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29Y1 -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 Google Patents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429Y1
KR200441429Y1 KR2020070004017U KR20070004017U KR200441429Y1 KR 200441429 Y1 KR200441429 Y1 KR 200441429Y1 KR 2020070004017 U KR2020070004017 U KR 2020070004017U KR 20070004017 U KR20070004017 U KR 20070004017U KR 200441429 Y1 KR200441429 Y1 KR 200441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ain body
unit
elastic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Priority to KR2020070004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4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와 덮개 사이에 강력한 탄력조절이 가능한 탄력조작부재를 결합시켜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위치 조작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정유니트는, 누름부(42) 일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탄력조절이 가능하게 호형으로 한 쌍이 부착되는 탄력고리(44)(46)에 하나 이상의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를 외향 설치하는 탄력조절부재(40)와, 상기 탄력조절부재(40)의 탄력고리(44)(46)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20)의 관통공(12)을 형성하는 결합수용부(16)의 외연부를 따라 깊이를 가지는 수용홈부(18)와, 상기 수용홈부(18) 영역에서 대칭 영역에 마련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결속조작부재(62)와 결합돌기(64)를 일체적으로 하나 이상 배치한 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결합돌기로 단속 또는 해제를 이루게 하여 결합 안정성을 극대화시켜 제품신뢰성을 이룰 수 있게 하고 누름동작에 의한 원형형태의 탄력고리의 작용을 유도하여 스위치조작부의 착탈 작용을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력고리, 스위치, 고정유니트, 누름부, 운동전달력, 결속조작부, 트랜스

Description

스위치용 고정유니트{Fixing unit for switch}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덮개를 개방시킨 본체의 평면도로서, 누름부를 누르기전 상태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덮개를 개방시킨 본체의 평면도로서, 누름부를 누른 후 상태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스위치조작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위치조작부 12,14; 관통공
16; 결합수용부 18; 수용홈부
20; 본체 30; 덮개
40; 탄력조절부재 42; 누름부
44.46; 탄력고리 48a,48b,48c,48d; 운동전달돌기
62; 결속조작부재 64; 결합돌기
본 고안은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와 덮개 사이에 강력한 탄력조절이 가능한 탄력조작부재를 결합시켜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위치 조작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자동화에 이용되는 전자회로를 제어하는 스위치는 누름시에만 접점을 이용하여 회로 루프를 구성하는 버튼스위치(Button switch), 선택시 접점을 이용하여 회로 루프를 구성하는 셀렉트스위치(Select switch)등 다양한 종류의 제어용 스위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용 스위치의 구성요소의 일부로서, 스위치용 고정 유니트는 스위치조작부, 컨텍트유니트 및 트랜스유니트 등과 같은 구성요소가 상호결합되어 사용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스위치조작부를 착탈시키기 위해 본체에 결합되는 레버, 가동돌기, 탄성부재와 같은 부품이 필요하고 착탈시키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조작도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0365852호와 같은 스위치용 고정유니트가 고안되어 있다.
상기 선등록기술은 본체에 덮개부재가 결합되고 일측면에 누름동작되는 탄력조작부재가 본체와 덮개부재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 고정유니트는 2점 접촉성 결합기술로 인하여 결합력이 미약하여 안정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없으며 또한 작용력이 적어서 스위치가 이탈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탄력조절부재의 조작을 이루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되었으며 공구 삽입공이 파손되거나 변형될 경우에는 공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탄력조절부재의 조작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용이한 탄력조절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스위치의 착탈을 이루게 하여 안전성을 이루면서 편리한 사용으로 제품신뢰성을 이루게 하는 스위치용 고졍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스위치조작부가 입출입이 자유롭게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본체 및 덮개와,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에 누름부가 형성된 탄력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 일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탄력조절이 가능하게 호형으로 한 쌍이 부착되는 탄력고리에 하나 이상의 운동전달돌기를 외향 설치하는 탄력조절부재와, 상기 탄력조절부재의 탄력고리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결합수용부의 외연부를 따라 깊이를 가지는 수용홈부와, 상기 수용홈부 영역에서 대칭 영역에 마련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결속조작부재와 결합돌기를 일체적으로 하나 이상 배치한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는 결속조작부재는 상기 탄력고리의 운동전달돌기와 밀착 대응하여 확장과 복귀운동을 동시에 이루고, 상기 결속조작부재와 서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어 결합수용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에 운동력을 전달하여 스위치조작부가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누름구의 누름동작에 의해 탄력고리의 팽창운동으로 운동전달돌기가 결속조작부재를 확장하여 결합돌기를 수축하므로 스위치조작부가 관통공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착탈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덮개를 개방시킨 본체에서 누름부를 누르기 전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덮개를 개방시킨 본체에서 누름부를 누른 후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고안에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스위치조작부가 결합된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위치용 고정유니트(100) 는, 스위치조작부(10)가 입출입이 자유롭게 관통공(12)(14)이 각각 형성되는 본체(20) 및 덮개(30)와, 상기 본체(20)와 덮개(3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에 누름부(42)가 형성된 탄력조절부재(40)로 구성된다.
탄력조절부재(40)는 상기 누름부(42) 일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탄력조절이 가능하게 호형으로 한 쌍이 부착되는 탄력고리(44)(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력고리(44)(46)에는 각각에 하나 이상의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가 마련되고 탄력조절부재(40)가 외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부(18)는 상기 탄력조절부재(40)의 탄력고리(44)(46)를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20)의 관통공(12)을 형성하는 결합수용부(16)의 외연부를 따라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20)에는 상기 수용홈부(18) 영역에서 대칭 영역에 마련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하며 일체적으로 형성된 결속조작부재(62)와 결합돌기(64)를 하나 이상 배치하여 탄력조절부재(40)로 작동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속조작부재(62)는 상기 탄력고리(44)(46)의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와 밀착 대응하여 확장과 복귀운동을 동시에 이루고, 상기 결속조작부재(62)와 서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어 결합수용부(16)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4)에 운동력을 전달하여 스위치조작부(10)가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산업용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치용고정유니트(100)는 스위치조작부(10)가 일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컨텍트유니트 및 트랜스유니트(70)가 결합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컨텍트유니트 및 트랜스유니트(70)의 결합리브가 본체(2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응하면서 상호 결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조작부(10)는 본체(20)와 덮개(3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2)(14)에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결합과 분리를 이루게 된다.
이는 상기 스위치조작부(10)의 결합부(52)를 관통공(12)(14)에 끼워 넣게 되면 관통공(12)에 근접되어 형성되어 있는 결합수용부(16)에 돌출되고 있는 결합돌기(64)가 탄력조절됨과 동시에 유입하는 결합부(52)에 형성된 결합홈(5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진다.
이렇게 결합돌기(64)는 결합홈(50)의 4방향에 걸쳐 결합되므로 그 결합상태가 견고하고 안정되어 도2와 같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조작부(10)의 조정을 보다 안정되고 양호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중 분리나 이탈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스위치조작부(10)의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본체(20)와 덮개(30) 사이에 설치되고 누름부(42)만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탄력조절부재(42)를 작동하면 간편하게 스위치조작부(10)를 관통공(12)(14)에서 분리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누름부(42)를 가압하게 되면 누름부(42)의 가압력으로 탄력고리(44)(46)가 수용홈부(18)에서 이완작용을 일으킴과 동시에 이 탄력고리(44)(46)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가 외향으로 확장되고, 결합조작부재(62)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 결합조작부재(62)와 서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어 결합홈(50)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돌기(64)도 후방으로 밀려지므로 결합홈(50)으로 부터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결합돌기(64)가 결합홈(50)으로 이탈되면 스위치조작부(10)의 결합부(52)가 해제상태가 되므로 관통공(12)(14)에서 외부로 분리 가능한 도 3의 상태가 된다.
결국, 누름부(42)를 기초로 탄력고리(44)(46)와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를 운동시키고 이어서 결속조작부재(62)와 결합돌기(64)를 후방이동시킴에 따라 결합홈(50)에 결속된 결합돌기(64)을 해체하여 스위치조작부(10)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렇게 스위치조작부(10)가 분리된 후에는 역순에 의해 결속조작부재(62)와 결합돌기(64)가 원상복귀됨과 동시에 누름부(42), 탄력고리(44)(46) 및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 등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치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결합부의 결합홈이 관통공에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기로 단속 또는 해제를 이루게 하여 결합 안정성을 극대화시켜 제품신뢰성을 이룰 수 있게 하고 누름동작에 의한 원형형태의 탄력고리의 작용을 유도하여 스위치조작부의 착탈 작용을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스위치조작부(10)가 입출입이 자유롭게 관통공(12)(14)이 각각 형성되는 본체(20) 및 덮개(30)와, 상기 본체(20)와 덮개(3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에 누름부(42)가 형성된 탄력조절부재(40)로 이루어진 스위치용 고정유니트(100)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42) 일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탄력조절이 가능하게 호형으로 한 쌍이 부착되는 탄력고리(44)(46)에 하나 이상의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를 외향 설치하는 탄력조절부재(40)와;
    상기 탄력조절부재(40)의 탄력고리(44)(46)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20)의 관통공(12)을 형성하는 결합수용부(16)의 외연부를 따라 깊이를 가지는 수용홈부(18)와,
    상기 수용홈부(18) 영역에서 대칭 영역에 마련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결속조작부재(62)와 결합돌기(64)를 일체적으로 하나 이상 배치한 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조작부재(62)는 상기 탄력고리(44)(46)의 운동전달돌기(48a)(48b)(48c)(48d)와 밀착 대응하여 확장과 복귀운동을 동시에 이루고 상기 결속조작부재(62)와 서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어 결합수용부(16)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4)에 운동력을 전달하여 스위치조작부(10)가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20070004017U 2007-03-12 2007-03-12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0441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017U KR200441429Y1 (ko) 2007-03-12 2007-03-12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017U KR200441429Y1 (ko) 2007-03-12 2007-03-12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429Y1 true KR200441429Y1 (ko) 2008-08-18

Family

ID=4164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017U KR200441429Y1 (ko) 2007-03-12 2007-03-12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4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34A1 (ko) * 2016-10-27 2018-05-0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오퍼레이팅 모듈
KR20190032066A (ko) * 2017-09-19 2019-03-2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090479B1 (ko)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제어용 스위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34A1 (ko) * 2016-10-27 2018-05-0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오퍼레이팅 모듈
US10886083B2 (en) 2016-10-27 2021-01-05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Switch knob and operating module having the same
KR20190032066A (ko) * 2017-09-19 2019-03-2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594479B1 (ko) * 2017-09-19 2023-10-2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090479B1 (ko)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제어용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8505B2 (en) Keyswitch structure
JP2007296090A (ja) 遊技機用押ボタンスイッチ
KR200441429Y1 (ko)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101641598B1 (ko) 스위치
JP2007323942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US4013858A (en) Rocker switch with integral off lock
JP2004171924A (ja) 多方向スライドスイッチ
JP201600476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AU2023204463A1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and operational part
WO2010089975A1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
JP2022135168A (ja) キー入力装置
CN201629247U (zh) 一种启动开关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USRE30273E (en) Rocker switch with integral off lock
KR101960139B1 (ko)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JPH0441553Y2 (ko)
JPH0612582Y2 (ja) スイッチ装置
KR9000013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노브
KR102271997B1 (ko)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JP2007157643A (ja) スイッチ装置
KR200365852Y1 (ko)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0139394Y1 (ko) 푸시버튼조립체의 스프링 장착구조
JP3594402B2 (ja) 操作釦を具えた電子機器
KR950004052Y1 (ko) 가전제품용 스위치 버튼의 안전장치
JP2003272476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