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852Y1 -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 Google Patents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852Y1
KR200365852Y1 KR20-2004-0022582U KR20040022582U KR200365852Y1 KR 200365852 Y1 KR200365852 Y1 KR 200365852Y1 KR 20040022582 U KR20040022582 U KR 20040022582U KR 200365852 Y1 KR200365852 Y1 KR 200365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it
cover member
main body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Priority to KR20-2004-0022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8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와 덮개부재 사이에 탄력조작부재를 결합시켜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스위치 조작부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 및 덮개부재와, 일측면에 누름동작되는 버튼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 조작부를 착탈시키는 결합편이 탄력부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덮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진 탄력조작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용 고정유니트{FIXING UNIT FOR SWITCH}
본 고안은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와 덮개부재 사이에 탄력조작부재를 결합시켜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자동화에 이용되는 전자회로를 제어하는 스위치는 누름시에만 접점을 이용하여 회로 루프를 구성하는 버튼 스위치(button switch), 선택시에만 접점을 이용하여 회로 루프를 구성하는 설렉트 스위치(select switch) 등 다양한 종류의 제어용 스위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용 스위치의 구성요소의 일부로서, 스위치용 고정 유니트는 스위치 조작부, 컨택트 유니트 및 트랜스 유니트 등과 같은 구성요소와 상호 결합되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스위치 조작부(6)가 고정되는 결합홀(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1a) 상에 고정돌기편(1b)이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일면에 결합되고, 힌지핀(2a)에 의해 회동가능한 레버(2)와, 상기 레버(2)에 형성된 절개홈(2b)에 돌기(3a)가 결합되어 상기 레버(2)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고정돌기편(1b)에 대응되는 가동돌기편(3)과, 상기 레버(2)의 회동에 의해 전후진되는 상기 고정돌기편(3)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4)와, 상기 레버(2), 가동돌기편(3) 및 탄성부재(4)를 커버하는 덮개(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부(6)는 버튼부(6a)(또는 셀렉트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이의 타측에 상기 고정유니트의 결합홀(1a)에 고정되는 결합부(6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b) 상에 상기 고정돌기편(1b) 및 가동돌기편(3)이 결합되는 고정홈(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상기 스위치 조작부(6)의 결합부(6b)를 상기 고정유니트의 결합홀(1a)에 강제 끼움함으로 인해, 상기 스위치 조작부(6)의 고정홈(6c)이 상기 고정유니트의 결합홀(1a)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편(1b) 및 레버(2)에 연동되어진 가동돌기편(3)에 의해 스위치 조작부(6)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레버(2)를 일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가동돌기편(3)이 후진되면서 스위치 조작부(6)가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스위치 조작부(6)를 착탈시키기 위해 본체(1)에 결합되는 레버(2), 가공돌기편(3), 탄성부재(4)와 같은 부품이 필요하고, 착탈시키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즉, 스위치 조작부(6)에 결합부(6b)상에 형성된 고정홈(6c)에 고정돌기편(1b)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레버(2)를 일측으로 회동시켜 가동돌기편(3)을 다른 고정홈(6c)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측으로 스위치 조작부(6)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여 조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조작도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와 덮개부재 사이에 탄력조작부재를 결합시켜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서 덮개부재를 개방시킨 상태의 평면도로서, 버튼부를 누르기 전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서 덮개부재를 개방시킨 상태의 평면도로서, 버튼부를 누르기 후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에 스위치조작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관통공
12: 안내편 20: 덮개부재
21: 관통공 22: 결합편
23: 공구삽입홈 30: 탄력조작부재
31: 버튼부 32: 결합편
33: 탄력부 40: 조작부
41: 결합부 41a: 고정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위치 조작부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 및 덮개부재와, 일측면에 누름동작되는 버튼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 조작부를 착탈시키는 결합편이 탄력부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덮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진 탄력조작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부가 위치하는 상기 덮개부재의 일면에 공구삽입공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본체(10), 덮개부재(20) 및 탄력조작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와 덮개부재(20)는 스위치 조작부(40)가 결합되는 관통공(1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것으로 한쌍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관통공(11)의 내주면에는 스위치 조작부(40)가 안내되는 안내편(12)이 좌,우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20)에는 결합편(22)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탄력조작부재(30)는 일측면에 누름동작되는 버튼부(31)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31)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 조작부(40)를 착탈시키는 결합편(32)이 탄력부(33)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와 덮개부재(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버튼부(31)를 가압함으로서 결합편(32)이 탄력부(33)에 의해 후진되면서 스위치 조작부(40)가 분리되는 것이고, 가압된 버튼부(31)을 놓게 되면 탄력부(33)가 원상복귀되면서 후진되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부(40)를 고정유니트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관통공(11)(21)에 스위치 조작부(40)를 가압하게 되면 결합편(32)이 탄력부(33)에 의해 후진되면서 고정홈(41a)에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버튼부(31)가 위치하는 상기 덮개부재(20)의 일면에 공구삽입공(23)이 형성되도록 하여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D)를 공구삽입공(23)에 결합시켜 버튼부(31)를 조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설명상 본 고안의 스위치 조작부(40)는 종래에 동일하며, 본 고안의 본체(10)와 덮개부재(20)에 형성된 관통공(11)(21)에 상기 스위치 조작부(40)의 결합부(41)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결합부(41)에는 본 고안의 탄력조작부재(30)의 결합편(32)이 결합되는 고정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스위치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스위치 조작부(40)가 일면에 결합되고, 타면에는 컨택트 유니트 및 트랜스 유니트(미도시)가 결합되어진다.
이때 상기 스위치 조작부(40)는 본 고안의 고정유니트에 결합되는데 이는 스위치 조작부(40)의 결합부(41)를 관통공(11)(21) 사이에 결합시키게 되면 본체(10)와 덮개부재(20) 사이에 설치된 탄력조작부재(30)의 결합편(32)이 후진되면서 결합부(41)상에 형성되어진 고정홈(41a)에 결합편(32)이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부(40)를 고정유니트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버튼부(31)를 가압하게 되면 결합편(32)이 탄력부(33)에 의해 후진되면서 스위치 조작부(40)가 분리되는 것이고, 가압된 버튼부(31)을 놓게 되면 탄력부(33)가 원상복귀되면서 후진되어져 있던 결합편(32)이 전진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용 고정유니트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와 덮개부재 사이에 탄력조작부재를 결합시켜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스위치 조작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것이다.

Claims (2)

  1. 스위치 조작부(40)가 결합되는 관통공(1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는 본체(10) 및 덮개부재(20)와,
    일측면에 누름동작되는 버튼부(31)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31)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 조작부(40)를 착탈시키는 결합편(32)이 탄력부(33)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와 덮개부재(20) 사이에 설치되어진 탄력조작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위치하는 상기 덮개부재(20)의 일면에 공구삽입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2004-0022582U 2004-08-09 2004-08-09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0365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82U KR200365852Y1 (ko) 2004-08-09 2004-08-09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582U KR200365852Y1 (ko) 2004-08-09 2004-08-09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852Y1 true KR200365852Y1 (ko) 2004-10-25

Family

ID=4943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582U KR200365852Y1 (ko) 2004-08-09 2004-08-09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8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79B1 (ko)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제어용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79B1 (ko)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제어용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612B2 (ko)
JP2006278248A (ja) 操作釦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365852Y1 (ko)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0262521Y1 (ko) 스위치 조작부가 결합된 고정 유니트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4443950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267393Y1 (ko) 버튼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0408899Y1 (ko) 푸시락 스위치
KR9000013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노브
KR100782057B1 (ko) 푸시락 스위치
JP2920067B2 (ja) スイッチ
KR19980049454U (ko) 힌지타입 버튼 스위치 장치
JP2000223093A (ja) 電池式電気機器
KR960008263Y1 (ko) 절환스위치
JPS635274Y2 (ko)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JPH0326588Y2 (ko)
KR20040102281A (ko) 전자제품의 버튼구조
JP2003347764A (ja) 電子機器
KR200172463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장치
KR200176224Y1 (ko) 커버 개폐장치
JPS6166362A (ja) 電池カバ−の抜け止め装置
JPH10261344A (ja) 押釦式スイッチ構造
KR100458445B1 (ko) 영상표시기기의 겸용 버튼구조
KR200228296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커버 오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