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038Y1 -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038Y1
KR200205038Y1 KR2020000020357U KR20000020357U KR200205038Y1 KR 200205038 Y1 KR200205038 Y1 KR 200205038Y1 KR 2020000020357 U KR2020000020357 U KR 2020000020357U KR 20000020357 U KR20000020357 U KR 20000020357U KR 200205038 Y1 KR200205038 Y1 KR 200205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cam
pin
actua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0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0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푸쉬버튼 스위치의 누름버튼을 단속하도록 하는 작동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동핀과 작동캠으로 이루어지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본체의 내측벽에 힌지돌기가 형성된 상협하광의 격벽과;
상기 격벽내에 설치되며, 내측에 고정홈을 갖는 작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힌지돌기에 삽입 결합하는 힌지공을 갖는 작동캠과;
누름버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와 결합하는 작동핀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누름버튼의 일측으로 고정 설치하는 작동핀에 의해 작동캠이 본체의 일측에서 일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체와 작동캠간의 접하는 면을 최소로 하여 상호간의 마찰을 최소로 하여 작동캠의 손상을 방지하고,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Opertional Cam Apparatus of Push Button Switch}
본 고안은 푸쉬버튼 스위치의 누름버튼을 단속하도록 하는 작동캠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쉬버튼 스위치는 누름버튼에 좌우로 유동하는 작동핀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핀과 결합하여 누름버튼을 단속하는 작동캠을 푸쉬버튼 스위치의 본체에 형성하거나, 공용으로 작동캠을 제작하여 삽입하는 형태를 적용하여 왔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를 도면을 보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하고, 일측으로 캠 고정홈(111)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으로 형성하는 캠 고정홈(111)에 결합 고정하는 캠(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 상부로 결합하는 작동노브(133)와; 상기 작동노브(133)의 하부 일측으로 결합하는 접점단자(14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로 결합하고, 하부측이 개방되는 사각 형상의 상부덮개(150)로 구성한다.
상기 캠(120)은 중앙에 걸림돌기(122)를 갖는 캠레일(12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노브(133)는 하부측의 본체(130)에 관통하는 결합공(132)을 형성하고, 하부에 제 1 탄성부재(134)에 의해 상부측으로 탄지하며, 상기 캠(120)의 캠레일(121)에 접하여 좌우로 작동하는 이동핀(131)을 상기 결합공(132)에 결합 설치한다.
접점단자(140)는 상기 작동노브(133)의 본체(130) 일측에 결합하여 제 2 탄성부재(141)에 의해 탄지되고, 제 2 탄성부재(141) 내에 제 3 탄성부재(142)가 삽입 결합하여 상기 이동핀(131)을 탄지하게 된다.
상부덮개(150)는 일측 내부에 상기 접점단자(140)와 접점이 이루어지는 터미널(151,152)을 형성하고, 타측의 내측으로 상기 작동노브(133)를 안내하는 가이드(15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는 캠(120)이 하우징(110)에 결합 고정이 되어 있고, 상기 캠(120)의 캠레일(121)에서 좌우로 회동하는 이동핀(131)이 제 3 탄성부재(142)에 의해 작동노브(133)의 결합공(132)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동핀(131)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32)을 작동노브(133)에 별도로 형성하여야만 하고, 이동핀(131)이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3 탄성부재(142)를 설치하여야만 함으로 부품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푸쉬버튼 스위치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공수가 늘어나게 되었고, 부품수가 많음으로 조립공수 또한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한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작동핀을 누름버튼의 일측으로 고정설치하고, 이 작동핀에 의해 회동하는 작동캠을 본체에 일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작동캠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을 나타내는 요부발취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은 본 고안을 적용하는 일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힌지돌기
3 : 격벽 4 : 작동캠
5 : 작동로 6 : 고정홈
7 : 힌지공 8 : 누름버튼
9 : 작동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푸쉬버튼 스위치의 본체 내측벽에 상부로 힌지돌기가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격벽과; 상기 힌지돌기에 결합하여 회동하도록 힌지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작동로를 형성하는 작동캠과; 상기 작동캠의 작동로와 결합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으로 고정하는 작동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보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은 본 고안을 나타내는 요부발취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3)은 본체(1)의 내측벽에 힌지돌기(2)가 형성된 상협하광으로 이루어진다.
작동캠(4)은 중앙에 고정홈(6)을 갖는 작동로(5)를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힌지돌기(2)에 결합하는 힌지공(7)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작동핀(9)은 누름버튼(8)의 일측면에 상기 작동로(5)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을 적용한 푸쉬버튼 스위치의 일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은 본 고안을 적용하는 일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버튼 스위치의 좌측케이스(10)는 작동캠(4)을 하부측으로 결합 설치하는 본체(1)를 형성하는 좌측케이스(10)와, 상기 본체(1)의 우측으로 결합 고정하는 우측케이스(30)와, 상기 좌측케이스(10)와 우측케이스(30) 사이에 상부로부터 슬라이드 결합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누름버튼(8)으로 구성된다.
즉 좌측케이스(10)는 내측벽에 가이드돌기(14)를 각각 형성하고, 좌측판의 내측벽 전방 하부와 후방 상부에 각각 제 1 가이드(11)와 제 2 가이드(12)를 형성하며, 배면판의 내측벽 상부에 가이드홈(1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의 좌측벽 하부 내측벽에 상부로 힌지돌기(2)가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격벽(3)을 형성한다.
작동캠(4)은 상부로 상기 힌지돌기(2)와 결합하는 힌지공(7)을 형성하고, 고정홈(6)을 갖는 작동로(5)를 우측면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우측케이스(30)는 상기 좌측케이스(10)의 우측으로 결합 고정하고, 좌측면으로 제 1 접점판(31), 제 2 접점판(32), 제 4 접점판(34), 제 5 접점판(35) 및 제 6 접점판(36)을 형성한다.
그리고 좌측면의 상부로 램프(LAMP; 37)와 제 3 접점판(33)을 상부에 형성한다.
이때에 제 3 접점판(33), 제 4 접점판(34), 제 5 접점판(35) 및 제 6 접점판(36)을 상부측으로 부터 하부측로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한다.
누름버튼(8)은 좌측케이스(10)의 가이드돌기(14)와 결합하는 가이드홈(23)을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좌측 전방 하부와 좌측 후방 상부에 상기 제 1 가이드(11)와 제 2 가이드(12)에 결합하는 제 1 가이드돌기(20)와 제 2 가이드돌기(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우측 하부로 제 1 접점단자(24)와 제 2 접점단자(25) 및 제 3 접점단자(26)를 일체로 형성하여 결합 고정하고, 우측면 전방 상부로 접점단자(27)를 결합 설치하며, 상기 제 4 접점단자(27)의 배면측으로 상기 램프(37)가 삽입 결합되는 함실(28)을 형성한다.
또한 좌측면 하부 중앙에 상기 작동캠(4)의 작동로(5)에 결합하는 작동핀(9)을 형성하여 푸쉬버튼 스위치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힌지돌기(2)와 작동캠(4)의 힌지공(7)을 결합 설치하고, 작동캠(4)의 작동로(5)상에 누름버튼(8)에 고정 설치한 작동핀(9)을 결합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결합 설치한 상태가 도 3 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캠(4)의 작동로(5)의 상부측으로 누름버튼(8)의 작동핀(9)이 위치한 상태가 되고, 작동캠(4)은 바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누름버튼(8)의 일측 상부에 형성한 제 4 접점단자(27)가 제 3 접점판(33)과 제 4 접점판(34)에 접점되어 전원이 통전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제 1 접점판(31)과 제 2 접점판(32) 및 제 6 접점판(36)의 상부로 제 1,2,3 접점단자(24,25,26)가 위치하고 있어 이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8)을 누르면 누름버튼(8)이 하부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캠(4)의 작동로(5)상에서 작동핀(9)이 하부로 수직 이동하며, 작동핀(9)의 수직 이동으로 작동캠(4)을 힌지공(7)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작동핀(9)은 작동캠(4)의 작동로(5)상의 우측 하부에 위치하게 됨이 도 3 의 (b)도와 같이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8)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1 접점단자(24)는 제 6 접점판(36)에 접점되고, 제 2 접점단자(25)는 제 2 접점판(32)에 접점되며, 제 3 접점단자(26)는 제 1 접점판(31)에 접점이 되어 전원이 통전된다.
그리고 제 4 접점단자(27)는 제 4 접점판(34)과 제 5 접점판(35)에 접점이 되어 전원이 통전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을 한 상태에서 누름버튼(8)을 놓으면 압축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8)이 상부로 약간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작동핀(9)이 작동캠(4)의 고정홈(6)에 위치하여 누름버튼(8)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저지하게 되는 상태가 도 2 의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작동캠(4)은 수직 상승하는 작동핀(9)에 의해 힌지돌기(2)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약간 이동을 하게 됨이 작동캠(5)이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에 제 1,2,3 접점단자(24,25,26)는 제 1,2,6 접점판(31,32,36)과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4 접점단자(27)는 제 4,5 접점판(34,35)과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동한 상태에서 누름버튼(8)을 다시 누르면 누름버튼(8)이 약간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직 이동하는 작동핀(9)이 작동캠(4)의 작동로(5)상에서 좌측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도 2 의 (d)도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된다.
그리고 수직 이동하는 작동핀(9)에 의해 작동캠(4)은 힌지돌기(2)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에 제 1,2,3 접점단자(24,25,26)는 제 1,2,6 접점판(31,32,36)과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4 접점단자(27)는 제 4,5 접점판(34,35)과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핀(9)이 좌측하부로 완전히 이동을 하고난 상태에서 누름버튼(8)을 놓으면 압축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8)이 상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핀(9)은 작동로(5)상에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작동로(5)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작동캠(4)은 수직으로 이동하는 작동핀(9)에 의해 힌지돌기(2)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 도 3 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된다.
이때에 제 4 접점단자(27)는 제 3 접점판(33)과 제 4 접점판(34)에 접점이 되고, 제 1,2,3 접점단자(24,25,26)는 제 1,2,6 접점판(31,32,36)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작동캠(4)과 힌지돌기(2)와의 상호 접하는 부분에 윤활제를 칠하여 마찰을 최소로하여 작동캠(4)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동캠(4)의 작동로(5)와 누름버튼(8)에 고정 설치한 작동핀(9) 간의 마찰 또한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작동핀(9)에 의한 작동로(5)의 마모를 최소로 할 수 있어 푸쉬버튼 스위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핀(9)을 누름버튼(8)에 고정 설치함으로 작동핀(9)을 일정한 위치로 복원하고자 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한 푸쉬버튼 스위치의 제조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캠(4)을 누름버튼(8)의 일측으로 설치하고, 작동핀(9)을 본체(1)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작동핀(9)을 금속이 아닌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는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가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으로 부터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이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작용을 하는 본 고안은 작동캠을 일축상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본체와 작동캠간의 접하게 되는 부분을 최소로 하여 상호 마찰되는 부분이 적게함으로서, 작동핀에 의한 작동캠의 작동로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푸쉬버튼 스위치의 수명을 반 영구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캠과 접하여 작동하는 작동핀을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별도의 부품 사용을 하지 않아도 되어 부품수를 줄이고, 이로 인하여 푸쉬버튼 스위치의 제조공수를 줄이며 이로 인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작동핀과 작동캠으로 이루어지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본체의 내측벽에 힌지돌기가 형성된 상협하광의 격벽과;
    상기 격벽내에 설치되며, 내측에 고정홈을 갖는 작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힌지돌기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공을 갖는 작동캠과;
    누름버튼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와 결합하는 작동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을 누름버튼의 일측면에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하고, 본체의 일측에 작동핀을 고정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KR2020000020357U 2000-07-15 2000-07-15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KR200205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357U KR200205038Y1 (ko) 2000-07-15 2000-07-15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357U KR200205038Y1 (ko) 2000-07-15 2000-07-15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038Y1 true KR200205038Y1 (ko) 2000-12-01

Family

ID=1966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357U KR200205038Y1 (ko) 2000-07-15 2000-07-15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0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743B1 (ko) * 2002-11-25 2005-08-25 주식회사 신창전기 누름 작동형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743B1 (ko) * 2002-11-25 2005-08-25 주식회사 신창전기 누름 작동형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6B2 (en) Push switch
US6858812B2 (en) Push-button switch
US4431879A (en) Illumination-type pushbutton switch construction
US4694130A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with unitary spring and contact
KR200205038Y1 (ko)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US3394403A (en) Lighted pushbutton assembly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JP2002056744A (ja) スイッチ装置
JP2002216587A (ja) 滑動部作動式スウィッチ
US4342885A (en) Limit switch
US4602137A (en) Pull-push switch
US4412108A (en) Electrical switch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US6054660A (en) Control or signaling device such as a push-button
GB2396489A (en) Switched electric socket
KR100300373B1 (ko) 푸시 스위치 장치
US6864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xiliary contact assembly and snap mounting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JPH10134677A (ja) シーソー・スライド複合動作スイッチ
JPH0127535B2 (ko)
EP2919253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030066744A1 (en) Switch actuator mechanism
JP3878392B2 (ja) スイッチ装置
JPH0128598Y2 (ko)
JP2022093227A (ja) コンセント
JPH04125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