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172A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172A
KR19990028172A KR1019970053836A KR19970053836A KR19990028172A KR 19990028172 A KR19990028172 A KR 19990028172A KR 1019970053836 A KR1019970053836 A KR 1019970053836A KR 19970053836 A KR19970053836 A KR 19970053836A KR 19990028172 A KR19990028172 A KR 19990028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lug blade
plate
plu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0211B1 (ko
Inventor
마사시 사카베
미노루 혼다
마수오 키타무라
유타카 카토오
마사미 하야후네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2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조립성이 좋은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체(1)는 시공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창 내에 전단부가 삽입된 모양으로 플레이트에 유지되고 후단부가 시공면에 매입된 모양으로 설치된다. 기체(1)의 측면에는, 플레이트에 단위피치로 형성된 유지홈에 결합되는 부착클릭(2)이 돌출 설치된다. 기체(1)는 후단측의 바디(10)와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24)를 마련한 전단측의 커버(20)로 이루어지며, 바디(10)에 마련한 조립클릭(11)과 커버(20)에 마련한 조립구멍(22a)을 요철계합시킴으로써 바디(10)와 커버(20)가 결합된다.

Description

콘센트
본 발명은, 벽면과 같은 시공면에 일부를 매입한 모양으로 시공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를 제조하는데는 플러그날을 받는 인수부재(刃受部材)와 같은 충전부재(充電部材)를 기체(器體)에 수납하기 때문에, 2개이상의 부재를 짜 맞추어 기체를 형성하고있다. 기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결합에는, 금속제의 조립틀이나 금속제의 나사를 쓰는 방법이 많이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부재와 충전부재가 아닌 금속부재가 비교적 근접하여 배치되게되어 조립틀과 같은 비충전부재와 충전부재와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크게 잡을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체의 조립에 조립틀이나 나사를 쓰니까 조립작업이 번거롭다. 또, 통상의 콘센트는 플레이트에 대한 부착위치가 1개소뿐이며, 삽입부의 입구수에 따라 다른 제품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충전부재와 비충전부재와의 사이에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삽입부의 입구수 등에 따라 플레이트에 대한 부착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동상(同上)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동상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동상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동상의 커버를 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동상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동상에 쓰는 다른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동상을 부착하는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동상을 부착하는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동상의 부착순서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이다.
도 11은 동상을 플레이트틀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를 나타내는 커버를 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동상의 일부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5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동상에 쓰는 다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6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동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7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8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동상에 쓰는 다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9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동상에 쓰는 다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0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6은 동상에 쓰는 다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금속제의 플레이트틀에 기체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횡단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기체(器體) 2 부착클릭
3 부착구멍 4 챔퍼부
10 바디 11 조립클릭
15 전선삽입구 20 커버
22a 조립구멍 22b 보강부
24 삽입부 25 삽입구
25a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 25b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
30 인수부재(刃受部材) 31 스프링편
32 스프링편 34 교락편(橋絡片)
35 단자편(端子片) 36 고정스프링
40 인수부재 41 스프링편
45 단자편 50 인수부재
60 인수부재 100 플레이트
111 개구창 114 고정양부(固定梁部)
114a 유지홈 114c 기구떼기 구멍
115 가동양부(可動梁部) 115a 유지홈
121a 개구창 152 유지클릭
153 유지클릭 Bx 박스
청구항1의 발명은, 시공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창 내에 전단부(前端部)가 삽입된 모양으로 플레이트에 유지되고 후단부(後端部)가 시공면에 매입된 모양으로 설치되는 기체(器體)와, 기체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된 플러그의 플러그날을 받는 인수부재(刃受部材)와, 인수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기체에 마련한 전선삽입구에 삽입된 전선을 전선의 삽입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는 고정스프링에 의하여 유지하는 단자부를 갖추고, 플레이트에 단위피치로 형성된 유지부에 결합되는 부착부가 기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기체는 후단측의 바디와 상기 삽입부를 마련한 전단측의 커버로 이루어지며, 바디와 커버와의 한쪽에 마련한 조립클릭과 다른쪽에 마련한 조립구멍을 요철계합(凹凸係合)시킴으로써 바디와 커버가 결합되는 것이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3조의 유지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3개까지 부착할 수가 있는 1개 단위치수 기체의 3개분인 3개단위치수의 기체를 갖추는 것이다.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3조의 유지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3개까지 부착할 수가 있는 1개 단위치수 기체의 2개분인 2개단위 치수의 기체를 갖추는 것이다.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금속제이고 개구창문의 양측부에 각각 유지부로서의 유지클릭이 형성되며, 플레이트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기체의 측면에 형성한 부착부로서의 부착구멍에 유지클릭이 요철결합되는 것이다.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플레이트가 합성수지 성형품이고 개구창문의 양측부에 각각 유지부로서의 유지홈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탄성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휘게 함으로써 기체의 측면에 돌출 설치한 부착부로서의 부착클릭이 유지구멍에 요철결합되는 것이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5의 발명에 있어서, 기체의 각 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돌출 설치한 고정양부와 가동양부에 각각 유지홈이 형성되고, 가동양부가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있어 고정양부의 유지홈에 기체의 한쪽 측면의 부착클릭을 계합시킨 상태에서 가동양부를 휘게 하면서 가동양부의 유지홈에 기체의 다른쪽 측면의 부착클릭을 계합시키는 것이다.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5의 발명에 있어서, 고정양부의 근방에 형성된 기구 빼기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공구를 사용하며 기체를 가동양부측에 누름으로써 가동양부를 휘게 하여 기구를 플레이트에서 떼는 것이다.
청구항8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조립클릭이 바디의 외측면에 돌출 설치되고, 조립구멍이 커버에서 돌출하는 조립편에 마련된 것이다.
청구항9의 발명은, 청구항8의 발명에 있어서, 조립클릭이 기체의 각 측면에 2개씩 형성되고, 1개의 조립편에 2개의 조립구멍이 형성된 것이다.
청구항10의 발명은, 청구항8의 발명에서 조립클릭이 기체의 각 측면에 1개씩 형성되고, 조립구멍의 후연(後緣)에서 전방으로 돌출 설치한 보강편과 끼워맞추도록 조립클릭이 두 갈래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다.
청구항11의 발명은, 청구항8의 발명에 있어서, 기체의 전면측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기체의 긴쪽방향에 따른 각 측면의 양단부에 각각 조립클릭이 형성되고, 바디와 커버가 4개소에서 결합되는 것이다.
청구항12의 발명은, 청구항8 내지 청구항11의 발명에서, 조립편의 선단부에 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보강부가 마련된 것이다.
청구항13의 발명은, 청구항8 내지 청구항12의 발명에 있어서, 인수부재를 수납하는 바디가 내트래킹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조립편을 갖추는 커버가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청구항14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서, 삽입부로서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 핀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와의 적어도 한쪽을 갖추는 것이다.
청구항15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14의 발명에 있어서, 삽입부로서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 핀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를 연속시킨 형상의 삽입구를 갖추는 것이다.
청구항16의 발명은, 청구항15의 발명에서, 2개의 삽입구를 조(組)로하여 하나의 플러그날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청구항17의 발명은, 청구항15의 발명에 있어서, 2개의 삽입구 및 양 삽입구와는 따로 마련한 접지극용(接地極用)의 삽입구를 조로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청구항18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14의 발명에서,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가 커버의 전면(前面)에 개설된 것이다.
청구항19의 발명은, 청구항18의 발명에 있어서, 2개의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를 조로 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청구항20의 발명은, 청구항18의 발명에서, 2개의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 및 양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는 따로 마련한 접지극용의 삽입구를 조로 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청구항21의 발명은,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고정스프링과 같이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편이 인수부재의 일부에 연속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22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서, 기체 내에 배열설치되고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접속되는 인수부재는,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탄접하는 스프링편과, 기체에 마련한 전선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전선을 고정스프링과의 사이에 협지하는 단자편과, 스프링편과 단자편을 연속일체로 연설(連設)하는 교락편(橋絡片)을 갖추는 것이다.
청구항23의 발명은, 청구항22의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탄접(彈接)하는 스프링편은 핀형 플러그날을 협지하는 한쌍의 제1의 스프링편과 평형 플러그날을 제1의 스프링편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1장의 제2의 스프링편을 갖추는 것이다.
청구항24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서 전면(前面)이 원형으로 개구하고 시공면에 매입배치되는 박스 내에 기체의 후부가 수납되고, 전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체의 모서리부에 박스의 내주면에 따른 모양으로 챔퍼부가 형성된 것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예고가 없으면, 도 2의 방향에서 상하좌우의 방향을 규정하며, 또 도 2에서의 정면을 전면(前面)이라고 한다. 따라서, 도 2에서의 우단은 후단이 된다.
(실시형태1)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다. 기체(1)는 트래킹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합성수지(예를들면, 요소수지)를 사용하여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 바디(10)와, 탄성을 가지고 또한 내트래킹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예컨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사용하여 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 커버(20)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기체(1)는 후술하는 규정의 단위치수를 갖고있다.
바디(10)의 상하 양단면에는 각 한쌍의 조립클릭(11)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20)의 상하 양단부에는 각각 어깨부(21)가 돌출 설치되고, 각 어깨부(21)의 후연(後緣)에서 바디(10)를 향하여 각각 조립편(22)이 돌출 설치된다. 각 조립편(22)에는 바디(10)에 마련한 조립클릭(11)과 요철계합하는 각 한쌍의 계합구멍(係合孔)(22a)이 형성된다. 조립클릭(11)의 전단부에는 앞쪽일수록 바디(10)에서의 돌출량을 작게 하도록 경사진 유도면(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디(10)에 커버(20)를 맞붙일 때에는, 조립편(22)이 유도면(11a)을 따라 휘며, 최종적으로 조립편(22)에 마련한 계합구멍(22a)이 조립클릭(11)에 끼워짐으로써, 바디(10)와 커버(2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조립편(22)을 휘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커버(20)를 탄성을 가진 합성 수지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조립편(22)의 성형시에는 수지의 흐름이 복수 형성되어 조립편(22)의 선단부(先端部) 부근에서 합류하므로 조립편(22)의 선단부에는 웰드라인이 형성되기 쉽다. 조립편(22)은 상술과 같이 휨을 이용하여 조립클릭(11)과 걸어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웰드라인이 형성되면 휠 때 부러지기 쉽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웰드라인이 형성되는 부위에 대하여는 부분적으로 두께를 크게 한 보강부(22b)를 형성하여 조립편(22)이 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있다.
바디(10)는 긴쪽방향의 중간부에 마련한 칸막이벽(12)에 의해 내부공간이 2분되어 있다. 칸막이벽(12)의 전단부는 바디(10)의 개구면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디(10)의 둘레벽의 적소(適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결정 돌부(10a)가 돌출 설치된다. 칸막이벽(12) 및 위치 결정돌부(10a)는, 바디(10)와 커버(20)가 결합되었을 때에 커버(20)에 형성한 오목한곳(도시않음)에 걸어맞추어 바디(10)에 대한 커버(20)의 흔들림을 금지한다. 또한, 커버(20)내에도 칸막이(도시않음)가 형성되고, 바디(10)와 커버(20)를 결합하면 바디(10)의 칸막이벽(12)과 커버(20)의 칸막이벽이 맞대여짐으로써 기체(1)의 내부공간이 독립한 2실로 분할된다.
바디(10)내에서 칸막이벽(12)을 통해 형성된 각 수납실(13)에는 각각 인수부재(30)가 수납된다. 각 인수부재(30)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스프링편(31)과, 양 스프링편(31)의 한쪽의 측면에 대향하는 스프링편(32)과, 스프링편(31,32)을 연속일체로 결합하는 ㄷ자모양의 연결편(33)을 갖춘다. 또한, 각 스프링편(31)의 옆쪽이고 스프링편(32)과의 사이의 부위에는 연결편(33)에서 연속일체로 위치결정편(34)이 돌출 설치된다. 또, 연결편(33)의 개방단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모양으로 단자편(35)이 연결편(33)과 연속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인수부재(30)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스프링편(31)에서 핀형 플러그날에 접촉하는 부위의 간격이 스프링편(32)에 가까운 쪽일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 결국, 양 인수부재(30)에 있어서 서로 가까운 쪽일수록 스프링편(31)의 간격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핀형 플러그날을 인수부재(30)에 삽입하였을 때에, 플러그의 종류에 의하여 한쌍의 핀형 플러그날의 사이의 거리나 핀형 플러그날의 지름이 다른 것이라도 스프링편(31)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플러그를 양 인수부재(30)의 중심부근에 위치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양 인수부재(30)에서의 스프링편(31)의 스프링력을 균등화할 수가 있다.
바디(10)내에는 연결편(33)과 위치결정편(34)과 단자편(35)에 각각 당접하는 위치결정 리브(14a∼14c)가 형성되어, 위치결정리브(14a∼14c)에 의해 인수부재(30)가 바디(10)내의 정위치(定位置)에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 리브(14b,14c)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위치결정리브(14c)에 당접한 단자편(35)과 위치 결정리브(14b)와의 사이에 고정스프링(36)이 배치된다. 고정스프링(36)은 대판(帶板)의 일단부를 J자 모양으로 구부려 접촉편(36a)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부를 S자 모양으로 구부려 고정편(36b)을 형성한 것으로서, 접촉편(36a) 및 고정편(36b)을 단자편(35)에 대향시키는 모양으로 바디(10)에 수납된다. 인수부재(30)의 위치결정편(34)과 단자편(35) 및 고정스프링(36)은 커버(20)내에 마련한 누름 리브(23a,23b)에 의해 바디(10)에서 사이가 들뜨지 않도록 눌려 진다.
바디(10)의 후벽에는 고정스프링(36)과 단자편(35)과의 사이에 전선을 도입할 수가 있도록 전선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삽입구(15)를 통하여 고정스프링(36)과 단자편(35)과의 사이에 고정편(36a) 측에서 전선을 삽입하면, 접촉편(36a) 및 고정편(36a)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전선이 단자편(35)과의 사이에 협지되며, 또한 고정편(36b)이 전선에 처박힘으로써 전선을 뽑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삽입구(15)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선할 수가 있기 때문에, 나사부(付) 단자 등을 쓰는 경우에 비하여 결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각 수납실(13)에는, 각 인수부재(30)에 마련한 한쌍의 단자판(35)에 각각 대향하는 한쌍의 고정스프링(36)에 걸치도록 해제버튼(37)이 배열 설치된다. 해제버튼(37)은 양 고정스프링(36)의 고정편(36b)에 당접하여, 바디(10)의 후벽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해제버튼(37)이 고정편(36b)에 당접하는 부위는 고정편(36b)이 단자편(35)과의 사이에 전선을 협지하는 부위에서 어긋나 있다. 또한, 해제버튼(37)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바디(10)의 후벽에는 조작구멍(16)이 형성되고, 조작구멍(16)에 일자 드라이버의 선단부 등을 삽입하여 해제버튼(37)을 누름으로써 전선에 쳐박혀있는 고정편(36b)을 전선에서 떨어지도록 휘게하여 전선의 빼내기가 가능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의 설명에서 분명한 것과 같이, 각 수납실(13)에 배치한 인수부재(30)에는 각각 2개의 전선을 접속할 수가 있으므로 한쪽의 전선을 전원측으로 하고, 다른쪽의 전선을 다른 콘센트에 접속하는 전송배선으로서 사용하면, 복수의 콘센트를 병렬적으로 접속하는 것 같은 결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원측의 전선과 전송배선이 되는 전선을 개별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이미 접속되어 있는 콘센트를 뺄 때 등에 동시에 2개의 전선을 빼는 일없이 빼어야 할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전선만을 다른 것으로 갈아붙이면 되므로 배선의 변경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그런데, 커버(20)의 앞벽에는 하나의 플러그에 마련한 한쌍의 플러그날을 삽입할 수가 있는 삽입부(24)가 1 입구분(入口分)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4)는 각 인수부재(30)의 스프링편(31,32)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개구하는 삽입구(25)로 이루어지며, 각 삽입구(25)는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와, 핀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25b)를 연통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는 직사각형이고, 긴쪽방향의 중간부의 한쪽테두리에 원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삽입구(25b)가 연통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의 중심간의 거리보다도,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25b)의 중심간의 거리 쪽이 넓게 되어 있다.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에 삽입되는 평형플러그날은 스프링편(31)의 측면과 스프링편(32)과의 사이에서 협지되고,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25b)에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은 한쌍의 스프링편(31)의 사이에서 협지된다. 또,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는 전압선측과 접지선측에서 길이치수를 다르게 하였다.
상술의 기체(1)는 후술하는 플레이트(10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커버(20)의 양측면에 마련한 어깨부(21)에는 플레이트(100)에 결합하기 위하여 각 한쌍의 부착클릭(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부착클릭(2)의 전단부에는 앞쪽일수록 어깨부(21)에서의 돌출량을 작게 하도록 경사진 경사면(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1)의 각 측면에 있어서 양 부착클릭(2)의 사이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부착클릭(2)보다 약간 뒷쪽에는 부착구멍(3)이 천설되어 있다. 플레이트(100)의 종류에 따라서는 부착구멍(3)을 사용하여 기체(1)를 플레이트(100)에 부착한다.
커버(20)로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4)에 평형플러그날 삽입구(25a)만을 갖추는 구성의 것을 써도 된다. 요컨대, 바디(10) 및 인수부재(30)를 공통으로 커버(20)만을 교환하면,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만을 마련한 콘센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평형 플러그날과 핀형 플러그날을 양용(兩用)할 수 있는 지역용의 콘센트, 평형 플러그날밖에 사용할 수가 없는 지역용의 콘센트를, 커버만의 교환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부품의 공용에 의해 부품품종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다품종전개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콘센트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플레이트(100)를 쓴다. 플레이트(100)는, 기체(1)를 유지하는 플레이트틀(110)과, 플레이트틀(110)을 덮어 볼품이 좋게 시공하는 화장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틀(110)에는 합성 수지제의 것과 금속제의 것이 있다.
합성 수지제의 플레이트틀(110)은 절연성을 가지며, 한쌍의 틀편(113a,113b)의 좌단부끼리 및 우단부끼리를 각각 횡편(橫片)(112)으로 연속일체로 결합함으로써, 기체(1)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직사각형의 개구창(111)을 중앙부에 갖춘 세로가 긴 직사각형 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창(111)의 긴쪽방향에 따른 양측테두리의 후면측에는 각각 대판(帶板)상의 고정양부(114)와 가동양부(115)가 서로 대향하는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가동양부(115)는 긴쪽방향의 양단부에서 가동양부(115)의 긴쪽방향에 연장된 연결부(116)를 통해 틀편(113b)에 연속일체로 연결되고, 중간부의 2개소가 가동양부(115)에 직교하는 방향의 브리지부(117)를 통하여 틀편(113b)에 연속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연결부(116)와 각 브리지부(117)와의 사이 및 양 브리지부(117)의 사이의 부위는 표리(表裏)에 관통하는 슬릿(118a∼118c)으로 되어있다. 플레이트틀(110)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며, 가동양부(115) 및 연결부(116)가 가요(可撓)로 되어 있다. 양측의 슬릿(118a,118c)은 L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의 슬릿(118b)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틀편(113b)에서 각 브리지부(117)의 근방에는 브리지부(117)에 대응하는 부위라도 가동양부(115)가 가요가 되도록 표리에 관통하는 긴구멍모양의 홈(119)을 각각 마련하였다.
한편, 고정양부(114) 및 가동양부(115)에 있어서 개구창(111)에 면하는 일면에는, 기체(1)의 양측면에 각 한쌍씩 돌출 설치된 부착클릭(2)과 요철계합하는 유지부로서의 6개의 유지홈(114a,115a)(도 10참조)이 같은 피치로 마련된다. 따라서, 기체(1)에 마련한 부착클릭(2)을 각 유지홈(114a,115a)에 요철계합시키면, 기체(1)의 전면을 개구창(111)에서 노출시킨 모양으로 플레이트틀(110)에 기체(1)를 붙여 고정할 수가 있다. 또 기체(1)가 플레이트틀(110)에서 앞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양부(114) 및 가동양부(115)의 기부(基部)에는 기체(1)의 양측면에 돌출 설치한 어깨부(21)의 전면에 당접하는 당접부(114d,115d)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어깨부(21)의 전면이 당접부(114d,115d)(도 10 참조)에 당접하고, 부착클릭(2)의 후면이 유지홈(114a,115a)에 계지됨으로써 기체(1)가 플레이트틀(110)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고정양부(114)와 가동양부(115)와의 개구창(111)에 면하는 일면에서의 각 선단부분에는, 기체(1)의 부착클릭(2)을 플레이트틀(110)의 후면측에서 유지홈(114a,115a)에 도입할 때에, 각 부착클릭(2)을 유지홈(114a,115a)에 유도하기 위하여, 선단측일수록 서로의 거리를 넓히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된 유도부(114b,115b)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도 10(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틀(110)에 기체(1)를 부착하기 위하여는 기체(1)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한 부착클릭(2)을 고정양부(114)의 유지홈(114a)에 계합하여두고 기체(1)의 전단부를 개구창(111)에 거의 일치시켜 기체(1)를 플레이트틀(110)에 대하여 앞쪽으로 밀어넣으면 기체(1)의 타측면에 돌출 설치한 부착클릭(2)이 가동양부(115)를 휘게하면서 경사면(2a)과 유도부(115b)에 의하여 유지홈(115a)에 몰아넣어, 부착클릭(2)을 유지홈(115a)에 용이하게 계합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상술과 같이 가동양부(115)의 연장선상에 연결부(116)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기체(1)에 전면측에서 윗쪽으로 향해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도 가동양부(115)가 개구창(111)측으로 쓰러지는 것 같이 휘어 유지홈(115a)에서 기체(1)의 부착클릭(2)이 빠지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기체(1)의 플레이트틀(110)에 대한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고정양부(114)의 기부에는 인접하는 각 한쌍의 유지홈(114a)의 사이에서 플레이트틀(110)의 표리에 관통하는 기구 빼기 구멍(114c)이 천설되어 있고, 기구(器具)(1)를 플레이트틀(110)에 부착한 상태에서 드라이버나 떼기 전용의 치구 등의 선단부분을 기구 빼기 구멍(114c)에 삽입하여, 치구의 선단부분으로 기체(1)를 가동양부(115)측으로 누르면 지레의 원리에 의하여 약간의 힘으로 가동양부(115)를 휘게할 수가 있고, 고정양부(114)측의 유지홈(114a)과 기체(1)의 부착클릭(2)과의 계합상태를 해제하여 플레이트틀(110)에서 기체(1)를 뗄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이 플레이트틀(110)은 고정양부(114)와 가동양부(115)에 각각 3쌍의 유지홈(114a,115a)을 가지며 기체(1)에는 각 측면에 한쌍씩의 부착클릭(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의 기체(1)를 플레이트틀(110)에 3개까지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컨대, 플레이트틀(110)은 3개용이고, 3개용의 플레이트틀(110)에 최대 3개까지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치수를 설정한 기체(1)를 1개 단위치수의 기체(1)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기체(1)와 플레이트틀(110)과의 상대적인 부착치수를 규정하여 놓음으로써 플레이트틀(110)에는 1∼3개의 범위의 임의개수의 기체(1)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양부(114) 및 가동양부(115)에 마련한 각 유지홈(114a,115a)의 피치는 1개 단위치수의 기체(1)의 측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부착클릭(2)의 피치와 같고, 또한 상술과 같이 각 유지홈(114a,115a)은 등간격이므로 1개 단위 치수의 기체(1)이면 고정양부(114) 및 가동양부(115)의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유지홈(114a,115a)을 사용하여 플레이트틀(110)에 부착할 수가 있다. 도 11은 기체(1)를 플레이트틀(11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플레이트틀(110)의 각 횡편(112)의 중간부 전면(前面)에는 각각 오목한곳(131)이 형성되어있다. 각 오목한곳(131)에는, 플레이트틀(110)을 매입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부착하기 위한 박스나사를 삽입통과하는 박스용 구멍(132)과, 플레이트틀(110)을 벽면 등의 시공면에 바로 붙이기 위한 나사가 삽입통과되는 나사삽통구멍(133)과, 시공면을 형성하는 벽패널 등에 부착할 때에 사용하는 끼움 쇠장식(도시하지 않음)을 계지하는 끼움쇠장식 계지구멍(13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틀(110)의 4귀퉁이에는 화장플레이트(120)의 후면에서 돌출 설치한 계지돌기(123)를 계지하는 화장플레이트계지구멍(135)이 마련되어 있고 화장플레이트계지구멍(135)에 계지돌기(123)를 삽입계지하는 것으로 플레이트틀(110)의 전면을 덮는 모양으로 화장플레이트(120)를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화장플레이트(120)는, 절연성을 가진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플레이트틀(110)의 전면(前面)을 덮는 직사각형 모양의 주부(主部)(121)와, 주부(121)의 둘레 테두리에서 전 둘레에 걸쳐 뒷쪽으로 돌출하는 측벽(122)을 연속일체로 형성한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계지돌기(123)는 주부(121)의 후면측의 4귀통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부(121)의 중앙부에는, 플레이트틀(110)에 부착한 기체(1)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개구창(121a)이 마련되어 있다.
화장플레이트(120)의 측벽(122)중의 각 대향면간의 거리는, 각각 플레이트틀(110)이 대응하는 부위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해 놓았다. 즉, 시공면에 배열설치한 플레이트틀(110)의 전면측에 화장플레이트(120)를 부착하였을 때 플레이트틀(110)이 화장플레이트(120)의 안쪽에 들어가고, 화장플레이트(120)의 측벽(122)의 선단테두리가 시공면에 거의 당접한다. 그 결과, 플레이트틀(110)과 화장플레이트(120)와의 맞대는 면이 시공면보다도 앞쪽으로 나오는 일이 없고, 양자의 맞대어지는 선이 측면에서 거의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이 향상한다. 또한, 화장플레이트(120)의 측벽(122)의 내측면에는, 플레이트틀(110)의 측면에 당접하여 플레이트틀(110)에 대한 화장플레이트(120)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규제리브(124)를 복수 열설(列設)하고 있다.
그런데, 플레이트틀(110)의 양 틀편(113a,113b)의 외측면에는, 뒷쪽일수록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13c)과, 경사면(113c)에 연속하여 외측으로 빼낸 장출부(張出部)(113d)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화장플레이트(120)의 상하의 측벽(122)의 내측면에는 후단면이 장출부(113d)의 전면에 당접하는 리브(125)가 돌출 설치되어, 이 리브(125)에 의하여 화장플레이트(12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플레이트틀(110)에 화장플레이트(120)를 부착할 때에는 화장플레이트(120)의 규제리브(124)가 플레이트틀(110)의 틀편(113a,113b)에 형성한 경사면(113c)에 안내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다.
화장플레이트(120)의 상하의 한쪽의 측벽(122)에는 한쌍의 노치부(126)가 마련되어 있고, 이 노치부(126)에 치구(일자 드라이버의 선단부 등)를 삽입하여 화장플레이트(120)를 플레이트틀(110)에서 떼는 방향(앞쪽)의 힘을 작용시키면 화장플레이트(120)의 계지돌기(123)와 플레이트틀(110)의 화장플레이트계지구멍(135)과의 계합상태가 해제되어, 화장플레이트(120)를 플레이트틀(110)에서 뗄 수가 있다. 플레이트틀(110)의 틀편(113b)에 있어서 노치부(12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경사면(113c)보다도 안쪽에 우묵하게 들어간 도피부(136)가 마련되어 있고, 노치부(126)에 삽입된 치구를 도피시켜 속까지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화장플레이트(120)를 뗄 때에 힘을 작용시키기 쉽게 해놓았다. 또, 도피부(136)의 후면측 단부에서는 장출부(113d)보다도 박육(薄肉)의 리브(137)가 화장플레이트(120)의 노치부(126)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정도까지 연설(延設)되어 있다. 즉, 노치부(126)에 삽입한 치구에 시공면에 당접하는 부분을 지점으로하여 힘을 가하는 것으로 시공면에 상처가 날 염려가 있으나, 리브(137)를 마련함으로써 노치부(126)에 삽입한 치구가 리브(137)에 당접하여, 화장플레이트(120)를 플레이트틀(110)에서 뗄 때에 치구에 의하여 시공면에 상처가 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화장플레이트(120)의 후면측에는, 플레이트틀(110)에 부착하였을 때에 플레이트틀(110)에 마련한 3개의 슬릿(118a∼118c)에 각각 삽입되는 돌조편(突條片)(128a∼128c)이 열설(列設)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돌조편(128a∼128c)의 치수는, 플레이트틀(110)의 각 슬릿(118a∼118c)에 감입된 상태에서 슬릿(118a∼11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128a∼128c)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밖에 생기지 않도록 하는 치수로 설정해 놓았다. 즉, 기체(1)를 부착한 플레이트틀(110)에 화장 플레이트(120)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3개의 돌조편(128a∼128c)이 플레이트틀(110)의 각 슬릿(118a∼118c)에 삽입되고, 슬릿(118a∼11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128a∼128c)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밖에 생기지 않는 것 때문에 플레이트틀(110)의 가동양부(115)의 움직임(휨)이 규제되게 된다. 그 결과, 기체(1)로서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를 매우 큰 힘으로 빼는 등의 충격이 가하여지는 경우라도, 상술과 같이 가동양부(115)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1)의 부착클릭(2)과 가동양부(115) 및 고정양부(114)의 유지홈(115a,114a)과의 계지가 빠지기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화장플레이트(120)를 사용하고 있지만, 금속제의 화장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금속제의 화장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의 경우에는 합성 수지제의 화장플레이트(120)와 같은 계지돌기(123)를 마련할 수가 없다.
그런데, 기체(1)는 플레이트(100)에 부착한 상태에서 후단부가 시공면에 매입된 모양으로 시공된다. 또한, 기체(1)의 후면에는 전선삽입구(15)가 개구하고 있어 기체(1)의 후면측으로 전선이 꺼내어지기 때문에 기체(1)의 후면에 소요의 공간을 확보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시공면이 콘크리트벽인 것과 같은 경우에는, 벽내에 전선을 꺼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박스를 매입할 필요가 있다. 이 종류의 박스에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모양의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간이형으로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유저원통상(有底圓筒狀)의 것을 쓸 수 있다. 즉, 전면이 원형으로 개구하는 박스를 쓴다. 그런데, 이 종류의 박스를 사용하여 개구면적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기 위하여는 기체(1)도 박스의 형상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기체(1)를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4 귀통이에 챔퍼부(4)를 형성하고 기체(1)의 각이 박스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1개 단위치수의 기체(1)를 2개 연접하는 경우이면 박스(B)의 내주면이 도 2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위치관계가 되며 챔퍼부(4)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기체(1)의 각이 박스(Bx)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에서는 조립편(22)에 2개의 계합구멍(22a)을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편(22)에 계합구멍(22a)을 1개만 마련하고있다. 따라서 바디(10)에 있어서도 조립클릭(11)은 1개만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1과 같다.
(실시형태3)
본 실시형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편(22)에 계합구멍(22a)을 1개만 마련한 것이지만, 계합구멍(22a)의 후연에서 앞쪽으로 보강편(22c)을 연설하여 놓았다. 바디(10)에 마련한 조립클릭(11)은 보강편(22c)에 계합하도록 후단부가 두 갈래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22b)를 보강편(22c)에도 형성하여 놓았으며, 웰드라인의 형성에 의한 조립편(22)의 깨어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1과 같다.
(실시형태4)
상술한 실시형태는 조립클릭(11)을 바디(10)의 상하양면에 돌출 설치한 것이었지만,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디(10)의 좌우양측면에 각 한쌍의 조립클릭(11)을 돌출 설치하고있다. 즉, 바디(10)의 좌우양측벽의 상하단부의 외측면에 노치부(17)를 형성하여, 각 노치부(17)내에서 조립클릭(11)을 돌출 설치하고있다. 한편, 커버(20)에는 각 조립클릭(11)에 계합 가능한 4개의 조립편(22)을 돌출 설치하고있다. 상기 노치부(17)의 깊이는 조립편(22)의 두께치수와 같게 설정하여 놓았으며, 조립편(22)의 계합구멍(22a)을 조립클릭(11)에 계합시킨 상태에서는 바디(10)의 좌우양측면과 조립편(22)이 면이 똑같이 되도록 하여 놓았다.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1과 같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디(10)와 커버(20)를 4개소에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가 있다.
(실시형태5)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1개 단위치수의 기체(1)를 쓴 것으로서 각 삽입부(24)가 2개의 삽입구(25)를 갖추는 것이었지만, 본 실시형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4)에 2개의 삽입구(25)와는 별도로 형상이 다른 삽입구(26)를 마련한 것이다. 삽입구(26)는 접지극용의 플러그날을 삽입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3개의 삽입구(25,26)를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1개단위치수의 기체(1)에서는 치수부족이 되기 때문에, 2개 단위치수(요컨대, 1개 단위치수의 2개분의 부착치수)의 기체(1)를 쓰고있다.
접지극은 다른 2극과는 절연분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바디(10)의 내부에는 칸막이벽(12)을 통해 3개의 수납실(13a∼13c)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수납실(13a,13b)은 슬릿(12a)을 가진 칸막이벽(12b)을 통해 또 2실로 분할되어 있다. 바디(10)내에서는 접지극의 인수부재(40)의 양측에 다른 2극의 인수부재(30)가 각각 배치된다.
인수부재(30)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스프링편(31)과, 양 스프링편(31)의 한쪽의 측면에 대향하는 스프링편(32)과, 스프링편(31,32)을 연속일체로 결합하는 ㄷ글자모양의 연결편(33)을 갖춘다. 연결편(33)의 개방단중 한쪽의 스프링편(31)에 인접하는 부위에서는 다른쪽의 스프링편(32)에서 떨어지는 쪽으로 돌출하는 모양으로 교락편(38)이 연속일체로 연장되고, 교락편(38)의 선단에는 단자편(35)이 연속일체로 형성된다. 단자편(35)은 후측(도 16의 아래쪽)이 개방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단자편(35)의 속에 고정스프링(36)이 배치된다. 또한, 스프링편(31,32)과 단자편(35)은 칸막이벽(12b)에 의해 분리되고, 교락편(38)의 일부는 슬릿(12a)에 통과되어 있다.
접지극용의 인수부재(40)는 평형 플러그날을 받을 필요가 없고 핀형 플러그날만을 받으면 되므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스프링편(41)을 갖추지만 용수철편(41)의 측면에 대향하는 스프링편은 마련하지 않았다. 양 스프링편(41)의 옆쪽에는 후측이 개방된 ㄷ자모양으로 형성된 연결편(43)이 연속일체로 형성되고, 연결편(43)의 후부에는 연결편(43)의 각 각편(脚片)을 절개하여 형성한 각 한쌍의 단자편(45)이 연속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스프링(46)은 상기 각 한쌍의 단자편(45)간에 배치된다.
바디(10)의 후벽에는 고정스프링(36,46)과 단자편(35,45)과의 사이에 전선을 도입할 수가 있도록 전선삽입구(15)(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선된 전선을 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제버튼(37,47)이 바디(10)내에 배열설치되고, 바디(10)의 후벽에 형성한 조작구멍(16)(도 6참조)을 통해서 일자 드라이버의 선단부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 버튼(37,47)을 누르면 고정스프링(36,46)을 휘게하여 전선을 뽑을 수 있게 된다.
커버(20)로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25)에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만을 형성한 것을 써도 된다.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1과 같다.
(실시형태6)
실시형태5에서는 조립편(22)에 2개의 계합구멍(22a)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편(22)에 계합구멍(22a)을 1개만 마련하고있다. 따라서, 바디(10)에 있어서도 조립클릭(11)은 1개만 마련하고 있다.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5와 같다.
(실시형태7)
본 실시형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5와 같은 구성의 삽입부(24)를 2입구 마련한 것이다. 그래서, 기체(1)에는 3개 단위치수의 것을 쓰고있다.
바디(10)의 내부에는 칸막이벽(12)을 통해 3개의 수납실(13a∼13c)이 형성되고, 접지극의 인수부재(60)가 수납되는 수납실(13c)은 기체(1)의 긴쪽방향에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이고 중간부에 잘록한부(13d)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2개의 수납실(13a,13b)에는 각각 인수부재(50)가 수납되는 것이고, 수납실(13)을 3분하도록 중간부의 2개소에 각각 슬릿(12a)을 갖는 칸막이벽(12b)이 형성된다.
(실시형태8)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편(22)에 계합구멍(22a)을 1개만 마련하고있다. 따라서, 바디(10)에도 조립클릭(11)은 1개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25)에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만을 갖추는 구성의 커버(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7과 같다.
(실시형태9)
본 실시형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7의 구성에서 접지극용의 인수부재(60)를 생략하고, 커버(20)로서 접지극용의 삽입구(26)를 생략한 형상의 것을 쓴 예이고, 접지극이 없는 삽입부(24)를 2입구 갖추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바디(10)는 실시형태7에 쓴 것과 같은 형상이고, 커버(20)의 형상을 다르게 하였다. 요컨대, 인수부재(60)를 쓰지 않은 점 및 커버(20)의 형상이 다를 뿐이고, 다른 부재는 실시형태7의 것과 같은 것을 쓸 수 있기 때문에, 부품품종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품종전개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25)에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만을 갖추는 구성의 커버(20)를 쓸 수가 있다. 따라서, 일층의 다품종전개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7과 같다.
(실시형태10)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편(22)에 계합구멍(22a)을 1개만 마련하고있다. 따라서, 바디(10)에도 조립클릭(11)은 1개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25)에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25a)만을 갖추는 구성의 커버(20)를 쓸 수도 있다. 구성 및 기능은 실시형태7과 같다.
상술한 각종 형상의 콘센트는 실시형태1에 설명한 플레이트(100)를 써서 부착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플레이트틀(110)은 합성 수지의 것이지만 도 27에 나타내는 것 같은 금속제의 플레이트틀(150)을 써도 된다. 금속제의 플레이트틀(150)은 개구창(151)의 하연(下緣)(도 27(a)의 좌측테두리)에 유지부로서의 3개의 유지클릭(152)이 돌출 설치되고, 위테두리(도 27(a)의 오른쪽테두리)에도 3개의 유지클릭(15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유지클릭(152),(153)는 기체(1)에 마련한 부착구멍(3)에 삽입됨으로써 기체(1)를 유지하는것으로서, 한쪽의 유지클릭(153)의 주위를 소성변형시켜 유지클릭(153)을 부착구멍(3)에 삽입할 수가 있도록 유지클릭(153)은 암(154)을 통해 틀편(155a)에 연속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지클릭(153)의 위쪽(도 27(a)의 오른쪽)에는 압편(15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7(a)의 좌측의 틀편(155b)에 마련한 유지클릭(152)을 기체(1)의 한쪽의 부착구멍(3)에 삽입한 후, 다른쪽의 부착구멍(3)에 유지편(153)을 위치맞춤하여 압편(156)을 일자 드라이버의 선단부 등으로 누르면 암(154)이 소성변형하여 유지클릭(153)이 부착구멍(3)에 삽입되는 것이다.
플레이트틀(150)의 다른 구성은 합성 수지제의 플레이트틀(110)과 같고, 한쌍의 횡편(157)에는 각각 박스용구멍(132), 나사삽통구멍(133), 끼움쇠장식계지구멍(13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화장플레이트(120)의 계지돌기(123)를 계지하기위하여 플레이트틀(150)의 4귀퉁이에는 노치상의 화장플레이트계지홈(135')을 마련하고, 횡편(157)에는 금속제의 화장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부착나사가 나착되는 부착나사구멍(139)도 마련된다. 또 플레이트틀(150)의 위테두리(도면 : 도 27(a)의 좌측테두리)의 양 각부(角部)에는 연결노치(158a)가 형성되고, 하테두리(도 27(a)의 오른쪽테두리)의 양 각부에는 연결노치(158a)에 맞물리는 연결돌기(158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2장의 플레이트틀(150)을 나란히 연결 노치(158a)에 연결돌기(158b)를 맞물리게하면, 양 플레이트틀(150)이 상대적인 위치맞춤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요컨대, 1연형(連形)의 플레이트틀(150)을 2개 사용하여 위치맞춤하면 2연형의 플레이트틀과 같은 형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플레이트틀(150)의 상하 양테두리(도 27(a)의 좌우 양측테두리)에는 전면측에 절곡된 보강편(159)이 형성되고, 플레이트틀(150)의 변형이 방지되고 있다.
청구항1의 발명은, 시공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작4각형의 개구창내에 전단부(前端部)가 삽입된 모양으로 플레이트에 유지되고 후단부가 시공면에 매입된 모양으로 설치되는 기체와, 기체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된 플러그의 플러그날을 받는 인수부재와, 인수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체에 마련한 전선삽입구에 삽입된 전선을 전선의 삽입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는 고정스프링에 의하여 유지하는 단자부를 갖추고, 플레이트에 단위 피치로 형성된 유지부에 결합되는 부착부가 기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기체는 후단측의 바디와 상기 삽입부를 마련한 전단측의 커버로 이루어지며, 바디와 커버와의 한쪽에 마련한 조립클릭과 다른쪽에 마련한 조립구멍을 요철계합시킴으로써 바디와 커버와 결합되는 것이며 바디와 커버를 조립클릭과 조립구멍과의 요철계합에 의해 결합하기 때문에 바디와 커버와의 결합에 있어서 금속부재를 쓸 필요가 없고, 기체의 내부의 충전부와 그외의 금속부재와의 절연거리를 크게 취할 수가 있어서 기체의 상하치수를 50mm, 좌우치수를 25mm 정도로 설정한 경우에 내압250V로 하여도 IEC 규격이 요구하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단위피치로 마련한 유지부에 결합되는 부착부가 기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에 대한 기체의 부착위치를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단자부가 전선을 고정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유지하는 것으로서, 전선을 전선삽입구에 삽입하면 고정스프링에 의해 전선이 유지되기 때문에, 단자나사를 쓰는 경우 같은 나사죄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결선작업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2의 발명과 같이, 3조의 유지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3개까지 부착할 수 있는 1개 단위치수의 기체의 3개분인 3개 단위치수의 기체를 갖추는 것이나, 청구항3의 발명과 같이, 3조의 유지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3개까지 부착할수 있는 1개 단위치수의 기체의 2개분인 2개단위 취수의 기체를 갖추는 것은, 같은 플레이트에 부착할 수 있는 각종의 치수의 기체를 구성하는 것이며, 플레이트는 공통으로 쓰면서도 요구되는 기체의 치수에 따라 복수종류의 기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청구항4의 발명과 같이, 플레이트가 금속제이고 개구창의 양측부에 각각 유지부로서의 유지클릭이 형성되고, 플레이트를 소성변형 시키므로써 기체의 측면에 형성한 부착부로서의 부착구멍에 유지클릭이 요철결합되는 것이나, 청구항5의 발명과 같이, 1플레이트가 합성 수지성형품이고 개구창의 양측부에 각각 유지부로서의 유지홈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탄성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휘게 함으로써 기체의 측면에 돌출 설치한 부착부로서의 부착클릭이 유지구멍에 요철결합되는 것은, 플레이트와의 결합구조가 바람직한 실시태양이고, 필요에 따라 금속제나 합성 수지제의 플레이트를 쓸 수가 있다. 특히, 금속제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시공하면 내화성등을 확보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고, 합성 수지제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시공하면 플레이트의 기체의 부착가 용이하고, 게다가 플레이트와 기체와의 결합에 소성변형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몇번이나 착탈이 가능하고 레이아웃트의 변경이나 기체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6의 발명과 같이, 기체의 각 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레이트의 배면측으로 돌출 설치한 고정양부와 가동양부에 각각 유지홈이 형성되어, 가동량양부가 가요성을 갖고 있어 고정양부의 유지홈에 기체의 한쪽의 측면의 부착클릭을 계합시킨 상태에서 가동양부를 휘게하면서 가동양부의 유지홈에 기체의 다른쪽의 측면의 부착클릭을 계합시키는 것에서는, 가동양부의 휨을 이용하여 기체를 플레이트에 부착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 등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기체를 플레이트에 간단히 부착설치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7의 발명과 같이, 고정양부의 근방에 형성된 기구 빼기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공구를 사용하여 기체를 가동양부측에 누름으로써 가동양부를 휘게하여 기구를 플레이트에서 떼는 것에서는, 플레이트에서 기체의 떼어내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레이아웃트의 변경시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8의 발명과 같이, 조립클릭이 바디의 외측면에 돌출 설치되고, 조립구멍이 커버에서 돌출하는 조립편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태양이고, 청구항9의 발명과 같이 조립클릭이 기체의 각 측면에 2개씩 형성되고 1개의 조립편에 2개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청구항10의 발명과 같이 조립클릭이 기체의 각 측면에 1개씩 형성되고 조립구멍의 후연에서 앞쪽으로 돌출 설치한 보강편과 계합하도록 조립클릭이 두 갈래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1개소당의 결합강도가 크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11의 발명과 같이 기체의 전면측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기체의 긴쪽방향에 따른 각 측면의 양단부에 각각 조립클릭이 형성되고, 바디와 커버가 4개소에서 결합되는 것에서는, 기체의 4귀퉁이를 결합하므로 바디와 커버의 결합강도를 크게 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12의 발명과 같이, 조립편의 선단부에 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보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서는 조립편의 성형시에 웰드라인이 형성되기 쉬운 선단부의 강도를 크게 하여 조립편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13의 발명과 같이, 인수부재를 수납하는 바디가 내트래킹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조립편을 갖추는 커버가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바디에 내트래킹성을 갖게 하고, 커버에는 탄성을 갖게 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품질요구를 만족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14의 발명은, 삽입부으로서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 핀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와의 적어도 한쪽을 갖추는 것이고, 삽입부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 청구항15의 발명과 같이, 삽입부로서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 핀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를 연속시킨 형상의 삽입구를 갖추는 것에서는, 이종(異種)의 플러그에 대하여 어댑터를 쓰는 일없이 대응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16의 발명과 같이, 2개의 삽입구를 조로 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나 청구항17의 발명과 같이, 2개의 삽입구 및 양 삽입구와는 따로 마련한 접지극용의 삽입구를 조(組)로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에서는, 이 종류의 삽입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가 연속한 형상의 삽입구를 쓰고 있으므로, 삽입구로서 형성되는 개구부의 개수를 적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18의 발명과 같이,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가 커버의 전면에 개설되어 있는 것에서는, 평형 플러그날을 갖는 플러그에 전용화된 기체를 구성할 수가 있으며 커버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다품종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19의 발명과 같이, 2개의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를 조로 하여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나 청구항20의 발명과 같이, 2개의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 및 양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는 따로 마련한 접지극용의 삽입구를 조로 하여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에서는, 평형 플러그날을 갖는 플러그에 전용화된 기체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21의 발명과 같이, 고정스프링과 같이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편이 인수부재의 일부에 연속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인수부재에 단자를 연속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어 기체의 내부에 배열 설치되는 충전부재의 제조가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22의 발명과 같이, 기체 내에 배열설치되고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접속되는 인수부재가,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탄접하는 스프링편과 기체에 마련한 전선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전선을 고정스프링과의 사이에 협지하는 단자편과, 스프링편과 단자편을 연속일체로 연설하는 교락편을 갖추는 것에서는, 인수부재를 1장의 판금의 천공과 절곡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으며, 인수부(刃受部)를 코크(Caulk)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23의 발명과 같이,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탄접하는 스프링편으로서, 핀형 플러그날을 협지하는 한쌍의 제1의 스프링편과 평형 플러그날을 제1의 스프링편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1장의 제2의 스프링편을 갖추는 것에서는, 3장의 스프링편에 의하여 2종류의 플러그날을 받을 수가 있으며 재료코스트가 적은 인수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24의 발명과 같이, 전면이 원형으로 개구하고 시공면에 매입배치되는 박스내에 기체의 후부가 수납되고, 전면이 작4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체의 모서리부에는 박스의 내주면을 따르는 모양으로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챔퍼부를 마련하고 있음으로써 기체의 모서리부가 박스에 닿지 않으므로 비교적 작은 박스를 쓸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4)

  1. 시공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창내(開口窓內)에 전단부가 삽입된 모양으로 플레이트에 유지되고 후단부가 시공면에 매입된 모양으로 설치되는 기체(器體)와, 기체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된 플러그의 플러그날을 받는 인수부재(刃受部材)와, 인수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기체에 마련한 전선삽입구에 삽입된 전선을 전선의 삽입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는 고정 스프링에 의하여 유지하는 단자부를 갖추며, 플레이트에 단위피치로 형성된 유지부에 결합되는 부착부가 기체의 측면에 형성되며, 기체는 후단측의 바디와 상기 삽입부를 마련한 전단측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바디와 커버와의 한쪽에 마련한 조립클릭과 다른쪽에 마련한 조립구멍을 요철계합시킴으로써 바디와 커버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3조의 유지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3개까지 부착할 수가 있는 1개 단위치수의 기체의 3개분인 3개 단위치수의 기체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3조의 유지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3개까지 부착할 수 있는 1개 단위치수의 기체의 2개분인 2개 단위치수의 기체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금속제이고 개구창의 양측부에 각각 유지부로서의 유지클릭이 형성되며, 플레이트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기체의 측면에 형성한 부착부로서의 부착구멍에 유지클릭이 요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합성수지 성형품이고 개구창의 양측부에 각각 유지부로서의 유지홈이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탄성을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휘게 함으로써 기체의 측면에 돌출 설치한 부착부로서의 부착클릭이 유지구멍에 요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기체의 각 측면에 대향하도록 플레이트의 배면측에 돌출 설치한 고정양부(固定梁部)와 가동양부(可動梁部)에 각각 유지홈이 형성되며, 가동양부는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있어 고정양부의 유지홈에 기체의 한쪽의 측면의 부착클릭을 계합시킨 상태에서 가동양부를 휘게하면서 가동양부의 유지홈에 기체의 다른쪽의 측면의 부착클릭을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7. 제 5 항에 있어서, 고정양부의 근방에 형성된 기구 떼어내기 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공구를 사용하여 기체를 가동양부측으로 누름으로써 가동양부를 휘게하여 기구를 플레이트에서 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조립클릭은 바디 외측면에 돌출 설치되며, 조립구멍은 커버에서 돌출하는 조립편(組立片)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조립클릭은 기체의 각 측면에 2개씩 형성되며, 1개의 조립편에 2개의 조립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8기재의 콘센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조립클릭은 기체의 각 측면에 1개씩 형성되고, 조립구멍의 후연(後緣)에서 전방에 돌출 설치한 보강편과 끼워맞추도록 조립클릭이 두 갈래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기체는 전면(前面)측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기체의 긴쪽방향을 따라 각 측면의 양단부에 각각 조립클릭이 형성되며, 바디와 커버가 4개소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편의 선단부에는 다른 부위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보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수부재를 수납하는 바디는 내트래킹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조립편을 갖춘 커버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부는 평판상의 평형(平型)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플러그날 삽입구와 핀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와의 적어도 한쪽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부는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 핀모양의 핀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핀형 플러그날 삽입구를 연속시킨 형상의 삽입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2개의 삽입구를 조(組)로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7. 제 15 항에 있어서, 2개의 삽입구 및 양 삽입구와는 따로 마련한 접지극용(接地極用)의 삽입구를 조로 하여 하나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8. 제 1 항 또는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판상의 평형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가 커버의 전면(前面)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2개의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를 조로 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0. 제 18 항에 있어서, 2개의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 및 양 평형 플러그날 삽입구와는 따로 마련한 접지극용의 삽입구를 조로 하여 하나의 플러그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1.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스프링과 같이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편이 인수부재의 일부에 연속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2.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내에 배열 설치되어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접속되는 인수부재는,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탄접하는 스프링편과, 기체에 마련한 전선삽입구에서 삽입되는 전선을 고정스프링과의 사이에 협지(挾持)하는 단자편과, 스프링편과 단자편을 연속일체로 연설하는 교락편(橋絡片)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탄접하는 스프링편으로서, 핀형 플러그날을 협지하는 한쌍의 제1의 스프링편과, 평형 플러그날을 제1의 스프링편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는 1장의 제2의 스프링편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4.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이 원형으로 개구하고 시공면에 매입배치되는 박스내에 기체의 후부가 수납되며, 전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체의 모서리부에는 박스의 내주면을 따르는 모양으로 챔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1019970053836A 1997-09-19 1997-10-20 콘센트 KR100290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571897A JP3671619B2 (ja) 1997-09-19 1997-09-19 コンセント
JP97-255718 199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172A true KR19990028172A (ko) 1999-04-15
KR100290211B1 KR100290211B1 (ko) 2001-05-15

Family

ID=1728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836A KR100290211B1 (ko) 1997-09-19 1997-10-20 콘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671619B2 (ko)
KR (1) KR100290211B1 (ko)
CN (1) CN1122337C (ko)
HK (1) HK1019515A1 (ko)
ID (1) ID20889A (ko)
TW (1) TW3993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84B1 (ko) * 2004-08-26 2008-05-0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속결단자장치
KR100927504B1 (ko) * 2006-11-27 2009-11-17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속결 단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1315B2 (ja) * 2008-03-14 2013-02-13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支持構造
CN102237596A (zh) * 2010-04-28 2011-11-09 苏州市华业电器有限公司 一种连接器
JP6390981B2 (ja) * 2016-09-15 2018-09-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取付枠、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JP6952242B2 (ja) * 2018-03-29 2021-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セント
CN109361078B (zh) * 2018-10-10 2021-02-09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一种接线结构及开关插座
CN109941110B (zh) * 2019-03-28 2023-09-15 武汉嘉晨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安全功能的电池包断路单元防护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84B1 (ko) * 2004-08-26 2008-05-0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속결단자장치
KR100927504B1 (ko) * 2006-11-27 2009-11-17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속결 단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9515A1 (en) 2000-02-11
CN1212484A (zh) 1999-03-31
JP3671619B2 (ja) 2005-07-13
KR100290211B1 (ko) 2001-05-15
JPH1197126A (ja) 1999-04-09
CN1122337C (zh) 2003-09-24
TW399352B (en) 2000-07-21
ID20889A (id)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21697A (ja) 電気コネクタ
TW541766B (en) Connector
KR100290211B1 (ko) 콘센트
JP2003173843A (ja) 電線保持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2005004993A (ja) プラグ型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
JP2020087562A (ja) コネクタ
JP2020021722A (ja) 電気コネクタ
US10498060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JP2002247731A (ja) 回路形成体
JP2002008766A (ja) コンセント
US6672908B2 (en) Substrate connector
JPH11144801A (ja) コネクタ
JP3671618B2 (ja) コンセント
JP2010073674A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の接続端子
JP5342299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PH12017000267A1 (en) Wiring device, mounting frame, and wiring device system
JP3637845B2 (ja) 配線器具
JPH10326656A (ja) コンセント
JP4293254B2 (ja) コネクタ
JP3671605B2 (ja) コンセント
JP4576167B2 (ja) 配線接続器
US6325641B1 (en) Electric junction box
TWI721615B (zh) 電連接器
JPH086383Y2 (ja) 複数係合アーム付き電気コネクタ
JP2011081963A (ja) 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