드(207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디렉셔널 스위치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키는 디렉셔널 리턴부를 구비하되, 상기 디렉셔널 리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리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리턴 탄성부와, 상기 리턴 플런저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위치를 포함하는 리턴 그루브를 구비하되, 상기 리턴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 배치되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외주에 관통 장착되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으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를 향한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일면에는 상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와 맞물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타면에는 미디엄 로워 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에 형성되는 바텀 가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는: 상기 일면 상에 상기 바텀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되고 내측면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접촉하는 바텀 관통구가 구비되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미디엄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리턴 그루브가 형성되는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와, 상기 바텀 슬라이드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동일 평면 상에서 투영되는 경우 90도 교차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과, 상기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 인가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무빙 포지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하부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접촉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힌지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가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고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고 타단이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와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되는 푸시 홀더(610)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61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 스위치(620)와, 상기 푸시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610)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부(6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를 수용 접촉하는 푸시 홀더 바디와, 상기 푸시 홀더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푸시 홀더 사이드와,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로부터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수직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푸시 홀더 가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턴부는: 상기 푸시 홀더 바디와 접촉하는 푸시 리턴 바디와, 상기 푸시 리턴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푸시 리턴 사이드와, 상기 푸시 리턴 사이드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 러버캡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 바디에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리턴 바디에는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의 저면에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가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푸시 동작을 이루는 외력만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틸팅 동작을 이루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가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스위치부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스위치 장치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 공조 장치 등의 차량의 실내 사용되는 전기적 동작을 선택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속하고 정확한 스위칭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부의 노브 스위치부를 터치 스위치를 포함하여 문자 인식, 멀티 처치 등의 다양하고 간편한 스위칭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부에 구비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의 노브 하우징 탄성부를 통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노브 스위치부를 가압하여 상단에서의 간극을 최소화시켜 별도의 구성요소를 부가하지 않고 노브 하우징 베이스와 일체화된 구조를 통하여 조립성 개선 및 감도 증진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부에 구비되는 노브 스위치부는 NFC 안테나부를 구비하여 외부 전기 기기 내지 태그 등과의 NFC 통신을 통한 사전 설정 모드 등의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노브부에 구비되는 노브 스위치부는 제스쳐 센서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비접촉 동작을 통한 사전 설정 모드 등의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스위치 센서 등을 기판 측으로 집중시켜 전기적 배선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킴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진으로 인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기판의 사용 등의 컴팩트한 구성 또는 다양한 동작의 배치 영역의 구획 등을 통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구성요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하부에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배치되는 구조,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디렉셔널 스위치를 로터리 스위치부 및 푸시 스위치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각을 최소화시켜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는 노브 등이 하우징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간섭 발생을 방지하여 노브와 하우징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하우징 커버 관통구 등을 통한 이물 유입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고, 노브 등과의 간섭 가능성을 방지 내지 저하시켜 구성요소의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통한 푸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제조 원가 절감과 더불어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선 I-I 및 선 II-II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조립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노브 하우징 아우터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 및 선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변형예에 대한 다른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디렉셔널 틸팅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 및 스위치 샤프트 힌지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장치(1)는 오퍼레이팅 하우징(2)을 구비하고, 오퍼레이팅 하우징(2)에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유니트(10)와 버튼 스위치(30)가 장착되는데, 버튼 스위치(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다양한 모드 및 메뉴 선택 기능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버튼 스위치(30)는 터치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가압식 푸시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부(100)와 기판(200)과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로터리 스위치부(4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와 푸시 스위치부(600)를 포함하고 하우징부(100)의 상단에 이격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2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노브부(20)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니트로서 다양한 조작 상태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 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오퍼레이팅 하우징(2)에 삽입 장착되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의 하단부를 설명하고, 그런 후 상단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2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의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기판(200)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맞물리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에는 하기되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스위치 노브부(20)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스위치 노브부(20)를 통하여 운전자 등의 사용자의 조작력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홀더(120)를 더 구비하는데,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함께 기판(200)을 지지할 수도 있다.
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기판(20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이들 전기 소자는 기판(200)에 형성되는 배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요소, 예를 들어 플렉서블기판 내지 케이블과 같은 요소들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기판(200)은 본 실시예에서 양면 기판으로 구현되어 양면에 각종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202)가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기판(200)의 일단에는 기판 커넥터(201)가 형성되는데, 기판 커넥터(201)에는 커넥터(203)가 연결되고 커넥터(203) 및 커넥터(203)에 연결되는 와이어 배선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전원 공급 및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일단이 하우징부(100)에 수용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스위치 노브부(20)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포함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사전 설정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타입으로 구현되고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하우징 홀더(120)의 내부에 일정한 회동을 이루고 직선 가동의 일정한 제한이 이루어지는 범위에서 하우징 홀더(120) 내부에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스위치 노브부(20)가 장착되어 운전자 등의 그립을 원활하게 하여 소정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본 실시예에서 구형 형상을 취하는데 구체적 설계 사양에 따라 변형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실질적인 회동 중심을 이루는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하우징 홀더(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 홀더(120)에 형성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122)와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124)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122)와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124)는 서로 맞물리어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는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122)에 형성되고,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124)의 내측에는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가 형성되는데,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에 형성되는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가 일정한 거리만큼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와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는 상대적인 축방향 회동을 방지하도록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와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의 축방향, 즉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축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의 상대 가동은 허용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축길이 방향으로 장방형 구조를 취하여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의 원주 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스위치 샤프트부의 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가 큰 값을 갖는 구조를 취하는데,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의 원주 방향에 대한 길이를 횡방향 길이 A, 축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를 종방향 길이 B라 할 때, 종횡비(AR=B/A)는 1보다 큰 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와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는 소정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여 양자 간의 상대 회동은 제한된다.
하우징 홀더(120)의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124)의 외주에는 홀더 로워 바디 지지부(1243)가 구비되는데, 홀더 로워 바디 지지부(1243)는 하우징 베이스(130)에 배치되는 베이스 홀더 지지부(131)와 맞물린다. 베이스 홀더 지지부(131)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고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하기되는 푸시 스위치부(600)의 푸시 홀더(610)와 푸시 리턴부(630)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하우징 홀더 로워 바디(124)와 하우징 홀더 어퍼 바디(122)의 내부 공간에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가 안정적인 회동 위치를 점유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축방향 회전 운동, 수평 가압력을 통한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운동, 및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하방향으로 압입하는 압입 푸시 운동 등의 복합적인 운동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의 회동 중심점으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위치는 하우징부와 기판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기판(200)과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 더욱 구체적으로, 기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기판(200)과 하우징 커버(11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회동 중심인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로부터 이격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가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최소화시켜 하우징 커버 등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켜 하우징 커버 등을 통한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32에는 디렉셔널 틸팅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 및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동작 상태도가 도시되는데,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단부에는 노브(109; 본 실시에에서는 스위치 노브부(120)에 대응)가 배치된다. 정상 상태에서 스위치 샤프트 바디는 선 O-A 상에 배치되고, 본 발명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디렉셔널 틸팅 동작으로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키기 위한 위치를 선 I-I 상의 P라 할 때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위치 P에 도달할 때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는 선 O-B 상에 배치되며 이때 노브(109)의 단부는 도면 부호 Q로 지시된 위치를 점유한다.
반면, 본 발명의 구조와 달리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가상의 중심점(Ovrt)를 점유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위치 P까지 스위치 샤프트가 이동할 때의 스위치 샤프트는 선 Ovrt-C 상에 배치되고, 이 때 노브(109)의 단부는 Qvrt의 위치를 점하게 된다. 선 II-II를 소정의 기준선이라 할 때 선 II-II로부터 각각의 경우에 대한 노브(109)의 단부(Q,Qvrt)의 거리는 L1, L2로 표시되고, L1>L2(L1-L2=L3>0)의 관계를 이루게 된다.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의 하부 배치 구조를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디렉셔널 틸팅 각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노브(109)의 하우징부를 향한 이동 거리를 최소화시키고 이로부터 노브(109)와 하우징부의 하우징 커버와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하우징 커버 측을 통한 이물 유입 가능성을 저감시키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부(500, 도 8 참조)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디렉셔널 동작, 즉,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중심으로 측면 이동시키는 힘을 인가하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동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판(200)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평면 상에서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출력한다.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와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부(100)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기판(200)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가동 운동을 이루어,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운동이 기판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평면 운동으로 전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20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200)의 일면으로 기판(200)의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상면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홀더(120)를 통하여 구획 분할되는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가동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 도 12 참조)와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하우징 커버(11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홀더(120) 사이에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중앙에는 미디엄 관통구(533)가 구비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관통을 허용한다.
또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에는 미디엄 사이드(535)가 형성되는데, 미디엄 사이드(535)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에 제거된 홈을 형성하여 하기되는 디렉셔널 리턴부의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소정의 플레이트 구조를 형성하고, 디렉션러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를 구비하는데,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일면, 즉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고,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아랫면, 즉 하우징 홀더(12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 도 12 참조)는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으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를 향한 저면에 형성되고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맞물리어 상대 운동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가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 및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면 상에서의 가동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는 요홈 형상으로 그리고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가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양자는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타면, 즉 저면에는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가 형성되는데,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하기되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바텀 가이드(541)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요홈 구조로 그리고 바텀 가이드(541)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는데, 반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와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와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를 포함하는데,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는 일면 상에 상기 기술된 바텀 가이드(541)가 형성되고, 중앙에 바텀 관통구(542)가 형성된다. 바텀 관통구(542)는 상기 미디엄 관통구(533)와 동심 구조를 이루나, 바텀 관통구(542)의 내경은 미디엄 관통구(533)의 내경보다 작은 값을 구비하는데, 바텀 관통구(542)의 내경은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직경에 근사한 값을 구비하여 바텀 관통구(542)의 내측면은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운동시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가 함께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이룰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바텀 관통구(542)의 내측면은 각형 구조를 이루고, 대응되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면도 대응되는 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일면 상에는 바텀 슬라이드 돌기(543)가 형성되어 상면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의 접촉면을 최소화시키는 점접촉 구조를 형성하여 접촉 저항을 줄이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 측에 돌기 구조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하다.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별개물로 형성되어 바텀 슬라이드 바디와 체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미디엄 사이드(535)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는 하기되는 리턴 그루브(557)가 형성된다.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하부에 형성되고,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가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이루는 경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기판 상으로 바텀 관통구(542)의 인근 외측 등반경 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0)는 디렉셔널 스위치(560)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4개가 구비되고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도 이에 대응하여 4개의 가동면을 갖는 실질적인 사각형 돌출물 구조를 형성하는데, 각각의 할당된 가동면이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접촉을 이루어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변화된 신호 출력을 생성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저면에 배치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실질적인 사각형 돌출물 구조로 형성되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시 원활한 가동을 이루고 디렉셔널 동작시 안정적인 접촉 및 분리 동작을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곡된 원호 형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 즉 스위치 샤프트의 틸팅 운동에 의한 수평면 상에서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인 디렉셔널 틸팅 운동은 디렉셔널 톱 슬라이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및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와 미디엄 어퍼 가이드 간의 상대 운동, 미디엄 로워 가이드와 바텀 가이드 간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동일 평면 상에 투영되는 경우 각각의 길이가 이루는 방향이 90도 교차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실질적으로 디렉셔널 틸팅 운동의 수평면 상에서의 어느 위치로의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스위치 샤프트부에 인가되는 외력 제거후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 및 스위치 샤프트부(300)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킨다.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리턴 탄성부(553)와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그루브(557)를 포함하는데,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10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커버(110)에는 리턴 장착부(551, 도 11 참조)가 형성되는데, 리턴 장착부(551)에 리턴 플런저(555)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리턴 플런저(555)는 로드 타입으로 형성되고, 리턴 플런저(555)의 단부는 리턴 그루브(557)를 향하여 배치된다. 리턴 플런저(555)가 배치되는 리턴 장착부(551)에는 리턴 탄성부(553)가 배치되는데, 리턴 탄성부(553)는 리턴 장착부(551)의 내부 일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리턴 플런저(555)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하우징 커버(110)에 대하여 탄성 지지한다.
리턴 그루브(557)는 리턴 플런저(555)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정상 상태의 경우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탄성부(553)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원위치 복귀시켜, 궁극적으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데,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100)의 리턴 장착부(551)에서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축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축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리턴 탄성부(55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리턴 그루브(557)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 형성된다.
리턴 그루브(557)는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558)과 그루브 무빙 포지션(559)을 포함하는데,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558)은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리턴 플런저(555)의 단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그루브 무빙 포지션(559)은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558)의 외측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어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중심위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리턴 플런저(555)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디렉셔널 리턴부(550)의 간결한 동작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외력 성분이 인가후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원위치로 안정적으로 복귀 동작을 이룰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부(6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데, 푸시 스위치부(600)는 푸시 홀더(610)와 푸시 스위치(620)와 푸시 리턴부(630)를 구비한다.
푸시 홀더(610)는 적어도 일부가 스위치 샤프트(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홀더(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된다. 푸시 스위치(620)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되나, 경우에 따라 비접촉식 자기 센서 스위치 및 마그네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푸시 스위치 홀더(62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 홀더(620)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푸시 스위치(620)는 기판(200)의 저면에 배치된다.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푸시 홀더(610)를 탄성 지지하여 푸시 홀더(6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610)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 홀더(610)는 푸시 홀더 바디(611)와 푸시 홀더 사이드(615)와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포함하는데, 푸시 홀더 바디(611)는 중앙에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를 구비하고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를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푸시 홀더 사이드(615)는 푸시 홀더 바디(611)의 외측으로 푸시 홀더 바디(61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푸시 홀더 사이드(615)에는 푸시 홀더 가동부(617)가 배치된다.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푸시 홀더 사이드(615)로부터 스위치 샤프트부(310)의 수직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620)를 가동시키는데,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기판(200) 측을 향하여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푸시 홀더 가동부(617)의 단부가 푸시 스위치(620)의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고, 푸시 압입력이 가해져 푸시 홀더 가동부(617)가 이동하는 경우 푸시 스위치(620)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신호 변화를 생성하도록 한다.
외력이 제거되고 난 후, 푸시 스위치부(60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하여 푸시 리턴부(630)가 더 구비되는데,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리턴 바디(631)와 푸시 리턴 사이드(633)와 푸시 리턴 러버캡(635)를 포함한다. 푸시 리턴 바디(621)는 중앙에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632)가 형성되어 소정의 링 형상을 구비하는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푸시 홀더 바디(6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푸시 홀더 바디(611)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푸시 리턴 사이드(633)가 푸시 리턴 바디(621)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푸시 리턴 사이드(633)의 일면으로부터 푸시 리턴 러버캡(635)이 돌출 배치된다. 푸시 리턴 바디, 푸시 리턴 사이드 및 푸시 리턴 러버캡은 일체화될 수도 있고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푸시 리턴 러버캡(635)은 푸시 홀더 사이드(615)를 탄성 지지하여 수직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또한, 푸시 리턴부를 통한 원위치 복귀하는 경우 푸시 홀더의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를 위한 안내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측에는 베이스 푸시 가이드(133)가 형성되고, 베이스 푸시 가이드(133)를 따라 푸시 홀더 가동부(617)의 측단이 삽입되어 안정적인 상대 수직 가동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원치 않는 두 개의 동작이 동시에 구현되어, 예를 들어 푸시 동작과 디렉셔널 틸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 신호 출력 혼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135)가 형성되고,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135)의 외주에는 베이스 푸시 스톱퍼(137, 도 12 참조)가 형성된다.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는 소정의 요홈 구조를 취하는데, 푸시 동작을 이루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하단에 배치되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를 수용을 허용한다. 반면, 디렉셔널 틸팅 동작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가 축 길이 방향 압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는 베이스 푸시 스톱퍼(137)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압입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의 스위치 노브부(2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 노브부(20)는 노브 기판(210)과 노브 하우징(2010)과 노브 스위치부(2060)를 구비한다. 노브 스위치부(2060)는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노브 하우징(2010)은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를 포함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 즉 노브 기판(210)과 노브 스위치부(2060)을 안정적으로 수용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은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와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을 포함하는데,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는 소정의 원형 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고,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의 하면 중앙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가 배치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의 외주에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이 배치되는데, 이는 레이디얼 베어링 등의 베어링 구조를 이루어 내측과 외측의 상대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 배치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와의 상대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는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이 배치되고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의 중앙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가 형성되고,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를 구획하는 내측 단부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이 형성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과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가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이 배치된다. 즉,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원주 방향 및 샤프트 길이 방향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 베어링(2029)이 배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회동 제한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에 대하여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지지 상태를 형성하며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의 노브 하우징 커버(2030)를 향한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노브 하우징 베이스 탄성부(2025)가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베이스 탄성부(2025)는 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화살표와 같은 쐐기 형상을 구비하여 상방향, 즉 노브 하우징 커버(2030) 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가 서로 맞물리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 배치되는 노브 스위치부(2060) 및/또는 노브 기판(210)의 안정적인 위치 유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0)의 하면에는 하기되는 로터리 디텐트부(430)의 로터리 디텐트(431)가 구비된다.
노브 하우징 커버(2030)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일면 상에는 소정의 아이콘(2031)이 형성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2070)로부터 발생하는 빛의 외부 출사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 동작에 대한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외주에 노브 하우징 데코링(2050)이 배치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구성요소의 마무리 품질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노브 기판(210)은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노브 기판(210)의 일면에는 노브 기판 커넥터(211)가 배치되고 노브 기판 연결 커넥터(213)와 연결되는 노브 기판 연결 라인(215)를 통하여 기판(200) 측과 연결된다
한편, 노브 스위치(2060)는 노브 기판(21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소정의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노브 스위치(2060)는 터치 기능을 하는 터치 스위치로 구현된다. 터치 기능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노브 스위치(2060)는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하면에 간극을 최소화하며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하면과 노브 스위치(2060)의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구현되는 노브 스위치 접착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기술한 노브 하우징 탄성부(2025)를 통하여 소정의 상방향 가압력이 작용하여 양자 간의 간극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 한편, 스위치 노브부(2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내지 조작을 위한 용도로 빛을 통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노브 조명부(2070)가 배치된다. 노브 조명부(2070)는 노브 조명 램프(2071)와 노브 조명 가이드(2073)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 조명 램프(2071)는 led로 구현될 수 있고, 노브 조명 램프(2071)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노브 조명 가이드(2073)를 거쳐 상부로 전달된다. 노브 조명 가이드(2073)는 아이콘(2031)의 대응되는 위치로 원주 방향 배치되는 영역도 구비되고, 중앙을 향하여 배치되는 세레이션 구조의 경사 영역도 구비되는데 이를 통하여 노브 하우징 커버(2030) 측으로 빛을 전달할 수 있다.
노브 조명 가이드(2073)는 하단에 지지부가 구비되고 이는 노브 기판(210)을 관통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0)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 동작 구현의 일예로서 스위치 노브부(20)의 회동 로터리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홀더 로워 바디 수용 가이드(1241)와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는 소정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여 양자 간의 상대 회동은 제한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본 발명의 로터리 회동 동작은 스위치 노브부(20)의 적어도 일부와 스위치 샤프트부(300) 간에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 노브부(20)의 노브 하우징(2010)은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를 더 구비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는 하단의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상단과 맞물림 결합되어 회동 제한되고 소정의 푸시 내지 틸팅 동작만이 허용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가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 및 노브 하우징 커버(2030)가 배치 가능하게 한다.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의 중앙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가 형성되고,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를 구획하는 내측 단부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이 형성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과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가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이 배치된다. 즉,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원주 방향 및 샤프트 길이 방향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 베어링(2029)이 배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회동 제한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에 대하여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지지 상태를 형성하며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구조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아우터 그루브(2041)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그립감을 제공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노브부(20)의 적어도 일부, 즉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회동 동작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로터리 스위치부(400)가 구비된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에 대한 스위치 노브부(20)의 적어도 일부인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축회동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로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로 출력 전달한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엔코더(410)와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엔코더(410)는 스위치 노브부(20)의 노브 하우징(2010)으로서의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내부 일면 상으로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를 향하여 배치된다. 로터리 엔코더(410)는 슬릿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에 형성된 로터리 엔코더(410)의 외주 단부에는 복수 개의 로터리 엔코더 슬릿이 형성된다.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의 대응되는 위치로 노브 기판(210)의 배면으로 하우징부(10) 측을 향하여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가 배치된다. 즉,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로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노브 기판(210)의 하면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의 대응되는 위치에 로터리 엔코더(410)의 단부, 즉 로터리 엔코더 슬릿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에 대하여 스위치 노브부(20)의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가 축방향 회동을 이루는 경우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상태를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의 이동 회수를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가 감지하고 이를 기판(200)을 거쳐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의 원치 않는 회동 상태를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회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위치 노브부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 동작을 통한 차량의 장치들의 작동 상태 설정에 있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 노브부(20) 측과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디텐트부(43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디텐트부(430)는 로터리 디텐트(431)와 로터리 디텐트 볼(433)과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와 디텐트 수용부(437)를 포함한다. 디텐트 수용부(437)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내측 일면으로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로터리 엔코더(410)가 형성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의 마주하는 면으로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저면에 형성되는데,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된 후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저면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로터리 디텐트(431)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하나 이상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돌기 및 요홈 형상으로 구현되고 소정의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로터리 엔코더가 장착된 노브 하우징 아우터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로터리 스톱퍼(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회전 제한 영역을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회동 제한없이 무한회전을 이루되, 전원 오프시 로터리 스위치 센서의 회동 기준을 초기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로터리 디텐트(43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디텐트 수용부(437)에는 코일 스프링 구조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가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는 볼 형상의 로터리 디텐트 볼(433)을 탄성 지지하는데, 로터리 디텐트 볼(433)은 로터리 디텐트(43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 및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435)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활한 디텐팅 동작과 더불어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동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하도록 3개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 및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435)가 로터리 엔코더의 회동축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등각 분할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었으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는 스파이럴 타입의 판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펀칭 돌출된 부분이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하여 디텐팅 동작을 이루는 등 로터리 디텐팅 동작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부의 노브 스위치부는 단지 터치 기능의 스위치만이 구비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복합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노브부(20a)의 노브 하우징(2010)은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를 포함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 즉 노브 기판(210)과 노브 스위치부(2060)을 안정적으로 수용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은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와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을 포함하는데,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는 소정의 원형 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고,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의 하면 중앙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가 배치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의 외주에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이 배치되는데, 이는 레이디얼 베어링 등의 베어링 구조를 이루어 내측과 외측의 상대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 배치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와의 상대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아우터 그루브(2041)가 형성되는 링 타입의 노브 하우징 아우터 링과, 노브 하우징 아우터 링과 결합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바디를 구비하는데, 이는 일예로서 일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는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가 배치되고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의 중앙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가 형성되고,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를 구획하는 내측 단부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이 형성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과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가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이 배치된다. 즉,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원주 방향 및 샤프트 길이 방향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 베어링(2029)이 배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회동 제한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에 대하여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지지 상태를 형성하며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1)의 노브 하우징 커버(2030)를 향한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노브 하우징 베이스 탄성부(2025)가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베이스 탄성부(2025)는 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화살표와 같은 쐐기 형상을 구비하여 상방향, 즉 노브 하우징 커버(2030) 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가 서로 맞물리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 배치되는 노브 스위치부(2060) 및/또는 노브 기판(210)의 안정적인 위치 유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0)의 하면에는 하기되는 로터리 디텐트부(430)의 로터리 디텐트(431)가 구비된다.
노브 하우징 커버(2030)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일면 상에는 소정의 아이콘(2031)이 형성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부(2070)로부터 발생하는 빛의 외부 출사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 동작에 대한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외주에 노브 하우징 데코링(2050a)이 배치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구성요소의 마무리 품질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노브 기판(210)은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와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노브 기판(210)의 일면에는 노브 기판 커넥터(211)가 배치되고 노브 기판 연결 커넥터(213)와 연결되는 노브 기판 연결 라인(215)를 통하여 기판(200) 측과 연결된다
또 한편, 스위치 노브부(2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내지 조작을 위한 용도로 빛을 통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노브 조명부(2070)가 배치된다. 노브 조명부(2070)는 노브 조명 램프(2071)와 노브 조명 가이드(2073)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 조명 램프(2071)는 led로 구현될 수 있고, 노브 조명 램프(2071)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노브 조명 가이드(2073)를 거쳐 상부로 전달된다. 노브 조명 가이드(2073)는 아이콘(2031)의 대응되는 위치로 원주 방향 배치되는 영역도 구비되고, 중앙을 향하여 배치되는 세레이션 구조의 경사 영역도 구비되는데 이를 통하여 노브 하우징 커버(2030) 측으로 빛을 전달할 수 있다.
노브 조명 가이드(2073)는 하단에 지지부가 구비되고 이는 노브 기판(210)을 관통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바디(2020)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한다.
스위치 노브부(20a)를 통한 회동 로터리 동작 구현은 앞서 기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로터리 회동 동작은 스위치 노브부(20a)의 적어도 일부와 스위치 샤프트부(300) 간에 이루어진다. 즉, 스위치 노브부(20a)의 노브 하우징(2010)은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를 더 구비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는 하단의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2023)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상단과 맞물림 결합되어 회동 제한되고 소정의 푸시 내지 틸팅 동작만이 허용된다.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외주에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가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 및 노브 하우징 커버(2030)가 배치 가능하게 한다.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의 중앙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가 형성되고, 노브 하우징 아우터 관통구(2045)를 구획하는 내측 단부에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이 형성되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과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가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방향으로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베어링(2029)이 배치된다. 즉,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와 노브 하우징 걸림부(2027)의 원주 방향 및 샤프트 길이 방향 사이에 노브 하우징 베이스 샤프트 베어링(2029)이 배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회동 제한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에 대하여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는 지지 상태를 형성하며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구조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아우터 그루브(2041)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그립감을 제공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노브부(20a)의 적어도 일부, 즉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회동 동작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로터리 스위치부(400)가 구비된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에 대한 스위치 노브부(20a)의 적어도 일부인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축회동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로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로 출력 전달한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엔코더(410)와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엔코더(410)는 스위치 노브부(20a)의 노브 하우징(2010)으로서의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의 내부 일면 상으로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를 향하여 배치된다. 로터리 엔코더(410)는 슬릿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에 형성된 로터리 엔코더(410)의 외주 단부에는 복수 개의 로터리 엔코더 슬릿이 형성된다.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의 대응되는 위치로 노브 기판(210)의 배면으로 하우징부(10) 측을 향하여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가 배치된다. 즉,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로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노브 기판(210)의 하면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의 대응되는 위치에 로터리 엔코더(410)의 단부, 즉 로터리 엔코더 슬릿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에 대하여 스위치 노브부(20a)의 노브 하우징 아우터(2040)가 축방향 회동을 이루는 경우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상태를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의 이동 회수를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가 감지하고 이를 기판(200)을 거쳐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400)의 원치 않는 회동 상태를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회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위치 노브부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 동작을 통한 차량의 장치들의 작동 상태 설정에 있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 노브부(20a) 측과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디텐트 볼과 디텐트 탄성부로서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 로터리 디텐트 볼과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는 판 스프링 형상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부(433a)로 대체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디텐트부(430)를 포함하고, 로터리 디텐트부(430)는 로터리 디텐트(431)와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부(433a)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로터리 엔코더(410)가 형성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 걸림부(2047)의 마주하는 면으로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저면에 형성되는데,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된 후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저면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로터리 디텐트(431)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20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하나 이상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돌기 및 요홈 형상으로 구현되고 소정의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로터리 엔코더가 장착된 노브 하우징 아우터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로터리 스톱퍼(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회전 제한 영역을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회동 제한없이 무한회전을 이루되, 전원 오프시 로터리 스위치 센서의 회동 기준을 초기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로터리 디텐트(431)의 대응되는 위치에 판 스프링 구조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부(433a)가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부(433a)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소정의 탄성 돌기를 구비하며 탄성 돌기가 로터리 디텐트(43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도록 탄성 지지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예로서의 스위치 노브부(20a)는 터치 기능 이외 제스처 감지를 통한 제스처 스위칭 및 NFC 감지 기능을 통한 스위칭 내지 모드 구현을 가능하게 또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의 스위치 노브부(2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 노브부(20)는 노브 기판(210)과 노브 하우징(2010)과 노브 스위치부(2060)를 구비한다.
노브 스위치(2060)는 노브 기판(21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소정의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데, 앞선 실시예에서 노브 스위치(2060)는 터치 기능을 하는 터치 스위치 구현에 중점을 두었으나,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 노브 스위치(2060)는 복합적 기능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한다.
노브 스위치부(2060)는 소정의 기판,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FPCB) 등과 같은 기재로 하여, 일면 상에 노브 스위치 터치 패턴부(2061), NFC 안테나부(2090)와 제스처 센서(208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기재 일면 상에 노브 스위치 터치 패턴부(2061)가 형성되는데, 노브 스위치 터치 패턴부(2061)는 본 실시예에서 중앙을 점유하는 격자 구조를 취하였으나,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의 노브 스위치 터치 패턴부(2061)가 이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기능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노브 스위치(2060)는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하면에 간극을 최소화하며 배치되는데, 노브 하우징 커버(2030)의 하면과 노브 스위치(2060)의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구현되는 노브 스위치 접착부(2039)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앞서 기술한 노브 하우징 탄성부 등의 구성이 배제되나 경우에 따라 노브 기판부 등을 거쳐 소정의 상방향 가압력이 작용하여 양자 간의 간극을 최소화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노브 스위치부(2060)의 외주에는 NFC 안테나부(2090)가 형성되고, 노브 기판(210)에는 NFC 통신을 위한 NFC통신 소자가 더 배치될 수 있다. NFC 안테나부(2090)는 원형 라인을 형성하는데 이의 형상도 외부 NFC 기기 내지 태그와의 통신을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 NFC 안테나부(2090)를 통하여 인식되는 기기 등과 통신 내지 태그 등을 통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작동 모드 구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태그 인식을 통하여 설정되는 작동 모드, 일예로 차량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를 집으로 설정하여 경로 안내를 형성하고, 집 전화와 전화 통신을 이루도록 하여 가족과의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작동 모드 구현 등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노브 스위치부(2060)의 기재에는 복수 개의 제스쳐 센서(2080)가 배치되는데, 제스쳐 센서(2080)는 본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로 구현된다. 복수 개의 위치를 점하는 제스쳐 센서(2080)의 감지 신호의 순서 내지 시간 등을 체크하여 이로부터 사전 설정 저장되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설정 작동 모드를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에 수광부 기능을 하는 제스쳐 센서가 배치되고 이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발광부 기능을 하는 제스쳐 센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노브 스위치부(2060)에 형성된 노브 스위치부 관통구(2063)를 통하여 상방향을 향하도로 제스쳐 센서(2080)가 배치되는데, 제스쳐 센서(2080)를 통한 빛의 신호의 오감지 등을 방지하도록 노브 하우징 커버(2030a)와 노브 스위치부(2060)의 사이에 제스쳐 센서 필터(2089)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수광부/발광부의 제스쳐 센서에 대응하여 수광 필터가 중앙에 발광 필터가 외측 원주 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노브 하우징 커버(2030a)에는 노브 커버 필터 관통구(2031a)가 형성되어 적외선 감지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노브 하우징 커버 및 노브 스위치 접착부(2039)에 관통 구조를 형성하고, 노브 하우징 커버와 노브 스위치부 간의 간극 최소화 내지 수광 발광 분리 구조를 통하여 크로스톡 등과 같이 원치않는 노이즈 발생 인자 들의 발현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장치
10...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20...스위치 노브부 20...버튼 스위치부
100..하우징부 110...하우징 커버
120...하우징 홀더 130...하우징 베이스
200...기판 300..스위치 샤프트부
400...로터리 스위치부 500...디렉셔널 스위치부
600...푸시 스위치부

Claims (19)

  1. 하우징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스위치 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 및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 하우징 아우터를 포함하는 노브 하우징과,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스위치부와,
    상기 노브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브 기판과,
    상기 노브 하우징 내부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와의 사이에 상기 노브 기판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와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 간의 상대 회동을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힌지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가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고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고 타단이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와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의 내측 일면으로 상기 노브 기판을 향하여 복수 개의 로터리 엔코더 슬릿을 구비하는 로터리 엔코더와,
    상기 노브 기판에 상기 로터리 엔코더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 바디를 축으로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 대하여 축회동하는 경우, 상기 로터리 엔코더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에 배치되는 로터리 엔코더의 회동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를 향하여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의 저면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노브 하우징 아우터의 내측 일면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로터리 디텐트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에는 상기 노브 기판을 상기 노브 스위치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노브 하우징 베이스 탄성부(20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하우징은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와 맞물림 결합되는 노브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내지 조작을 위한 용도로 빛을 통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노브 조명부(20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브 조명부(2070)는;
    상기 노브 기판의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노브 조명 램프(2071)와,
    상기 노브 조명 램프의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노브 스위치부가 상기 노브 커버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브 조명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노브 하우징 커버 측으로 전달하는 노브 조명 가이드(207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디렉셔널 스위치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키는 디렉셔널 리턴부를 구비하되,
    상기 디렉셔널 리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리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리턴 탄성부와,
    상기 리턴 플런저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위치를 포함하는 리턴 그루브를 구비하되,
    상기 리턴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 배치되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외주에 관통 장착되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으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를 향한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일면에는 상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와 맞물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타면에는 미디엄 로워 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에 형성되는 바텀 가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는:
    상기 일면 상에 상기 바텀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되고 내측면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접촉하는 바텀 관통구가 구비되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미디엄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리턴 그루브가 형성되는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와,
    상기 바텀 슬라이드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동일 평면 상에서 투영되는 경우 90도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과,
    상기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 인가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무빙 포지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하부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접촉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힌지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가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고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고 타단이 상기 노브 하우징 베이스와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되는 푸시 홀더(610)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61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 스위치(620)와,
    상기 푸시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610)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를 수용 접촉하는 푸시 홀더 바디와,
    상기 푸시 홀더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푸시 홀더 사이드와,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로부터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수직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푸시 홀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턴부는:
    상기 푸시 홀더 바디와 접촉하는 푸시 리턴 바디와,
    상기 푸시 리턴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푸시 리턴 사이드와,
    상기 푸시 리턴 사이드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 러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 바디에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리턴 바디에는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의 저면에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가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푸시 동작을 이루는 외력만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틸팅 동작을 이루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가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스위치부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20140148226A 2014-10-29 2014-10-29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69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226A KR101698647B1 (ko) 2014-10-29 2014-10-29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226A KR101698647B1 (ko) 2014-10-29 2014-10-29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896A true KR20160052896A (ko) 2016-05-13
KR101698647B1 KR101698647B1 (ko) 2017-01-23

Family

ID=5602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226A KR101698647B1 (ko) 2014-10-29 2014-10-29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6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34A1 (ko) * 2016-10-27 2018-05-0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오퍼레이팅 모듈
KR20180046128A (ko) * 2016-10-27 2018-05-08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오퍼레이팅 모듈
CN109378242A (zh) * 2018-10-31 2019-02-22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商用车旋钮开关
KR20190032066A (ko) * 2017-09-19 2019-03-2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190103815A (ko) * 2018-02-28 2019-09-05 이씨에스프라임 주식회사 통합 컨트롤 다이얼 장치
KR20190105910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장치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57B1 (ko) * 2017-10-17 2022-09-1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20190071501A (ko) 2017-12-14 2019-06-2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374089B1 (ko) * 2021-10-08 2022-03-14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회전조작변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349A (ko) * 2012-12-12 2014-06-2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451183B1 (ko) * 2013-06-12 2014-10-1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햅틱 기술을 이용한 다기능 복합 스위치 및 그 피드백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6349A (ko) * 2012-12-12 2014-06-2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451183B1 (ko) * 2013-06-12 2014-10-1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햅틱 기술을 이용한 다기능 복합 스위치 및 그 피드백 제어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34A1 (ko) * 2016-10-27 2018-05-0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오퍼레이팅 모듈
KR20180046128A (ko) * 2016-10-27 2018-05-08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오퍼레이팅 모듈
US20190295790A1 (en) * 2016-10-27 2019-09-26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Switch knob and operating module having the same
US10886083B2 (en) 2016-10-27 2021-01-05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Switch knob and operating module having the same
KR20190032066A (ko) * 2017-09-19 2019-03-2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190103815A (ko) * 2018-02-28 2019-09-05 이씨에스프라임 주식회사 통합 컨트롤 다이얼 장치
KR20190105910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장치
CN109378242A (zh) * 2018-10-31 2019-02-22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商用车旋钮开关
CN109378242B (zh) * 2018-10-31 2023-09-19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商用车旋钮开关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647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9536689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JP4652186B2 (ja)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ー及びタッチセンサー付き回転操作ノブ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N104380415B (zh) 用于控制车辆显示屏的多位置开关组件
JP4184821B2 (ja) ロータリー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KR101436983B1 (ko)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KR101960737B1 (ko)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4116084A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1094034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143528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514154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2161486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442657B1 (ko)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1014812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80046125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4063753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KR20190032065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19004283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160117792A (ko) 차량용 멀티 펑셔널 스위치 유니트
KR20200045626A (ko) 멀티 펑션 조이스틱 스위치 유니트
KR20190032066A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