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480B1 -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480B1
KR100337480B1 KR1020000040623A KR20000040623A KR100337480B1 KR 100337480 B1 KR100337480 B1 KR 100337480B1 KR 1020000040623 A KR1020000040623 A KR 1020000040623A KR 20000040623 A KR20000040623 A KR 20000040623A KR 100337480 B1 KR100337480 B1 KR 10033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ush button
elastic member
cam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987A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박재범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KR102000004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4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6Control panel; Graphic display; Programme control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버튼 스위치의 누름버튼과 작동캠을 분리하여 누름버튼이 항상 인출이 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작동중에도 외관의 고급화를 추구하기 위한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격벽을 갖고 내측에 작동핀이 결합된 고정판이 안착되는 좌측케이스와; 일측에 작동로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핀이 결합되고, 타측에 접점단자를 가지며, 상기 좌측케이스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드 이동하는 작동캠과; 상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캠에 형성된 접점단자와 접촉하는 접점판과,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접속단자함을 가지며 상기 좌측케이스에 결합되는 우측케이스와; 상기 결합된 좌,우측케이스 내의 상기 작동캠 상부에 일측이 접촉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공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누름버튼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항상 누름버튼이 인출되어 있음으로 작동중에도 외관의 고급화를 추구하여 소비자로 부터 외견상 미려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Push Button Switch of Projecting Type}
본 발명은 누름버튼을 눌러서 전원을 온/오프시키더라도 항상 누름버튼이 인출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쉬버튼 스위치는 누름버튼에 작동캠을 일체로 형성하고, 본체에 작동핀을 설치하거나 또는 누름버튼에 작동핀을 설치하고 본체에 작동캠을 설치하여 왔었다.
그리고 누름버튼을 눌렀을 때에 전원이 인가 되고, 누름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반적인 푸쉬버튼 스위치는 누름버튼을 눌러서 전원을 온 시키면 누름버튼이 스위치의 외측케이스의 표면보다 약간 들어가는 형상으로 눌려져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외관의 미려함을 요구하는 소비자로 부터 불만의 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푸쉬 스위치의 누름버튼과 작동캠을 분리하여 누름버튼이 항상 인출이 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작동중에도 외관 및 내장물의 고급화를 추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작동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인 도 1의 A - A 선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과 작동캠이 하부로 이동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은 상부로 이동하고, 작동캠은 하부에 위치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좌측케이스 2 : 우측케이스 4 : 고정판 5 : 작동캠
6 : 누름버튼 12 : 결합홈 13 : 슬라이드공
29 : 제 1 접점판 30 : 제 2 접점판 31 : 제 3 접점판
32 : 제 4 접점판 41 : 결합돌기 43 : 결합공 44 : 작동핀
51 : 제 1 가이드홈 52 : 제 2 가이드홈 53 : 작동로
54 : 고정턱 57 : 접점단자 64 : 제 1 가이드돌기
65 : 제 2 가이드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격벽을 갖고 내측에 작동핀이 결합된 고정판이 안착되는 좌측케이스와; 일측에 작동로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핀이 결합되고, 타측에 접점단자를 가지며, 상기 좌측케이스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드 이동하는 작동캠과; 상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캠에 형성된 접점단자와 접촉하는 접점판과,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접속단자함을 가지며 상기 좌측케이스에 결합되는 우측케이스와; 상기 결합된 좌,우측케이스 내의 상기 작동캠 상부에 일측이 접촉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공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누름버튼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작동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결합한 상태인 도 1의 A - A 선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과 작동캠이 하부로 이동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은 상부로 이동하고, 작동캠은 하부에 위치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푸쉬 스위치(100)는 상부에서 보아 우측과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좌측케이스(1)와, 상기 좌측케이스(1)와 결합되며, 외부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접속단자함 및 다수의 접점판이 형성된 우측케이스(2)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2)에 결합되는 본체(61)와 누름단(67)을 갖는 누름버튼(6)과, 상기 좌측케이스(1)의 내측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작동캠(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케이스(1)는 양측 중앙부에 고정후크(19)를 형성하고, 후술할 우측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5)이 우측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내측으로 제 3 가이드홈(58)을 갖는 정,배면판(91,92)을 형성한다.
상기 정,배면판(91,92)의 내측 하부에는 격벽(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케이스(1)의 상부에 압축스프링(34)을 결합하는 안착돌기(14)를 형성하고, 좌측면의 중앙 상부로 슬라이드공(13)을 형성하며, 내측 중앙 하부로 결합홈(12)을 형성한다.
한편, 고정판(4)에는 상기 좌측케이스(1)의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홈(12)에 결합 고정하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측에는 결합공(43)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43)의 하부측으로는 통공(48)이 형성된다.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부에 각각 힌지편(45,46)을 형성하고, 상부에 형성된 힌지편(45)을 상기 고정판(4)의 결합공(43)에 삽입하고 고정링크(47)로서 이탈이 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하부측의 힌지편(46)은 고정판(4)의 통공(48)으로 인출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작동캠(5)은 상기 좌측케이스(1) 내측에 결합되며, 그 하부측이 격벽(11)과의 사이에서 압축스프링(55)에 의하여 탄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작동캠(5)의 좌측 하부측에는 상기 작동핀(44)의 힌지편(46)이 결합되어 안내되는 작동로(53)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로(53)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힌지편(46)의 걸림과 해제 동작을 단속하는 고정턱(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캠(5)에 형성된 작동로(53)의 반대측에는 스프링(56)에 의해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접점단자(57)가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좌측케이스(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 1 가이드홈(51)과 제 2 가이드홈(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케이스(2)는 외부로 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접속단자함(21)의 우측 상부로 측면판(35)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35)에는 상기 좌측케이스(1)의 결합공(15)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25)가 설치되고, 상부측에는 압축스프링(33)을 결합하는 안착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35)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캠(5)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접점단자(57)와 접하는 제 1 접점판(29)과 제 2 접점판(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접점판(29,3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접속단자함(21) 내에 위치하는 단자(부호 미표시)와 연결되는 제 3 접점판(31)과 제 4 접점판(3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접점판(29)에는 제 1 램프(LAMP; 23)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 3 점점판(31) 및 제 4 접점판(32)에는 제 2 램프(LAMP; 2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누름버튼(6)은 상기 좌,우측케이스(1,2)에 결합되는 본체(61)와, 누름단(67)을 갖는 누름버튼(6)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61)는 상기 작동캠(5)에 형성된 제 1 가이드홈(51)과 제 2 가이드홈(5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돌기(64)와 제 2 가이드돌기(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케이스(1)의 정,배면판(91,92)에 형성된 제 3 가이드홈(58)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제 3 가이드돌기(69) 및 상기 좌측케이스(1)의 슬라이드공(13)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결합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61)에는 상기 우측케이스(2)의 측면판(35)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램프(23)가 삽입되는 제 1 함실(63)과 제 2 램프(24)가 삽입되는제 2 함실(62)을 형성하고, 제 1 함실(63)과 연통하는 표시창(68)을 누름단(67)의 상부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핀(44)의 힌지편(45)을 고정판(4)의 결합공(43)에 삽입 결합하고, 고정링크(47)를 고정판(4)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결합 고정하면 작동핀(44)의 힌지편(45)이 결합공(4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판(4)의 중앙 전후면에 형성한 결합돌기(41)와 좌측케이스(1)의 결합홈(12)이 상호 결합을 시키면 고정판(4)이 좌측케이스(1)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상기 작동핀(44)의 힌지편(46)이 작동캠(5)의 좌측 하부에 형성한 작동로(53)에 결합이 되도록 하고, 고정판(4)의 우측면이 작동캠(5)의 좌측 하부에 접하도록 좌측케이스(1)의 정,배면판(91,92)의 사이인 하부에 결합된다.
이때에 압축스프링(55)은 좌측케이스(1)의 격벽(11)과 작동캠(5)의 하부의 사이에 결합 설치하여 작동캠(5)을 상부측으로 탄지하도록 설치하면 된다.
상기 누름버튼(6)의 본체(61) 하부 전후로 형성하는 제 1 가이드돌기(64)와 제 2 가이드돌기(65)가 상기 작동캠(5)의 제 1 가이드홈(51)과 제 2 가이드홈(52)에 슬라이드 결합한다.
즉, 누름버튼(6)의 제 1 가이드돌기(64)는 작동캠(5)의 제 2 가이드홈(52)과슬라이드 결합하고, 누름버튼(6)의 제 2 가이드돌기(65)는 작동캠(5)의 제 1 가이드홈(51)과 슬라이드 결합된다.
그리고 누름버튼(6)의 본체(61) 중앙 전,후로 형성하는 제 3 가이드돌기(69)는 좌측케이스(1)의 정,배면판(91,92)의 내측 상부로 형성하는 제 3 가이드홈(58)과 슬라이드 결합하고, 본체(61)의 좌측 중앙으로 형성하는 걸림돌기(66)는 좌측케이스(1)의 슬라이드공(13)에 삽입 결합함으로 누름버튼(6)이 좌측케이스(1)의 우측내부와 작동캠(5)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에 좌측케이스(1)의 상부에 형성한 안착돌기(14) 외주연으로 결합하는 압축스프링(34)에 의한 항상 누름버튼(6)의 좌측이 상부측으로 탄지된다.
접속단자함(21)이 좌측케이스(1)의 하부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좌측케이스(1)의 결합공(15)에 우측케이스(2)의 후크(25)를 결합고정하되, 측면판(35)의 상부로 형성한 안착돌기(22)에 결합되어 있는 압축스프링(33)에 의해 항상 누름버튼(6)이 상부로 탄지된다.
이와 같이 우측케이스(2)를 좌측케이스(1)의 우측으로 결합고정하면 제 1 램프(23)는 누름버튼(6)의 우측으로 형성하는 제 1 함실(63)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 2 램프(24)는 누름버튼(6)의 우측으로 형성하는 제 2 함실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작동캠(5)의 우측으로 설치하는 접점단자(57)는 압축스프링(56)의 탄지력에 의해 항상 우측케이스(2)의 측면판(35) 내측면에 접하여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하여 구성하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 3 내지 도 5 를 보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 스위치(100)의 작동캠(5)과 누름버튼(6)이 상부로 이동하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누름버튼(6)의 누름단(67) 상부를 누르면 누름버튼(6)이 걸림돌기(66)는 좌측케이스(1)의 슬라이드공(13) 내에서 이동하며, 제 3 가이드돌기(69)는 제 3 가이드홈(58)상에서 안내되며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도 4)
이때에 누름버튼(6)이 하부로 이동을 하게 되면 누름버튼(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캠(5)이 누름버튼(6)에 의해 눌려져 하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고정판(4)에 힌지 설치되어 있는 작동핀(44)의 힌지편(46)이 작동로(53)상에서 회동을 하게 되며, 누름버튼(6)을 완전히 누른 상태에서는 작동핀(44)의 힌지편(46)이 고정턱(54)의 상부 일측으로 위치를 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버튼(6)을 완전히 누른 상태에서 누름버튼(6)을 놓으면 좌,우측케이스(1,2)의 상부측에 탄지되어 있는 압축스프링(33,34)의 동일한 탄지력에 의해 누름버튼(6)이 용이하게 상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누름버튼(6)의 본체(61)에 형성한 걸림돌기(66)가 슬라이드공(13)의 상부에 접하게 되어 누름버튼(6)이 더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도 5)
이 때에 상부에서 누르고 있던 누름버튼(6)이 상부로 이동을 함으로 작동캠(5)은 하부에 탄지한 압축스프링(55)의 탄지력에 의해 약간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캠(5)이 상부로 이동함으로 작동로(53)상에서 작동핀(44)의 힌지편(46)이 고정턱(54) 상부로 이동하여 걸리게 됨으로서 작동캠(5)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동캠(5)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가 되고, 작동캠(5)의 우측에 압축스프링(56)에 의해 항상 우측으로 탄지되어 있는 접점단자(57)와 우측케이스(2)의 측면판(35) 내측으로 고정설치한 제 1 접점판(29)과 제 2 접점판(30)이 상호 접속이 되어 전원을 온시켜 주게 된다.
제 1 접점판(29)과 제 2 접점판(30)이 접점단자(57)에 의해 상호 접점연결되면 전원이 온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제 1 접점판(29)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램프(23)에 불이 켜지게 되며, 켜진 제 1 램프(23)의 불빛이 누름버튼(6) 상부에 형성한 표시창(68)으로 불빛이 비추게 됨으로서 푸쉬 스위치(100)가 온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작동자가 쉽게 확인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누름버튼(6)의 상부인 누름단(67)을 다시 누르면 본체(61) 하부면에 의해 작동캠(5)을 눌러서 하향으로 약간 이동시켜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턱(54) 상부에 걸리어 위치하고 있던 작동핀(44)의 힌지편(46)이 작동로(53)상의 상부 일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고정턱(54)과는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게 되며, 누름버튼(6)을 놓으면 누름버튼(6)이 압축스프링(33,34)의 탄지력에 의해 상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누름버튼(6)과 함께 작동캠(5)도 압축스프링(55)의 탄지력에 의해 상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도 3)
그러므로 작동캠(5)의 일측으로 압축스프링(56)에 의해 탄지되어 있던 접점단자(57)가 제 1 접점판(29)의 상부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제 1 접점판(29)과 제 2 접점판(30)간의 상호 연결되어 있던 전원이 차단이 된다.
그리고 제 1 접점판(29)과 제 2 접점판(30)이 상호 단락이 됨으로서 켜져 있던 제 1 램프(23)가 꺼지게 되어 표시창(68)으로 부터 빛이 비추어지지를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자가 용이하게 푸쉬 스위치(100)가 작동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핀(44)의 힌지편(46)은 작동캠(5)의 작동로(53)상에서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작동로(5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누름버튼(6)의 본체(61) 하부에 형성한 제 1 가이드돌기(64)와 제 2 가이드돌기(65)는 작동캠(5)의 제 1 가이드홈(51)과 제 2 가이드홈(5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접점단자(57)는 압축스프링(56)의 탄성에 의해 항상 우측케이스(2)의 측면판(35)의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음으로 제 1 접점판(29), 제 2 접점판(3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접촉 불량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좌측 케이스(1)의 고정후크(19)는 자동차나 각종 푸쉬 스위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기기의 본체에 밀어서 용이하고 간편하게 결합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핀(44)을 작동캠(5)에 설치하고, 작동캠(5)의 작동로(53)와 고정턱(54)을 고정판(4)에 형성하거나 좌측케이스(1)의 하부 내측인 작동핀(44)이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 부터 본 발명의 사상과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수정 및 변경한 것은 본 발명의 법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은 항상 누름버튼이 인출되어 있음으로 외견상 미려하고 푸쉬 스위치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상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부에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격벽을 갖고 내측에 작동핀이 결합된 고정판이 안착되는 좌측케이스와;
    일측에 작동로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핀이 결합되고, 타측에 접점단자를 가지며, 상기 좌측케이스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드 이동하는 작동캠과;
    상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캠에 형성된 접점단자와 접촉하는 접점판과,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접속단자함을 가지며 상기 좌측케이스에 결합되는 우측케이스와;
    상기 결합된 좌,우측케이스 내의 상기 작동캠 상부에 일측이 접촉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공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누름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케이스는 상기 누름버튼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제 3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케이스를 결합고정하는 결합공을 더 구비한 것을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작동핀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편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작동편의 타측 힌지편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통공과, 상기 작동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일측면이 개방되는 함실과, 상기 작동캠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돌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에는 상기 누름버튼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KR1020000040623A 2000-07-14 2000-07-14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KR10033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23A KR100337480B1 (ko) 2000-07-14 2000-07-14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623A KR100337480B1 (ko) 2000-07-14 2000-07-14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987A KR20020006987A (ko) 2002-01-26
KR100337480B1 true KR100337480B1 (ko) 2002-05-23

Family

ID=1967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623A KR100337480B1 (ko) 2000-07-14 2000-07-14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87Y1 (ko) 2008-11-11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743B1 (ko) * 2002-11-25 2005-08-25 주식회사 신창전기 누름 작동형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87Y1 (ko) 2008-11-11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987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6B2 (en) Push switch
US20070039810A1 (en) Multi-stage button switch
US4013858A (en) Rocker switch with integral off lock
CZ302190B6 (cs) Tlacítko pro aretaci nebo klícování
US6376786B1 (en) Switch device with broader operable range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EP0184185A2 (en) Push-button switch
US4174472A (en) Pivoted-actuator switch with integral off-lock
JP4454903B2 (ja) 正面カバー付き接触器
USRE30273E (en) Rocker switch with integral off lock
JP4030730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2237229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KR101436383B1 (ko) 푸쉬록 스위치장치
JPH0722827Y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8077976A (ja) スイッチ
KR970001843Y1 (ko) 푸쉬버튼스위치의 구조
KR20000007448U (ko) 텔레비젼의 버튼박스장치
KR1006365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록킹장치
JPS6328812Y2 (ko)
KR200205038Y1 (ko)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JP2583618Y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装置
KR200153716Y1 (ko)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작동 구조
KR200161362Y1 (ko)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JPH0721873A (ja) 押釦装置
KR20020088028A (ko) 푸시록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