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384B1 - 속결단자장치 - Google Patents

속결단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384B1
KR100826384B1 KR1020050078231A KR20050078231A KR100826384B1 KR 100826384 B1 KR100826384 B1 KR 100826384B1 KR 1020050078231 A KR1020050078231 A KR 1020050078231A KR 20050078231 A KR20050078231 A KR 20050078231A KR 100826384 B1 KR100826384 B1 KR 10082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release lever
contact
terminal devic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647A (ko
Inventor
미노루 혼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전선이 단자판에 확실하게 접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시공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자판(1)과 전선(11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해제레버(30)의 조작부(31)가 초기 위치보다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부(36)가 기체(100)의 벽(109) 표면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음에 의해서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축부(32)의 전면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전선 접속시에 자물쇠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할 때 단자판(1)과 접촉하지 않는 형상 및 치수로 해제레버(3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판(1)과의 접촉에 의해서 해제레버(30)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속결단자장치 {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도 1(a) 내지 도 1(f)는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은 초기 위치의 단면도, 도 1(b)은 초기 위치에서 전선을 도입하기 시작한 상태의 단면도, 도 1(c)은 초기 위치에서 전선의 선단이 계지부에 닿은 상태의 단면도, 도 1(d)은 전선의 선단에 밀려 계지부와 피계지부와의 계지가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e)은 해제레버가 회전하는 도중의 단면도, 도 1(f)은 해제레버가 정지하여 전선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은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b)은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실시형태의 보디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하면도, 도 4(c)는 배면도, 도 4(d)는 우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실시형태의 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하면도, 도 5(c)는 배면도, 도 5(d)는 우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은 본 실시형태의 단자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6(a)은 정면도, 도 6(b)은 평면도, 도 6(c)은 하면도, 도 6(d)은 우측면도, 도 6(e)은 배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은 본 실시형태의 해제레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평면도, 도 7(c)는 좌측면도, 도 7(d)는 하면도, 도 7(e)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해제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보디를 일부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보디와 해제레버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실시형태의 비교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속결단자장치를 구비한 3모듈치수의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판 3 : 접촉편
4 : 자물쇠편 4a : 자물쇠부
4c : 돌기부 5 : 삽입통과부
6 : 피계지부 30 : 해제레버
31 : 조작부 32 : 축부
33 : 가압부 37 : 계지부
본 발명은 속결단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배선기구에 있어서는 기체(機體)에 마련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서 기체 내에 도입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서 속결단자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속결단자장치는 널리 알려진바와 같이, 스위치의 접점이나 콘센트의 소켓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판과,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전선(도체)을 유지하여 전선과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전선을 밀어 빠짐방지하는 자물쇠용수철과, 기체에 마련한 조작 구멍을 통해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조작되어 자물쇠용수철에 의한 자물쇠를 해제하는 해제단추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성 제11-185905호 공보(단락 0014, 도 1)
그런데 상기 종래의 속결단자장치는 전선이 확실히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외부에서는 모르기 때문에 시공자가 불안감을 느낀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이 단자판에 확실히 접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시공자가 안심할 수 있는 속결단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배선기구의 기체에 관통하여 설치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서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유지함과 더불어 자물쇠부가 상기 전선에 접촉하여 빠짐방지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한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기체의 표면에 노출하여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회전한 때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접속 수단의 전선에 접촉한 상기 자물쇠부를 상기 전선으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눌러 움직이게 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제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과, 상기 부세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부가 전선의 접속완료시와 다른 회전위치에서 상기 해제레버를 래치하고 상기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서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판과 접속될 때에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 수단은 기체 내에 마련된 피계지부와, 상기 해제레버에 마련되어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와 더불어 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로 눌러져 피계지부와의 계지가 빠지는 계지부를 갖고,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부세 수단의 가압력으로 축부를 중심으로 조작부가 회전할 때에 상기 단자판과 접촉하지 않는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의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부가 전선의 접속완료시와 다른 회전위치로 해제레버가 래치 수단으로 래치 되어 있지만, 접속 수단에 의해서 단자판과 접속되는 위치까지 전선이 기체에 도입되면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고 부세 수단에 의해서 탄성부세 되는 해제레버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작부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조작부의 위치 차이에 의해서 전선이 단자판에 확실히 접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어 시공자가 안심할 수 있다. 더구나,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부세 수단의 가압력으로 축부를 중심으로 조작부가 회전할 때에 해제레버가 단자판과 접촉하지 않는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판과의 접촉에 의해서 해제레버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해제레버가 조작될때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자물쇠부를 눌러 움직이는 거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돌기부가 필요 이상으로 자물쇠부를 누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서로의 조작 방향이 인접되도록 상기 기체에 수납되는 복수의 상기 해제레버와, 상기 기체 내에서 인접되는 복수의 상기 해제레버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해제레버끼리 간섭하는 것을 막는 간섭방지 리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복수의 해제레버끼리 간섭하여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해제레버를 상기 조작부가 회전 할 때에 상기 기체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제레버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래치 수단은 래치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가압부의 자물쇠부와 닿는 면에 단차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래치 수단이 래치 상태로 되기전까지 해제레버의 회전량에 차이가 있더라도 가압부상의 자물쇠부와 닿는 면에 마련한 단차에 의해서 자물쇠부가 필요 이상으로 눌러 움직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상기 전선의 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자물쇠부의 폭 치수를 전선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로 하여 폭 방향에서의 상기 자물쇠부의 중앙 부분을 전선에 접촉시킴과 더불어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상기 자물쇠부의 폭 방향에서의 양단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물쇠부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한 돌기부에 의해서 자물쇠부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 전선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상기 접속 수단을 대략 평탄하게 형성하여 전선을 사 이에 두고 상기 자물쇠부와 대향함과 더불어 상기 전선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상기 해제레버를 상기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조작부가 회전할 때에 기체에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해제레버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하면 해제레버가 기체에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하기 때문에, 이 소리에 의해서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속결단자장치를 콘센트의 단자부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배선기구는 콘센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스위치 등의 콘센트 이외의 배선기구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機體)(100)는 내트래킹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전면이 개방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01)와, 마찬가지로 내트래킹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후면이 개방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102)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도 4(a) 내지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디(101)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마련한 칸막이 벽(103)에 의해 내부공간이 2 분할되고,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면에 직사각형의 조립돌기(101a)가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a)내지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102)내에도 칸막이 벽(104)이 형성되고 커버(10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는 직사각형의 조립편(102a)이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보디(101)의 전면과 커버(102)의 후면을 마주 보게 하여 양자를 결합하면 커버(102)의 4개의 조립편(102a)에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조립 구멍(102b)에 보디(101)의 4개의 조립돌기(101a)가 각각 끼워져 기체(100)가 조립된다. 또한, 보디(101)의 칸막이 벽(103)과 커버(102)의 칸막이 벽(104)에 따라서 기체(100)의 내부공간이 독립된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커버(102)의 전면에는 플러그의 평행평판형태의 플러그날이 꽂히는 삽입구(102c)가 설치되고 커버(102)내에는 삽입구(102c)에 꽂힌 플러그날을 받는 한 쌍의 소켓(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보디(101)내에서 칸막이 벽(103)을 거쳐서 형성된 한 쌍의 수납실(105)에는 소켓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A)가 각각 수납된다.
본 실시형태의 속결단자장치인 단자부(A)는 단자판(1)과 해제레버(30)로 구성된다. 단자판(1)은 도 1(a) 내지 도 1(f), 도 2 및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주편(主片)(2)과, 주편(2)의 길이 방향에 따른 한쪽 끝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접촉편(3)과, 주편(2)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다른쪽 끝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대략 J 자형의 한 쌍의 자물쇠편(4)를 구비하고,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접촉편(3)의 선단부와 자물쇠편(4)의 선단부가 각각 교차하도록 구부려 일체로 형성된다. 접촉편(3)에는 전선에 접촉하는 평탄한 접촉면(3a)과, 선단을 자물쇠편(4)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피계지부(6)가 마련되고, 피계지부(6)와 주편(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전선 삽입구멍(106)과 대향하여 전선이 관통하는 삽입통과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3)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자물쇠편(4)에는 전선을 접촉편(3)쪽으로 누름과 더불어 전선의 일부에 접촉하여 빠짐방지하는 자물쇠부(4a)가 선단에 마련되고 자물쇠부(4a)보다도 하방에 전선(접촉편 3)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구부림부(4b)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전선의 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6(a)의 좌우 방향)의 자물쇠부(4a)의 폭 치수를 전선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로 하여 폭 방향에서의 자물쇠부(4a)의 중앙 부분을 전선에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4c)가 자물쇠부(4a)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하여 놓고, 이들 한 쌍의 돌기부(4c)가 해제레버(30)에 의해서 눌린다. 또한, 자물쇠부(4a)의 중앙 부분이 접촉편(3)에 대향하고 한 쌍의 돌기부(4c)가 접촉편(3)과 대향하지 않도록 접촉편(3)의 폭 치수가 자물쇠편(4)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해제레버(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도 7(a) 내지 도 7(e)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조작부(31)와, 한 쌍의 축부(32)와, 조작부(3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여 각각 축부(32)와 연결하는 제 1 연결부(34)와, 각 축부(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으로 돌출된 가압부(33)와, 제 1 연결부(34)의 끝둘레로 부터 조작부(3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팔부(35)와, 이들 한 쌍의 팔부(35)의 선단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36)와, 제 2 연결부(36)에서 제 1 연결부(34)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각기둥형상의 계지부(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32)는 전면(도 7(a)에 있어서의 상면)이 평탄하고, 또한 후면(도 7(a)에 있어서의 하면)의 양단부에는 서로 곡률 반경이 다른 원호상의 곡면(32a, 3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디(101)의 수납실(105)의 저면에 마련된 베어링(107)에 선단측의 곡면(32a)을 접촉하도록 탑재됨으로써 축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100)(보디(101))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측면에는 수납실(105)과 연결되는 3개의 세로 홈(104)이 마련되어 있다. 해제레버(30)는 세로 홈(104)을 통해서 연결부(34) 및 조작부(31)가 기체(100) 밖으로 노출되고 가압부(33)가 단자판(1)의 자물쇠편(4)의 돌기부(4c)와 대향하여 수납실(105)내에 마련된 베어링(107)에 축부(32)를 탑재함으로써, 축부(32)를 중심으로 기체(100)의 전후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실(105)에는 축부(32)가 인접되도록 서로 대칭 형상으로 되는 2개의 해제레버(30)가 배치된다.
전선(11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37)가 단자판(1)의 피계지부(6)에 계지되는 회전위치까지 해제레버(30)가 회전되어 있다(이하, 이 회전위치를「초기 위치」로 칭함). 해제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자판(1)의 돌기부(4c)가 가압부(33)에 밀려 자물쇠편(4)이 접촉편(3)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다. 이 때 자물쇠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해제레버(30)가 반조작 방향(도 1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부세되지만, 계지부(37)가 단자판(1)의 피계지부(6)에 대하여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해제레버(30)는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 삽입구멍(106)을 통해서 전선(110)의 도체(111)를 접촉편(3)과 자물쇠편(4)의 사이에 도입하면, 삽입통과부(5)를 통해서 도체(111)의 선단이 해제레버(30)의 계지부(37)에 접촉하여 계지부(37)를 밀어 올림으로써 계지부(37)와 피계지부(6)와의 래치 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도 1(d) 및 도 1(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물쇠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탄성부세되어 있던 해제레버(30)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물쇠편(4)의 자물쇠부(4a)가 도체(111)에 접촉함으로써 전선(110)이 빠지지 않음과 더불어 자물쇠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도체(111)가 접촉편(3)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도체(111)는 접촉편(3)에 의해 자물쇠편(4) 방향으로 가압되고 자물쇠부(4a)와 접촉편(3)의 가압력이 균형을 이루어 전선(110)이 유지된다. 또한, 자물쇠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한 해제레버(30)는 제 2 연결부(36)가 기체(100)(구체적으로, 인접하는 세로 홈(104)의 사이에 있고 해제레버(30)의 조작부(31), 연결부(34), 팔부(35) 및 제 2 연결부(36)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부내에 위치하는 벽(109)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정지되고, 그 때 음(충돌음)이 발생된다(도 1(f)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선(110)의 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자물쇠부(4a)의 폭 치수를 도체(111)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로 하고 폭 방향에서의 자물쇠부(4a)의 중앙 부분을 도체(111)에 접촉시키고 도체(11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4c)를 자물쇠부(4a)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2개의 돌기부(4c)에 의해서 자물쇠부(4a)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도체(111)를 유도하여 도체(111)와 단자판(1)(접촉편(3) 및 자물쇠편(4))과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물쇠부(4a)를 도체(111)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필요한 해제레버(30)의 회전량을 줄여서 단자판(1)과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선(110)이 접속된 상태로 조작부(3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축부(32)를 중심으로 하여 해제레버(30)가 접속시와는 반대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33)가 단자판(1)의 돌기부(4c)를 가압하여 도체(111)에 접촉하고 있는 자물쇠부(4a)를 도체(111)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자물쇠편(4)을 휘게하여 전선(110)을 뽑아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부(31)를 조작하여 해제레버(30)를 회전시켰을 때, 축부(32)전면의 선단부가 단자판(1)의 자물쇠편(4)과 접촉하여 가압부(33)가 자물쇠부(4a)를 눌러 움직이는 거리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부(4c)가 필요 이상으로 자물쇠부(4a)를 눌러 움직이게 하여 단자판(1)의 자물쇠편(4)이 훼손되거나 자물쇠편(4)의 소성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자판(1)과 전선(11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해제레버(30)의 조작부(31)가 초기 위치보다도 하방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해제레버(30)의 제 2 연결부(36)가 기체 (100)(벽(109))에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음(충돌음)에 의해서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선(11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레버(30)를 전선(110)의 접속완료 표시와 겸용함으로써 부품 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2)의 전방에 대략 부채형의 지지부(38)를 일체로 마련하고 이 지지부(38)를 단자판(1)의 주편(2)에 미끄럼 접합시킴으로써 해제레버(30)의 회전을 안정시키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조작부(31)를 손으로 조작하여 해제레버(30)를 회전할 때는 특별히 지장은 없지만, 전선 접속 시에 자물쇠편(4)의 스프링력에 의해 해제레버(30)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부(38)와 단자판(1)과의 미끄럼 접합으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서 해제레버(30)의 회전이 저해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부(31)가 기체(100)의 표면에 충돌하는 위치까지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32)의 전면을 평탄하게 함으로써 전선 접속시에 자물쇠편(4)이 스프링력에 의해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단자판(1)과 접촉하지 않는 형상 및 치수로 해제레버(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지지부(38)를 마련한 구성과 같이 단자판(1)과의 접촉에 의해서 해제레버(30)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107)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간섭 방지 리브(107a)가 돌출되어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여 기체(100)에 배치된 2개의 해제레버(30)의 축부(32) 사이를 간섭 방지 리브(107a)에 의해 격리 단절함으로써 이들 2개의 해제레버(30)끼리 서로 간섭하여 부드럽게 회전하지 않거나, 혹은 전혀 회전 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2)의 후단측의 곡면(32b)에 미끄럼 접합하여 축부(32)를 지지하는 지지부(108)를 보디(101)의 수납실(105) 내벽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해제레버(30)에 지지부(38)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해제레버(3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런데, 해제레버(30)의 부품 공차 등의 원인으로 해제레버(30)를 초기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의 회전량이 다를 수 있고 이 회전량이 지나치게 커지면 가압부(33)가 돌기부(4c)를 눌러 움직이는 거리도 증가하기 때문에, 가압부(33)가 필요 이상으로 돌기부(4c)를 눌러 단자판(1)의 자물쇠편(4)이 훼손되거나 또는 자물쇠편(4)이 소성 변형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가압부(33)의 돌기부(4c)와 닿는 면에 단차(33a)를 마련하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33)의 돌기부(4c)와 닿는 면에 단차(33a)를 마련하지 않고 평탄면으로 한 경우, 해제레버(30)를 초기 위치(도 12(a)참조)로부터 더욱 회전시키면 가압부(33)의 접촉면도 이동하여 돌기부(4c)가 또한 움직인다(도 12(b)참조). 그러나, 가압부(33)의 돌기부(4c)와 닿는 면에 단차(33a)를 마련하여 단차(33a)보다도 상측의 접촉면을 돌기부(4c)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제레버(30)를 초기 위치(도 13(a)참조)로부터 더욱 회전시킨 경우에도,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4c)가 단차(33a)보다 상측의 접촉면에 따르고 단차(33a)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가압부(33)가 이동하더라도 돌기 부(4c)가 움직이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 모듈치수의 기체(100)에 한 쌍의 삽입구(102c)를 갖춘 매립형의 콘센트를 설명했지만,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 모듈치수의 기체에 접지용의 삽입구(102d)를 포함하는 2조의 삽입구(102c, 102c, 102d)를 갖춘 매립형의 콘센트의 단자부에도 본 발명의 속결단자장치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의 접속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부가 전선의 접속완료시와 다른 회전위치로 해제레버가 래치 수단에 래치 되어 있지만, 접속 수단에 의해서 단자판과 접속되는 위치까지 전선이 기체에 도입되면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부세 수단에 의해서 탄성힘이 가해지고 있는 해제레버가 반조작 방향에 회전하여 조작부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조작부의 위치 차이에 의해서 전선이 단자판에 확실히 접속되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어 시공자가 안심할 수 있다. 또한, 해제레버가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부세 수단의 가압력으로 축부를 중심으로 조작부가 회전 할 때에 단자판과 접촉하지 않는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판과의 접촉에 의해서 해제레버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일이 없으므로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배선기구의 기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서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유지함과 더불어 자물쇠부가 상기 전선에 접촉하여 빠짐방지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한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조작부를 회전자유롭게 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회전할 때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전선에 접촉한 상기 접속 수단의 상기 자물쇠부를 상기 전선으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가압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제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부세 수단과,
    상기 부세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선의 접속완료시와 다른 회전위치에서 상기 해제레버를 래치함과 더불어 상기 전선삽입 구멍을 통해서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판과 접속된 때에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 수단은 기체 내에 마련된 피계지부와, 상기 해제레버에 마련되어 상기 피계지부에 걸리는 것과 더불어 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로 눌러져 피계지부와의 계지가 빠지는 계지부를 마련하고,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부세 수단의 가압 력으로 축부를 중심으로 조작부가 회전 할 때에 상기 단자판과 접촉하지 않는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가 조작될 때에 상기 가압부가 상기 부세수단을 눌러 움직이는 거리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작 방향이 인접되도록 상기 기체에 수납되는 복수의 상기 해제레버와, 상기 기체 내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해제레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해제레버끼리 간섭하는 것을 막는 간섭방지 리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조작부가 회전 할 때에 상기 기체에 미끄럼접합하여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이 래치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가압부의 부세수단과 닿는 면에 단차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자물쇠부의 폭 치수를 전선의 직경보다도 큰 치수로 하여 폭 방향의 상기 자물쇠부의 중앙 부분을 전선에 접촉시킴과 더불어,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상기 자물쇠부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고 전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물쇠 부와 대향함과 더불어 상기 전선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어 조작부가 회전 할 때에 기체에 충돌하여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KR1020050078231A 2004-08-26 2005-08-25 속결단자장치 KR100826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7294 2004-08-26
JP2004247294A JP4289258B2 (ja) 2004-08-26 2004-08-26 速結端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647A KR20060050647A (ko) 2006-05-19
KR100826384B1 true KR100826384B1 (ko) 2008-05-02

Family

ID=3609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31A KR100826384B1 (ko) 2004-08-26 2005-08-25 속결단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89258B2 (ko)
KR (1) KR100826384B1 (ko)
CN (1) CN100377427C (ko)
SA (1) SA05260266B1 (ko)
TW (1) TWI2807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27530C (zh) * 2006-03-15 2009-08-12 松下电工株式会社 快速连接接线端装置和接线设备
TWI348794B (en) * 2006-10-26 2011-09-11 Panasonic Elec Works Co Ltd 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JP4816428B2 (ja) 2006-11-27 2011-11-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5102480B2 (ja) * 2006-11-27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5958680B2 (ja) * 2010-09-14 2016-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
DE102013101409B4 (de) 2013-02-13 2022-01-2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R101618327B1 (ko) 2014-07-31 2016-05-04 서일전자주식회사 안전결선 식별 단자대
JP7386528B2 (ja) 2020-03-25 2023-11-27 株式会社因幡電機製作所 速結端子ユニット、及び配電盤
CN113783109A (zh) * 2021-09-08 2021-12-10 宁波九荣环保科技有限公司 模块化装配的电机变频控制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172A (ko) * 1997-09-19 1999-04-15 이마이 기요스케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618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JP3355161B2 (ja) * 1999-11-09 2002-12-09 ヤマハ株式会社 レバーターミナ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172A (ko) * 1997-09-19 1999-04-15 이마이 기요스케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6223A (ja) 2006-03-09
CN1741318A (zh) 2006-03-01
CN100377427C (zh) 2008-03-26
SA05260266B1 (ar) 2010-06-20
TW200614608A (en) 2006-05-01
TWI280711B (en) 2007-05-01
KR20060050647A (ko) 2006-05-19
JP4289258B2 (ja)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384B1 (ko) 속결단자장치
JP485704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0663139B (zh) 连接装置
JP4247920B2 (ja) レバーコネクタ
EP2276123B1 (en) Lever type connector
KR100800213B1 (ko)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에 의해 감합부의 플로팅이 조절되는커넥터
JP449249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7546547B (zh) 接线盒
JP2015510242A (ja) 電気コネクタのストレインリリーフ
JP49608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021731B1 (ko) 작동성이 우수한 로킹 기구를 갖는 커넥터
JP2006351389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5056244A (ja) コネクタ装置
EP1223593A2 (en) Switch device
JP4387268B2 (ja) 電気的接続装置
JP6861582B2 (ja) コネクタ
JP200605972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6707229B2 (ja) コネクタ
JP6293715B2 (ja) 端子台及び端子台の製造方法
TW200843227A (en) L-shaped contact
JP7315404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4354901B2 (ja) 係合構造
WO2020075443A1 (ja) スイッチ
WO2001084897A1 (fr) Structure de raccordement de coffret
JP405648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30

Effective date: 200802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