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373B1 - 푸시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373B1
KR100300373B1 KR1019990004085A KR19990004085A KR100300373B1 KR 100300373 B1 KR100300373 B1 KR 100300373B1 KR 1019990004085 A KR1019990004085 A KR 1019990004085A KR 19990004085 A KR19990004085 A KR 19990004085A KR 100300373 B1 KR100300373 B1 KR 10030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movable
case
contact
operation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463A (ko
Inventor
와가쯔마도오루
야마가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7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과제) 조립이 간단하고, 확실하게 가동접점부재가 스위치동작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케이스 (1)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 (6) 과, 탄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만들어지며, 양단부를 각각 동일방향으로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려서 그 일단측을 역점으로 하는 가동부 (7a) 로 하고 있고, 타단측의 만곡부 (7b) 의 끝가장자리에 지지점부 (7c) 를 형성하고, 가동부 (7a) 측의 끝가장자리에 케이스 (1) 의 저부 (1e) 상을 슬라이딩하여 고정접점 (6) 상에 슬라이딩접촉하는 가동접점 (7d) 을 형성함과 동시에, 케이스 (1) 내에 세워 설치된 지지돌기 (1f) 에 상부에서 걸어맞춰져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지지점부 (7c) 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 (7) 와, 가동부 (7a) 를 눌러내리기 위한 조작노브 (2) 와, 조작노브 (2) 가 돌출하는 부분을 제외한 개구를 덮는 덮개 (9) 를 구비하고, 조작노브 (2) 의 눌러내림에 의해 지지점부 (7c) 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부 (7a) 가 하강하여 케이스 (1) 의 저부 (1e) 상을 슬라이딩해서 고정접점 (6) 과 접촉하거나 비접촉한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장치{PUSH SWITCH DEVICE}
본 발명은 미디어검출 등에 사용되며, 가동접점의 탄성을 이용하여 조작노브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도록 한 푸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그 탄성에 의해 통상은 온 또는 오프상태로 유지되는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의 탄성을 이용하여 조작노브를 항상 상승한 상태로 유지하는 푸시 스위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작감촉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푸시 스위치 장치로서는, 예컨대 특개평6-168645 호, 특개평8-203380 호 또는 특개평8-329779 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종래예 중 특개평6-168645 호를 예로 들어 도 6 에 나타낸다.
도 6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저면에 고정접점 (22,23) 을 배치한 대략 박스 형상의 케이스 (21) 와,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며,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려서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力点)으로 되는 가동부(24) 로 한 가동접점부재 (25) 와, 이 가동접점부재 (25) 의 가동부 (24) 를 누르는 조작노브 (26) 를 갖고 있다. 가동접점부재 (25) 에는 그 일단부가 케이스 (21) 의 측벽에 걸어맞춰져 있는 지지점부 (27) 가 구성되어 있고, 가동접점부재 (25) 의 타단부가 가동접점부 (28) 로 되어 가동부 (24) 의 하강에 수반하여 도 6 에 있어서의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고정접점 (22) 으로부터 고정접점 (23) 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25) 는 도 6 에 나타내는 조작노브 (26) 를 밀어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탄성에 의해 가동부가 상승하여 가동접점부 (28) 는 고정접점 (23) 에서 분리되어 고정접점 (22) 에 접촉함과 동시에 조작노브 (26) 도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9 는 케이스 (21) 의 내측면에 형성한 지지부 (21a) 의 오목부 (21b) 의 저면에 인서트되어 형성된 고정접점이며, 이 고정접점 (29) 에 가동접점부재 (25) 의 지지점부 (27) 가 항상 접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30 은 케이스 (21) 로부터 조작노브 (26) 가 이탈하지 않도록 또한 조작노브 (26) 를 상하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덮개이다.
이와 같이 푸시 스위치 장치는 고정접점 (22,23) 을 구비한 케이스 (21) 와 가동접점부재 (25) 와 조작노브 (26) 및 덮개 (30) 의 4 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한 조작노브 (26) 의 조작감촉도 매끄럽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종래예의 푸시 스위치 장치를 조립할 경우에는, 고정접점(22,23) 을 배치한 케이스 (21) 내에 가동접점부재 (25) 를 삽입하고, 덮개 (30) 로 상부를 덮는다는 간단한 공정이면 되는데, 케이스 (21) 내에 가동접점부재 (25) 를 삽입할 때에는, 지지부 (21a) 의 오목부 (21b) 저면의 고정접점 (29) 에 지지점부 (27) 를 접촉시키고, 가동접점부 (28) 를 고정접점 (22) 에 접촉시키도록 삽입하여야만 하므로, 상방향을 통해 설치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조작노브 (26) 나 덮개 (30) 를 부착할 때에 불안정하게 케이스 (21) 내에 삽입된 가동접점부재 (25) 를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어서, 가동접점부재 (25) 에 의한 조작노브 (26) 의 상승이 원활하게 실행되지 않거나 가동접점부 (28) 의 고정접점 (22) 으로부터 고정접점 (23) 으로의 스위칭이 불가능하게 된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덮개 (30) 의 장착시에 조작노브 (26) 를 통해 가동접점부재 (25) 를 변형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은 상기한 특개평8-203380 호의 푸시 스위치 장치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한 특개평8-329779 호의 푸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조작레버에 가동접점부재의 지지점부를 걸고 있어서, 조작레버의 부착시에 가동접점부재를 변형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조립이 간단하고, 확실하게 가동접점부재가 스위치동작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가동접점부재에 의한 복원력을 향상시켜 조작노브 및 가동접점부재를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과제는 조작노브의 상하이동을 실수없이 대략 수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점부분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를 온상태로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조작노브를 완전히 내부로 밀어넣은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 는 가동접점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e : 저부
1f : 지지돌기 1g : 두갈래부
2,3 : 조작노브 2c,3c : 맞닿음부
2e,3e : 규제부 4,5 : 가이드 덕트
6 : 고정접점 7,8 : 가동접점부재
7a,8a : 가동부 7b,8b : 만곡부
7c,8c : 지지점부 7d,8d : 가동접점
7e,8e : 굽힘부 9 : 덮개
9a,9b : 개구 9c,9d : 규제구멍
9e,9f : 맞닿음 돌기
상기 제 1 과제는, 상부가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지지부를 설치한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된 고정접점과, 탄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만들어지며, 양단부를 각각 동일방향으로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려서 제 1 및 제 2 굴곡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굴곡부가 역점으로 되는 가동부로 되며, 그 끝가장자리에 상기 케이스의 저부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접점상에 슬라이딩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굴곡부의 끝가장자리에 상기 지지부에 상측으로부터 걸어맞춰져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지지점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가동부를 눌러내리기 위한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가 돌출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개구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노브의 눌러내림에 의해 상기 지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케이스의 저부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되는 제 1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제 2 과제는, 제 1 수단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이면에는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상기 제 2 굴곡부 근방을 누르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가동부로부터 부여되는 상기 조작노브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도록 한 제 2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 독립하여 온오프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2 개의 조작노브를 갖는 푸시 스위치 장치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점부분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를 온상태로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조작노브를 완전히 내부로 밀어넣은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 는 가동접점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 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상측이 개구를 가진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스이며, 그 내부에는 2 개의 조작노브 (2,3) 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가이드 덕트 (4,5) 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덕트 (4,5) 는 케이스 (1) 의 대향하는 일측 측벽 (1a,1b) 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도록, 또한 가이드 덕트 (4) 는 케이스 (1) 의 측벽 (1a,1b) 에 직교하는 타측의 측벽 (1c,1d) 중 측벽 (1c) 에 그 일변이, 그리고 가이드 덕트 (5) 는 측벽 (1d) 에 그 일변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덕트 (4) 의 측벽 (1a) 쪽의 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개되어 있는 절결부 (4a) 가 형성되고, 가이드 덕트 (5) 의 측벽 (1b) 쪽의 면에는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결부 (5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덕트 (4,5) 와 측벽 (1a,1b)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는 케이스 (1) 의 저부 (1e) 에는 각각 고정접점 (6) 이 평면형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돌기 (1f) 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덕트 (4,5) 의 상단은 케이스 (1) 의 상면보다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노브 (2,3) 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일측 조작노브 (2) 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타측 조작노브 (3) 는 조작노브 (2) 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알파벳을 붙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노브 (2) 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대략 상반분은 원기둥형상의 노브부 (2a), 하반분은 각기둥형상의 조작부 (2b) 로 되어 있다. 조작부 (2b) 의 일측면 하측에는 조작노브 (2) 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튀어나온 맞닿음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 (2c) 가 형성된 면은 맞닿음부 (2c) 에서 상승함에 따라 그 돌출량이 작아지는 경사면 (2d) 이 형성되고, 노브부 (2a) 와 조작부 (2b) 의 경계부에는 약간 돌출하는 규제부 (2e) 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 (2c) 와 규제부 (2e) 는 가이드 덕트 (4) 의 절개되어 있는 절결부 (4a) 로부터 측벽 (1a)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삽입된다.
가이드 덕트 (4,5) 와 측벽 (1a,1b) 사이의 각 간극에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가동접점부재 (7,8) 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7,8) 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일측 가동접점부재 (7) 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타측 가동접점부재 (8) 는 가동접점부재 (7) 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알파벳을 붙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접점부재 (7) 는 그 일단측을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구성된 굴곡부를 역점으로 하는 가동부 (7a) 로 하고 있고, 타단측은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구성된 만곡부 (7b) 를 갖고 있다. 만곡부 (7b) 측의 끝가장자리는 1 쌍이 대향하도록 절개되어 있도록 절결됨으로써 형성된 지지점부 (7c)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 (7a) 측의 끝가장자리부는 두갈래로 갈라지면서 굽힘가공 등에 의해 가동접점 (7d) 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7) 의 지지점부 (7c) 는 도 2 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의 지지돌기 (1f) 의 선단부에 지지된다. 지지돌기 (1f) 의 선단부는 도 2 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이 두갈래부 (1g) 사이에 가동접점부재 (7) 의 지지점부 (7c) 를 내려넣음으로써 지지점부 (7c) 를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한다. 가동부 (7a) 와 만곡부 (7b) 사이의 가동접점부재 (7) 에는 지지점부 (7c) 및 가동접점 (7d)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대략 V 자형상으로 구부린 굽힘부 (7e)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노브 (2,3) 의 상면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덮개 (9) 에 의해 덮여 있다. 즉, 덮개 (9) 는 케이스 (1) 의 측벽 (1c) 의 상단부에서 케이스 (1) 의 상면을 지나 측벽 (1d) 의 상부에 이르는 크기로 만들어지고, 가이드 덕트 (4,5) 를 돌출시키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 (9a,9b) 와, 이들 개구 (9a,9b) 의 일변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조작노브 (2,3) 의 규제부 (2e,3e) 는 돌출되는데, 경사면 (2d,3d) 의 상승을 규제하는 규제구멍 (9c,9d)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가동접점부재 (7,8) 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는 조작노브 (2,3) 가 케이스 (1) 및 덮개 (9) 로 구성된 수납공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덮개 (9) 의 이면에는 가동접점부재 (7,8) 의 만곡부 (7b,8b) 의 상면에 맞닿도록 하측으로 돌출하는 맞닿음 돌기 (9e,9f)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푸시 스위치 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 덕트 (4,5) 와 측벽 (1a,1b) 사이의 저부 (1e) 에 평면형상으로 고정접점 (6) 이 각각 설치된 케이스 (1) 의 저부 (1e) 에서 돌출하는 각 지지돌기 (1f) 의 두갈래부 (1g) 사이에 가동접점부재 (7,8) 의 각 지지점부 (7c,8c) 를 내려넣음으로써 가동접점부재 (7,8) 를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한다. 그럼으로써 가동접점부재 (7,8) 는 케이스 (1) 에 확실하게 지지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가동접점부재 (7,8) 의 각 가동부 (7a,8a) 상에 조작노브 (2,3) 의 맞닿음부 (2c,3c) 의 하면이 맞닿도록 조작노브 (2,3) 를 내려넣는다. 마지막으로 덮개 (9) 를 개구 (9a,9b) 을 통해 가이드 덕트 (4,5) 가 각각 돌출하도록, 또한 규제구멍 (9c,9d) 을 통해 조작노브 (2,3) 의 규제부 (2e,3e) 가 돌출하도록 하여 덮음으로써 조립은 완료된다. 가동접점부재 (7,8) 는 케이스 (1) 에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9) 의 부착시에 가동접점부재 (7,8) 가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가동접점부재 (7,8) 나 조작노브 (2,3) 는 모두 케이스 (1) 의 상부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푸시 스위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동작설명은 일측 스위치부, 즉 조작노브 (3) 측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 은 푸시 스위치 장치의 온상태, 즉 조작노브 (3) 를 눌러내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 3 의 상태에서는 가동접점부재 (8) 의 지지점부 (8c) 측은 지지돌기 (1f) 의 두갈래부 (1g) 사이에 걸어맞춰지고, 가동접점 (8d) 은 가동접점부재 (8) 의 탄력에 의해 제 1 고정접점 (6) 상에 위치하고 있다.이 상태에서는 가동접점부재 (8) 는 지지점부 (8c) 에 의한 걸어맞춤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가동부 (8a) 에 의해 조작노브 (3) 는 밀어올려져 있다. 조작노브 (3) 의 밀어올림은 규제부 (3e) 가 규제구멍 (9d)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소정 위치에서 저지된다.
이 도 3 의 상태에서 조작노브 (3) 를 눌러내려 가면, 가동접점부재 (8) 는 지지점부 (8c) 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해 간다. 그럼으로써 가동접점부재 (8) 의 가동접점 (8d) 은 눌려 구부러지면서 케이스 (1) 의 저부 (1e) 상을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접점 (6) 에서 분리되어 저부 (1e) 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동접점 (8d) 과 고정접점 (6) 의 도통상태는 해제되며, 그럼으로써 이 푸시 스위치는 오프상태로 된다. 그리고, 덮개 (9) 의 이면의 맞닿음 돌기 (9e) 가 가동접점부재 (8) 의 만곡부 (8b) 상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반발력이 가동접점부재 (8) 에 작용하여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작노브 (3) 및 가동접점부재 (8) 를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접점부재 (7,8) 는 그들 각각의 일단측을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린 가동부 (7a,8a) 와, 타단측을 마찬가지로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구성된 만곡부 (7b,8b) 의 2 개의 굽힘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2 개의 만곡부로 각각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스위치동작에 필요한 하중 및 복원력을 높이기 위한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각 가동접점부재 (7,8) 만으로 확실한 스위치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 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부재 (7,8) 에는 지지점부 (7c,8c) 및 가동접점 (7d,8d)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대략 V 자형상으로 구부린 굽힘부 (7e,8e)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굽힘부 (7e,8e) 에 의해 조작노브 (2,3) 에 가해지는 분력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노브 (2,3) 를 실수없이 대략 수직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는 개구를 가진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스 (1) 와, 케이스 (1)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 (6) 과, 탄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만들어지며, 양단부를 각각 동일방향으로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려서 그 일단측을 역점으로 되는 가동부 (7a) 로 하고 있고, 타단측의 만곡부 (7b) 의 끝가장자리에 지지점부 (7c) 를 형성하고, 가동부 (7a) 측의 끝가장자리에 케이스 (1) 의 저부 (1e) 상을 슬라이딩하여 고정접점 (6) 상에 슬라이딩접촉하는 가동접점 (7d) 을 형성함과 동시에, 케이스 (1) 내에 세워 설치된 지지돌기 (1f) 에 상부에서 걸어맞춰져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지지점부 (7c) 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 (7) 와, 가동부 (7a) 를 눌러내리기 위한 조작노브 (2) 와, 조작노브 (2) 가 돌출하는 부분을 제외한 개구를 덮는 덮개 (9) 를 갖고, 조작노브 (2) 의 눌러내림에 의해 지지점부 (7c) 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부 (7a) 가 하강하여 케이스 (1) 의 저부 (1e) 상을 슬라이딩해서 고정접점 (6) 과 접촉하거나 비접촉하기 때문에, 조립시에는 가동접점부재 (7) 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그 위치결정도 케이스 (1) 의 상측을 통해 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가동부 (7a) 와 만곡부 (7b) 의 2 개의 만곡부로 각각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스위치동작에 필요한 하중및 복원력을 높이기 위한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가동접점부재를 양단부를 각각 동일방향으로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려서 제 1 및 제 2 굴곡부를 구성하고, 제 1 굴곡부가 역점으로 되는 가동부로 되며, 그 끝가장자리에 케이스의 저부상을 슬라이딩하여 고정접점상에 슬라이딩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2 굴곡부의 끝가장자리에 케이스에 세워 설치한 지지부에 상부로부터 걸어맞춘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지지점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동접점부재 (7) 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그 위치결정도 케이스 (1) 의 상측을 통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2 개의 만곡부로 각각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스위치동작에 필요한 하중 및 복원력을 높이기 위한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동접점부재만으로 확실한 스위치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의 이면에 가동접점부재의 제 2 굴곡부 근방을 누르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발력이 가동접점부재에 작용하여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작노브 및 가동접점부재를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가동접점부재의 제 1 및 제 2 굴곡부 사이에는 가동접점방향으로 돌출하는 굽힘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굽힘부에 의해 조작노브에 가해지는 분력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노브를 실수없이 대략 수직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상부가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된 고정접점,
    탄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만들어지며, 양단부를 각각 동일방향으로 대략 U 자형상으로 구부려서 제 1 및 제 2 굴곡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굴곡부가 역점(力点)으로 되는 가동부로 되며, 그 끝가장자리에 상기 케이스의 저부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접점상에 슬라이딩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굴곡부의 끝가장자리에 상기 지지부에 상측으로부터 걸어맞춰져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지지점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가동접점부재,
    상기 가동부를 눌러내리기 위한 조작노브, 및
    상기 조작노브가 돌출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개구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노브의 눌러내림에 의해 상기 지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케이스의 저부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이면에는,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상기 제 2 굴곡부 근방을 누르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가동부로부터 부여되는 상기 조작노브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 2 굴곡부 사이에는 가동접점방향으로 돌출하는 굽힘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분력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장치.
KR1019990004085A 1998-02-25 1999-02-06 푸시 스위치 장치 KR100300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369398A JP3767996B2 (ja) 1998-02-25 1998-02-25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98-043693 1998-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63A KR19990072463A (ko) 1999-09-27
KR100300373B1 true KR100300373B1 (ko) 2001-09-26

Family

ID=1267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085A KR100300373B1 (ko) 1998-02-25 1999-02-06 푸시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767996B2 (ko)
KR (1) KR100300373B1 (ko)
CN (1) CN1139954C (ko)
MY (1) MY133441A (ko)
TW (1) TW420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567B1 (ko) * 2001-07-27 2003-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정보단말기용 입력키의 스위칭 장치
KR101879624B1 (ko) * 2016-05-17 2018-07-18 파코스(주)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JP7327033B2 (ja) * 2019-09-19 2023-08-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42921A (ja) 1999-09-07
KR19990072463A (ko) 1999-09-27
CN1227394A (zh) 1999-09-01
CN1139954C (zh) 2004-02-25
MY133441A (en) 2007-11-30
TW420812B (en) 2001-02-01
JP3767996B2 (ja)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6B2 (en) Push switch
JP3295071B2 (ja) キースイッチ
EP0744886A1 (en) Structure for holding switching board in small size electronic appliance
KR970003318A (ko) 다양한 전기 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GB2310957A (en) Switch
KR100826384B1 (ko) 속결단자장치
US5803240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US6512191B1 (en) Push-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00373B1 (ko) 푸시 스위치 장치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6777634B2 (en) Key-switch device corresponding to miniaturized notebook-size personal computer with reduced-thickness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6575661B1 (ja) スイッチ
JP4023884B2 (ja)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JP2002237229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H0982163A (ja) 摺動スイッチ装置の可動接片
EP0626706A1 (en) Electrical switch
JP3201346B2 (ja) キースイッチ
KR200205038Y1 (ko) 푸쉬버튼 스위치의 작동캠 장치
JP2567068Y2 (ja) 配線器具スイッチの取付枠への取付構造
JP3878392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153716Y1 (ko)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작동 구조
JP2002343189A (ja) スイッチ装置
JPH0229643Y2 (ko)
JP3195298B2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