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599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599B1
KR100762599B1 KR1020060047335A KR20060047335A KR100762599B1 KR 100762599 B1 KR100762599 B1 KR 100762599B1 KR 1020060047335 A KR1020060047335 A KR 1020060047335A KR 20060047335 A KR20060047335 A KR 20060047335A KR 100762599 B1 KR100762599 B1 KR 10076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tact
operation knob
switch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902A (ko
Inventor
히데요 카쿠노
카츠야 코야마
신이치 토가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2Application rear view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조작 놉(knob)의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에 의해 각각 다른 스위칭 동작을 실현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며 구조가 간단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 케이스(1)와, 케이스 내로부터 상단이 돌출하고 중앙에 플랜지(3a)가 마련된 조작축(3)과, 조작축(3)이 요동 및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플랜지(3a)를 지지하는 스트라이커(5, 6)와, 조작축(3)의 상단에 부착된 조작 놉(4)과, 조작 놉(4)을 누름 조작하여 조작축(3)을 이동시킴으로서 스트라이커(6)가 이동하여 전환되는 접점을 내장한 푸시 스위치(11)가 실장되고, 조작 놉(4)을 회전 조작하여 조작축(3)을 회전시킴으로서 슬라이더(9)가 회전하고, 그 회전 상태에서 조작 놉(4)을 요동 조작하여 조작축(3)을 요동시킴으로서 슬라이더(9)가 이동하여 전환되는 고정 접점이 형성된 기판(7)을 구비한다.
플랜지, 조작축, 조작 놉, 내 외 스트라이커, 기판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스위치 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동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동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동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동 스위치 장치의 기판과 슬라이더를 도시한 도.
도 7a는 동 스위치 장치의 도 2에 있어서의 Z-Z 단면도.
도 7b는 동 스위치 장치의 도 2에 있어서의 Z-Z 단면도.
도 7c는 동 스위치 장치의 도 2에 있어서의 Z-Z 단면도.
도 7d는 동 스위치 장치의 도 2에 있어서의 Z-Z 단면도.
도 8은 동 스위치 장치의 도 2에 있어서의 Y-Y 단면도.
도 9는 동 스위치 장치의 도 2에 있어서의 X-X 단면도.
도 10은 동 스위치 장치의 슬라이더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3 : 조작축
3a : 플랜지 4 : 조작 놉(operation knob)
5 : 외 스트라이커 6 : 내 스트라이커
7 : 기판
7pc, 7pl, 7pr, 7pu, 7pd : 고정 접점
7qc, 7ql, 7qr, 7qu, 7qd : 고정 접점
11 : 푸시 스위치 11a : 액추에이터
13a : 가동 접점 100 : 스위치 장치
본 발명은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이 가능한 조작 놉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전석의 암 레스트나 앞면 패널 등에는, 좌우의 사이드미러의 시각 조절과 업(up)·다운(down)을 전동으로 행하는 파워 미러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가 배설되어 있다. 이 스위치 장치에는, 사이드미러를 업·다운시키기 위한 스위칭 동작(접점의 전기적 접속 상태의 전환 동작), 좌우의 사이드미러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 및 선택한 사이드미러의 시각 조절을 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종래의 상기 스위치 장치에는, 사이드미러 업·다운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 해 조작하는 조작 놉과, 사이드미러 선택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놉과, 사이드미러 시각 조절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놉이 각각 별개로 마련되어 있는 일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 선택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회전 조작하고, 사이드미러 시각 조절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요동 조작하는 하나의 조작 놉이 마련된 것도 있다. 특허 문헌 1, 2의 스위치 장치에는, 조작 놉의 회전 조작과 요동 조작에 클릭 느낌(조작 감촉)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 업·다운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누름 조작하고, 사이드미러 선택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회전 조작하고, 사이드미러 시각 조절용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요동 조작하는 하나의 조작 놉이 마련된 것도 있다. 특허 문헌 3의 스위치 장치에는, 조작 놉의 회전 조작과 요동 조작에 클릭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탑재용 오디오 세트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조이 스틱 장치)에는, 오디오 세트의 복수의 기능에 대응하는 접점을 전환하기 위해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하는 하나의 조작간(操作杆)이 마련된 것도 있다. 특허 문헌 4의 스위치 장치에는, 조작간의 회전 조작과 요동 조작에 클릭 느낌을 부여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5-44582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4-134239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개2001-291456호 공보
특허 문헌 4 : 특허 제3033205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조작 놉이 복수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 조작하는 조작 놉을 바꾸어 잡아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고, 조작성이 좋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1, 2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조작 놉을 누름 조작하는 것에 관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고, 조작 놉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전환하는 접점 등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3, 4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복수의 접점을 복수의 부재로 나누어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과제로 하는 점은, 하나의 조작 놉의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에 의해 각각 다른 스위칭 동작을 실현하여, 조작성에 우수한 구조가 간단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일단이 돌출하고 중앙에 플랜지가 마련된 조작축과, 조작축이 요동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조작축의 일단에 부착된 조작 놉과, 조작 놉을 누름 조작하여 조작축을 이동시킴으로서 지지 부재가 이동하 여 전환되는 제 1의 접점과, 조작 놉을 회전 조작하여 조작축을 회전시킴으로서 전환되는 제 2의 접점과, 조작 놉을 요동 조작하여 조작축을 요동시킴으로서 전환되는 제 3의 접점과, 제 1, 제 2, 제 3의 접점을 각각 마련한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 놉을 누름 조작함에 의해 제 1의 접점이 전환되고, 조작 놉을 회전 조작함에 의해 제 2의 접점이 전환되고, 조작 놉을 요동 조작함에 의해 제 3의 접점이 전환되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 놉의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에 의해 각각 다른 스위칭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조작이 다른 복수의 조작 놉이 마련되어 있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보다도,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제 2, 제 3의 접점을 동일한 기판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접점을 복수의 부재로 나누어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3, 4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부품 갯수가 적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스위치 장치의 높이 방향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의 한쪽 면측에 제 1의 접점을 마련하고, 다른쪽 면측에 제 2, 제 3의 접점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판의 윗면측에 모든 접점을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3, 4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기판에 있어서의 각 접점의 배치가 용이하게 되고, 기판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스위치 장치의 폭방향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기판의 한쪽의 면측에는 제 1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한 부품이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페이스를 마련하면 좋고, 그 반대의 다른쪽 면측에는 제 2, 3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한 부품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페이스를 마련하면 좋기 때문에, 기 판의 윗면측에 접점을 전환하기 위한 모든 부품의 이동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4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상기 각 이동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하게 되어, 스위치 장치의 높이 및 폭방향의 소형화가 더욱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의 접점은, 기판의 조작 놉측의 면에 실장된 밀어넣음이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갖는 푸시 스위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점으로서, 액추에이터가 지지 부재에 눌림에 의해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 놉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접점으로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별도의 부재에 각각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3과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제 1의 접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제 1의 접점을 전환하기 위한 부품 갯수가 적고,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의 조작 놉과 반대측에 기판과 접촉한 상태에서 조작축에 추종하여 회전 가능하며 또한 기판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제 2, 제 3의 접점은, 기판의 조작 놉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으로서, 조작축을 회전시킴으로서 가동 접점이 회전하여 제 2의 접점이 전환되고, 조작축을 요동시킴으로서 가동 접점이 기판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제 3의 접점이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제 3의 접점이 동일한 가동 접점에 의해 전환되기 때문에, 조작 놉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접점과 요동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접점을 별도의 가동 접점에 의해 전환하는 특허 문헌 1, 2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제 2, 제 3의 접점의 전환을 위한 부품 갯수가 적고,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한층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과 제 2, 제 3의 접점을 기판의 동일한 면측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의 하면측에 가동 접점을 마련하고 윗면측에 고정 접점을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1 내지 3과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제 2, 제 3의 접점의 전환 구조를 한층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스위치 장치(100)는, 자동차의 좌우의 사이드미러의 시각 조절과 업·다운을 전동으로 행하는 파워 미러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 커버(2), 조작축(3), 조작 놉(4), 외(外) 스트라이커(5), 내(內) 스트라이커(6), 기판(7), 플런저(8), 및 슬라이더(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0은, 스위치 장치(100)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스위치 장치(100)의 외관도로서, (a)가 상면도, (b)가 좌측면도, (c)가 후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스위치 장치(100)의 사시도로서, 도 3에서는 케이스(1)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도 4에서는 케이스(1)와 커버(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는, 스위치 장치(100)의 측면도로서, 케이스(1), 커버(2) 및 제 1 스트라이커(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은, 기판(7)과 슬라이더(9)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판(7)의 하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스위치 장치(100)의 도 2에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8은, 스위치 장치(100)의 도 2에서의 Y-Y 단면도이다. 도 9는, 스위치 장치(100)의 도 2에서의 X- X 단면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더(9)의 단면도로서, 예를 들면 도 7b의 단면과 직교하는 단면을 왼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하방은 개구되어 있고, 커버(2)를 조립함으로서 막힌다. 케이스(1)의 윗면에는, 상하로 개구하여 케이스(1)의 내부와 연통하는 통(1a)이 케이스(1)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통(1a)의 내외 지름은, 상방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케이스(1) 및 통(1a)의 내부에는, 조작축(3)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축(3)의 상단은, 케이스(1)의 내부로로부터 통(1a)을 관통하여 외부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해당 상단에는, 조작 놉(4)이 통(1a)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 상태에서 조작 놉(4)과 통(1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 놉(4)은,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D)으로 누름 조작 가능하고, 또한 시계방향(P) 및 반시계방향(Q)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고, 또한 전방(F), 후방(B), 우방(R), 및 좌방(L)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다. 조작축(3)은, 조작 놉(4)에 추종하여 축선(도 1의 1점쇄선) 방향으로의 이동, 축선 주위로의 회전 및 요동이 가능하다.
조작축(3)의 하단에는,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반구형상의 플런저(8)가 조작축(3)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축(3)과 플런저(8)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0)이 개재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0)은, 조작축(3)과 플런저(8)에 축선 방향으로 반발하도록 작용하는 탄성력을 각각 가하고 있다. 플런저(8)의 하방에는, 플런저(8)의 선단과 결합하여, 조작축(3)의 요동시에 플런저(8)를 통하여 조작축(3)의 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대(2a)가 커버(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안내대(2a)의 상부의 중앙에는, 오목부(2k)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2k)의 주위에는, 도 7a 및 도 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2k)로부터 조작 놉(4) 및 조작축(3)이 요동 가능한 전후 좌우의 4방(F, B, L, R)을 향하면서 상승하는 경사면(2f, 2b, 2l, 2r)이 마련되어 있다. 각 경사면(2f, 2b, 2l, 2r)의 도중에는, 둔각의 단차로 이루어지는 볼록부(2d)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2k)와 볼록부(2d)는, 플런저(8) 및 조작축(3)의 하단을 안내하는 방향(조작축(3)의 요동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플런저(8)는,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되어 안내대(2a)에 꽉 눌리고, 조작축(3)은,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상방으로 가세되어 외 스트라이커(5)에 꽉 눌려 있다.
조작축(3)의 중앙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8각형)의 플랜지(3a)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축(3)을 외 스트라이커(5) 내에 하방에서 삽입하고, 뒤이어 내 스트라이커(6)를 외 스트라이커(5) 내로 조작축(3)을 관통시키면서 하방에서 삽입함으로써,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3)의 플랜지(3a)가 외 스트라이커(5)와 내 스트라이커(6)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이 지지 상태에서 조작축(3)과 스트라이커(5, 6)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축(3)은 조작 놉(4)에 추종하여 요동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하다. 플랜지(3a)를 수용하고 있는 외 스트라이커(5)의 공간(5h)은, 플랜지(3a)와 동형(同形)이며 또한 개략 동등한 크기의 다각형(8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 스트라이커(5)는 조작축(3)에 추종하여 회전 가능하다. 내 스트라이커(6)의 하단에는, 도 1,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 스트라이커(5)의 하단에 마련된 노치(5k)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가압부(6a)가 마련되어 있고, 가압부(6a)상에는, 외 스트라이커(5)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상방으로 늘어나는 연출부(6b;extending portion)가 마련되어 있다. 연출부(6b)의 상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와 일체로 마련된 2개의 스토퍼(1b) 사이에 감입되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내 스트라이커(6)는 회전 불가능하다. 스트라이커(5, 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의 한 실시 형태를 구성한다.
외 스트라이커(5)의 중앙으로부터 상단에 걸쳐서 연속하는 계단형상의 외면(상단면과 단차면과 외주면)은,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1a)의 내측의 중앙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하는 계단형상의 내면(단차면과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외 스트라이커(5)는, 하단이 기판(7)에 지지되어 있다. 기판(7)은, 측면 및 하면이 케이스(1) 및 커버(2)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 스트라이커(5)는, 조작축(3)에 추종하여 상하 및 측방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기판(7)은, 회전, 상하, 및 측방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조작축(3)은, 기판(7)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7h)으로 관통하게 되어 있다. 구멍(7h)의 지름은 조작축(3)의 지름보다 어느 정도 크기 때문에, 조작축(3)은 기판(7)과 독립하여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 회전 및 요동이 가능하다.
내 스트라이커(6)의 가압부(6a)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7)의 윗면에 실장되어 있는 푸시 스위치(면실장형의 택트 스위치)(11)의 액추에이터(11a)상에 재치되고 지지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11)는, 내 스트라이커(6)의 하방의 조작축(3) 부근이며 또한 외 스트라이커(5)의 노치(5k) 내에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1a)는 푸시 스위치(11)의 내부로 밀어넣음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 스트라이커(6)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푸시 스위치(11)의 내부에는, 액추에이터(11a)를 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상방으로 가세하면서 액추에이터(11a)의 압입시에 클릭 느낌(조작 감)을 내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기구나, 액추에이터(11a)가 압입됨에 의해 오프 상태(개방·비도통 상태)로부터 온 상태(접속·도통 상태)로 전환되는 접점 등이 구비되어 있다. 내 스트라이커(6)가 조작축(3)에 추종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에 의해, 푸시 스위치(11)의 액추에이터(11a)가 내 스트라이커(6)의 가압부(6a)로 눌려,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푸시 스위치(11)의 상기 내부 접점은, 사이드미러를 업·다운시키는 지시 신호를 사이드미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유닛에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의 접점의 한 실시 형태를 구성한다.
기판(7)의 윗면에는, 푸시 스위치(11) 외에도 발광다이오드(12) 등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이들 전자 부품과 도시하지 않은 배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12)는, 조작 놉(4)을 하방에서 비추는 것이다.
외 스트라이커(5)의 상방의 외주면에는, 도 7b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5e)가 마련되어 있다. 외 스트라이커(5)에는, 외 스트라이커(5)가 조작축(3)에 추종하여 시계방향(P) 또는 반시계 방향(Q)으로 소정 각도(45°) 회전한 때에, 돌기(5e)가 맞닿는 2개의 스토퍼(1e)가 케이스(1)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돌 기(5e)가 스토퍼(1e)에 맞닿음에 의해, 외 스트라이커(5), 조작축(3), 및 조작 놉(4)의 소정 각도 이상의 과도한 회전이 규제된다.
외 스트라이커(5)의 하방의 외주면에는,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원호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결합부(5a)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5a)의 양측방에는, 결합부(5a)와 결합하고, 조작축(3)의 회전시에 외 스트라이커(5)의 회전 및 결합부(5a)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벽(1c)이 케이스(1)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각 안내벽(1c)을 외 스트라이커(5)와 반대 방향으로 휘게 하여, 결합부(5a)의 양측방의 안내벽(1c)을 개략 V자형으로 배치함에 의해, 안내벽(1c)에는 볼록부(1d)와 오목부(1k)가 결합부(5a)를 안내하는 방향(외 스트라이커(5)의 회전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외 스트라이커(5)와 안내벽(1c)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도 8(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5a)가 볼록부(1d)에 접하지 않는 때는, 안내벽(1c)은 거의 탄성 변형하지 않고, 결합부(5a)와 안내벽(1c)은 작은 압력으로 결합하고, 결합부(5a)가 볼록부(1d)에 접하여 있는 때는, 안내벽(1c)은 탄성 변형하고, 결합부(5a)와 안내벽(1c)은 큰 압력으로 결합한다.
기판(7)의 하방(조작 놉(4)과 반대측)에는, 도 5, 도 10, 및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하면의 네모퉁이 부근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4개의 보스로 이루어지는 다리부(9b)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다리부(9b)는, 커버(2)와 일체로 마련된 지지대(2c)상에 지지되어 있다. 다리부(9b) 사이에는, 2개의 단자(13)가 부착되어 있고, 각 단자(1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단자(13)의 윗 면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기형상의 가동 접점(13a)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13)와 슬라이더(9)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4)이 개재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4)은, 단자(13)를 상방으로 가세하고, 각 가동 접점(13a)을 기판(7)의 하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꽉 누르고 있음과 함께, 슬라이더(9)를 하방으로 가세하고, 각 다리부(9b)를 지지대(2c)상에 소정의 압력으로 꽉 누르고 있다. 즉, 슬라이더(9) 및 단자(13)는 기판(7)과 지지대(2c)에 끼워져 있고, 가동 접점(13a)은 기판(7)의 하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항상 접하여 있다. 조작축(3)은, 슬라이더(9)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9h)으로 관통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3)의 구멍(9h)을 관통하는 관통부(3b)는 다각형(8각형)이고, 구멍(9h)은 관통부(3b)와 동형이며 또한 거의 동등한 크기의 다각형(8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9) 및 단자(13)의 가동 접점(13a)은, 조작축(3)에 추종하여 회전 가능하며 또한 기판(7)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다. 지지대(2c)는, 그 이동시에 가동 접점(13a)이 지지대(2c)상으로부터 함락(陷落)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7)의 하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은, 오른쪽의 사이드미러를 상하 좌우로 경사운동시키는 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고정 접점(7qc, 7qr, 7ql, 7qu, 7qd)은, 왼쪽의 사이드미러를 상하 좌우로 경사운동시키는 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더(9)가 조작축(3)에 추종하여 회전함에 의해, 단자(13)의 가동 접점(13a)이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의 부근 위치 또는 고정 접점(7qc, 7qr, 7ql, 7qu, 7qd)의 부근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또한, 슬라이더(9)가 조작축(3)에 추종하여 기판(7)과 평행하게 전후 좌우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함에 의해, 가동 접점(13a)이 그 이동 방향에 있는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에 접촉하고, 해당 고정 접점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의 접점 및 제 3의 접점의 한 실시 형태를 구성한다.
상기 외에도, 기판(7)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이들 전자 부품과 도시하지 않은 배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100)에는, 상기 컨트롤 유닛으로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이나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이 전환되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나 전선 등의 접속 부품도 기판(7)에 실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조작 놉(4)을 조작하지 않을 때는, 각 부분은 도 2, 도 3, 도 4(a), 도 5, 도 6(a), 도 7a, 도 8(a),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 있다. 이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 놉(4)을 예를 들면 도 2의 하방(D)으로 한번 누름 조작하면,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3)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플랜지(3a)로 내 스트라이커(6)를 압하한다. 이 때문에, 푸시 스위치(11)의 액추에이터(11a)가 내 스트라이커(6)의 가압부(6a)에 눌려,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전술한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기구에 의해, 액추에이터(11a)의 가압부(6a)에 대한 항력(抗力)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일단 커진 후 작아진다), 내 스트라이커(6), 조작축(3) 및 조작 놉(4)을 통하여 클릭 느낌(절도감)이 나온다. 이 때문에, 이 클릭 느낌을 의지하여 조작 놉(4)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조작축(3) 및 내 스트라이커(6)를 적정한 위치(내 스트라이커(6)의 가압부(6a)가 푸시 스위치(11)의 액추에이터(11a)를 내부 접점의 전환에 필요로 하는 스트로크만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이 전환되면, 이 전환 신호가 사이드미러를 업시키는 신호로서 스위치 장치(100)로부터 컨트롤 유닛에 출력되고, 해당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모터 등의 전동기를 구동하여 좌우의 사이드미러를 업시킨다.
조작 놉(4)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조작축(3)이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상방으로 가세되고, 플랜지(3a)로 내 스트라이커(6)를 누르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푸시 스위치(11)의 액추에이터(11a)가 내부 기구에 의해 상방으로 가세되고, 내 스트라이커(6)의 가압부(6a)를 밀어올리고,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이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7a 및 도 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3), 조작 놉(4), 내 스트라이커(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후, 조작 놉(4)을 재차 누름 조작하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고, 이 전환 신호가 이번에는 사이드미러를 다운시키는 신호로서 스위치 장치(100)로부터 컨트롤 유닛에 출력되고, 해당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전동기를 구동하여 좌우의 사이드미러를 다운시킨다.
또한,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 놉(4)을 예를 들면 도 2의 반시계방향(Q)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축(3)이 회전하고, 플랜지(3a)로 외 스트라이커(5)를 도 4(b) 및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이때, 외 스트라이커(5)의 결합부(5a)가 안내벽(1c)의 오목부(1k)로부터 볼록부(1d)를 넘어감에 의해, 결합부(5a)와 안내벽(1c)과의 결합력이 급격하게 변화(일단 커진 후 작아진다)하고, 외 스트라이커(5), 조작축(3), 및 조작 놉(4)을 통하여 클릭 느낌이 나온다. 이 때문에, 이 클릭 느낌을 의지하여 조작 놉(4)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조작축(3) 및 외 스트라이커(5)를 적정한 위치(외 스트라이커(5)의 결합부(5a)가 45° 회전하여 안내벽(1c)의 볼록부(1d)를 넘어가는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외 스트라이커(5)의 적정 위치를 넘는 과도한 회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5e)가 스토퍼(1e)에 맞닿음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와 동시에, 조작축(3)이 관통부(3b)로 슬라이더(9)를 걸고, 도 6(b)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 및 단자(13)를 Q방향으로 45° 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단자(13)의 가동 접점(13a)이 고정 접점(7qc, 7qr, 7ql, 7qu, 7qd)의 부근 위치까지 이동하고, 왼쪽의 사이드미러의 시각 조절(상하 좌우로의 경사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 상태로부터 조작 놉(4)을 예를 들면 도 2의 전방(F)으로 요동 조작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3)이 요동하여, 플런저(8)를 조작 놉(4)의 조작 방향(F)과 반대 방향(B)의 안내대(2a)의 경사면(2b)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플런저(8)가 안내대(2a)의 오목부(2k)로부터 볼록부(2d)를 넘어감에 따라, 플런저(8)와 안내대(2a)와의 결합력이 급격하게 변화(커진 후 작아진다)하고, 플런저(8), 조작축(3), 및 조작 놉(4)을 통하여 클릭 느낌이 나온 다. 이 때문에, 이 클릭 느낌을 의지하여 조작 놉(4)을 요동 조작함으로써, 조작축(3)을 적정한 위치(플런저(8)가 안내대(2a)의 볼록부(2d)를 건너는 위치)까지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축(3)의 적정 위치를 넘는 과도한 요동은, 외 스트라이커(5)의 공간(5h)의 윗면 및 측면에 플랜지(3a)가 맞닿음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와 동시에, 조작축(3)이 관통부(3b)로 슬라이더(9)를 걸고, 도 7c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 및 단자(13)를 기판(7)과 평행하게 조작 놉(4)의 조작 방향(F)과 반대 방향(B)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각 단자(13)의 2개의 가동 접점(13a)이 그 이동 방향(B)에 있는 2개의 고정 접점(7qc, 7qu)에 각각 접촉하고, 해당 고정 접점(7qc, 7qu)이 단자(13)를 통하여 접속되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 전환 신호가 왼쪽의 사이드미러를 상향 경사운동시키는 신호로서 스위치 장치(100)로부터 컨트롤 유닛에 출력되고, 해당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전동기를 구동하여 왼쪽의 사이드미러를 상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운동시킨다.
조작 놉(4)의 요동 조작을 해제하면, 플런저(8)가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되어, 안내대(2a)의 경사면(2b)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8)가 오목부(2k)에 감입하는 요동 전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조작축(3)이 코일 스프링(10)에 의해 상방으로 가세되며 또한 플런저(8)에 끌어 당겨져 기판(7)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요동하고, 도 7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3) 및 조작 놉(4)이 요동 전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동시에, 슬라이더(9)가 조작축(3)의 관통부(3b)에 끌어 당겨져 기판(7)과 평행으로 이동하고, 도 7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 및 단자(13)가 요동 전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단자(13)의 가동 접점(13a)이 고정 접점(7qc, 7qr, 7ql, 7qu, 7qd)의 중간에 위치하고, 고정 접점(7qc, 7qr, 7ql, 7qu, 7qd)의 어느것과도 접촉하지 않게 되고, 고정 접점(7qc, 7qu)이 개방되어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에 대해, 도 6의 (b) 상태로부터, 조작 놉(4)을 도 2의 후방(B)으로 요동 조작하면, 조작축(3)이 요동하여, 플런저(8)를 조작 방향(B)과 반대 방향(F)의 안내대(2a)의 경사면(2f)(도 7a 등)에 따라 이동시키고, 슬라이더(9)를 기판(7)과 평행하게 반대 방향(F)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각 가동 접점(13a)이 이동처의 고정 접점(7qd, 7qc)에 각각 접촉하여, 해당 고정 접점(7qd, 7qc)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조작 놉(4)을 도 2의 좌방(L)으로 요동 조작하면, 조작축(3)이 요동하여, 플런저(8)를 반대 방향(R)의 안내대(2a)의 경사면(2r)(도 9)에 따라 이동시키고, 슬라이더(9)를 기판(7)과 평행하게 반대 방향(R)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각 가동 접점(13a)이 이동처의 고정 접점(7ql)에 각각 접촉하여, 해당 고정 접점(7ql)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조작 놉(4)을 도 2의 우방(R)으로 요동 조작하면, 조작축(3)이 요동하여, 플런저(8)를 반대 방향(L)의 안내대(2a)의 경사면(21)(도 9)에 따라 이동시키고, 슬라이더(9)를 기판(7)과 평행하게 반대 방향(L)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각 가동 접점(13a)이 이동처의 고정 접점(7qr)에 각각 접촉하여, 해당 고정 접점(7qr)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이들의 전환 신호는 왼쪽의 사이드미러를 하향, 좌향 또는 우향으로 경사운 동시키는 신호로서 스위치 장치(100)로부터 컨트롤 유닛에 출력되고, 해당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전동기를 구동하여 왼쪽의 사이드미러를 하향, 좌향 또는 우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운동시킨다.
역으로,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 놉(4)을 도 2의 시계방향(P)으로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조작축(3), 외 스트라이커(5), 슬라이더(9) 등이 P방향으로 45° 회전하고, 가동 접점(13a)이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의 부근 위치까지 이동하고, 오른쪽의 사이드미러의 시각 조절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회전 상태로부터 조작 놉(4)을 전방(F), 후방(B), 좌방(L), 우방(R)의 어느 한쪽으로 요동 조작하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작축(3)이 그 조작 방향으로 요동하여, 플런저(8), 슬라이더(9), 및 단자(13)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가동 접점(13a)이 이동처의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에 접촉하여, 해당 고정 접점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들과 같은 전환 신호는 오른쪽의 사이드미러를 상향, 하향, 좌향 또는 우향으로 경사운동시키는 신호로서 스위치 장치(100)로부터 컨트롤 유닛에 출력되고, 해당 신호를 받은 컨트롤 유닛이 전동기를 구동하여 오른쪽의 사이드미러를 상향, 하향, 좌향 또는 우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운동시킨다.
이상에 의하면, 조작 놉(4)을 누름 조작하여 조작축(3)을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내 스트라이커(6)가 조작축(3)에 추종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푸시 스위치(11)의 액추에이터(11a)를 누르기 때문에,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을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놉(4)을 회전 조작하여 조작 축(3)을 회전시킴으로서, 슬라이더(9)가 조작축(3)에 추종하여 회전하고, 슬라이더(9)상의 가동 접점(13a)이 접촉 가능해지는 접점을 기판(7)의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이나 고정 접점(7qc, 7qr, 7ql, 7qu, 7qd)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놉(4)을 요동 조작하여 조작축(3)을 요동시킴으로서, 슬라이더(9)가 조작축(3)에 추종하여 기판(7)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가동 접점(13a)이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의 어느 것인가에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한 그 고정 접점을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조작 놉(4)이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에 의해 각각 다른 스위칭 동작을 실현할 수 있고, 조작이 다른 복수의 조작 놉이 마련되어 있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보다도,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 및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을 동일한 기판(7)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접점을 복수의 부재로 나누어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3, 4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부품 갯수가 적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스위치 장치(100)의 높이 방향(상하 방향(U, D))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기판(7)의 윗면측에 푸시 스위치(11)를 마련하고, 그 반대의 하면측에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의 윗면측에 모든 접점을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3, 4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기판(7)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1) 및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의 배치가 용이하게 되고, 기판(7)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스위치 장치(100)의 폭방향(전후 방향(F, B) 및 좌우 방향(L, R))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더하여, 기판(7)의 윗면측에는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을 전환하기 위한 부품(내 스트라이커(6))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페이스를 마련하면 좋고, 하면측에는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을 전환하기 위한 부품(슬라이더(9) 및 단자(13))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페이스를 마련하면 좋기 때문에, 기판의 윗면측에 접점을 전환하기 위한 모든 부품의 이동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4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상기 각 이동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하게 되고, 스위치 장치(100)의 높이 및 폭방향의 소형화가 한층 더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놉(4)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접점으로서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을 채용하고, 푸시 스위치(11)를 기판(7)의 윗면에 실장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놉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접점으로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별도의 부재에 각각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3과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해당 접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해당 접점을 전환하기 위한 부품 갯수가 적고(조작축(3)과 내 스트라이커(6)의 2점), 스위치 장치(100)의 구조를 한층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이 동일한 가동 접점(13a)에 의해 전환되기 때문에, 조작 놉(4)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접점과 요동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접점을 별도의 가동 접점에 의해 전환하는 특허 문헌 1, 2와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의 전환을 위한 부품 갯수가 적고(조작축(3)과 슬라이더(9)와 단자(13)의 3점), 스위치 장치(100)의 구조를 한층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과 가동 접점(13a)을 기판(7)의 동일한 면측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7)의 하면측에 가동 접점을 마련하고 윗면측에 고정 접점을 마련하고 있는 특허 문헌 1 내지 3과 같은 스위치 장치보다도,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의 전환 구조를 한층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스위치(11)를 마련함에 의해, 조작 놉(4)의 누름 조작시에 클릭 느낌을 낼 수 있고, 외 스트라이커(5)와 안내벽(1c)을 마련함에 의해, 조작 놉(4)의 회전 조작시에 클릭 느낌을 낼 수 있고, 플런저(8)와 코일 스프링(10)과 안내대(2a)를 마련함에 의해, 조작 놉(4)의 요동 조작시에 클릭 느낌을 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의 클릭 느낌을 의지하여 조작 놉(4)을 적정하게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하여, 푸시 스위치(11)의 내부 접점 및 기판(7)의 고정 접점(7pc, 7pr, 7pl, 7pu, 7pd, 7qc, 7qr, 7ql, 7qu, 7qd)을 정상적으로 전환할 수 있고,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하여, 클릭 느낌을 내기 위한 부품 갯수가 적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0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기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자동차의 파워 미러 장치에 이용되는 스위치 장치(100)에 적용한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 이외의 용도에 이용되는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 가능한 스위치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놉을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함에 의해, 기판에 마련한 제 1, 제 2 및 제 3의 접점이 각각 전환되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 놉의 누름, 회전 및 요동 조작에 의해 각각 다른 스위칭 동작을 실현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일단이 돌출하고 중앙에 플랜지가 마련된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이 요동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조작축의 일단에 부착된 조작 놉과,
    상기 조작 놉을 누름 조작하여 상기 조작축을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가 이동하여 전환되는 제 1의 접점과,
    상기 조작 놉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 조작축을 회전시킴으로서 전환되는 제 2의 접점과,
    상기 조작 놉을 요동 조작하여 상기 조작축을 요동시킴으로서 전환되는 제 3의 접점과,
    상기 제 1, 제 2, 제 3의 접점을 각각 마련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한쪽 면측에 상기 제 1의 접점을 마련하고, 다른 쪽의 면측에 상기 제 2, 제 3의 접점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접점은, 상기 기판의 상기 조작 놉 측의 면에 실장된 밀어넣음이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갖는 푸시 스위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점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지지 부재에 눌림에 의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조작 놉과 반대측에 기판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축에 추종하여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제 3의 접점은, 상기 기판의 상기 조작 놉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이고,
    상기 조작축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가동 접점이 회전하여 상기 제 2의 접점이 전환되고, 상기 조작축을 요동시킴으로서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기판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제 3의 접점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60047335A 2005-09-20 2006-05-26 스위치 장치 KR100762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2895A JP2007087671A (ja) 2005-09-20 2005-09-20 スイッチ装置
JPJP-P-2005-00272895 2005-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902A KR20070032902A (ko) 2007-03-23
KR100762599B1 true KR100762599B1 (ko) 2007-10-01

Family

ID=3750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335A KR100762599B1 (ko) 2005-09-20 2006-05-26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14894B1 (ko)
EP (1) EP1764814B1 (ko)
JP (1) JP2007087671A (ko)
KR (1) KR100762599B1 (ko)
CN (1) CN1937129A (ko)
AT (1) ATE410780T1 (ko)
BR (1) BRPI0603804A (ko)
CA (1) CA2540480C (ko)
DE (1) DE60200600303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378A (ja) * 2005-07-25 2007-02-08 Mic Electron Co 複合スイッチ
DE602006014066D1 (de) * 2005-08-05 2010-06-17 Niles Co Ltd Multidirektionale Eingabevorrichtung
DE102007022527A1 (de) * 2007-05-14 2008-11-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dieneinrichtung
DE602007002193D1 (de) * 2007-07-31 2009-10-08 Honda Motor Co Ltd Schalt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Fahrzeugfensters
JP2009158389A (ja) * 2007-12-27 2009-07-16 Niles Co Ltd スイッチ装置
JP4553945B2 (ja) * 2008-01-21 2010-09-29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FR2930655B1 (fr) * 2008-04-29 2013-02-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Interface a retour d'effort a sensation amelioree
KR101038925B1 (ko) * 2009-03-12 2011-06-03 국립암센터 회전 3자유도를 가지는 발판입력장치
EP2256768A1 (en) * 2009-05-25 2010-12-01 Ewac Holding B.V. Safety rotary operator assembly
KR101093943B1 (ko) 2009-06-23 2011-12-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모듈
JP5498362B2 (ja) * 2010-11-24 2014-05-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の操作装置
JP5360509B2 (ja) * 2011-03-24 2013-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入力装置
JP5802111B2 (ja) * 2011-11-04 2015-10-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6345035B2 (ja) * 2014-08-25 2018-06-20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10528073B2 (en) * 2015-03-04 2020-01-07 Snap-On Incorporated Rotatable control device with axial translation
JP6663614B2 (ja) * 2015-10-09 2020-03-13 朝日電装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装置
CN111258369B (zh) * 2018-11-30 2022-04-1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旋钮及旋钮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107A (ja) 1997-10-06 1999-04-23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KR20010015683A (ko) * 1997-10-20 2001-02-26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작동 레버를 갖는 다중 전기 스위치
JP2003045276A (ja) 2001-08-02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EP1416506A2 (fr) 2002-10-28 2004-05-06 Delphi Technologies, Inc. Organe de commande à bouton de manipulation rotatif autour de plusieurs axes
KR20060097148A (ko) * 2005-03-04 2006-09-14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기능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4865A (en) * 1979-06-26 1981-08-18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Throttle force detector
JPS6316108Y2 (ko) * 1979-12-01 1988-05-09
JPS60224005A (ja) 1984-04-20 1985-11-08 Mitsutoyo Mfg Co Ltd 自動三次元測定機
JP3033205B2 (ja) 1991-01-10 2000-04-17 ソニー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H09129090A (ja) * 1995-11-06 1997-05-16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DE19645822B4 (de) * 1996-11-07 2006-07-06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rsystem in MID-Technik
US6369692B1 (en) * 1999-06-02 2002-04-09 Duraswitch Industries, Inc. Directionally sensitive switch
JP2001291456A (ja) * 2000-04-06 2001-10-19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パワーミラー装置
JP4053861B2 (ja) 2002-10-10 2008-02-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照光式電気部品
JP2004171851A (ja) * 2002-11-19 2004-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029725B2 (ja) * 2002-12-20 2008-01-09 日本精機株式会社 操作装置
JP4238085B2 (ja) * 2003-07-25 2009-03-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107A (ja) 1997-10-06 1999-04-23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KR20010015683A (ko) * 1997-10-20 2001-02-26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작동 레버를 갖는 다중 전기 스위치
JP2003045276A (ja) 2001-08-02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EP1416506A2 (fr) 2002-10-28 2004-05-06 Delphi Technologies, Inc. Organe de commande à bouton de manipulation rotatif autour de plusieurs axes
KR20060097148A (ko) * 2005-03-04 2006-09-14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기능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902A (ko) 2007-03-23
CA2540480A1 (en) 2007-03-20
BRPI0603804A (pt) 2007-09-25
CN1937129A (zh) 2007-03-28
CA2540480C (en) 2008-04-29
JP2007087671A (ja) 2007-04-05
EP1764814A1 (en) 2007-03-21
DE602006003034D1 (de) 2008-11-20
ATE410780T1 (de) 2008-10-15
EP1764814B1 (en) 2008-10-08
US7214894B1 (en)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599B1 (ko) 스위치 장치
KR100762600B1 (ko) 스위치 장치
US6884948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US5510810A (en) Display screen control apparatus
EP1760742B1 (en)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JP4359478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スイッチ装置
KR101968944B1 (ko) 햅틱 기능을 포함하는 스위치
JP4664185B2 (ja) 操作装置、スイッチ装置
EP3611600B1 (en) Keyboard
JP2010003424A (ja) 多方向入力装置
WO2019187343A1 (ja) スイッチ装置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11162299A (ja) 多機能型操作要素
JP6666729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2006294415A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
JP5399295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0929323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JP2001351473A (ja) 多方向操作型電子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9160555A (ja) スイッチ装置
JP2001283685A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065073U (ja) 操縦杆式入力装置
JP2000182457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