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791B1 -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 Google Patents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791B1
KR100887791B1 KR1020070024503A KR20070024503A KR100887791B1 KR 100887791 B1 KR100887791 B1 KR 100887791B1 KR 1020070024503 A KR1020070024503 A KR 1020070024503A KR 20070024503 A KR20070024503 A KR 20070024503A KR 100887791 B1 KR100887791 B1 KR 100887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ever
spring
piece
terminal device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858A (ko
Inventor
미노루 혼다
마키 곤도
노보루 하시모토
히데아키 우지하라
가즈히로 가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7150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0556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9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Abstract

전선(200)이 접속된 상태에서 조작부(31)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면, 해제레버(30)가 접속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압동부(33, 33)가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을 가압하여 도체(201)에 맞닿아 있는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를 도체(201)로부터 멀어지도록 스프링편(22)을 휘게 해서 전선(200)의 뽑아냄이 가능지며, 도체(201)에 맞닿아 있는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가 다른 장소를 2개의 압동부(33, 33)로 가압하기 때문에,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 부하가 큰 경우에도 해제레버(30)의 조작력이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해제레버(30)로 1개의 잠금스프링(20)의 쇄정부 밖에 눌러 움직이게 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쇄정부를 불필요하게 눌러 움직이게 하는 일이 없으므로 해제레버(30)의 조작성과 편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Description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AND WIRING DEVICE INCLUD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콘센트의 보디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콘센트의 커버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A-A선 단면 화살도, (c)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날받이를 생략한 단자판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하면도, (c)는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잠금스프링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하면도, (c)는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해제레버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하면도, (c)는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해제레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보조스프링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하면도, (c)는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단자판, 잠금스프링, 해제레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보디에 해제레버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보조스프링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단자판, 잠금스프링, 보조스프링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일부 생략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일부 생략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한 단면도,
도 16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보조스프링 블럭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보조스프링 블럭을 보디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보조스프링 블럭을 보디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판, 잠금스프링, 해제레버, 보조스프링의 사시도,
도 21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동작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판, 잠금스프링, 해제레버, 다른 구성의 보조스프링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판, 잠금스프링, 해제레버, 또 다른 구성의 보조스프링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판, 잠금스프링, 해제레버, 또 다른 구성의 보조스프링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판, 잠금스프링, 해제레버, 별도의 구성의 보조스프링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잠금스프링을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단자판, 해제레버와 함께 보디에 조립된 상태의 일부 생략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해제레버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단면도, (d)는 우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일부 생략한 단면도로서, (a)는 해제레버 비조작시, (b)는 해제레버 조작시의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동작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요부단면도,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해제레버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11-185905호(단락 0014, 도 1)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319393호(단락 0044, 도 18)
본 발명은 속결단자장치 및 그 속결단자장치를 구비하는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배선기구에 있어서는 기체에 마련한 전선삽입 구멍을 통해서 기체내에 도입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속결단자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속결단자장치는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이나 콘센트에 있어서의 날받이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판과,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전선(도체)을 협지하여 전선과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전선을 쇄정(鎖錠)해서 빠짐 방지하는 잠금스프링과, 기체에 마련한 조작 구멍을 통해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조작되어 잠금스프링에 의한 쇄정을 해제하는 해제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상기의 종래의 속결단자장치는 전선이 확실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모르기 때문에, 시공자에 대해 불안감을 준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속결단자장치에서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해서 해 제버턴을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선의 해제작업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수동조작에 의해서 잠금스프링에 의한 쇄정을 해제하도록 한 속결단자장치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속결단자장치는 배선기구의 기체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조작되는 조작부, 기체내에 축지지되어 조작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는 축부, 축부를 지점으로 조작부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했을 때에 탄성력에 대항해서 전선에 맞닿은 잠금스프링을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은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게 하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그렇게 해서, 기체 배면의 전선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이 잠금스프링에 의해서 단자판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를 수동조작하여 해제레버를 회전운동하면, 압동부에 의해서 잠금스프링이 밀어 움직여지기 때문에 전선을 뽑을 수 있는 것이다.
배선기구에 있어서는 이송 배선으로 2개의 속결단자장치를 병설하는 경우가 많고,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2개의 속결단자장치에서 해제레버를 공용하고 있었다. 즉, 2개의 잠금스프링의 사이에 해제레버를 배치하여 2개의 잠금스프링을 동시에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고 있었다.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확실하게 2개의 속결단자장치의 해제레버를 공용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은 있었지만, 그 반면, 잠금스프링의 스프링 부하가 큰 경우에 해제레버의 조작력이 증대하여 조작이 어렵게 되거나, 한쪽의 속결단자장치의 전선만을 떼어내고 싶은 경우에도 양쪽이 해제 상태가 되어 버림으로써 편리성이 손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해제레버의 조작성과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선기구의 기체(器體)에 뚫어 마련한 전선삽입구멍을 통해서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탄성력을 이용해서 해당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협지함과 동시에 쇄정부가 해당 전선에 맞닿아 빠짐 방지하는 접속 수단과, 해당 접속 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해제 수단은 상기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내에 축지지되어 해당 조작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는 축부와, 해당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했을 때에 탄성력에 대항해서 전선에 맞닿은 상기 접속 수단의 상기 쇄정부의 다른 장소를 해당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은 방향으로 동시에 눌러 움직이는 복수의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 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부세수단과, 해당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조작부가 기체로부터 멀어진 회전운동위치 에 있을때 상기 해제레버를 래치하고 상기 전선삽입 구멍을 통해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판과 접속되었을 때에 해당 전선에 의해서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레버는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단자판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간섭하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가 압동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마련되고, 회전운동의 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동부를 사이에 두고 쇄정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해제레버의 회전운동시에 축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리브가 상기 기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단자판에 마련된 피계지부와, 상기 해제레버에 마련되어 상기 피계지부에 계지되고 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서 눌러져 피계지부와의 계지가 해제되는 계지부를 갖고,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축부, 압동부, 조작부, 계지부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해당 계지부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분에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동부는 상기 쇄정부와 면이 닿는 돌출대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체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선삽입 구멍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계지부에 걸어고정된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전선을 삽입 통과하는 삽입통과부와, 해당 삽입통과부에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계지부에 걸어 고정된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해당 단자판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전선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통과부와, 해당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구부려 일으켜서 이루어지는 상기 피계지부가 마련되고, 피계지부의 선단과 상기 구멍의 주연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가 상기 삽입통과부에 마련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힘을 부가하는 보조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스프링은 띠판형상의 스프링재를 구부림 가공해서 이루어지고, 해제레버에 맞닿는 부위로부터 선단 부근까지의 부분이 해제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벽에 맞닿는 당접편와, 선단근방에서 해제레버에 맞닿는 스프링편과, 해당 스프링편과 당접편을 연결하는 대략 U자형상의 연결편을 갖고, 상기 스프링편이 해제레버에 맞닿는 부위로부터 연결부근까지의 부분에서 해제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저벽에 상기 전선삽입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단자판과 상기 해제레버와 상기 보조스프링이 수납되는 수납구간을 갖는 상자형의 보디와, 상기 보디의 개구면을 막는 형태로 보디와 결합되는 상자형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보디의 개구면측으로부터 육안관찰 가능한 돌출편이 상기 보조스프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보조스프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벽 및 단자판에 맞닿는 당접편과, 선단근방에서 해제레버에 맞닿는 스프링편과, 해당 스프링편과 당접편을 연결하는 대략 U자형상의 연결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마련된 상기 쇄정부를 갖는 잠금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잠금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협지함과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잠금스프링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 중앙에 상기 쇄정부가 마련되고, 쇄정부보다도 전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해제레버의 압동부와 맞닿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쇄정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마련된 상기 쇄정부를 갖는 잠금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잠금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협지함과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잠금스프링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스프링이 상기 잠금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 중앙에 상기 쇄정부가 마련되고, 쇄정부보다도 전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해제레버의 압동부와 맞닿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쇄정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레버에 있어서의 기체 내벽과 대향하는 부위에, 해당 기체 내벽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레버에가 조작될 때 상기 전선과 맞닿는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회전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레버는 복수의 상기 압동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판형상부를 갖고, 해당 판형상부와 조작부와 축부와 압동부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결단자장치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상기 속결단자장치를 수납하는 기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어스 단자를 갖는 매립형 콘센트의 단자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적용 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관한 속결단자장치는 상기 콘센트 이외의 배선기구(스위치 등)에 있어서의 단자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실시형태의 어스 단자를 갖는 매립형 콘센트(이하, 콘센트로 함)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의 분해사시도로서, 합성 수지제의 상자형의 보디(1a)와 커버(1b)를 금속제의 조립프레임(2)에 의해 결합해서 기체(1)를 구성하고 있다. 이 조립프레임(2)은 소위 매립박스 등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프레임을 겸하는 것으로서, JIS에 있어서 매립형의 배선기구용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일련의 부착 프레임(JIS C 8375 대각형 연용(連用) 배선기구의 부착 프레임)과 대략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체(1)는 상기 규격화된 일련의 부착 프레임에 3개까지 부착할 수 있는 단위치수의 배선기구의 3개분의 치수(3개 모듈치수라 함)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디(1a) 및 커버(1b)의 양측면에 돌출해서 마련된 볼록부(3a, 3b)가 조립프레임(2)의 양측편(2a, 2a)으로부터 각각 한쌍씩 돌출해서 마련되어 있는 대략 U형의 돌출편(2b…)의 내측 주연에 대해 걸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보디(1a)와 커버(1b)가 조립프레임(2)에 의해 고정되어 기체(1)가 조립되어 있다. 또, 조립프레임(2)의 긴쪽 방향에 대향하는 부착편(2c, 2c)에는 상기 매립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박스 나사용의 긴 구멍(2d, 2d)과, 벽을 구성하는 석고 보드 등에 부착하기 위한 종래 주지의 끼움금구(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는 부착 구멍(2e, 2e)과, 앞면에 플레이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등을 부착하기 위한 플레이트 나사용의 나사 구멍(2f, 2f)과, 벽재 등에 조립프레임(2)을 직접 부착할 때의 부착 나사 등이 삽입 통과되는 나사 삽입통과구멍(2g…)이 적어도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b)의 앞면(기체(1)의 앞면)에는 한쌍의 플러그날 삽입구(plug blade insertion port)(4a, 4b)와 접지극 삽입구(4c)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삽입구(4)가 긴쪽방향을 따라 2조 마련되어 있고, 접지극을 갖는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2개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1b)의 앞면에 배치된 2조의 플러그삽입구(4)의 도면 중 하측에는 2극의 플러그에 마련된 어스선이 접속되는 어스단자(5)가 배치되고, 어스단자(5)의 앞면을 덮는 도어(6)가 커버(1b)에 개폐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기체(1)의 내부에는 2조의 삽입구(4a, 4b, 4c)로부터 삽입된 마개날 및 접지극과 각 별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한쌍의 접지측 날받이(7a, 7a), 전압측 날받이(8a, 8a) 및 접지날받이(9a, 9a)가 각 삽입구(4a, 4b, 4c)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접지측날받이(7a, 7a)는 판형상의 금속부재를 가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속결단자장치를 구성하는 접지측 단자판(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전압측날받이(8a, 8a)도, 판형상의 금속부재를 가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속결단자장치를 구성하는 전압측 단자판(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접지측날받이(7a, 7a)와 접지측 단자판(10)으로 접지측 날받이 블럭(7)이 구성됨과 동시에, 전압측날받이(8a, 8a)와 전압측 단자판(10)으로 전압측날받이 블럭(8)이 구성되어 있다. 또, 이들 접지측날받이 블럭(7)과 전압측날받이 블록(8)은 완전히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한쌍의 접지날받이(9a, 9a)는 마찬가지로 판형상의 금속부재를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교락편(bridge piece) (9b)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교락편(9b)의 일단측에는 본 발명에 관한 속결단자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접지 단자판(10′, 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접지날받이(9a, 9a)와 교락편(9b)과 접지 단자판(10′)으로 접지날받이 블럭(9)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접지 단자판(10′, 10′)에는 나사 단자 금구(5a)가 코킹하여 고정되고, 나사 단자 금구(5a)와 나사(5b)와 와셔(5c)로 어스 단말(5)이 구성되어 있다.
도어(6)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커버(1b)의 삽입구(1c, 1c)에 삽입되어, 커버(1b)에 계지이탈 자유롭게 걸어고정되는 계지편(6a, 6a)과, 힌지부(6b, 6b)를 거쳐서 계지편(6a, 6a)에 접속됨과 동시에, 커버(1b)의 앞면 단부에 마련된 개구부(1d)를 개폐자유롭게 덮는 덮개부(6c)로 구성된다. 덮개부(6c)는 막두께가 얇은 형상의 힌지부(6b, 6b)에 의해, 계지편(6a, 6a)에 대해 구부림 신장 자유롭게 되어 있다. 즉, 도어(6)의 덮개부(6c)는 계지편(6a, 6a)에 대해 신장하거나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커버(1b)의 개구부(1d)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닫혔을 때에 어스 단자(5)를 덮어 숨기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구(4)의 마개날삽입구(4a, 4b)를 자동적으로 차폐하는 한쌍의 도어(100, 100)를 가진 소위 도어를 갖는 콘센트이다. 도어(100)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기체(1)내에 수납 된 중간프레임(101)의 앞면측에, 커버(1b)의 배면측에 있어서 마개날 삽입구(4a, 4b)를 차폐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스프링(102)에 의해서 마개날 삽입구(4a, 4b)를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부세되어 있다. 즉, 마개날삽입구(4a, 4b)에 삽입된 플러그의 마개날로 눌러짐으로써 복귀스프링(102)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도어(100)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도어(100)에 의해 차폐되어 있던 마개날 삽입구(4a, 4b)가 개방되어 마개날을 날받이(7a, 8a)에 접속할 수 있고, 반대로 플러그를 뽑으면 복귀스프링(102)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어(100)가 슬라이드 이동해서 마개날 삽입구(4a, 4b)를 차폐하는 위치로 복귀하여, 마개날 삽입구(4a, 4b)를 통해서 기체(1)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종류의 도어를 갖는 콘센트는 종래 주지이기 때문에, 도어(100)나 중간테두리(101) 등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속결단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속결단자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판(10 또는 10′)과, 잠금스프링(20)과, 해제레버(30)와, 보조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단자판(1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책형상의 주편(11)과, 주편(11)의 긴쪽방향을 따른 한쪽의 단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늘어뜨려진 한쌍의 접촉편(12)과, 주편(11)의 긴쪽방향을 따른 다른쪽의 단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늘어뜨려진 당접편(13)을 갖고,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가공해서 주편(11), 접촉편(12), 당접편(13)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단, 도 4에 있어서는 주편(11)의 양단 부분에 일체 형성된 날받이(접지측날받이(7a), 전압측날받이(8a))를 생략하고 있다. 접촉편(12)에는 전선의 삽입 방향(도 4(c)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 있어서 전선을 가압하는 한쌍의 가압부(12a, 12b)와, 상측의 가압부(12b)의 선단을 당접편(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 일으켜서 이루어지는 피계지부(12c)가 마련되고, 가압부(12b)와 주편(11)의 사이에는 보디(1a)의 바닥벽에 뚫어 마련되어 있는 전선삽입 구멍(91)과 대향해서 전선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통과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스프링(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대략 J자형상으로 구부려 가공해서 이루어지고, 단자판(10)의 주편(11) 및 당접편(13)에 맞닿는 갈고리형의 도통편(21)과, 도통편(2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U자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된 스프링편(22)을 갖고, 전선에 맞닿아 빠짐 방지하는 스프링편(22)의 선단이 쇄정부(chain lock part)로 된다. 또한, 스프링편(22)에는 전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통편(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부림부(22a)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스프링(2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편(11)과 당접편(13)에 도통편(21)을 맞닿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편(22)을 접촉편(12)과 대향시키는 형태로 단자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접촉편(12)의 폭치수가 스프링편(22)의 폭치수보다도 좁게 되어 있고, 전선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4(b)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 보아 접촉편(12)으로 양측에 스프링편(22)이 비어져 나오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자판(10) 및 잠금스프링(20)은 보디(1a)에 마련된 단자판수납실(90)에 수납된다. 그리고, 전선삽 입 구멍(91)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을 단자판(10)의 접촉편(12)과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의 사이에서 협지함과 동시에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를 전선에 맞닿게 함으로써 빠짐 방지할 수 있다.
해제레버(30)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상의 조작부(31)와, 직사각형 판형상으로서 조작부(31)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판형상부(계지부)(32)와, 조작부(31)와 판형상부(32)의 긴쪽 방향 양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3, 33)와, 연결부(33, 33)로부터 각각 측쪽으로 돌출된 암부(34, 34)와, 암부(34, 34)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축부(35, 35)와, 축부(35, 35) 선단면의 중앙 근방의 위치로부터 돌출된 돌출대형상의 압동부(36, 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35, 35) 선단면의 외측의 부분과 압동부(36, 36)의 외측의 면으로보조스프링(5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37, 37)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에서는 각 단자판(10, 10′)에 대해 이송 배선용을 포함하여 속결단자장치가 각각 2개씩 마련되고, 이들 2개의 속결단자장치가 각 단자판(10, 10′)과 함께 보디(1a)의 각 단자판수납실(90)에 배열되어 수납된다. 보디(1a)의 측면에는 단자판수납실(90)과 통과하는 복수의 세로홈(93)이 마련되어 있고, 인접하는 한쌍의 세로홈(93, 93)을 통해서 연결부(33) 및 조작부(31)가 기체(1)의 밖에 배치된 상태에서 해제레버(30)가 보디(1a)에 부착된다. 보디(1a)내에서 한쌍의 세로홈(93, 93)과 전선삽입 구멍(91) 사이에 끼워진 부위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레버(30)의 회전운동시에 축부(35, 35)를 지지 하는 한쌍의 지지용 리브(92, 92)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스프링(50)은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판형상의 스프링 재를 구부림 가공해서 이루어지고, 기체(1)(보디(1a))의 내부벽에 맞닿는 당접편(51)과, 선단 근방에서 해제레버(30)에 맞닿는 스프링편(52)과, 스프링편(52)과 당접편(51)를 연결하는 대략 U자형상의 연결편(53)과, 당접편(5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갈고리형의 돌출편(54)을 갖는다. 또한 스프링편(52)은 해제레버(30)에 맞닿는 부위보다 선단측이 해제레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상기 맞닿음 부위보다도 연결편(53) 근방의 부위에서 해제레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스프링(50)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스프링(20)과 함께 단자판(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프링편(52)의 선단부(52a)가 해제레버(30)의 암부(34)에 마련되어 있는 위치결정부(37)에 위치 결정되어 해제레버(30)를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 부세하게 된다. 여기서, 스프링편(52)은 해제레버(30)에 맞닿는 부위보다 선단 근방의 부분이 해제레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므로, 보조스프링(50)의 선단 부분이 다른 부품이나 다른 보조스프링(5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제레버(30)에 맞닿는 부위보다 후단 근방의 부분(당접편(51))이 기체(1)의 내부벽에 맞닿아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편(52)의 선단부(52a)가 해제레버(30)의 암부(34)에 마련되어 있는 위치결정부(37)에 위치 결정되므로, 기체(1)내에서 보조스프링(50)을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스프링(50)의 스프링편(52)이 해제레버(30)에 맞닿는 부위보다 연결편(53) 근방의 부위에서 해제레버(30)로부 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스프링편(52)의 스토로크가 길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스프링(50)에 마련된 돌출편(54)이 단자판(10)의 주편(11) 근방까지 연장해서 보디(1a)의 개구면측에서 육안관찰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보조스프링(50)이 조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스프링(50)에 대해 전선의 반삽입 방향(도 12에 있어서의 하향)으로 맞닿는 부위(11a)가 단자판(10)에 마련되어, 보조스프링(50)이 전선의 삽입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속결단자장치에서는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계지부)(32)가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c)에 계지(래치)하는 회전운동위치까지 해제레버(30)가 회전운동시켜져 있다(이하, 이 회전운동위치를 「초기 위치」라 함). 해제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의 양단부가 한쌍의 압동부(36, 36)로 압동되어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가 접촉편(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휜 상태에 있다. 이 때 스프링편(22)의 탄성력과 보조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서 해제레버(30)가 반조작 방향(도 14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부세되지만, 판형상부(32)가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c)에 걸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제레버(30)는 초기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전선삽입 구멍(91)을 통해서 전선(200)의 도체(201)를 접촉편(12)과 스프링편(22)의 사이에 도입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통과부(14)를 통해서 도체(201)의 선단이 해제레버(30)의 판형상부(32)에 맞닿고, 판형상부(32)를 밀어 올려 판형상부(32)와 피계지부(12c)의 래치 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스프링편(22) 및 보조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탄성 부세되어 있던 해제레버(30)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스프링편(22) 선단의 쇄정부가 도체(201)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전선(200)이 빠짐 방지됨과 동시에 스프링편(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체(201)가 접촉편(12)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도체(201)는 한쌍의 가압부(12a, 12b)에 의해서 스프링편(22)쪽으로 가압되고, 쇄정부와 한쌍의 가압부(12a, 12b)의 가압력이 균형을 이루어 전선(200)이 협지된다. 또한 피계지부(12c)와의 계지가 해제될 때에 판형상부(32)가 피계지부(12c)에 끌려 소리가 발생한다. 여기서, 단자판(10)의 주편(11)에는 도체(201)의 선단을 삽입통과부(14)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안내부에 의해서 도체(201)를 확실하게 삽입통과부(14)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편(11)에 마련된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삽입통과부(14)에 있어서 피계지부(12c)와 대향하는 단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14a)을 안내부로 하고 있다(도 14 참조).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200)이 접속된 상태에서 조작부(31)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면, 지지용 리브(92, 92)에 지지된 축부(35, 35)를 지점으로 해서 해제레버(30)가 접속시와 반대 방향(도 15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압동부(33, 33)가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을 가압해서 도체(201)에 맞닿아 있는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를 도체(201)로부터 분리하도록 스프링편(22)을 휘게 해서 전선(200)의 빠짐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체(201)에 맞닿아 있는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가 다른 장소를 2개의 압동부(33, 33)로 가압하기 때문에,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 부하가 큰 경우에도 해제레버(30)의 조작력이 증대하지 않고, 또한 1개의 해제레버(30)로 1개의 잠금스프링(20)의 쇄정부밖에 눌러 움직이게 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쇄정부를 불필요하게 눌러 움직이게 하는 일이 없으므로 해제레버(30)의 조작성과 편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단자판(10)과 전선(200)의 접속이 완료하면 해제레버(30)의 조작부(31)가 초기 위치보다 아래쪽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판형상부(32)가 피계지부(12c)에 끌려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서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레버(30)를 전선(200)의 접속완료 표시에 겸용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해제레버(30)의 축부(35, 35)를 지지하는 지지용 리브(92, 92)에 의해서 압동부(36, 36)가 쇄정부로부터 받는 반발력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압동부(36, 36)를 사이에 두고 쇄정부(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선단)와 대향하는 위치에 지지용 리브(92, 9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압동부(36, 36)가 쇄정부로부터 받는 반발력에 의해서 해제레버(3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해제레버(30)는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가 다른 장소(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근방)를 한쌍의 압동부(36, 36)에 의해서 동시에 가압하고 있으므로, 쇄정부를 원활하게 눌러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해제레버(30)의 조작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동부(36, 36)에 있어서의 쇄정부와의 접촉면적이 작으면 쇄정부가 압동 부(36, 36)를 타고 넘어 버려, 해제레버(30)에 의한 해제가 불능으로 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동부(36, 36)가 쇄정부와 면이 닿는 돌출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쇄정부가 압동부(36, 36)를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해제레버(30)의 판형상부(32)에 잠금스프링(20)이나 보조스프링(50)의 탄성력이 작용해서 휘고, 창고 등에 초기 위치인 채 장기간 방치된 경우에 판형상부(32)가 크리프변형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레버(30)에 있어서 판형상부(32)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분(연결부(33))에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33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도 6(b) 참조), 판형상부(32)의 크리프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접지측 날받이 블럭(7) 및 전압측 날받이 블럭(8)의 각 단자판(10, 10)에 대해서는 이송 배선용을 포함시켜 각각 2개씩의 속결단자장치가 마련되고, 이들 2개의 속결단자장치는 동일한 단자판 수납실(90)에 배열되어 수납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해제레버(30)가 회전운동의 축과 직교하는 평면 X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6 참조), 각각의 속결단자장치를 구성하는 해제레버(30, 30)를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고, 해제레버가 비대칭인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조립의 작업성 향상이 도모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할 때에 해제레버(30)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운동되어 잠금스프링(20)이 소성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해제레버(30)의 회전운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이 해제레버(30)에 마련되어 있다. 이 규제 수단은 암부(34, 34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의 판형상부(32, 32)측의 단부에 마련된 규제오목부(38, 38)로 이루어지고, 해제레버(30)가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단자판(10)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간섭하는 것에 의해서 회전운동량을 규제하는 것이다(도 9 참조). 즉, 종래예에 있어서는 해제레버의 회전운동량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범위를 규제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된 경우에 스토퍼가 크리프 변형되어 버려, 해제레버가 동작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부(34, 34)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의 판형상부(32, 32)측의 단부에 마련된 규제오목부(38, 38)로 해제레버(30)의 회전운동량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된 스토퍼가 크리프변형에 의해서 회전운동량의 규제에 이상을 초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크리프변형에 의한 해제레버(30)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해제레버(30)의 조작부(31)는 수동조작을 위해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지만, 단순히 두께를 크게 하면 조작시에 기체(1)(보디(1a))와 간섭해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부(31)의 기체(1)와 대향하는 면에 기체(1)와의 간섭을 막기 위한 오목부(두께도피부(material escape part))(31a)가 마련되어 있고(도 14 참조), 오목부(31a)에 의해서 조작부(31)와 기체(1)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해제레버(30)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전선(200)의 접속시에 전선(200)의 피복(202)이 전선삽입 구멍(91)의 주위에 맞닿는 일이 있지만, 전선삽입 구멍(91)의 주위는 보디(1a)의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아 큰 하중이 가해지면 깨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1a)내에 있어서의 전선삽입 구멍(91)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1e)가 마련되어, 결선작업시에 전선삽입 구멍(91)의 주위가 전선(200)으로부터 받는 힘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스프링(50)이 마련되어 있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200)의 결선이 완료하면 판형상부(32)와 피계지부(12c)의 계지가 해제되어 해제레버(30)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지만,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이 압동부(36, 36)에 맞닿지 않기 때문에, 앞면을 연직아래쪽을 향해서 기체(1)가 유지되어 있던 경우, 보조스프링(50)이 없으면, 해제레버(30)가 자중으로 조작 방향으로 이동해 버려 접속완료 표시가 불명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보조스프링(50)으로 해제레버(30)를 상시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 부세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된 경우에도 판형상부(32)와 피계지부(12c)의 계지가 해제된 상태의 해제레버(30)가 자중으로 조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완료의 표시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피계지부(12c)는 삽입통과부(14)로 되는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돌기)를 구부려 일으킴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가공용의 금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피계지부(12c)로 되는 해당 돌기와 구멍(삽입통과부(14))의 주연의 사이의 간극을 어느 정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200)의 도체(201)가 상기 간극 S에 끼워져 접촉편(12)의 상측의 가압부(12b)로부터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계지부(12c)의 선단과 구멍(삽입통과부(14))의 주연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14b)를 삽입통과부(14)에 마련하고 있으며, 삽입통과부(14)에 삽입 통과한 전선(200)의 도체(201)가 간극 S′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계지부(12c)(가압부(12b))와 확실하게 맞닿게 하여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보조스프링(50)에 특징이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해서 배치되는 2개의 속결단자장치를 구성하는 2개의 보조스프링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보조스프링 블럭(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조스프링 블럭(50′)은 스프링 편(52′)과 연결편(53′)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보조스프링부가 당접편(51′)에 의해서 연결되는 형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디(1a)내의 단자판수납실(90)에 있어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보조스프링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용의 돌기부(1f)가 바닥벽으로부터 돌출해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레버(30)를 보디(1a)에 부착한 상태에서 한쌍의 보조스프링부의 사이에 돌기부(1f)를 꽂아 넣도록 하면, 보조스프링 블럭(50′)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단자판수납실(91)내에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당접편(51′)을 부분적으로 스프링편(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단자판(10)의 주편(11) 뿐만 아니라 당접편(13)에도 맞닿아져 있으므로(도 19 참조), 전선삽입시에 보조스프링 블럭(50′)이 어긋나거나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속결단자장치를 구성하는 2개의 보조스프링을 일체로 한 보조스프링 블럭(5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1과 같이 각각의 속결단자장치마다 보조스프링(50, 50)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는 보조스프링에 특징이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조스프링(60)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내에 있어서 단자판(10)에 대해 전선삽입 구멍(91)과 반대측, 즉 단자판(10)의 전방(도 20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고, 해제레버(30)를 전방에서 후방(도 20에 있어서의 위에서 아래)을 향해 누르는 것이다. 이 보조스프링(60)은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b)내에 고정되는 고정부(61)와, 고정부(61)로부터 연장되어 해제레버(30)와 맞닿는 부위(선단부)만이 해제레버(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된 역테이퍼형상의 스프링편(62)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다.
이와 같이 해서, 보조스프링(60)에 의해 해제레버(30)를 전방으로부터 탄성부세하는 것에 의해, 해제레버(30)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스프링(60)의 스프링편(62)이 해제레버(30)와 맞닿는 선단부만이 해제레버(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역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편(62)의 선단이 해제레버(30)의 조작시에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도 21(b) 참조). 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61)로부터 한쌍의 스프링편(62, 62)을 평행하게 연장해서 해제레버(30)를 2개의 스프링편(62, 62)으로 누르도록 하면, 해제레버(30)가 더욱 확실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와 같이 2개의 스프링편(62, 62)으로 각각 인접하는 2개의 속결단자장치의 해제레버(30, 30)를 탄성 부세하면,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61)에 대해 4개의 스프링편(62)을 마련해서 2개의 해제레버(30, 30)를 각 한쌍의 스프링편(62, 62)으로 탄성 부세하면, 해제레버(30, 30)를 확실하게 힘을 가함과 동시에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에서는 접지날받이 블럭(9)의 2개의 단자판(10′, 10′)이 기체(1)의 양측에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61)로부터 각각 반대측에 한쌍의 스프링편(62, 62)을 연장시켜 보조스프링(60)을 구성하면, 접지날받이 블럭(9)에 대응하는 2개의 속결단자장치에 있어서도 보조스프링의 부품점수를 삭감해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 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는 잠금스프링에 특징이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잠금스프링(20′)은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편(22)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에 쇄정부(23)가 마련됨과 동시에, 쇄정부(23)보다도 전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해제레버(30)의 압동부(36, 36)와 맞닿는 한쌍의 피압동부(24, 24)가 스프링편(22)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쇄정부(23)의 양측에 마련되고, 또한 보조스프링(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피압동부(24, 24)는 스프링편(22)의 선단 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단을 자른 후, 단이 잘라진 폭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스프링(25)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보조스프링(50)의 돌출편(54)을 제외한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쇄정부(23)에 맞닿은 도체(201)가 양측의 피압동부(24, 24)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도체(201)가 스프링편(22)의 폭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쇄정부(23)에 의해 확실하게 쇄정할 수 있고, 또한 피압동부(24, 24)가 해제레버(30)의 압동부(36, 3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쇄정부(23)를 도체(201)로부터 떼어놓을 때에 필요한 해제레 버(30)의 회전운동량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스프링(25)이 잠금스프링(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실시형태 5)
그런데, 실시형태 1∼4에서는 해제레버(30)에 의해서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접속완료 표시기능을 갖지 않는 해제레버(30)라도 조작성 및 편리성의 향상은 가능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제레버(30)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32)의 긴쪽방향 중앙에 있어서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c)(가압부(12b))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32a)가 마련되어 있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했을 때에도 오목부(32a)에 의해서 판형상부(32)가 피계지부(12c)에 걸어 고정되지(래치) 않고, 따라서, 실시형태 1∼4와 같이 전선의 접속완료 표시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제레버(30)라도 도체(201)에 맞닿아 있는 쇄정부(스프링편(22)의 선단)가 다른 장소를 2개의 압동부(33, 33)로 가압하기 때문에, 잠금스프링(20)의 스프링 부하가 큰 경우에도 해제레버(30)의 조작력이 증대하지 않고, 또한 1개의 해제레버(30)로 1개의 잠금스프링(20)의 쇄정부만 밀어 움직이게 하기 때문에, 다른 쇄정부를 불필요하게 눌러 움직이게 하는 일이 없으므로 해제레버(30)의 조작성과 편리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점에 변함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해제레버(30)는 조작되었을 때에 전선(도체(201))과 맞닿는 부위, 즉 판형상부(32)의 선단부(도 27(a), (b)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제외하는 부위가 양단부보다도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32)의 선단부가 오목하게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판형상부(32)와 도체(201)의 거리가 길게 되고, 그 결과, 해제레버(30)의 회전운동량이 증가하여 조작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보디(1a)의 단자판 수납실(90) 근방에 있어서의 개구면에는 조립시에 단자판(10)이나 해제레버(30)를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 경사면(90a)이 형성되어 있지만(도 2(a) 참조), 이 경사면(90a)에 의해서 보디(1a)와 커버(1b)의 대향면에 단차 d가 생기고(도 30 참조), 이 단차 d(기체(1)의 내벽)에 판형상부(32)의 단부가 간섭하여 해제레버(30)의 움직임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부(32)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단차 d와 대향하는 부위에, 선단을 향해서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2b)을 형성하여, 보디(1a)와 커버(1b)의 대향면에 단차 d에 판형상부(32)의 단부가 간섭하지 않도록 해서, 해제레버(30)의 움직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레버(30)에 판형상부(32)를 마련하지 않으면,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에 대한 릴리이프나 기체(1)의 내벽(단차 d)과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는 없지만,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판형상부(32) 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전선에 맞닿은 쇄정부의 다른 장소를 해당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은 방향으로 동시에 밀어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압동부를 해제레버에 구비하고 있어, 쇄정부의 스프링 부하가 큰 경우에도 해제레버의 조작력이 증대하지 않고, 또한 해제레버에서는 하나의 쇄정부밖에 밀어 움직여지지 않기 때문에 다른 쇄정부를 불필요하게 밀어 움직이게 하는 일이 없으므로, 해제레버의 조작성과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단자판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간섭하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가 압동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된 스토퍼가 크리프변형에 의해서 회전운동량의 규제에 이상을 초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크리프변형에 의한 해제레버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해제레버가 회전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고 해당 회전운동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해제레버가 비대칭인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조립의 작업성향상이 도모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압동부가 쇄정부로부터 받는 반발력을 기체에 마련된 지지용 리브에 의해 받을 수 있고, 또한 지지용 리브가 압동부를 사이에 두고 쇄정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해제레버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레버에 있어서 계지부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분에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가 마련되었으므로, 계지부의 크리프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압동부가 쇄정부와 면이 닿는 돌출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쇄정부가 압동부를 타고 넘어 해제레버에 의한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기체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선삽입 구멍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결선 작업시에 전선삽입구멍의 주위가 전선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전선삽입 구멍으로부터 기체내에 도입된 전선이 단자판의 삽입통과부에 삽입 통과된 후에 해제레버의 계지부를 눌러 피계지부와의 계지를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단자판에 마련된 안내부에 의해서 전선을 확실하게 삽입통과부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피계지부의 선단과 상기 구멍의 주연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가 상기 삽입통과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삽입통과부에 삽입 통과된 전선을 확실하게 피계지부와 맞닿게 하여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힘을 부가하는 보조 스프링을 구비했으므로, 계지부와 피계지부의 계지가 해제된 상태의 해제레버가 자중으로 조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완료의 표시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레버에 맞닿는 부위보다도 선단 부근의 부분이 해제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보조스프링의 선단 부분이 다른 부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스프링의 스프링편이 해제레버에 맞닿는 부위보다 연결편 부근의 부위에서 해제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스프링편의 스토로크가 길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보디의 개구면측으로부터 육안관찰 가능한 돌출편이 상기 보조스프링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조스프링이 조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스프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해제레버에 마련했으므로, 기체내에서 보조스프링을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내부벽 및 단자판에 맞닿는 당접편이 보조스프링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선삽입시에 보조스프링이 어긋나거나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의하면, 잠금스프링에 있어서, 스프링편의 폭방향 중앙에 쇄정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쇄정부보다도 전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해 제레버의 압동부와 맞닿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스프링편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쇄정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선을 쇄정부에서 확실하게 쇄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제레버의 회전운동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스프링이 잠금스프링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에 의하면, 전선을 쇄정부에서 확실하게 쇄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제레버의 회전운동량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제레버에 있어서의 기체내벽과 대향하는 부위에, 해당 기체내벽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내벽과 간섭해서 해제레버의 이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제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전선과 맞닿는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도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했으므로, 해제레버가 전선에 맞닿을 때까지의 회전운동량이 증가하여 조작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제레버가 복수의 상기 압동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판형상부를 갖고, 해당 판형상부와 조작부와 축부와 압동부가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서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제레버를 용이하게 제조 가능함과 동시에 판형상부를 마련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20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속결단자장치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1 내지 복수의 상기 속결단자장치를 수납하는 기체를 구비했으므로, 해제레버의 조작성과 편리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배선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배선기구의 기체에 뚫어 마련한 전선삽입구멍을 통해서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끼움과 동시에 쇄정부가 상기 전선에 맞닿아 빠짐 방지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한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내에 축지지되어 상기 조작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지점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할 때에 탄성력에 대항해서 상기 접속 수단의 전선에 맞닿은 상기 쇄정부의 다른 장소를 상기 전선으로부터 떼어 놓은 방향으로 동시에 눌러 움직이게 하는 복수의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제 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기 조작부가 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운동위치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를 래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선삽입 구멍을 통해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판과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레버는 빠짐 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단자판의 단부가 끼워 넣어져 간섭하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가 압동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마련됨과 동시에, 회전운동하는 상기 해제레버의 회전축에 수직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동부를 사이에 두고 쇄정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해제레버의 회전운동시에 축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리브가 상기 기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단자판에 마련된 피계지부와, 상기 해제레버에 마련되어 상기 피계지부에 걸어고정됨과 동시에 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서 눌러져 피계지부와의 계지가 해제되는 계지부를 갖고,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축부, 압동부, 조작부, 계지부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계지부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분에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동부는 상기 쇄정부와 면이 닿는 돌출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선삽입 구멍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부에 걸어고정된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전선을 삽입 통과하는 삽입통과부와, 상기 삽입통과부에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부에 걸어 고정된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상기 단자판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전선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통과부와, 상기 단자판을 관통하는 구멍의 주연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구부려 일으켜서 이루어지는 상기 피계지부가 마련되고, 피계지부의 선단과 상기 단자판을 관통하는 구멍의 주연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가 상기 삽입통과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힘을 부가하는 보조스프링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링은 띠판형상의 스프링재를 구부림 가공해서 이루어지고, 해제레버에 맞닿는 부위보다 선단 부근의 부분이 해제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벽에 맞닿는 당접편과, 선단근방에서 해제레버에 맞닿는 스프링편과, 상기 스프링편과 당접편을 연결하는 U자형상의 연결편을 갖고, 상기 스프링편이 해제레버에 맞닿는 부위보다도 연결부근의 부위에서 해제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바닥벽에 상기 전선삽입구멍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단자판과 해제레버와 보조스프링이 수납되는 수납구간을 갖는 상자형의 보디와, 상기 보디의 개구면을 막는 형태로 보디와 결합되는 상자형의 커버로 이루어지고,
    보디의 개구면측으로부터 육안관찰 가능한 돌출편이 상기 보조스프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보조스프링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벽 및 단자판에 맞닿는 당접편과, 선단근방에서 해제레버에 맞닿는 스프링편과, 상기 스프링편과 당접편을 연결하는 U자형상의 연결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U자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마련된 상기 쇄정부를 갖는 잠금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잠금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협지함과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잠금스프링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 중앙에 상기 쇄정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쇄정부보다도 전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해제레버의 압동부와 맞닿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쇄정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U자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마련된 상기 쇄정부를 갖는 잠금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잠금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협지함과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잠금스프링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스프링이 상기 잠금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 중앙에 상기 쇄정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쇄정부보다도 전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상기 해제레버의 압동부와 맞닿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쇄정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에 있어서의 기체 내벽과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기체 내벽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전선과 맞닿는 부위를, 다른 부위보 다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복수의 상기 압동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판형상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부와 조작부와 축부와 압동부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단자장치.
  21. 제 1 항 및 제3항 내지 20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속결단자장치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상기 속결단자장치를 수납하는 기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KR1020070024503A 2006-03-15 2007-03-13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KR100887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1506A JP4830556B2 (ja) 2005-10-26 2006-03-15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JPJP-P-2006-00071506 2006-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858A KR20070093858A (ko) 2007-09-19
KR100887791B1 true KR100887791B1 (ko) 2009-03-09

Family

ID=3868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503A KR100887791B1 (ko) 2006-03-15 2007-03-13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87791B1 (ko)
CN (1) CN100527530C (ko)
TW (1) TWI32025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3809B2 (en) 2013-10-29 2016-02-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Terminal block
US9653861B2 (en) 2014-09-17 2017-05-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terconnection of hardware components
RU2772972C2 (ru) * 2020-09-07 2022-05-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Силовая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электроника"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многоконтакт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ммутато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1837B2 (ja) * 2009-12-04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FR2955978A1 (fr) * 2010-02-01 2011-08-05 Schneider Electric Ind Sas Borne elastique de raccordement a levier
JP5958680B2 (ja) * 2010-09-14 2016-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
DE102013101409B4 (de) * 2013-02-13 2022-01-2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TWI634712B (zh) * 2016-08-25 2018-09-01 德商鳳凰康特公司 Terminal clamp
CN109975587B (zh) * 2019-03-20 2024-04-05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带互感器快速安装结构的电能表
CN114243368A (zh) * 2021-11-01 2022-03-25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防误接高压旁路带电作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948Y1 (ko) 2001-07-18 2001-11-17 이선미 전선 접속구
JP2005339973A (ja) *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装置
JP2006066223A (ja) *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948Y1 (ko) 2001-07-18 2001-11-17 이선미 전선 접속구
JP2005339973A (ja) *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装置
JP2006066223A (ja) *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3809B2 (en) 2013-10-29 2016-02-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Terminal block
US9653861B2 (en) 2014-09-17 2017-05-16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Interconnection of hardware components
RU2772972C2 (ru) * 2020-09-07 2022-05-3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Силовая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электроника"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многоконтакт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ммутато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5836A (en) 2008-01-16
TWI320251B (en) 2010-02-01
CN101038987A (zh) 2007-09-19
KR20070093858A (ko) 2007-09-19
CN100527530C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791B1 (ko)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JP6698752B2 (ja) 導体接続端子
US20090098768A1 (en) Electric connector
CN111684664B (zh) 连接器
EP1357640B1 (en) Electric wire connecting connector
EP3547461B1 (en) Terminal block and vehicular device
US20200251842A1 (en) Flat-conductor connector
JP2021144930A (ja) 導体接続端子
KR101021731B1 (ko) 작동성이 우수한 로킹 기구를 갖는 커넥터
US20200259273A1 (en) Electrical connector
JP4830556B2 (ja)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JP2012094381A (ja) 電気接続箱
US7829809B2 (en) Switching device with snap-fit housing
JP353913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6275104B2 (ja) コネクタ構造
JPH09223527A (ja) 導通クリップ
KR100290210B1 (ko) 모듈러잭
JP4965857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JP2008277035A (ja) コネクタ装置
JP3975897B2 (ja)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JP7202673B2 (ja) コネクタ
KR100851094B1 (ko) 속결 단자 장치
CN112688105B (zh) 连接器
JP4139287B2 (ja) 電気接続箱
JP3975896B2 (ja)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