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057B1 - 푸시락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락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057B1
KR100782057B1 KR1020050117334A KR20050117334A KR100782057B1 KR 100782057 B1 KR100782057 B1 KR 100782057B1 KR 1020050117334 A KR1020050117334 A KR 1020050117334A KR 20050117334 A KR20050117334 A KR 20050117334A KR 100782057 B1 KR100782057 B1 KR 10078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pring
contact
jaw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723A (ko
Inventor
이정량
Original Assignee
(주)카마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마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카마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11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0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78Casings containing special noise reduction means, e.g. elastic foam between inner and oute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2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걸림턱삽입부가 양측부에 형성되고, 양 걸림턱삽입부 사이의 공간은 개방되는 어퍼케이스와; 이동홈과, 래치 걸림턱을 상면에 형성하고, 그 하측에는 스프링 삽입부를 설치하여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내장 삽입하며, 어퍼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습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측면에 삽입 설치되고,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콘택트와; 상기 어퍼케이스의 걸림턱삽입부에 대응하도록 걸림턱을 구비하고, 자체의 저면에는 상기 콘택트의 이동시 접점을 유지용의 다수의 고정접점판을 설치하고, 고정 접점판과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용 턱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지지용 턱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치걸이용 홀을 형성시키는 언더케이스; 및 상기 언더케이스에 형성된 래치걸이용 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힌지 구동되는 래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푸시락 스위치, 래치, 언더케이스, 걸림턱, 샤프트

Description

푸시락 스위치{PUSH LOCK SWITCH}
도 1은 종래의 푸시락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의 푸시락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의 래치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와 고정 접점판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어퍼케이스 11 : 걸림턱 삽입부
20 : 샤프트 21: 이동홈
21a: 래치 걸림턱 22: 스프링삽입부
30: 콘택트
30a, 30b: 제1, 제 2 가동 접점부 40: 고정 접점판
40a, 40b, 40c: 제1, 제2, 제3 고정 접점부
50: 언더케이스 51: 걸림턱
52: 래치걸이용 홀 53: 스프링지지용 턱
60: 래치 62: 걸림턱
64: 래치볼록부 66: 래치 밀림방지턱
70: 스프링 80: 푸시락 스위치
본 발명은 푸시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점유지용의 플레이트 스프링을 제거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고, 소음을 방지하는 래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락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푸시락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편(3)을 하면홈에 고정 부착한 무빙블록(2)을 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1) 내에 설치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의 개방된 하부에는 코킹처리된 고정접편(4)을 가지는 터미널 블록(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돌출된 상단 내부에는 'Π '자형상으로 설계된 록 핀(6)의 일단을 케이스(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설치하고, 타단은 무빙블록(2)의 이동홈(7)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록 핀(6)의 상부에는 'U'자형 판(8)이 내삽되어 록 핀(6)을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케이스(1)의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무빙블록(2)의 일측을 한번 누르므로서 접점이 온(on)되고, 그 잠김 상태에서 이단작동으로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오프(off)되도록 작동된다.상기 온 동작에서 상기 무빙블록(2)은 스프링(9)의 압축으로 케이스(1) 내부에 밀착되며, 이 때 상기 무빙블록(2)의 상부에 힌지 고정된 록 핀(6)이 이동홈(7)을 따라 이동하다가 차단 막(7a)에 걸리게 되면 무빙블록(2)은 이동을 멈추고 잠금 고정되어 접점의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접점 차단(off)의 작동은 무빙블록(2)을 한번 더 누르는 이단 작동으로 록 핀(6)이 차단막(7a)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홈(7)으로 이동되고, 고정되어 있던 무빙블록(2)은 스프링(9)의 복원력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무빙블록(2)의 전후진으로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접편(3)도 동시에 이동되어 하부에 설치된 터미널 블록(5)의 고정접편(4)에 접촉되어 단락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 핀(6)의 상부에 위치한 'U'자형 판(8)은 록 핀(6)의 이탈을 방지하고 탄력 있게 지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푸시락 스위치는 터미널 블록(5)에 고정접편(4)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코킹 처리함으로서 작업이 까다로우며, 케이스(1)에 결합된 터미널 블록(5)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또한, 케이스(1)의 돌출된 상면으로 록 핀(6)과 'U'자형 판(8)이 조립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중 돌출된 부위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원활한 작동에 방해가 되며, 'U'자형 판(8)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중에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잠금기능이 딸린 이단 작동의 푸시락 스위치로서; 다수개의 삽입부(1a)가 측부에 형성되며, 하부와 일측면이 개방된 케이스(1)와, 이동홈(7)과 차단막(7a)이 상면에 형성되고, 접점스프링(3a)이 하부에 고정되고, 일측면과 상기 폐쇄 타측면 사이에 스프링(9)이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1) 내에서 습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무빙 블록(2)과, 상기 무빙블록(2)의 상면에서 상기 이동홈(7)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힌지설치되는 록 핀(6)과, 상기 록 핀(6)의 상부와 상기 케이스(1)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록 핀(6)을 고정 및 탄력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 스프링(8)과, 상기 케이스(1) 하부의 삽입부(1a)에 체결되는 걸림턱(5a)이 양면에 설치되고,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점판(4)이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5)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블록(2)을 누르면, 상기 록 핀(6)은 이동홈(7)을 따라 가이드 이동되다가 차단막(7a)에 걸리게 되어, 그 위치에서 상기 무빙블록(2)은 잠금고정시키고, 상기 접점스프링(3a)은 상기 터미널 블록(5)의 접점판에 맞닿게 되어 접점을 온시키며, 상기 온상태에서 상기 무빙블록(2)을 더 누르면, 상기 록 핀(6)은 차단막(7a)으로부터 벗어나서 이동홈(7)으로 이동되며, 고정되어 있던 무빙블록(2)은 상기 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고, 상기 접점스프링(3a)은 상기 터미널 블록(5)의 접점판과 엇갈리는 위치로 복귀되어 접점을 오프시키는 푸쉬록 스위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푸시락 스위치를 간략하게 작동을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판(4)을 하면 홈에 고정 부착한 무빙블록(2)을 습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1)내에 설치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의 개방된 하부에는 고정 접점판을 가지는 터미널 블록(5)이 설치된다. 상기 무빙블록(2)의 이동홈(7)을 따라 록 핀(6)의 일단이 이동되고, 타단은 회동가능 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록 핀(6)의 상부에는 이를 지지 및 고정하는 플레이트 스프링(8)이 록 핀(6)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작동은 케이스(1)의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무빙 블록(2)의 일측을 한번 누름으로써 접점이 켜(ON)지고, 그 잠김상태에서 이단 작동으로 한번 더 누르게 되면 꺼(OFF)진다.
상기 온 동작에서 상기 무빙블록(2)은 스프링(9)의 압력으로 케이스(1) 내부에 밀착되며, 이때 상기 무빙블록(2)의 상부에 힌지고정된 록 핀(6)이 이동홈(7)을 따라 이동하다가 차단막(7a)에 걸리게 되면 무빙블록(2)은 이동을 멈추고 잠금 고정되어 접점의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오프의 이단 작동은 무빙 블록(2)을 한번더 누름으로서 록 핀(6)이 차단막(7a)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홈(7)으로 이동되고, 고정되어 있던 무빙블록(2)은 스프링(9)의 복원력으로 인해 복귀된다. 이러한 무빙블록(2)의 전, 후진으로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 접점판도 동시에 이동되어 하부에 설치된 터미널 블록(5)의 고정 접점판에 접촉되어 단락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 핀(6)의 상부에 위치한 플레이트 스프링(8)은 록 핀(6)이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있게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푸시락 스위치의 작동시에는 플레이트 스프링과 록 핀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고, 이러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 있어 안전운전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푸시락 스위치는 록 핀의 상부에 설치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탄력있게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 스프링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합작업에 있어 불필요한 시간이 낭비되고 이로 인한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래치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샤프트의 습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푸시락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점용의 플레이트 스프링을 삭제하는 구성으로, 콘택트가 직접 고정 접점판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신호를 온/오프 제어하는 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푸시락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금기능을 갖는 이단 작동의 푸시락 스위치에 있어서, 걸림턱삽입부가 양측부에 형성되고, 양 걸림턱삽입부 사이의 공간은 개방되는 어퍼케이스와; 래치의 진로를 안내하는 이동홈과, 래치 걸림턱을 상면에 형성하고, 그 하측부에 스프링 삽입부를 설치하여 스프링을 내장 삽입하며, 상기 어퍼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어퍼케이스 내에 습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측면에 삽입 설치되고, 사용자의 누름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신호 전달용의 콘택트와; 상기 어퍼케이스의 걸림턱삽입부에 대응하도록 양측부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자체의 저면에는 상기 콘택트의 이동시 접점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 접점판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접점판과 수직방향에 위 치하여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턱을 형성한 스프링 지지용 턱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지지용 턱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치걸이용 홀을 형성시키는 언더케이스; 및 상기 언더케이스에 형성된 래치걸이용 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힌지 구동되는 래치;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접점판은, 3개의 고정접점부로 구성되며, 제1의 고정점점부(40a)에는 상기 콘택트의 제1 가동접점부(30a)가 항상 접촉되고,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를 1회 눌렀을 때 상기 콘택트의 제2 가동접점부(30b)는 신호선(도시 생략)이 연결되어 있는 제2의 고정접점부(40b)와 접촉되어 신호를 전달(ON)하며, 상기 샤프트를 2회 눌렀을 때는 상기 콘택트의 제2 가동접점부(30b)가 신호선이 차단되어 있는 제3의 고정접점부(40c)로 이동 접촉되어 신호를 차단(OFF)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래치는, 일측은 상기 래치걸이용 홀에 용이하게 삽입된 후 걸릴 수 있도록 내측 일부를 절개하여 대칭구조를 갖는 돌출형의 걸림턱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이동홈을 따라 힌지 구동되는 래치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볼록부에 연장되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형태의 래치 밀림방지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의 래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부호 10은 본 발명에 의한 푸시락 스위치(80)의 어퍼케이스(Upper case)를 도시하고, 부호 20은 사용자의 누름에 따른 이동 기능을 갖는 샤프트를 도시하며, 부호 30은 상기 샤프트(20)의 하부에 부착되어 가동되는 접점인 콘택트를 도시하고, 40은 상기 콘택트(30)에 접촉 및 분리되어 신호를 전달받는 고정 접점판을 도시하고, 부호 50은 상기 어퍼케이스(10)와 결합하는 언더케이스(Under case)를 도시하고, 부호 60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를 도시하고, 도 70은 탄성용의 스프링을 각각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한 푸시락 스위치의 세부 구성 및 작동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퍼케이스(10)에는 상기 언더케이스(5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51)이 진입될 때 이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홈을 갖는 걸림턱 삽입부(11)가 좌우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어퍼케이스(10)의 샤프트(20)가 진입하는 반대 방면에는 체결용 후크(11a)를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언더케이스(50)에 설치되는 체결용 후크(51a)와 결합되어, 결합력을 강화한다.
또, 상기 샤프트(20)에는 이동홈(21)과 차단막(21a) 및 스프링(70)을 내부에 삽입시키기 위한 스프링 삽입부(22)가 설치된다. 또 상기 샤프트(20)에는 콘택트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언더케이스(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예를 들면, 2개)의 걸림턱(51)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고정 접점판(40)이 인서트 몰딩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언더케이스(50)의 일측부에는 상술한 어퍼케이스(10)의 체결용 후크(11a)에 대응하는 체결용 후크(51a)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 삽입부(22)에 내삽된 스프링(70)은 스프링지지용 턱(53)에 지지되어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푸시락 스위치의 래치(60)는 일측 상부에는 원형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으로는 고정 결합을 확실히 하기 위해 입구가 좁혀질 수 있는 구조의 걸림턱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래치는, 그 일측은 상기 래치걸이용 홀(52)에 용이하게 삽입된 후 걸릴 수 있도록 내측 일부를 절개하여 대칭구조를 갖는 돌출형의 걸림턱(62)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이동홈을 따라 힌지 구동되는 래치볼록부(64)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볼록부(64)에 연장되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형태의 래치 밀림방지턱(66)을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래치(60)는 상기 언더케이스(50)의 하측에 설치된 래치걸이용 홀(52)에 삽입되어 힌지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래치(60)는 샤프트(20)의 이동시에도 래치걸이용 홀(52)에 래치(60)가 직접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되므로 이탈의 우려를 없앨 수 있고 결합력을 탁월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래치(60)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고 있고 자체에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걸림턱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이것은 종래에 금속 재질을 이용하였던 것을 변경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속 재질 이용시 발생하였던 작 동음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견고하고도 확실한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종래의 푸시락 스위치에서 사용되던 플레이트 스프링을 삭제하는 간단한 구성을 갖게 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플레이트 스프링의 사용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콘택트(30)가 상기 언더케이스(5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스프링(70)을 내부에 설치하는 샤프트(20)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0)는 습동이 가동하도록 상기 어퍼케이스(10)와 언더케이스(5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케이스(10)의 개방된 하부에는 다수개의 걸림턱 삽입부(11)가 형성되며, 그 걸림턱 삽입부(11)에 대응하는 개수로 걸림턱(51)을 구비하는 언더케이스(50)가 체결되고 있으며, 상기 언더케이스(50)의 저면에는 3개의 단자에 각각 연결된 고정 접점판(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상기 샤프트(20)는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21)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위치하고, 그 타단은 상기 어퍼케이스(10)와 언더케이스(50)를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시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의 조립 순서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와 고정 접점판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다.
먼저, 상기 언더케이스(50)에 고정 접점판(40) 상에 설치된 제1, 제2, 제3 고정 접점부(40a, 40b, 40c)의 면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세워 설치하고, 상기 샤프 트(20)의 하면에는 콘택트(30)를 삽입시키며, 상기 결합된 샤프트(20)의 일면에 스프링(70)을 장착시켜, 상기 언더케이스(50)의 스프링 삽입 형상에 맞도록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래치(60)를 샤프트(20) 상면의 이동홈(20)과 언더케이스(50)의 래치걸이용 홀(52)에 양측으로 맞추어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언더케이스(50)의 걸림턱(51)이 어퍼케이스(10)의 걸림턱 삽입부(11)에 체결될 때까지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래치걸이용 홀(52)은 래치(6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래치(60)의 유동 및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푸시락 스위치는, 사용자가 어퍼케이스(10)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20)의 헤드 부분을 누르게 되면, 상기 어퍼케이스(10) 내부를 샤프트(20)가 습동하여 스프링(70)을 밀어내게 되고, 스프링(70)은 어퍼케이스(10) 내부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에 설치된 래치(60)는 이동홈(21)을 따라 가이드 이동되다가 차단막(21a)에서 걸리게 되므로 그 위치에서 샤프트(20)를 고정하게 된다. 이 때 샤프트(20)를 따라 이동된 콘택트(30)의 제1 가동 접점부(30a)는 상기 언더케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 접점판(40)의 제1 고정 접점부(40a)에 닿게 되고, 제2 가동 접점부(30b)는 제2 고정 접점부(40b)에 접하게 되어 접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일차 누름에 따른 고정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0)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스위치가 이단으로 작동되어 상기 래치(60)가 래치 걸림턱(21a)으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홈(21)을 따라 이동하고, 고정되어 있던 샤프트(20)를 상기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귀시킨다. 따라서 복귀된 샤프트(20)와 함께 이동된 콘 택트(30)의 제2 가동 접점부(30b)가 다시 이동하여 언더케이스(50)의 제3 고정 접점부(40c)에 접촉되어, 신호를 차단(Off)하게 된다. 이때, 제1 가동 접점부(30a)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 접점부(40a)에 계속해서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20)의 일차 누름에 따른 작동 및 이차 누름에 따른 해제에 따라, 언더케이스(5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콘택트(30)가 스프링(70)의 탄성작용에 따른 전후진 이동을 발생시켜 상기 언더케이스(50)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 접점판(40)에 맞닿게 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으로 접점이 온/오프 작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푸시락 스위치는 래치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충격 등으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푸시락 스위치에서는 플레이트 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게 되어 이의 조립 공정이 필수적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를 전달할 때 콘택트가 직접 고정 접점판에 안전하게 접촉되어 신호를 온/오프 제어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동작을 확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에 의하면, 래치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습동시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락 스위치에 의하면, 접점용의 플레이트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도 콘택트가 고정 접점판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구성으로 신호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동작을 확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걸림턱삽입부가 양측부에 형성되고, 양 걸림턱삽입부 사이의 공간은 개방되는 어퍼케이스(Upper Case)와; 래치의 진로를 안내하는 이동홈과, 래치 걸림턱을 상면에 형성하고, 그 하측에는 스프링 삽입부를 설치하여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내장 삽입하며, 상기 어퍼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어퍼케이스 내에 습동하는 샤프트(Shaft)와; 상기 샤프트의 하측면에 삽입 설치되고, 사용자의 누름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신호 전달용의 콘택트(Contact)와; 상기 어퍼케이스의 걸림턱삽입부에 대응하도록 양측부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자체의 저면에는 상기 콘택트의 이동시 접점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 접점판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접점판과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턱을 형성한 스프링 지지용 턱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지지용 턱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래치걸이용 홀을 형성시키는 언더케이스(Under case); 및 상기 언더케이스에 형성된 래치걸이용 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힌지 구동되는 래치(Latch);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잠금기능을 갖는 이단 작동의 푸시락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그 일측은 상기 래치걸이용 홀에 용이하게 삽입된 후 걸릴 수 있도록 내측 일부를 절개하여 대칭구조를 갖는 돌출형의 걸림턱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이동홈을 따라 힌지 구동되는 래치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볼록부에 연장되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형태의 래치 밀림방지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락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락 스위치.
KR1020050117334A 2005-12-05 2005-12-05 푸시락 스위치 KR10078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34A KR100782057B1 (ko) 2005-12-05 2005-12-05 푸시락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334A KR100782057B1 (ko) 2005-12-05 2005-12-05 푸시락 스위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199U Division KR200408899Y1 (ko) 2005-12-05 2005-12-05 푸시락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723A KR20070058723A (ko) 2007-06-11
KR100782057B1 true KR100782057B1 (ko) 2007-12-04

Family

ID=3835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334A KR100782057B1 (ko) 2005-12-05 2005-12-05 푸시락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705B1 (ko) 2017-03-02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과방전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3933A (ja) * 1989-01-06 1990-07-18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JPH0714062U (ja) * 1993-08-06 1995-03-10 株式会社テーケィアール スイッチ付きロック及び解除装置
JPH09320387A (ja) * 1996-05-29 1997-12-12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装置
JPH1116448A (ja) 1997-06-25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押釦スイッチ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WO2005008005A1 (ja) 2003-07-23 2005-01-27 Nifco Inc. スイッチ付ラッチ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3933A (ja) * 1989-01-06 1990-07-18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JPH0714062U (ja) * 1993-08-06 1995-03-10 株式会社テーケィアール スイッチ付きロック及び解除装置
JPH09320387A (ja) * 1996-05-29 1997-12-12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装置
JPH1116448A (ja) 1997-06-25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押釦スイッチ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WO2005008005A1 (ja) 2003-07-23 2005-01-27 Nifco Inc. スイッチ付ラッチ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723A (ko)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3065B (zh) 开关装置的锁扣结构
US20090290322A1 (en) Enclosure operable between unlocked and locked states and including a switch device
US6425609B2 (en) Locking device for a child safety door
JP4707565B2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KR100782057B1 (ko) 푸시락 스위치
KR200408899Y1 (ko) 푸시락 스위치
JP2004257188A (ja) スイッチ付ラッチ
JP2882778B2 (ja) オーバセンタトグル式ラッチ
KR920000309Y1 (ko) 스위치 장치
KR100449657B1 (ko) 푸시록 스위치
KR200344649Y1 (ko) 차량용 스위치장치
TWI729833B (zh) 按壓式開關構造
KR9000013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노브
JPH0923203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それに使用されるイジェクタ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製造方法
KR200422724Y1 (ko) 푸시 버튼 구조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KR100509743B1 (ko) 누름 작동형 스위치
KR200228296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커버 오픈 장치
KR960003427Y1 (ko) 전자제품의 도어 록킹(door locking) 장치
KR93000731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0139457Y1 (ko) 슬라이더 작동식 마이크로스위치
KR0120193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잠금장치
KR200365852Y1 (ko)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100331646B1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유닛용 디턴트 플레이트
KR960002605Y1 (ko) 카 오디오 노브(Knob)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