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504B1 - 속결 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속결 단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504B1
KR100927504B1 KR1020070120172A KR20070120172A KR100927504B1 KR 100927504 B1 KR100927504 B1 KR 100927504B1 KR 1020070120172 A KR1020070120172 A KR 1020070120172A KR 20070120172 A KR20070120172 A KR 20070120172A KR 100927504 B1 KR100927504 B1 KR 10092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display
connection completion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984A (ko
Inventor
미노루 혼다
마키 곤도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4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을 재차 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속결 단자 장치를 제공한다. 단자판(10)과 전선(2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 완료 표시부재(4)의 표시부(41)가 기체(100)의 창구멍(105)내에 퇴피하는 위치(접속 완료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표시부(41)가 창구멍(105)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선(200)의 접속 완료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제레버(6)를 조작하여 전선(200)을 전선 삽입구멍(101)으로부터 인발하면, 부세부(코일 스프링(5))에 부세되어 있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200)을 재차 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속결 단자 장치{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속결 단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배선기구에 있어서는 기체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을 통해 기체 내에 도입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속결 단자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속결 단자 장치는 종래 주지이며,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이나 콘센트에 있어서의 날받이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판과,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전선(도체)을 협지하여 전선과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전선을 쇄정하여 빠짐 방지하는 잠금 스프링과, 기체에 마련한 조작구멍을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조작되어 잠금 스프링에 의한 쇄정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속결 단자 장치는 전선이 확실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모르기 때문에, 시공자에 대해 불안감을 준다고 하는 문제나, 해제 버튼의 조작에 공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선의 분리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해제레버로 잠금 스프링에 의한 쇄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해제레버에 의해서 전선의 접속 완료 표시를 실행하도록 한 속결 단자 장치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래예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0)과, 잠금 스프링(20)과, 해제레버(30)로 구성된다. 단자판(10)은 단책(短冊)형상의 주편(11)과, 주편(11)의 긴쪽 방향을 따른 한쪽의 단가장자리에서 뒤쪽으로 늘어뜨려진 한쌍의 접촉편(12)과, 주편(11)의 긴쪽 방향을 따른 다른쪽의 단가장자리에서 뒤쪽으로 늘어뜨려진 맞닿음편(13)을 갖고,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주편(11), 접촉편(12), 맞닿음편(13)이 일체로 형성된다. 접촉편(12)에는 전선의 삽입방향(도 30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있어서 전선을 압압하는 한쌍의 압압부(12a, 12b)와, 상측의 압압부(12b)의 끝을 맞닿음편(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 일으켜서 이루어지는 피계지부(12c)가 마련되고, 압압부(12b)와 주편(11)의 사이에는 배선기구의 기체(100)의 바닥벽에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는 전선 삽입구멍(101)과 대향하여 전선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 스프링(20)은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대략 J자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단자판(10)의 주편(11) 및 맞닿음편(13)에 맞닿는 갈고리형의 도통편(21)과, 도통편(2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려 성된 스프링편(22)을 갖고, 전선에 맞닿아 빠짐 방지하는 스프링편(22)의 선단이 쇄정부로 된다. 이러한 잠금 스프링(20)은 주편(11)과 맞닿음편(13)에 도통편(21)을 맞닿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편(22)을 접촉편(12)과 대향시키는 형태로 단자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선 삽입구멍(101)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을 단자판(10)의 접촉편(12)과 잠금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의 사이에서 협지함과 동시에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를 전선에 맞닿게 함으로써 빠짐 방지할 수 있다.
해제레버(30)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봉형상의 조작부(31)와, 직사각형 판형상으로서 조작부(31)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계지부(32)와, 조작부(31)와 계지부(32)의 긴쪽 방향 양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와, 연결부로부터 각각 측쪽으로 돌출된 암부(미도시)와, 암부의 선단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축부(미도시)와, 축부 선단면의 중앙 부근의 위치로부터 돌출된 돌대(突台)형상의 압동부(36, 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예에서는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부(32)가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c)에 계지(래치)하는 회전운동위치까지 해제레버(30)가 회전운동되어 있다(이하, 이 회전운동 위치를 「초기위치」라 함). 해제레버(3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는 잠금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의 양단부가 한쌍의 압동부(36, 36)에 압동되어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가 접촉편(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휜 상태에 있다. 이 때, 스프링편(2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해제레버(30)가 반조작방향(도 30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부세되지만, 계지부(32)가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c)에 걸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제레버(30)는 초기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전선 삽입구멍(101)을 통해 전선(200)의 도체(201)를 접촉편(12)과 스프링편(22)의 사이에 도입하면, 삽입 통과부(14)를 통해 도체(201)의 선단이 해제레버(30)의 계지부(32)에 맞닿고, 계지부(32)를 밀어 올려 계지부(32)와 피계지부(12c)의 래치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스프링편(22)의 스프링력으로 탄성 부세되어 있던 해제레버(30)가 반조작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스프링편(22) 선단의 쇄정부가 도체(201)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전선(200)이 빠짐 방지되고 스프링편(2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도체(201)가 접촉편(12)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도체(201)는 한쌍의 압압부(12a, 12b)에 의해서 스프링편(22)쪽으로 압압되고, 스프링편(22)과 한쌍의 압압부(12a, 12b)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어 전선(200)이 협지된다.
한편, 전선(200)이 접속된 상태에서 조작부(31)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면, 축부(35, 35)를 지점으로 하여 해제레버(30)가 접속시와 반대방향(도 30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압동부(36, 36)가 잠금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을 압압하여 도체(201)에 맞닿아 있는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를 도체(201)로부터 멀어지도록 스프링편(22)을 휘게 하여 전선(200)의 인발이 가능해진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전선(20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해제레버(30)의 조작부(31)가 초기위치보다 아래쪽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선의 접속 완료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레버(30)를 전선(200)의 접속 완료 표시에 겸용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2634호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 해제레버(30)를 조작하면,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부(32)가 전선(200)의 도체(201)에 맞닿기 때문에, 해제레버(30)가 도체(201)를 따라 밀리듯 높아지고, 전선(200)이 인발된 후에 계지부(32)를 피계지부(12c)에 계지할 수 없어, 해제레버(30)가 완전히 프리한 상태로 되어 버린다(도 30(b) 참조). 따라서, 재차 전선(200)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제레버(30)를 조작하여 계지부(32)를 피계지부(12c)에 걸어 고정시키고 초기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었다 (도 30(c) 참조).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선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을 재차 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속결 단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하면, 배선기구의 기체에 관통하여 마련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협지함과 동시에 쇄정부가 상기 전선에 파고들어 빠짐 방지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단자판에 대한 전선의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접속 완료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해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조작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는 축부와, 축부를 지점으로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했을 때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수단의 전선에 파고든 쇄정부를 전선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고,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형성한 창구멍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기체 외로 돌출된 접속 미완료 위치와 상기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내에 퇴피하는 접속 완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마련된 표시부와, 표시부를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와, 표시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아 상기 선단부로부터 압입력을 받는 맞닿음부를 구비한다.
상기 부세부는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에 일단측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단자판에 맞닿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세부는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도전성 및 스프링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접속 미완료 위치에 있어서 기체 외로 돌출된 표시부의 일부가 절연부재로 덮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표시부가 동시 성형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탄성을 갖는 판금에 펀칭 가공 및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부와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어긋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하면, 배선기구의 기체에 관통하여 마련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협지함과 동시에 쇄정부가 상기 전선에 파고들어 빠짐 방지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단자판에 대한 전선의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접속 완료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해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조작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는 축부와, 축부를 지점으로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했을 때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수단의 전선에 파고든 쇄정부를 전선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고,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형성한 창구멍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기체 외로 돌출된 접속 완료 위치와 상기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내에 퇴피하는 접속 미완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마련된 표시부와, 표시부를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와,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아 상기 선단부로부터 압입력을 받는 맞닿음부가 일체로 형성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맞닿음부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는 면이 전선의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져 이루어지고, 부세부는 일단측이 단자판에 대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전선의 삽입방향으로 교차하는 평면내에서 휨 자유로우며, 부세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에 표시부 및 맞닿음부가 배치된다.
상기 부세부는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판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표시부 및 부세부, 맞닿음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접속 완료 위치에 있어서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외로 돌출된 부위의 단면이 창구멍의 개구된 기체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하면,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형성한 창구멍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기체 외로 돌출된 접속 미완료 위치와 상기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내에 퇴피하는 접속 완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마련된 표시부와, 표시부를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와, 표시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아 상기 선단부로부터 압입력을 받는 맞닿음부를 구비하므로,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된 전선의 선단부로부터 맞닿음부에 받는 압입력에 의해서 표시부가 접속 미완료 위치에서 접속 완료 위치로 이동하여 접속 완료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해제레버를 조작하여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여 전선을 전선 삽입구멍으로부터 인발하면 부세부에 부세되어 있는 표시부가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을 재차 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부세부가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에 일단측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단자판에 맞닿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전선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수단의 배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부세부가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완료 표시수단이 도전성 및 스프링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접속 미완료 위치에 있어서 기체 외로 돌출된 표시부의 일부가 절연부재로 덮여져 이루어지므로, 접속 완료 상태에서는 표시부가 기체 내에 퇴피하고 있기 때문에 도전성재료로 형성된 표시부에 닿아 감전될 가능성은 적지만, 기체 외로 돌출된 표시부의 일부가 절연부재로 덮여지는 것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는 표시부가 동시 성형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므로, 표시부에 대해 절연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므로, 부세부에 왜곡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표시부를 안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탄성을 갖는 판금에 펀칭 가공 및 구부림 가공 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부와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어긋나 배치되면,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판재로부터 판스프링 부재를 효율좋게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하면,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형성한 창구멍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기체 외로 돌출된 접속 완료 위치와 상기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내에 퇴피하는 접속 미완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마련된 표시부와, 표시부를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와,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아 상기 선단부로부터 압입력을 받는 맞닿음부가 일체로 형성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맞닿음부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는 면이 전선의 삽입방향에 대해 경사져 이루어지고, 부세부는 일단측이 단자판에 대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전선의 삽입방향으로 교차하는 평면 내에서 휨 자유로우며, 부세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에 표시부 및 맞닿음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므로,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된 전선의 선단부로부터 맞닿음부에 받는 압입력에 의해 부세부가 휘고, 그 결과, 표시부가 접속 미완료 위치에서 접속 완료 위치로 이동하여 접속 완료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해제레버를 조작하여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여 전선을 전선 삽입구멍으로부터 인발하면 부세부에 부세되어 있는 표시부가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을 재차 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부세부가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자판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표시부 및 부세부, 맞닿음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접속 완료 표시수단이 단자판에 고정됨으로써 기체에 고정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기존의 속결 단자 장치와의 치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표시부는 접속 완료 위치에 있어서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외로 돌출된 부위의 단면이 창구멍의 개구된 기체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접속 완료 위치에 있어서의 표시부를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은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0)과 잠금 스프링(20)과 해제레버(6)와 접속 완료 표시부재(4)와 코일 스프링(부세부)(5)으로 구성된다.
단자판(10)은 접촉편(12)에 피계지부(12c)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종래예와 공통된 구성을 갖고 있으며, 단책형상의 주편(11)과, 주편(11)의 긴쪽 방향을 따른 한쪽의 단가장자리에서 뒤쪽으로 늘어뜨려진 한쌍의 접촉편(12)과, 주편(11)의 긴쪽 방향을 따른 다른쪽의 단가장자리에서 뒤쪽으로 늘어뜨려진 맞닿음편(13)을 구비하고,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주편(11), 접촉편(12), 맞닿음편(13)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가 콘센트 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단자판(10)과 일체로 날받이가 형성되고, 스위치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단자판(10)과 일체로 접점이 형성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나 스위치 등의 배선기구에 관한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접촉편(12)에는 전선의 삽입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있어서 전선을 압압하는 한쌍의 압압부(12a, 12b)가 마련되고, 압압부(12b)와 주편(11)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전선 삽입구멍(101)과 대향하여 전선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편(11)의 긴쪽 방향 대략 중앙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노치구멍(11a)이 마련되어 있다.
잠금 스프링(20)은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대략 J자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단자판(10)의 주편(11) 및 맞닿음편(13)에 맞닿는 갈고리형의 도통편(21)과, 도통편(2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된 스프링편(22)을 갖고, 전선에 맞닿아 빠짐 방지하는 스프링편(22)의 선단이 쇄정부로 된다. 이러한 잠금 스프링(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편(11)과 맞닿음편(13)에 도통편(21)을 맞닿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편(22)을 접촉편(12)과 대향시키는 형태로 단자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단자판(10) 및 잠금 스프링(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의 기체(100)를 구성하는 보디(100a)에 마련된 단자판 수납실(102)에 수납되고, 단자판 수납실(102)의 바닥벽에는 한쌍의 전선 삽입구멍(101)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배선기구에 있어서는 스위치의 접점이나 콘센트의 날받이 등의 도전부품에 단자판(10)이 연결되고, 단자판(10)을 거쳐서 스위치의 접점이나 콘센트의 날받이와 전선이 도통하게 된다.
해제레버(6)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기체(100)의 내부에 마련한 축받이대(도시하지 않음)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탑재되는 반원판형상의 축부(60)와, 축부(60)의 두께 방향 양측으로 돌출된 대략 삼각기둥형상의 압동부(61, 61)와, 축부(60)의 단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봉형상의 연결부(62)와, 연결부(62)의 선단에 있어서 압동부(61, 61)와 대략 평행하게 돌출된 봉형상의 조작부(63)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접속 완료 표시부재(4)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형상의 주부(40)와, 주부(40)의 둘레면으로부터 서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한쌍의 암부(40a, 40b)와, 한쪽의 암부(40a)로부터 주부(40)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된 둥근 봉형상의 표시부(41)와, 다른쪽의 암부(40b)로부터 표시부(41)와 평행하게 돌출된 각기둥형상의 맞닿음부(42)와, 주부(40)의 단면으로부터 표시부(41) 및 맞닿음부(42)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원주형상의 지지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자판(10)에 대해 이송 배선용을 포함시켜 속결 단자 장치가 각각 2개씩 마련되고, 이들 2개의 속결 단자 장치가 각 단자판(10) 및 잠금 스프링(20)과 함께 보디(100a)의 긴쪽 방향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단자판 수납실(102, 102)에 각각 배열되어 수납된다. 보디(100a)의 측면에는 단자판 수납실(102)과 통하는 세로홈(104)이 마련되어 있고, 세로홈(104)을 통해 조작부(63)를 기체(100)의 외측으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축부(60)를 단자판 수납 실(102)에 마련한 축받이대(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한 상태에서 해제레버(6)가 보디(100a)에 조립된다(도 5 참조). 그리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한쌍의 접촉편(12)과 잠금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의 사이에 해제레버(6)의 축부(60) 및 압동부(62, 62)가 삽입되도록 하여, 단자판(10) 및 잠금 스프링(20)을 단자판 수납실(102)에 조립하면, 해제레버(6)의 축부(60)가 축받이대에 탑재됨과 동시에, 압동부(62, 62)가 잠금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에 맞닿게 됨으로써 해제레버(6)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주편(11)에 마련된 노치구멍(11a)에 표시부(41)를 삽입 통과함과 동시에 맞닿음부(42)를 삽입 통과부(14)에 삽입 통과하도록 하여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조립되고, 코일 스프링(5)의 일단부가 지지부(43)에 외부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5)의 타단이, 보디(100a)와 결합되어 기체(100)를 구성하는 상자형의 커버(100b)에 마련된 스프링 받침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전선의 삽입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즉, 접속 완료 표시부재(4)는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항상 아래쪽으로 탄성 부세되어 있고,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부(40)가 단자판(10)의 주편(11)에 맞닿는 위치(이하, 접속 미완료 위치라 함)에서 정지하고 있다. 여기서, 보디(100a) 바닥면에 창구멍(105)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고,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자판(10)의 노치구멍(11a)에 삽입 통과된 표시부(41)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5)을 통해 기체(100)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도 2 참조), 이와 같이 표시부(41)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5)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기체(100)의 전선 삽입구멍(101)을 통해 전선(200)의 도체(201)를 단자판(10)의 접촉편(12)과 잠금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의 사이에 삽입하면, 스프링편(22)의 선단(쇄정부)이 도체(201)에 파고 드는 것에 의해 전선(200)이 빠짐 방지됨과 동시에, 스프링편(2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도체(201)가 접촉편(12)에 탄성 접촉된다. 또한, 도체(201)는 한쌍의 압압부(12a, 12b)에 의해서 스프링편(22)쪽으로 압압되고, 스프링편(22)과 한쌍의 압압부(12a, 12b)의 압압력이 균형을 이루어 전선(200)이 협지된다. 또한 도체(201)의 선단이 삽입 통과부(14)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4)의 맞닿음부(42)에 닿고, 맞닿음부(42)를 위쪽으로 압압한다. 이 때 맞닿음부(42)가 도체(201)의 압입력을 받고,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체(201)를 정규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완료 표시부재(4)의 표시부(41)가 창구멍(105)내에 퇴피하는 위치 (이하, 접속 완료 위치라 함)까지 이동하므로, 표시부(41)를 기체(100)의 밖에서 육안관찰 할 수 없게 되어 전선(200)이 단자판(10)과 접속된 것(접속 완료)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전선(200)을 인발할 때에는 해제레버(6)의 조작부(63)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면, 축부(60)를 지점으로 하여 해제레버(6)가 회전운동하고, 압동부(61, 61)가 잠금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을 압압하여 도체(201)에 파고 들어가 있는 쇄정부를 도체(201)로부터 멀어지도록 스프링편(22)을 휘게 하기 때문에, 전선(200)의 인발이 가능하게 된다. 전선(200)이 인발되면, 접속 완료 표시부 재(4)의 맞닿음부(42)를 위쪽으로 압압하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접속 미완료 위치로 이동하고, 표시부(41)의 선단 부분이 창구멍(105)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접속 미완료 상태가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판(10)과 전선(2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 완료 표시부재(4)의 표시부(41)가 기체(100)의 창구멍(105)내에 퇴피하는 위치(접속 완료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표시부(41)가 창구멍(105)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선(200)의 접속 완료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제레버(6)를 조작하여 전선(200)을 전선 삽입구멍(101)으로부터 인발하면 부세부(코일 스프링(5))에 부세되어 있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200)을 재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6∼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4’)에 특징이 있으며,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공통이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부세부(코일 스프링(5))가 단자판(10)에 대해 접속 완료 표시부재(4’)와 반대측(도 5에 있어서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 선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4’)의 배치공간이 크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는 코일 스프링(5)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4)를 표시부(41)의 대략 중앙에 마련하고 있다. 이 지지부(44)는 표시부(4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44a)과, 돌출편(44a)의 주부(40)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주부(40)를 향해 기립하는 원주형상의 지지편(44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지편(44b)에 외부 삽입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단자판(10)의 주편(11)에 맞닿음으로써 코일 스프링(5)이 단자판(10)의 내측에 압축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접속 완료 표시부재(4’)를 단자판(10)에 조립하는 수순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맞닿음부(42)가 주부(40)를 사이에 두고 삽입 통과부(14)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표시부(41) 및 지지부(44)를 단자판(10)의 주편(11)에 마련된 노치구멍(11a)에 삽입 통과한다(도 9(a), (b)참조). 계속해서, 맞닿음부(42)가 삽입 통과부(14)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주부(40)를 대략 90도 회전시키고(도 9(c), (d) 참조), 마지막에 맞닿음부(42)를 삽입 통과부(14)에 삽입 통과시켜 접속 완료 표시부재(4’)의 단자판(10)으로의 조립이 완료된다. 단, 접속 완료 표시부재(4’)를 단자판(10)에 조립할 때, 미리 지지부(44)에 코일 스프링(5)의 일단부를 지지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으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접 속 미완료 위치에서 정지하고, 표시부(41)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5)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는데 반해, 전선(200)이 전선 삽입구멍(101)을 통해 정규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단자판(10)과 접속되면 도체(201)의 선단으로부터 맞닿음부(42)에 압입력을 받은 접속 완료 표시부재(4)가, 코일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 완료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전선(200)의 접속 완료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세부(코일 스프링(5))가 접속 완료 표시부재(4’)에 마련된 지지부(44)와 단자판(10)의 사이에 지지되기 때문에, 접속 완료 표시부재(4’)의 지지부(43)와 기체(100)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5)을 지지하는 실시형태 1에 비해 전선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수단의 배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도 10∼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 1, 2에서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4)를, 별체로 형성된 부세부(코일 스프링(5))에 의해 부세하고 있는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을 갖는 판금에 펀칭 가공 및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부와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 부재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7)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접속 완료 표시부재(7) 이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므로, 공통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접속 완료 표시부재(7)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각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주편(70)과, 주편(70)의 코너부로부터 주편(7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띠형상 의 표시부(71)와, 주편(70)의 긴 변에 있어서의 양단부로부터 표시부(71)와 반대방향으로 구부려 일으켜진 대략 S자 형상의 휨 편(73, 73)과, 주편(70)의 긴 변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표시부(71)와 동일 방향으로 구부려 일으켜진 대략 コ형상의 맞닿음부(72)가, 탄성을 갖는 판금에 펀칭 가공 및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표시부(71)의 선단부분이 대략 コ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 선단부분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재료로 상자형으로 형성된 캡(절연부재)(74)이 씌워진다.
그리고, 주편(11)에 마련된 노치구멍(11a)에 표시부(71)를 삽입 통과함과 동시에 맞닿음부(72)를 삽입 통과부(14)에 삽입 통과하도록 하여 접속 완료 표시부재(7)가 단자판(10)에 조립되고(도 13 참조), 한쌍의 휨 편(73, 73)의 선단부분이 기체(100)(커버(100b))의 내벽에 맞닿음으로써 접속 완료 표시부재(7)가 전선의 삽입방향(도 10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이동자재로 탄성있게 지지된다. 즉, 접속 완료 표시부재(7)는 휨 편(73, 73)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항상 아래쪽으로 탄성 부세되어 있고,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편(70)이 단자판(10)의 주편(11)에 맞닿는 위치(이하, 접속 미완료 위치라 함)에서 정지하고, 또한 단자판(10)의 노치구멍(11a)에 삽입 통과된 표시부(71)의 선단부분(캡(74)으로 덮인 부분)이 창구멍(105)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도 11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휨 편(73, 73)의 스프링력으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7)가 접속 미 완료 위치에서 정지하고, 표시부(71)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5)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는데 반해(도 14(a) 참조), 전선(200)이 전선 삽입구멍(101)을 통해 정규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단자판(10)과 접속되면 도체의 선단으로부터 맞닿음부(72)에 압입력을 받은 접속 완료 표시부재(7)가, 휨 편(73, 7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 완료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전선(200)의 접속 완료가 표시되게 된다(도 14(b)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7)와 부세부(휨 편(73, 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시형태 1, 2에 비해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접속 완료 표시부재(7)가 단자판(10)이나 전선(200) 등의 충전부와 접촉 도통되어 있고, 기체(100) 외로 노출되어 있는 표시부(71)에 직접 손이 닿으면 감전 사고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캡(74)으로 표시부(41)의 선단부분을 덮음으로써 금속제의 표시부(71)에 직접 손이 닿지 않도록 하여 감전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71)와 동시 성형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재(74′)로 표시부(71)를 덮도록 하면, 캡(74)을 표시부(71)에 장착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4)
도 16∼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를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3과 공통이므로, 공통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 고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복수의 속결 단자 장치마다 접속 완료 표시부재(7)가 마련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속결 단자 장치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일체로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8)는 한쌍의 단책형상의 주편(80, 80)과, 각 주편(80, 80)의 긴쪽 방향 일단부로부터 주편(80, 8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돌출된 띠형상의 표시부(81, 81)와, 각 주편(80, 80)의 긴쪽 방향 타단부로부터 표시부(81, 81)와 동일 방향으로 구부려 일으켜진 대략 コ형상의 맞닿음부(82, 82)와, 각 주편(80, 80)에 있어서 단책방향에 맞닿음부(82, 82)와 대향하는 형태로 표시부(81, 81)와 반대방향으로 구부려 일으켜진 대략 S자 형상의 휨 편(83, 83)과, 한쌍의 휨 편(83, 83)의 선단끼리를 잇는 띠형상의 교가편(84)이, 탄성을 갖는 판금에 펀칭 가공 및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표시부(81, 81)의 선단부분이 대략 コ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이 선단부분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재료이고 상자형으로 형성된 캡(절연부재)(85, 85)이 씌워진다.
그리고, 주편(11)에 마련된 한쌍의 노치구멍(11a, 11b)에 각각 표시부(81, 81)를 삽입 통과함과 동시에 맞닿음부(82, 82)를 각 삽입 통과부(14, 14)에 삽입 통과하도록 하여 접속 완료 표시부재(8)가 단자판(10)에 조립되고(도 16 참조), 한쌍의 휨 편(83, 83)을 잇는 교가편(84)이 기체(100)(커버(100b))의 내벽에 맞닿음으로써 접속 완료 표시부재(8)가 전선의 삽입방향(도 16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즉, 접속 완료 표시부재(8)는 휨 편(83, 83)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항상 아래쪽으로 탄성 부세되어 있고,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편(80)이 단자판(10)의 주편(11)에 맞닿는 접속 미완료 위치에서 정지하며, 또한 단자판(10)의 노치구멍(11a, 11b)에 삽입 통과된 표시부(81, 81)의 선단부분(캡(85, 85)으로 덮인 부분)이 각각 창구멍(105, 105)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휨 편(83, 83)의 스프링력으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7)가 접속 미완료 위치에서 정지하고, 표시부(81, 81)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5, 105)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전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는데 반해, 전선(200)이 전선 삽입구멍(101)을 통해 정규의 위치까지 삽입되어 단자판(10)과 접속되면 도체의 선단으로부터 맞닿음부(82)에 압입력을 받은 접속 완료 표시부재(8)가, 휨 편(83, 8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 완료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전선(200)의 접속 완료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속결 단자 장치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3에 비해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8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8)에서는 전선(200)으로부터 압입력을 받는 맞닿음부(82, 82)와, 부세부인 휨 편(83, 83)이 전선(200)의 삽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200)으로부터 맞닿음부(82)에 압입력을 받은 경우에 휨 편(83, 83) 에 왜곡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고, 그 결과, 표시부(81, 81)(접속 완료 표시부재(8))를 안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 18의 전개도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82, 82)와 휨 편(83, 83)이 일렬로 배치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8)를 형성한 경우, 판재로부터 접속 완료 표시부재(8)의 판스프링 부재를 꺼낼 때에 낭비되는 부분이 늘어나 효율좋게 꺼낼 수 없는 소위, 판꺼냄이 나빠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81, 81), 맞닿음부(82, 82), 휨 편(83, 83)이 모두 주편(80)의 긴쪽 방향을 따른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형상 즉, 맞닿음부(82)와 휨 편(83)이 전선(200)의 삽입방향을 따라 어긋나 배치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8)를 형성하면, 도 18과 도 2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접속 완료 표시부재(8)의 판스프링 부재를 효율좋게 꺼낼 수 있어 판꺼냄이 좋아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5)
도 22∼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는 접속 완료 표시수단에 특징이 있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4와 공통이므로, 공통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 1∼4에서는 모두 접속 완료 표시부재(4), (7), (8)의 이동방향이 전선(200)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고, 표시부(41), (71), (81)는 모두 기체(100)의 바닥면(전선 삽입구멍(101)이 개구된 면)에 마련된 창구멍(105)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된 구성이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선(200)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9)가 이동하고, 기체(100)의 측면에 마련된 창구멍(106)을 통해 표시부(91)가 기체(100) 외로 돌출된 구성으로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9)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각기둥형상의 주부(90)와, 주부(90)의 일면으로부터 법선방향으로 돌출된 둥근 봉형상의 표시부(9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부(90)는 1개의 정점을 포함하는 삼각기둥의 부분이 잘라 내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잘라 내어진 후에 남은 부분에, 표시부(91)가 돌출된 면으로부터 인접하는 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이 맞닿음부(92)로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세부(93)는 대략 コ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단자판(10)의 맞닿음편(13, 13)에 코킹 고정되는 띠형상의 고정편(93a)과, 고정편(93a)과 긴쪽 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동일방향으로 대략 コ형상으로 구부려 일으켜진 한쌍의 휨 편(93b, 93b)을 갖는다. 단, 판스프링 대신에 코일 스프링으로 부세부(93)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9, 9)가 단자판(10)의 주편(11)상에 탑재되고, 커버(100b)의 측면에 마련된 한쌍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창구멍(106, 106)에 접속 완료 표시부재(9, 9)의 표시부(91, 91)가 각각 진퇴 자유롭게 삽입된다. 또한, 고정편(93a)이 맞닿음 부재(13, 13)에 코킹 고정됨으로써 부세부(93)가 단자판(10)에 부착되고, 부세부(93)의 휨 편(93b, 93b)이 접 속 완료 표시부재(9, 9)의 주부(90, 90)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표시부(91, 91)가 창구멍(106, 106)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된 방향으로 접속 완료 표시부재(9, 9)가 부세된다(도 25(a) 참조). 즉, 접속 완료 표시부재(9)는 부세부(93)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항상 측쪽(도 25에 있어서의 좌측방향)으로 탄성 부세되어 있고,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부(90)가 커버(100b)의 내벽면에 맞닿고 또한 기체(100)의 측면에 마련된 창구멍(106)을 통해 표시부(91)의 선단부분이 기체(100) 외로 돌출된 위치(접속 미완료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고, 이와 같이 표시부(91)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6)을 통해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도 23 참조).
그리고, 기체(100)의 전선 삽입구멍(101)을 통해 전선(200)의 도체(201)를 정규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체(201)가 잠금 스프링(20)과 단자판(10)의 접촉편(12)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접속됨과 동시에,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201)의 선단이 삽입 통과부(14)를 통해서 접속 완료 표시부재(9)의 맞닿음부(92)에 맞닿고, 맞닿음부(92)를 측쪽(도 25에 있어서의 우측방향)으로 압압한다. 이 때, 맞닿음부(92)가 도체(201)의 압입력을 받고, 부세부(9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 완료 표시부재(9)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접속 완료 표시부재(9)의 표시부(91)가 창구멍(106)내에 퇴피하는 접속 완료 위치까지 이동하여 전선(200)이 단자판(10)과 접속된 것(접속 완료)이 표시된다.
한편, 해제레버(6)의 조작부(63)를 조작하여 전선(200)이 인발되면, 접속 완료 표시부재(9)의 맞닿음부(92)를 우측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부세부(93)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접속 완료 표시부재(9)가 접속 미완료 위치로 이동하고, 표시부(91)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6)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됨으로써 접속 미완료 상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4와 마찬가지로, 단자판(10)과 전선(2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 완료 표시부재(9)의 표시부(91)가 기체(100)의 창구멍(106)내에 퇴피하는 위치(접속 완료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표시부(91)가 창구멍(106)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선(200)의 접속 완료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해제레버(6)를 조작하여 전선(200)을 전선 삽입구멍(101)으로부터 인발하면, 부세부(93)에 부세되어 있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9)가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200)을 재차 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4와 같이 전선(200)의 접속 완료 표시용의 창구멍(105)이 기체(100)에 있어서의 전선 삽입구멍(101)과 동일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체(100)에 있어서의 전선 삽입구멍(101)과 다른 면에 창구멍(106)을 마련하여 접속 완료표시를 하는 쪽이, 표시부(91)에 의한 접속 완료표시가 육안관찰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6)
도 26∼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을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 태는 접속 완료 표시수단에 특징이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5와 공통이므로, 공통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5에서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9)와,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부세부(93)로 접속 완료 표시수단을 구성하고 있는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세부도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서 접속 완료 표시부재와 일체로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110)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형상의 주부(111)와, 주부(111)의 둘레면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대략 丁자 형상의 부세부(112)와, 부세부(112)의 양단에 마련된 대략 육각기둥형상의 맞닿음부(113, 113)와, 각 맞닿음부(113, 113)로부터 돌출된 원주형상의 표시부(114, 114)를 구비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주부(111)의 일단면에는 대략 C자형상의 끼워맞춤 홈(고정부)(111a)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판(10)의 주편(11) 중앙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원주형상의 끼워맞춤 돌기(11b)를 끼워맞춤 홈(111a)에 끼워맞춤으로써 접속 완료 표시부재(110)가 단자판(1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도 28 참조). 또한, 한쌍의 맞닿음부(113, 113)는 주부(111)가 단자판(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단자판(10)의 삽입 통과부(14, 14)와 대향하는 면이 전선(200)의 삽입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113a, 113a)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표시부(114, 114)의 선단부분이 기체(100)의 측면에 마련된 창구멍(106, 106) 내에 퇴피한 위치(미접속 위치)에 있고(도 26(a) 참조), 이와 같이 표시부(114, 114)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6, 106)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기체(100)의 전선 삽입구멍(101)을 통해 전선(200)의 도체(201)를 정규의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체(201)가 잠금 스프링(20)과 단자판(10)의 접촉편(12)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접속됨과 동시에,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201)의 선단이 삽입 통과부(14)를 통해 접속 완료 표시부재(110)의 맞닿음부(113)(경사면)에 닿고, 맞닿음부(113)를 측쪽(도 26에 있어서의 좌측방향)으로 압압한다. 이 때, 맞닿음부(113)가 도체(201)의 압입력을 받고, 부세부(11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맞닿음부(113) 및 표시부(114)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표시부(114)가 창구멍(106)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된 위치(접속 위치)까지 이동하여 전선(200)이 단자판(10)과 접속되는 것(접속 완료)이 표시된다.
한편, 해제레버(6)의 조작부(63)를 조작하여 전선(200)이 인발되면, 맞닿음부(113)를 좌측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부세부(11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맞닿음부(113) 및 표시부(114)가 미접속 위치로 이동하고, 표시부(114)의 선단부분이 창구멍(106)내에 퇴피함으로써 미접속 상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자판(10)과 전선(2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속 완료 표시부재(110)의 표시부(114)가 창구멍(106)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된 위치(접속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표시부(114)가 창구멍(106)으로부터 기체(100) 외로 돌출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선(200)의 접속 완료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해제레버(6)를 조작하여 전선(200)을 전선 삽입구멍(101)으로부터 인발하면 부세부(112)에 부세되어 있는 표시부(114)가 접속 위치에서 미접속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한 후에 어떠한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전선(200)을 재차 접속할 때에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접속 완료 표시부재(110)에 있어서는 부세부(112)가 중앙부분을 지점으로 해서 휘는 구조이기 때문에, 표시부(114)는 실시형태 1∼5와 같이 평행 이동하는 것이 아닌 원호상을 이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접속 위치에 있는 표시부(114)의 축방향이 기체(100) 측면의 법선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기울기에 대응하여 표시부재(110)의 선단면을 그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고, 접속 위치에 있어서 표시부(114)의 선단면과 기체(100) 측면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접속 위치에 있어서의 표시부(114)의 육안관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도 29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상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하면도, (f)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 및 코일 스프링을 단자판에 조립하기 전의 사시도, (b)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 및 코일 스프링을 단자판에 조립한 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동작 설명용의 도면으로서, (a)는 전선을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b)는 전선을 접속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동작 설명용의 도면으로서, (a)는 전선을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b)는 전선을 접속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상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하면도, (f)는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 및 코일 스프링을 단자판에 조립하기 전의 사시도, (b)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 및 코일 스프링 을 단자판에 조립한 후의 사시도.
도 9의 (a)∼(d)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단자판에 조립하는 수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사시도.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단자판에 조립하기 전의 사시도, (b)는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단자판에 조립한 후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동작 설명용의 도면으로서, (a)는 전선을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b)는 전선을 접속한 상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의 별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접속 완료 표시부재를 단자판에 조립한 후의 사시도.

Claims (11)

  1. 배선기구의 기체에 관통하여 마련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협지하는 동시에 쇄정부가 상기 전선에 파고들어 빠짐 방지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단자판에 대한 전선의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접속 완료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해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조작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는 축부와, 축부를 지점으로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했을 때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수단의 전선에 파고든 쇄정부를 전선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고,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형성된 창구멍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기체 외로 돌출된 접속 미완료 위치와 상기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내로 퇴피하는 접속 완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마련된 표시부와, 표시부를 접속 완료 위치에서 접속 미완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와, 표시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아 상기 선단부로부터 압입력을 받는 맞닿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는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마련된 지지부에 일단측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단자판에 맞닿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가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완료 표시수단이 도전성 및 스프링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접속 미완료 위치에 있어서 기체 외로 돌출된 표시부의 일부가 절연부재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절연부재는 표시부가 동시 성형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탄성을 갖는 판금에 펀칭 가공 및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부와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맞닿음부와 부세부가 전선의 삽입방향을 따라 어긋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8. 배선기구의 기체에 관통하여 마련한 전선 삽입구멍을 통해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협지하는 동시에 쇄정부가 상기 전선에 파고들어 빠짐 방지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접속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단자판에 대한 전선의 접속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접속 완료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해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조작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는 축부와, 축부를 지점으로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했을 때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접속수단의 전선에 파고든 쇄정부를 전선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고,
    접속 완료 표시수단은 기체의 표면에 형성한 창구멍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기체 외로 돌출된 접속 위치와 상기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내에 퇴피하는 미접속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마련된 표시부와, 표시부를 접속 위치에서 미접속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와, 전선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아 상기 선단부로부터 압입력을 받는 맞닿음부로 구성되고,
    맞닿음부는 전선의 선단부와 맞닿는 면이 전선의 삽입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부세부는 일단측이 단자판에 대해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전선의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평면내에서 휨 자유로우며, 부세부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에 표시부 및 맞닿음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가 표시부 및 맞닿음부와 일체로 합성수지성형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표시부 및 부세부, 맞닿음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1. 제 9 항 또는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속 위치에 있어서 창구멍으로부터 기체 외로 돌출된 부위의 단면이 창구멍이 개구된 기체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KR1020070120172A 2006-11-27 2007-11-23 속결 단자 장치 KR100927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9020 2006-11-27
JP2006319020A JP4816428B2 (ja) 2006-11-27 2006-11-27 速結端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984A KR20080047984A (ko) 2008-05-30
KR100927504B1 true KR100927504B1 (ko) 2009-11-17

Family

ID=3948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172A KR100927504B1 (ko) 2006-11-27 2007-11-23 속결 단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16428B2 (ko)
KR (1) KR100927504B1 (ko)
CN (1) CN101192716B (ko)
TW (1) TWI3261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327B1 (ko) * 2014-07-31 2016-05-04 서일전자주식회사 안전결선 식별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3955B (zh) * 2012-05-11 2014-02-05 张少亮 一种多功能安全插座
CN106206200B (zh) * 2016-08-31 2018-05-22 杭州乾龙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断路器的隔弧板连接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172A (ko) * 1997-09-19 1999-04-15 이마이 기요스케 콘센트
JP2006012634A (ja) 2004-06-2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JP2006019182A (ja) 2004-07-02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JP2006066223A (ja)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8675B2 (ja) * 1999-07-27 2008-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端子装置
JP2003346933A (ja) * 2002-05-22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線接続端子
JP4089578B2 (ja) * 2003-09-25 2008-05-28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JP4093163B2 (ja) * 2003-09-25 2008-06-04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JP4293068B2 (ja) * 2004-06-25 2009-07-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172A (ko) * 1997-09-19 1999-04-15 이마이 기요스케 콘센트
JP2006012634A (ja) 2004-06-2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JP2006019182A (ja) 2004-07-02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JP2006066223A (ja)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327B1 (ko) * 2014-07-31 2016-05-04 서일전자주식회사 안전결선 식별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2716B (zh) 2011-07-13
JP4816428B2 (ja) 2011-11-16
TWI326143B (en) 2010-06-11
CN101192716A (zh) 2008-06-04
JP2008135230A (ja) 2008-06-12
TW200830650A (en) 2008-07-16
KR20080047984A (ko) 200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9230B2 (ja) 速結端子装置
US8210865B2 (en) Terminal bloc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0927501B1 (ko) 속결 단자 장치
JP200729446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305598A (ja) 基板接続コネクタ
KR100927504B1 (ko) 속결 단자 장치
US913030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87791B1 (ko)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JP3832836B2 (ja) 光コネクタアダプタ
KR20020046189A (ko) 전기 커넥터
KR20220057573A (ko) 단자대
JP2009115864A (ja) 光コネクタ組立治具
JP2014056646A (ja) コネクタ
JP2008159481A (ja) 端子装置
FI95633C (fi) Ruuviton kytkentäliitos ja sen valmistusmenetelmä
JP2006066223A (ja) 速結端子装置
JP2008108643A (ja) 速結端子装置
TWI249894B (en) Wiring instrument
JP2004319393A (ja) 速結端子装置
JP4293068B2 (ja) 速結端子装置
CN114514660B (en) Wiring board
TWI244247B (en) Wiring instrument
JP4048727B2 (ja) ターミナルソケット
JP5616602B2 (ja) 端子装置
CN109786992B (zh) 端子装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