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842B1 -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842B1
KR101850842B1 KR1020170023664A KR20170023664A KR101850842B1 KR 101850842 B1 KR101850842 B1 KR 101850842B1 KR 1020170023664 A KR1020170023664 A KR 1020170023664A KR 20170023664 A KR20170023664 A KR 20170023664A KR 101850842 B1 KR101850842 B1 KR 10185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knob
assembly
operation lev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연
장길남
홍대길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회전 조작, 누름 조작, 피봇 조작을 통해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의 실행을 위한 복잡한 스위치 조작을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구현해내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노브 커버의 둘레부로 유도하는 도광체가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커버 사이에 설치된 노브 어셈블리, 노브 바디에 결합되어 노브 어셈블리를 통한 회전 조작력, 누름 조작력, 피봇 조작력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광원의 빛을 상기 도광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겸하는 작동레버를 구비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스위치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케이스 내부의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 하부에 고정되며 작동레버 하단의 입광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가진 메인 PCB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Multifunctional composite input device}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회전 조작, 누름 조작, 피봇 조작을 통해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의 실행을 위한 복잡한 스위치 조작을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구현해내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기반의 OS(Operate System, 운영체제)를 가진 네비게이션, 오디오, 비디오, 트립 기능 등이 통합된 차량용 통합 AV 시스템에서 터치 없이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조작 가능하게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가 알려져 있다.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UI(User interface)와 연동을 위한 조작장치이다.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는, 회전, 누름 또는 전후좌우 기울임 조작을 통해 원하는 기능수행명령을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포인팅 세그먼트를 움직이게 하거나, 포인팅 세그먼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선택 가능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명령을 출력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기능 복합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작동을 통해 종래 다기능 복합 스위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누름(PUSH) 스위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상단에 위치된 푸쉬/조이스틱 노브(1)를 수직 방향으로 누르면, 스위치 케이스(3)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된 제1 샤프트(5)가 하강하면서 제2 샤프트(7)를 누르게 되고, 제2 샤프트(7) 이동변위에 의해 푸쉬 접점(9)이 PCB(11)에 구비된 스위치 단자에 접촉되면서 푸쉬 스위치가 온(ON) 되는 것이다.
피봇(PIVOT) 스위치 작동의 경우에는, 푸쉬/조이스틱 노브(1)를 전후좌우 각 대각선 방향으로 된 8개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샤프트(5) 외둘레에 조립된 조이스틱 레버(13)가 해당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조이스틱 레버(13)에서 4방향으로 연장된 푸쉬부(15)가 4개의 푸쉬 접점(17) 중 하나 또는 2개를 동시에 누르면서 스위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회전(ROTARY) 스위치 작동은, 푸쉬/조이스틱 노브(1)의 바깥쪽으로 배치된 다이얼 노브(21)를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즉, 상기 다이얼 노브(21)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이얼 노브(21)에 연동하여 로터리 회전체(23)가 함께 회전하고, 로터리 회전체(23) 단부의 변위에 따라 로터리 스위치(25)가 작동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19는 조이스틱 레버(13)의 상부 둘레에 설치되며 조이스틱 스위치 작동 시 위치 결정 기능과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리턴(return)을 위해 기능하는 디텐트 기구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다기능 복합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하고 실행 가능하게 하므로 조작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운전 중 터치 조작에 의한 운전자 주의력 및 집중력 분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야간에도 스위치 위치와 기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다기능 복합 스위치에는 스위치 인식용 조명 기능이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테리어 측면에서 조명 기능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미려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에 스위치의 조명 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로 인한 인테리어 효과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도 1과 같은 다기능 복합 스위치의 경우 구조상 다이얼 노브(21) 측에 조명 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조명 효과 측면에서 유리하다. 실질적으로 장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다이얼 노브이며, 스위치 조작 행위에 앞서 사용자에 의한 실제 물리적인 조작력이 입력되는 스위치 조작부(다이얼 노브)의 위치를 조명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피봇 스위치 작동 시 다이얼 노브와 연결된 회전체가 일체로 움직이는 도 1과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전원을 다이얼 노브의 광원까지 공급하기 위한 복잡한 전기적인 연결 또는 배선 구조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얼 노브에 조명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 곤란함이 수반되고 소형화 추세에서 장치를 콤팩트 하게 구현해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4656(공개일 2011. 05. 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 조작, 누름 조작, 피봇 조작을 통해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의 실행을 위한 복잡한 스위치 조작을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스위치 인식 및 조명 효과를 위한 조명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장치를 보다 콤팩트한 크기로 구현해낼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피봇 조작을 통해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조명 효과가 원활하게 발휘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조작, 누름 조작, 피봇 조작을 통해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노브 커버의 둘레부로 유도하는 도광체가 노브 바디와 상기 노브 커버 사이에 설치된 노브 어셈블리;
상기 노브 바디에 결합되어 노브 어셈블리를 통한 회전 조작력, 누름 조작력, 피봇 조작력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광원의 빛을 상기 도광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겸하는 작동레버를 구비한 스위치 어셈블리; 및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 내부의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레버 하단의 입광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상기 광원을 가진 메인 PCB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작동레버를 투과한 빛이 입력되는 입사면과, 입사된 빛을 노브 어셈블리의 반경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광분기부를 포함하는 입광부, 상기 입광부의 광분기부로부터 노브 어셈블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상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의 선단에서 임의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임의 높이로 상향 연장되며, 상기 도광부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노브 커버의 둘레의 광 표출면을 통해 외부로 발산하는 출광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호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커버;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노브 바디 중앙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광원 측으로 연장되며, 중간에 피봇 작동을 위한 구형의 피봇 작동구가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작동레버; 상기 작동레버와 결합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 회전 조작 시 상기 작동레버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홀더; 상기 작동레버의 피봇 작동구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체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브 어셈블리 누름 조작 시 상기 회전홀더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홀더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회전홀더 하부에 설치되며, 누름 조작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푸쉬홀더; 상기 푸쉬홀더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작동레버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홀 주변에 상기 회전홀더의 회전과 슬라이더의 축방향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와 접점이 형성된 서브 PCB; 및 상기 서브 PCB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피봇 조작 시 상기 구체 수용부에 결합된 피봇 작동구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작동레버의 8방향 피봇 운동을 가이드하는 피봇 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홀더의 하단에 원호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형상의 신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PCB에는 상기 신호패턴의 이동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 가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 PCB에는 상기 가압날개에 대응하여 온/오프 접점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날개와 온/오프 접점 사이에 탄성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 가이드는, 상기 작동레버의 8방향 피봇 운동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평면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더;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에 의한 제1 슬라이더의 평면운동을 감지하는 복수의 디텍터 스위치가 상기 제1 슬라이더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서브 PCB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더와 하부 커버 사이에 상기 작동레버의 8방향 피봇 운동에 대한 중립위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 어셈블리의 회전 조작에 대한 클릭감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 주면에는 탄성 돌기를 갖는 탄성 캠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더의 외측 주면에는 상기 탄성 캠의 탄성 돌기에 대응되는 요홈들로 이루어진 캠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의 하부 커버의 중앙에 메인 PCB 어셈블리의 광원이 삽입되는 홀을 형성한 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과 인접한 상기 작동레버의 하단 영역을 둘러싸는 원통모양의 반사체가 상기 작동레버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반사체의 하부 영역은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작동레버 하단의 입광면보다 소정 높이 아래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PCB 어셈블리는, 상기 작동레버의 피봇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의 서브 PCB가 출력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작동레버의 피봇 조작량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작동레버의 피봇 조작량에 상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신호로 상기 광원의 휘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에 의하면, 회전 조작, 누름 조작, 피봇 조작을 통해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의 실행을 위한 복잡한 스위치 조작을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메인 PCB에 광원을 탑재하고 회전, 누름, 피봇 조작을 위한 축(작동레버)을 광 가이드로 활용함으로써, 구성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구성(광원을 노브 측에 실장하는 구성)을 적용하지 않고도 스위치에 조명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 누름, 피봇 조작을 위한 축(작동레버)을 광 가이드로 활용함에 따라, 장치 하부의 메인 PCB에 탑재된 광원의 빛을 장치 상부의 노브 측까지 전달하는데 필요한 광 전달 부품, 예컨대, 도광체와 같은 광 가이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장치의 소형화와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 역할을 하는 축(작동레버)의 하단에 반사체가 부착됨으로써, 피봇 조작 시 광원에 대해 축(작동레버)이 기울어지게 배치되더라도 고정 측 광원으로부터 축(작동레버)에 전달되는 빛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피봇 조작에도 휘도 저하 없는 양호한 조명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캠과 캠면의 적용으로 회전 조작에 대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필링 구조, 즉 상기 탄성 캠과 캠면을 상호 결합되는 부품 사이의 여유 공간에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다기능 복합 스위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3,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를 각각 A-A선 방향과 B-B선 방향에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각부 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전체 분해 사시도.
도 7은 노브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9는 스위치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도 9에서 스위치 어셈블리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커버를 생략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0은 서브 PCB 저면에서 바라본 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메인 PCB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를 각각 A-A선 방향과 B-B선 방향에 바라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각부 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는 크게 3개 파트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력이 입력되는 노브 어셈블리(100), 스위치 조작력에 의해 작동되고 그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치 어셈블리(200) 및 감지된 신호로부터 조작을 인식하고 특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PCB 어셈블리(300)로 구성될 수 있다.
노브 어셈블리(100)는 다양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노브 바디(110)와 노브 바디(110)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노브 커버(130)를 포함한다. 노브 바디(110)의 외측 주면에는 회전 조작 시 슬립 방지를 위한 널링(Knurling)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 바디(110)와 노브 커버(130) 사이에는 상기 메인 PCB 어셈블리(300)에 탑재된 고정 광원(310)으로부터의 빛을 노브 커버(130)의 둘레부로 유도하는 도광체(120)가 구비된다.
스위치 어셈블리(200)는 상기 노브 어셈블리(100)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조작(회전 조작, 누름 조작, 8방향 피봇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노브 바디(110)에 결합되어 다양한 조작력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광원(310)의 빛을 상기 도광체(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겸하는 작동레버(220)를 구비한다.
메인 PCB 어셈블리(300)는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로부터 조작과 관련한 인식 정보를 수신 받아 차량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 선택 및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메인 PCB 어셈블리(300)는 본체 케이스(500) 내부의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레버(220) 하단의 입광면(223)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상기 광원(310)을 포함한다.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하여 광원(310)이 발생시킨 빛은 스위치 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상기 입광면(223)을 통해 작동레버(220)에 입사되고, 작동레버(220)가 형성하는 광 경로를 통해 상기 도광체(120)에 전달된다. 그리고 도광체(120)를 거쳐 노브 커버(130)의 둘레부를 따라 외부로 표출됨으로써 스위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조명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면부호 500은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 및 메인 PCB 어셈블리(300)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로서, 이러한 본체 케이스(500)는 서로 마주하는 측이 개구된 사각 함체 모양의 상부 본체 케이스(510)와 하부 본체 커버(520)로 분리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노브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노브 어셈블리(100)는 노브 바디(110)와 노브 바디(110)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노브 커버(130)를 포함한다. 노브 바디(110)의 외측 주면에는 슬립 방지를 위한 널링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 바디(110)와 노브 커버(130) 사이에는 상기 메인 PCB 어셈블리(300)의 고정 광원(310)으로부터의 빛을 노브 커버(130)의 둘레부로 유도하는 도광체(120)가 설치된다.
도광체(120)는 입광부(122), 도광부(126), 출광부(128)로 구성될 수 있다. 입광부(122)는 상기 작동레버(220)를 투과한 빛이 입력되는 입사면(123)과, 입사된 빛을 노브 어셈블리(100)의 반경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광분기부(124)를 포함하며, 도광부(126)는 광분기부(124)로부터 노브 어셈블리(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상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원판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광부(128)는 상기 도광부(126)의 선단에서 임의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임의 높이, 바람직하게는 그 상면(광 표출면(129))이 상기 노브 커버(130)의 최외관 가장자리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는 높이로 상향 연장되며, 상기 도광부(126)가 형성하는 광 경로를 이동한 빛을 전달받아 노브 커버(130)의 둘레의 광 표출면(129)을 통해 외부로 발산시킨다.
이와 같은 도광체(12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 투명의 광 투과성 수지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로 불림),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예시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스위치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0은 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스위치 어셈블리(200)는 상호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커버(212), 작동레버(220), 회전홀더(230), 슬라이더(240), 푸쉬홀더(250), 서브 PCB(260) 및 피봇 가이드(270)를 포함한다.
작동레버(220)는 상기 노브 어셈블리(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그 중심을 지나는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한 승강 운동, 그리고 중앙의 피봇 작동구(222)를 중심으로 하는 8방향 피봇 운동을 하면서 입력된 조작력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광원(310)의 빛을 도광체(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겸한다.
작동레버(220)의 상단은 노브 바디(110) 중앙 하부에 직접 나사 결합 또는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고, 다른 부분은 상부 케이스(210)를 관통하여 메인 PCB 어셈블리(300)의 광원(310) 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모양(또는 다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레버(220)에는 피봇 조작 시 피봇 작동의 구심점을 형성하는 구형의 피봇 작동구(222)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310, 도 2 내지 도 3 참조)과 인접한 상기 작동레버(220)의 하부에는 반사체(226)가 결합될 수 있다. 반사체(226)는 작동레버(220)의 단면모양에 대응되는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작동레버(220)의 하단 영역을 둘러싸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반사체(226)의 하부 영역은 상기 광원(310)과 마주하는 작동레버(220) 하단의 입광면(223)보다 소정 높이 아래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스위치 입력 조작 중 피봇 조작에 의해 광원(310)에 대해 작동레버(220)가 기울어져 광원(310)의 빛을 받아들이는 상기 입광면(223)이 광원(310)으로부터 다소 멀어지더라도, 상기 반사체(226)의 빛 반사효과에 의하여 작동레버(220)에 전달되는 빛의 양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피봇 조작에도 휘도 저하 없는 양호한 조명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도 16 참조).
도 12는 도 9에서 스위치 어셈블리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커버를 생략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와 앞서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홀더(230)는 회전 조작 시 상기 작동레버(220)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작동레버(220)와 결합된다. 회전홀더(230)의 하단에는 원호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형상의 신호패턴(233)이 형성되며, 신호패턴(233)의 이동을 감지하여 작동레버(220)의 회전 방향과 속도, 그리고 회전량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262)가 서브 PCB(260)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회전홀더(230)가 회전될 때 신호패턴(233)의 이동에 상응하여 상기 비접촉 센서(262)가 출력하는 작동레버(220)의 회전 관련 정보는 상기 서브 PCB(260)로 전달되며, 서브 PCB(260)와 메인 PCB 어셈블리(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하네스(400, 도 2 참조)를 통해 전술한 메인 PCB 어셈블리(300)로 전달될 수 있다.
회전홀더(230)는 구체적으로,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요철형상의 상기 신호패턴(233)이 형성된 베이스(232)와, 베이스(232)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관부(236)를 포함한다. 수직관부(236)의 상단 측벽에는 작동레버(220)의 가이드돌기(224)가 결합되는 슬릿(237)이 형성됨으로써 누름 조작 시 작동레버(220)의 축방향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232)의 외측 주면에는 캠면(234)이 형성된다. 캠면(234)은 노브 어셈블리(100)의 회전 조작 시 클릭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의 요홈(235)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210)의 내측의 내측 주면에는 상기 요홈(235)에 대응되는 탄성 돌기(215)를 갖는 탄성 캠(214)이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필링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더(240)는 상기 작동레버(220)의 누름 조작 시 상기 회전홀더(23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홀더(230)의 내측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240)는 작동레버(220)의 피봇 작동구(22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체 수용부(243)가 형성된 원통 모양의 결합관부(242)와, 후술하는 푸쉬홀더(250) 측의 가이드 립(256)에 대응되는 가이드 레일(246)이 외측 주면에 형성된 스커트부(244)를 포함한다.
스커트부(244)의 외측 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46)뿐 아니라, 푸쉬홀더(250)의 날개 관통부(254)를 통과하는 가압날개(245)가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양측에 형성되며, 가압날개(245)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 PCB(260)에는 온/오프 접점(264)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날개(245)와 온/오프 접점(264) 사이에는 누름 조작 시 가압날개(245)에 눌려 온/오프 접점(264)을 턴온시키는 탄성버튼(266)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노브 어셈블리(100)를 아래로 누르면 회전홀더(230)에 대해 슬라이더(240)가 아래로 밀려나면서 가압날개(245)가 탄성버튼(266)을 누르게 되고, 탄성버튼(266)의 하면의 스위치 접점(부호 생략)이 상기 온/오프 접점(264)에 접촉되어 턴온됨으로써 누름 조작 신호가 서브 PCB(260)로부터 출력되고 와이어 하네스(400)를 통해 메인 PCB 어셈블리(300)에 전달됨으로써 누름 조작이 인식된다.
푸쉬홀더(250)는 상기 회전홀더(230) 하부에 설치되며, 누름 조작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240)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한다. 푸쉬홀더(250)는 서브 PCB(260)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며, 그 내측 주면에는 누름 조작 시 상기 슬라이더(24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전술한 가이드 레일(246)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 립(25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압날개(245)가 통과하는 관통부(254) 하면부에는 탄성버튼 장착면(255)이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홀더(250)가 장착되는 서브 PCB(260)의 면(상면)에는 회전홀더(230)의 회전과 슬라이더(240)의 축방향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262)와 온/오프 접점(26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앙에는 상기 작동레버(220)가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도록 홀(26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PCB(260) 하면의 상기 홀(265) 주변에는 복수의 디텍터 스위치(268)가 부착될 수 있다.
디텍터 스위치(268)는 노브 어셈블리(100)를 전후좌우 또는 사선방향으로 기울이는 조작을 했을 때 상기 피봇 작동구(222)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작동레버(220)의 8방향 피봇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치로써 기능한다. 이는 후술하는 도 13의 예시와 같이 상기 서브 PCB(260) 하면에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직교하는 2축 방향에 대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두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은 서브 PCB 저면에서 바라본 스위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을 도 10과 함께 참조하면, 서브 PCB(260)와 하부 커버(212) 사이에는 피봇 가이드(270)가 설치된다. 피봇 가이드(270)는 상기 노브 어셈블리(100)의 피봇 조작 시 상기 구체 수용부(243)에 결합된 피봇 작동구(222)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작동레버(220)의 8방향 피봇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레버(22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제1 슬라이더(272)와 그 하부의 제2 슬라이더(277)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272)는 구체적으로, 작동레버(220)의 8방향 피봇 운동에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작동레버(220)와 결합되며, 하면에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홈(27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슬라이더(277)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홈(273)에 대응되는 제1 가이드돌기(27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향 피봇 조작 시 제2 슬라이더(277)에 대한 상기 제1 슬라이더(272)의 안정적인 움직임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278)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 면, 즉 제2 슬라이더(277)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돌기(279)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돌기(279)에 대응되는 제2 가이드홈(219, 도 10 참조)이 제2 슬라이더(277)가 접하는 하부 커버(212)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방향 피봇 조작 시 하부 커버(212)에 대한 제2 슬라이더(277)의 제2 방향 움직임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작동레버(220)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피봇 조작 시 제2 슬라이더(277)에 대한 제1 슬라이더(272)의 제1 방향 직선운동 또는 하부 커버(212)에 대한 제2 슬라이더(277)의 제2 방향 직선운동과, 사선 방향 피봇 작동 시 제1 슬라이더(272)의 제1 방향 직선운동과 제2 슬라이더(277)의 제2 방향 직선운동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총 8방향에 대한 피봇 조작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서브 PCB(26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작동레버(220)의 피봇 움직임을 감지하는 디텍터 스위치(268)는, 상기 제1 슬라이더(272)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 각각에 대해 쌍을 이루도록 상기 서브 PCB(26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더(272)의 외면에는 피봇 조작 시 디텍터 스위치(268)가 턴온될 수 있도록 각각의 디텍터 스위치(268)에 대응하여 스위치 접촉면(274)이 형성될 수 있다.
노브 어셈블리(100)의 피봇 조작에 따라 작동레버(220)의 하단부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피봇 동작할 경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디텍터 스위치(268) 중 작동레버(220)의 하단부가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한 하나의 디텍터 스위치가 턴온되어 피봇 조작이 인식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피봇 동작할 경우에는 그 이동방향 측 두 개의 디텍터 스위치가 동시에 턴온됨으로써 해당 피봇 조작이 인식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도 13에서 도면부호 280은 액츄에이터를 가리킨다. 액츄에이터(280)는 상기 작동레버(220)의 8방향 피봇 운동에 대한 중립위치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의 예시와 같이 스프링(282)에 탄성 지지되는 구조로 상기 제1 슬라이더(272)와 하부 커버(2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280)의 헤드부(281)에 대응하여 제1 슬라이더(272)에는 작동홈(27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작동홈(275)은 반구 형상으로, 상기 헤드부(281)와 접하는 면에 그 면의 정점에서부터 곡면부를 따라 8방향에 걸쳐 방사형으로 뻗은 8개의 곡선형 안내면(276)이 구획된 구성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작동레버(220)가 8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피봇 운동을 할 때 조작감이 제공되고, 피봇 조작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작동레버(220)를 원래의 중립위치로 정확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스위치 어셈블리(200)의 상기 하부 커버(212)의 바닥 측 중앙에는 메인 PCB 어셈블리(300)의 광원(310)이 삽입되는 홀(217)을 형성한 보스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스부(216)는 상기한 제2 슬라이더(277)의 제2 가이드돌기(279) 사이에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릿(S)에 결합되어 제2 슬라이더(277)의 제2 방향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 역할을 겸한다.
도 14는 메인 PCB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 및 앞서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PCB 어셈블리(300)에는 광 가이드 역할을 겸하는 상기한 작동레버(220)의 하단 입광면(223)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310)을 포함한다. 또한 서브 PCB(260)와 와이어 하네스(4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레버(220)의 회전, 누름 및 피봇 조작 시 해당 센서 또는 스위치의 신호를 서브 PCB(260)로부터 전달받아 장치의 조작상태를 인식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레버(220)의 회전이나 누름 조작 또는 피봇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의 서브 PCB(260)가 출력하는 신호로부터 장치의 조작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작동레버(220)의 피봇 조작량에 상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로 상기 광원(310)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피봇 조작량에 따라 상기 광원(310)의 빛의 세기가 달라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이색적이고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가 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피봇 조작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함에 있어 노브 어셈블리(100)를 통해 표출되는 빛의 세기 정도로부터 사용자가 그 피봇 조작량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노브 어셈블리(100)의 회전 조작이나 누름 조작(도 15), 또는 피봇 조작(도 16)을 통해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 예컨대 AV 통합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나타난 포인트 세그먼트를 움직여 선택 가능한 여러 개의 그랙픽 객체 중 원하는 기능의 그랙픽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와 같이 노브 어셈블리(100)를 회전시키거나 누름 조작하면, 서브 PCB(260) 상면의 비접촉 센서(262, 도 12 참조)나 온/오프 접점(264, 도 10 참조)가 해당 조작을 감지하여 스위치 신호를 출력하며, 해당 신호는 서브 PCB(260)와 와이어 하네스(400)를 통해 메인 PCB 어셈블리(300)에 전달됨으로써 해당 조작이 인식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이 생성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메인 PCB 어셈블리(300)의 기판 상에 실장된 광원(310)이 발생시킨 빛은 작동레버(220)의 하단 입광면(223)을 통해 작동레버(220)에 입사될 수 있으며, 작동레버(220)가 형성하는 광 경로를 따라 노브 어셈블리(100) 측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입사면(123)을 통해 도광체(120)에 전달되고, 도광체(120)가 형성하는 광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노브 커버(130)의 둘레부를 통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노브 어셈블리(100)를 피봇 조작하는 경우에는, 피봇 조작에 따른 작동레버(220)의 피봇 운동에 의하여 PCB 하면의 디텍터 스위치(268)가 턴온됨으로써 해당 조작이 감지되고, 디텍터 스위치(268)의 턴온 신호는 서브 PCB(260)와 와이어 하네스(400)를 통해 메인 PCB 어셈블리(300)에 전달됨으로써 피봇 조작이 인식되고 그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광원(310)과 인접한 상기 작동레버(220)의 하부에는 작동레버(220) 하단의 입광면(223)보다 아래로 더 돌출되도록 반사체(226)가 결합됨으로써, 피봇 조작으로 광원(310)에 대해 작동레버(220)가 기울어져 광원(310)의 빛을 받아들이는 상기 입광면(223)이 광원(310)으로부터 다소 멀어지더라도, 반사체(226)의 빛 반사효과에 의하여 휘도 저하 없는 양호한 조명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피봇 조작 시 그 조작에 대응하는 광원(310)의 피드백 제어(피봇 조작량에 따른 광원의 세기 제어)에 의하여, 보다 이색적이고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가 연출될 수 있으며, 피봇 조작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함에 있어 노브 어셈블리(100)를 통해 표출되는 빛의 세기만으로도 사용자는 그 피봇 조작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에 의하면, 회전 조작, 누름 조작, 피봇 조작을 통해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의 실행을 위한 복잡한 스위치 조작을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메인 PCB에 광원을 탑재하고 회전, 누름, 피봇 조작을 위한 축(작동레버)을 광 가이드로 활용함으로써, 구성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구성(광원을 노브 측에 실장하는 구성)을 적용하지 않고도 스위치에 조명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 누름, 피봇 조작을 위한 축(작동레버)을 광 가이드로 활용함에 따라, 장치 하부의 메인 PCB에 탑재된 광원의 빛을 장치 상부의 노브 측까지 전달하는데 필요한 광 전달 부품, 예컨대, 도광체와 같은 광 가이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장치의 소형화와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광 가이드 역할을 하는 축(작동레버)의 하단에 반사체가 부착됨으로써, 피봇 조작 시 광원에 대해 축(작동레버)이 기울어지게 배치되더라도 고정 측 광원으로부터 축(작동레버)에 전달되는 빛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피봇 조작에도 휘도 저하 없는 양호한 조명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캠과 캠면의 적용으로 회전 조작에 대한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필링 구조, 즉 상기 탄성 캠과 캠면을 상호 결합되는 부품 사이의 여유 공간에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고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노브 어셈블리 110 : 노브 바디
120 : 도광체 122 : 입광부
123 : 입사면 124 : 광분기부
126 : 도광부 128 : 출광부
129 : 광 표출면 130 : 노브 커버
200 : 스위치 어셈블리 210 : 상부 케이스
212 : 하부 커버 214 : 탄성 캠
215 : 탄성 돌기 216 : 보스부
217 : 홀 219 : 제2 가이드홈
220 : 작동레버 222 : 피봇 작동구
223 : 입광면 224 : 가이드돌기
226 : 반사체 230 : 회전홀더
232 : 베이스 233 : 신호패턴
234 : 캠면 235 : 요홈
236 : 수직관부 237 : 슬릿
240 : 슬라이더 242 : 결합관부
243 : 구체 수용부 244 : 스커트부
245 : 가압날개 246 : 가이드 레일
250 : 푸쉬홀더 254 : 가압날개 관통부
255 : 턴성버튼 장착면 256 : 가이드 립
260 : 서브 PCB 262 : 비접촉 센서
264 : 온/오프 접점 265 : 홀
266 : 탄성버튼 270 : 피봇 가이드
272 : 제1 슬라이더 273 : 제1 가이드홈
274 : 스위치 접촉면 275 : 작동홈
276 : 안내면 277 : 제2 슬라이더
278 : 제1 가이드돌기 279 : 제2 가이드돌기
280 : 액츄에이터 281 : 스프링
300 : 메인 PCB 어셈블리 310 : 광원
400 : 와이어 하네스 500 : 본체 케이스
510 : 상부 본체 케이스 520 : 하부 본체 커버

Claims (12)

  1. 회전 조작, 누름 조작, 피봇 조작을 통해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에 있어서,
    광원(310)으로부터의 빛을 노브 커버(130)의 둘레부로 유도하는 도광체(120)가 노브 바디(110)와 상기 노브 커버(130) 사이에 설치된 노브 어셈블리(100);
    상기 노브 바디(110)에 결합되어 노브 어셈블리(100)를 통한 회전 조작력, 누름 조작력, 피봇 조작력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광원(310)의 빛을 상기 도광체(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겸하는 작동레버(220)를 구비한 스위치 어셈블리(200); 및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 내부의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레버(220) 하단의 입광면(223)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상기 광원(310)을 가진 메인 PCB 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120)는,
    상기 작동레버(220)를 투과한 빛이 입력되는 입사면(123)과, 입사된 빛을 노브 어셈블리(100)의 반경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광분기부(124)를 포함하는 입광부(122);
    상기 입광부(122)의 광분기부(124)로부터 노브 어셈블리(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상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부(126); 및
    상기 도광부(126)의 선단에서 임의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임의 높이로 상향 연장되며, 상기 도광부(126)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노브 커버(130)의 둘레의 광 표출면(129)을 통해 외부로 발산하는 출광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는,
    상호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커버(212);
    상기 노브 어셈블리(100)의 노브 바디(110) 중앙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210)를 관통하여 광원(310) 측으로 연장되며, 중간에 피봇 작동을 위한 구형의 피봇 작동구(222)가 형성된 작동레버(220);
    상기 작동레버(220)와 결합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100) 회전 조작 시 상기 작동레버(220)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홀더(230);
    상기 작동레버(220)의 피봇 작동구(222)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체 수용부(243)가 형성되며, 상기 노브 어셈블리(100) 누름 조작 시 상기 회전홀더(23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홀더(23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240);
    상기 회전홀더(230) 하부에 설치되며, 누름 조작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240)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푸쉬홀더(250);
    상기 푸쉬홀더(250)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작동레버(22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홀 주변에 상기 회전홀더(230)의 회전과 슬라이더(240)의 축방향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와 온/오프 접점 및 디텍터 스위치가 실장된 서브 PCB(260); 및
    상기 서브 PCB(26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노브 어셈블리(100)의 피봇 조작 시 상기 구체 수용부(243)에 결합된 피봇 작동구(222)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작동레버(220)의 8방향 피봇 운동을 가이드하는 피봇 가이드(270);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더(230)의 하단에 원호방향으로 연속되는 요철형상의 신호패턴(233)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PCB(260)에는 상기 신호패턴(233)의 이동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262)가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40)에 가압날개(245)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 PCB(260)에는 상기 가압날개(245)에 대응하여 온/오프 접점(264)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날개(245)와 온/오프 접점(264) 사이에 탄성버튼(26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가이드(270)는,
    상기 작동레버(220)의 8방향 피봇 운동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제1 슬라이더(272); 및
    상기 제1 슬라이더(272)의 평면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더(277);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레버(220)에 의한 제1 슬라이더(272)의 평면운동을 감지하는 복수의 디텍터 스위치(268)가 상기 제1 슬라이더(272)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서브 PCB(260)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272)와 하부 커버(212) 사이에 상기 작동레버(220)의 8방향 피봇 운동에 대한 중립위치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2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내측 주면에는 탄성 돌기(215)를 갖는 탄성 캠(214)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더(230)의 외측 주면에는 상기 탄성 캠(214)의 탄성 돌기(215)에 대응되는 요홈들로 이루어진 캠면(234)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220)가 회전할 때 상기 요홈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탄성 돌기(215)에 의해 노브 어셈블리(100)의 회전 조작에 대한 클릭감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의 하부 커버(212)의 중앙에 메인 PCB 어셈블리(300)의 광원(310)이 삽입되는 홀(217)을 형성한 보스부(2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10)과 인접한 상기 작동레버(220)의 하단 영역을 둘러싸는 원통모양의 반사체(226)가 상기 작동레버(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226)의 하부 영역이 상기 광원(310)과 마주하는 작동레버(220) 하단의 입광면(223)보다 아래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PCB 어셈블리(300)는,
    상기 작동레버(220)의 피봇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200)의 서브 PCB(260)가 출력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작동레버(220)의 피봇 조작량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작동레버(220)의 피봇 조작량에 상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신호로 상기 광원(310)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KR1020170023664A 2017-02-22 2017-02-22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KR10185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64A KR101850842B1 (ko) 2017-02-22 2017-02-22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64A KR101850842B1 (ko) 2017-02-22 2017-02-22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842B1 true KR101850842B1 (ko) 2018-04-20

Family

ID=6208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664A KR101850842B1 (ko) 2017-02-22 2017-02-22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8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76A (ko) * 2018-07-06 2020-0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노브 장치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N113745026A (zh) * 2021-08-30 2021-12-03 北京歌尔泰克科技有限公司 多功能按键、电子设备及控制方法
KR20220128862A (ko) * 2021-03-15 2022-09-2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4방향 시소 및 푸시 기능을 구비한 순간형 스위치
WO2023165959A1 (fr) 2022-03-03 2023-09-07 Dav Dispositif de commande rétro-éclairé à guide de lumièr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332A (ja) * 1999-06-24 2001-01-12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記憶媒体ライブラリアレイ装置
JP2005011885A (ja) * 2003-06-17 2005-01-13 Alps Electric Co Ltd ライトガイド及びそれを用いた照光スイッチ装置
JP2005347067A (ja) * 2004-06-02 2005-12-15 Omron Corp 押釦スイッチ
JP2006140101A (ja) * 2004-11-15 2006-06-01 Alps Electric Co Ltd 照光式スイッチ装置
KR20110054656A (ko) * 2009-11-18 2011-05-2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KR20110094792A (ko) * 2010-02-18 2011-08-2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의 조명구조
KR20120039188A (ko) * 2010-10-15 2012-04-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20150003867A (ko) * 2012-05-31 2015-01-0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표시 스위칭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332A (ja) * 1999-06-24 2001-01-12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記憶媒体ライブラリアレイ装置
JP2005011885A (ja) * 2003-06-17 2005-01-13 Alps Electric Co Ltd ライトガイド及びそれを用いた照光スイッチ装置
JP2005347067A (ja) * 2004-06-02 2005-12-15 Omron Corp 押釦スイッチ
JP2006140101A (ja) * 2004-11-15 2006-06-01 Alps Electric Co Ltd 照光式スイッチ装置
KR20110054656A (ko) * 2009-11-18 2011-05-2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KR20110094792A (ko) * 2010-02-18 2011-08-24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의 조명구조
KR20120039188A (ko) * 2010-10-15 2012-04-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20150003867A (ko) * 2012-05-31 2015-01-0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표시 스위칭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76A (ko) * 2018-07-06 2020-0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노브 장치
KR102557502B1 (ko) * 2018-07-06 2023-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노브 장치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220128862A (ko) * 2021-03-15 2022-09-2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4방향 시소 및 푸시 기능을 구비한 순간형 스위치
KR102546960B1 (ko) * 2021-03-15 2023-06-26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4방향 시소 및 푸시 기능을 구비한 순간형 스위치
CN113745026A (zh) * 2021-08-30 2021-12-03 北京歌尔泰克科技有限公司 多功能按键、电子设备及控制方法
WO2023030120A1 (zh) * 2021-08-30 2023-03-09 歌尔股份有限公司 多功能按键、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3745026B (zh) * 2021-08-30 2024-05-28 北京歌尔泰克科技有限公司 多功能按键、电子设备及控制方法
WO2023165959A1 (fr) 2022-03-03 2023-09-07 Dav Dispositif de commande rétro-éclairé à guide de lumière
FR3133270A1 (fr) 2022-03-03 2023-09-08 Dav Dispositif de commande rétro-éclairé à guide de lumiè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842B1 (ko)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US8536472B2 (en) Rotary switch mechanism
KR101436983B1 (ko)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KR101960737B1 (ko)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JP6345035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100762599B1 (ko) 스위치 장치
KR101773032B1 (ko)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JP4359478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スイッチ装置
US20160118206A1 (en) Keyboard
JP5180768B2 (ja) ダイヤル式スイッチ
KR101189026B1 (ko) 스티어링 휠 햅틱 스위치 장치
CN111712396A (zh) 多功能开关装置
US11429230B2 (en) Motorist user interface sensor
KR101068913B1 (ko) 다기능 스위치의 조명구조
EP1708220B1 (en) Multi-operational input device
RU2630165C2 (ru) Компактное указ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ышь"
KR20210070021A (ko) 다기능 노브
CN101414526A (zh) 具有多路转换通道的圆筒式控制装置
JP4209300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入力装置
KR102594479B1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584215B1 (ko) 다기능 복합 스위치
KR20180011526A (ko) 기능전환이 가능한 마우스
JP491367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5395702B2 (ja) 揺動型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H11162299A (ja) 多機能型操作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