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210B1 - 모듈러잭 - Google Patents

모듈러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210B1
KR100290210B1 KR1019970053521A KR19970053521A KR100290210B1 KR 100290210 B1 KR100290210 B1 KR 100290210B1 KR 1019970053521 A KR1019970053521 A KR 1019970053521A KR 19970053521 A KR19970053521 A KR 19970053521A KR 100290210 B1 KR100290210 B1 KR 10029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or
modular jack
modul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170A (ko
Inventor
요시히로 쇼오가키
카즈오 나카히
히로시 우메야마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2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모듈러 플러그를 삽입하기 쉬운 모듈러 잭을 제공한다. 커버(20)는 전면의 중앙부에 돌출대(23)을 가지고, 돌출대(23)의 중앙부와 한쌍의 계지조(25)가 형성된 일단부와의 사이에 플러그 삽입구(26)가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A)는 커버(20)와 바디(10)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커버(20)에 마련한 플러그 삽입구(26)와 가운데틀(400)과의 사이에는 플러그 삽입구(26)를 개폐하는 문(3)이 설치된다. 문(3)은 복귀 용수철(39)에 의해서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Description

모듈러 잭
본 발명은 모듈러 잭에 관한 것이며, 특히 매입형의 배선기구와 같은 시공을 할 수 있는 케이스를 갖춘 모듈러 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모듈러 잭은 커버와 바디를 결합한 케이스가 형성되고, 이 커버의 전면 중앙부에 플러그 삽입구가 개구하고, 플러그삽입구를 개폐하는 문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문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문체(301,302)를 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문체(302)는 문체(301)의 외면측에 배치되고, 문체(301)의 외면측에는 조작편(303)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문체(301)를 열 때 조작편(303)이 문체(302)에 당접함으로써 문체(302)도 동시에 열리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모듈러 잭의 케이스는, 커버(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문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문에, 종래의 모듈러 잭에서는 1개소에서 복수의 모듈러 플러그를 접속하기위해서 2개 또는 3개의 모듈러 잭을 대각형 연용(連用) 배선기구의 부착틀에 부착할 경우, 문의 개폐 방향이 다른 모듈러 잭의 설치방향과 같게 되므로, 모듈러 플러그의 삽입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유를 감안하여 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모듈러 플러그를 삽입하기 쉬운 모듈러 잭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실시형태1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1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배면도, (e)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2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2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3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3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3을 나타내는 일부파단된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3의 케이스를 부착플레이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측단면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11은 부착 플레이트와 화장 플레이트를 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동(上同)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동의 부착플레이트에 케이스가 설치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상동의 환형박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동의 케이스의 환형박스의 배치 설명도이다.
도 16은 종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
3 문 10 바디
20 커버 39 복귀 용수철
40 가운데틀 50 인서트 블록
A 케이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가 전면에 개구한 케이스와, 케이스내의 정위치(定位置)에 고정되어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서 케이스내에 삽입된 모듈러 플러그의 접촉자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용수철을 가지는 인서트 블록을 구비하고, 케이스는, 플러그 삽입구가 전면에 개구하는 커버와, 커버의 후면에 결합하는 바디에 의해 구성함과 동시에 매입형의 배선기구용의 부착틀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양측면에 가지며, 커버의 후면측과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에는, 플러그 삽입구를 따라 상기 양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 삽입구를 개폐하는 문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모듈러 잭을 연설(連設)하여 부착틀에 설치할 경우에는 문의 개폐방향이 다른 모듈러 잭의 연설방향과 직교하기 때문에 모듈러 플러그의 삽입이 하기 쉽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의 1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설치할 수가 있어, 콘센트 등 다른 배선기구와의 연설도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의 3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하여, 인서트 블록, 플러그 삽입구, 문을 각각 2개 가지기 때문에 2개의 모듈러 플러그를 접속할 수가 있는 것이고, 2개의 모듈러 플러그를 1개소에서 접속할 필요가 있을 경우의 부착 시공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문은 개폐방향에서의 폭치수가 이 개폐방향에서의 플러그 삽입구의 폭치수 보다도 크게 설정된 한 장의 문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2장의 문의 경우와 비교해서 문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내에 문을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복귀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설치상태에 관계없이 문이 닫혀 있으므로 먼지가 접촉 용수철에 부착한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사용시에 있어서의 전송(傳送)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복귀수단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수단을 비교적 저코스트로 구성할 수가 있어, 모듈러 잭 전체의 저 코스트화를 꾀할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문은, 상기 문의 개폐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한쌍의 용수철 수편(受片)이 있고, 양 용수철 수편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측이 감입되어 용수철 자리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을 2개 마련함에 따라 문의 개폐 동작이 안정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의 후면측에는 코일 스프링의 굴곡을 방지하는 누름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이 굴곡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어 문의 개폐 동작이 안정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의 발명에 있어서, 누름판은 커버의 후면측과의 사이에 적어도 한쌍의 코일 스프링을 개재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조립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누름판은 대략 ″ㄷ″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러 삽입구에 대하여 거추장스럽게 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는, 네모 모양의 외주 테두리에 전면이 개구한 밑이 있는 대략 원통모양의 매입형 박스에 부착가능해지도록 테이퍼를 가지는 챔퍼(chamfer)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이 개구된 밑이 있는 대략 원통모양의 매입형 박스에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는, 네모 모양의 외주 테두리의 4 모퉁이에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전면이 개구한 밑이 있는 대략 원통모양의 매입형 박스에 설치할 수 있고, 4 모퉁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매입 박스의 배치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바디에는, 인서트블록의 접촉 용수철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동시에 바디에 형성된 전선 삽입통과구멍으로 부터 삽입되는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편과, 단자편에 전선을 압접(壓接) 접속하는 잠금용수철로 구성되는 속결(速結)단자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이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접속있으므로 균일한 결선과 성 시공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배선기구용의 부착틀에 마련한 유지구멍에 삽입되는 계지조(係止爪)이므로 콘센트나 스위치 등의 배선기구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시공할 수가 있어 시공업자에 있어서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전면이 후면 방향으로 경사되는 돌기부이기 때문에, 청구항 14의 발명에 비하여 부착부가 꺾이기 어렵게 되어, 시공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바디의 후면에는, 각 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을 바디의 후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할 수가 있는 장력제거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더라도 케이스내의 전선의 단부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전선과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모듈러 잭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듈러 잭의 케이스(A)는, 규격화된 매입형의 배선기구용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의 1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A)는, 합성 수지제(예컨데, ABS 수지)의 바디(10)와, 합성 수지제(예컨대, ABS 수지)의 커버(20)를 결합하여 형성한다. 즉, 바디(10)의 양측 테두리에 돌출 설치된 플랜지(11)에 마련한 결합구멍(12)에, 커버(20)의 양측부에서 바디(10)를 향하여 돌출 설치된 결합다리(21)를 삽통하고, 결합다리(21)의 선단부에 마련한 후크(22)를 결합구멍(12)의 둘레 테두리에 계지(係止)함으로써 바디(10)와 커버(20)가 결합되는 것이다.
케이스(A)에는, 상기 부착틀의 부착부로서 금속제 부착틀의 유지클릭이 계합(係合)하는 부착구멍(24)과, 합성 수지제 부착틀의 유지구멍에 계합하는 계지클릭(25)이 각각 커버(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틀에 케이스(A)를 3개까지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바디(10)에는 6개의 단자 수납실(13)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수납실(13)에는 속결(速結) 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60)가 내장 된다. 단자(60)는 대략 ″ㄷ″형으로 형성된 단자틀(66) 속에 잠금 용수철(67)을 설치한 구조이고, 잠금 용수철(67)은 단자틀(66)과 잠금 용수철(67)과의 사이에, 단자 수납실(13)의 밑바닥부에 천공된 전선 삽입 통과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된 전선에 먹어 들어가 빠지지 않게 한 잠금편과 전선에 탄접(彈接)하는 접촉편를 갖추고 있다. 단자틀(66)의 중앙편(中央片)에는, 한쪽의 각편(脚片)에 직교하는 형으로 접속편(66a)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접속편(66a)의 선단부는 단자수납실(13)의 둘레벽에 형성된 안내구(案內溝)(14)에 도입된다. 또한, 단자수납실(13)의 밑바닥부의 일부에는, 각 한쌍의 전선 삽입 통과구멍(도시하지 않음)의 근방부위를 단자수납실(13)의 안쪽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해제편(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4참조). 따라서, 단자틀(66)과 잠금 용수철(67)과의 사이에 전선을 협지 한 상태에서, 해제편(17)을 단자 수납실(13)의 안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해제편(17)의 일부로 잠금 용수철(67)을 휘게 하여 전선과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고, 전선 삽입 통과구멍(도시하자 않음)으로부터 전선을 용이하게 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바디(10)의 후면에는 대략 L형의 장력 제거부(19)(도 2(d) 참조)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전선 삽입 통과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된 전선을 바디(10)의 후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함에 따라, 전선에 대하여 케이스(A)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장력이 케이스(A) 내의 전선의 단부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바디(10)에 수납된 상기 단자의 전면측에는 인서트 블록(50)이 설치된다. 여기에, 인서트 블록(50)은 후술의 모듈러 플러그의 접촉자에 탄접하는 6개의 접촉 용수철(53)을 갖추고, 각 접촉 용수철(53)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대략 ″L″형의 6개의 리드판(54)이 인서트 기체(基體)(51)의 대략 ″ㄷ″형 부위의 양 각편(51a)의 측면으로부터 3개씩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인서트 블록(50)은 합성 수지로 되는 인서트 기체(51)에 대하여 도전(導電)부재를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있다. 각 리드판(54)에는 선단부(54a)의 선단테두리에 따라 개방된 압접 슬릿(54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편(66a)가 인서트 블록(50)에 마련한 리드판(54)의 압접 슬릿(54b)에 도입되게 됨에 따라, 인서트 블록(50)의 접촉 용수철(53)과 단자(6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 바디(10)에는, 전술한 전선 삽입 통과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각 단자(60)에 대하여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에 설치된 인서트 블록은(50)은 인서트기체(51)의 양 각편(51a)끼리의 연결부에서 돌출 설치되어 전술한 접촉 용수철(53)이 돌출하는 접속부(52)가, 모듈러 플러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42)을 가진 가운데틀(40)에 계합함으로써 가운데틀(40)과 결합된다. 또, 가운데틀(40)의 후단부에는, 각 접촉 용수철(53)의 선단부를 각별히 분리 배치하도록 빗살모양의 분리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20)는, 전면의 중앙부에 돌출대(23)을 가지고, 돌출대(23)의 양측면에는 각각 전술한 부착구멍(24)이 천설되고, 또 커버(20)의 양측 테두리에는 전술한 각 한쌍의 계지클릭(2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돌출대(23)의 중앙부와 한쌍의 계지클릭(25)이 형성된 일단부와의 사이에는 모듈러 플러그를 삽입하는 플러그 삽입구(26)가 개구되어 있고, 이 플러그 삽입구(26)를 통해서 모듈러 플러그(예컨대, FCC 규격 PART 68에서 규정하는 6극6심의 모듈러 플러그 등)가 케이스(A)에 삽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문(3)을 한 장의 문으로 할 수 있다.
커버(20)에 설치된 플러그 삽입구(26)와 가운데틀(40)과의 사이에는, 플러그 삽입구(26)를 개폐하는 합성 수지제(예컨데 ABS 수지제)의 문(3)이 설치된다. 문(3)의 외측면에는 양측부에서 각각 돌출 설치된 가이드 리브(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리브(36)를 커버(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구(23a)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도입함으로써, 플러그 삽입구(26)를 따라 이동하여 플러그 삽입구(26)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문(3)의 양측 테두리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된 복귀 용수철(39)이 당접하는 용수철받음편(34)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문(3)은, 양 용수철받음편(34)에 돌출 설치된 용수철 자리(35)에, 문(3)을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상기 복귀 용수철(39)의 일단측이 감입된다. 또 문(3)의 외면측에는 조작편(33)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조작편(33)을 조작하는(도 2(a)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복귀 용수철(39)의 용수철힘에 저항하여 문(3)이 열리고, 조작을 해제하면 복귀 용수철(39)의 복귀력에 의해서 문(3)이 닫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문(3)을 연 상태에서 플러그 삽입구(26)로부터 케이스(A) 내로 삽입되는 모듈러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가이드구멍(42)으로 도입되고, 모듈러 플러그의 접촉자가 인서트 블록(50)의 접촉 용수철(53)에 탄접한다. 한편, 모듈러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26)로부터 뽑으면, 문(3)이 복귀 용수철(39)의 복귀력에 의해 닫힌다. 요컨대, 케이스(A)의 부착방향에 관계없이 문(3)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문(3)이 닫혀 있기 때문에, 접촉 용수철(53)에 먼지 등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시에 있어서의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그런데, 커버(20)의 후면측에는, 커버(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복귀 용수철(39)을 개재시키는 대략 ″ㄷ″형의 누름판(38)이 설치된다. 따라서, 누름판(38)에 의해 복귀 용수철(39)의 굴곡을 막을수 있기 때문에, 문(3)의 개폐 동작이 안정된다.
한편 15는 인서트 블록(50)을 바디(1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돌기이다.
(실시형태2)
본 실시형태의 모듈러 잭을 도 5, 도 6에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1과 대략 같기 때문에 동일의 구성요소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듈러 잭은, 케이스(B)가 규격화된 매입형의 배선기구용의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한 단위 치수의 매입형의 배선기구의 3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구(26)를 2개 갖추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 케이스(B)는 합성 수지제(예컨대 ABS 수지제)의 바디(10')와 합성 수지제(예컨대 ABS 수지제)의 커버(20')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케이스(B)를 부착 시공하면 2개의 모듈러 잭을 접속할 수가 있는 것이고, 2개의 모듈러 플러그를 1개소에서 접속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부착시공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형태3)
본 실시형태의 모듈러 잭을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1과 대략 같기 때문에 도 2의 구성요소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D)는, 합성 수지제(예컨데 ABS 수지제)의 바디(110)와, 합성 수지제(예컨대 ABS 수지제)의 커버(120)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모듈러 잭은, 실시형태1과 같은 복귀 용수철(39)(도 1 참조)이나 누름판(38)(도 1 참조)을 갖추고 있지 않고, 문(3)의 조작편(33)이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모듈러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26)로부터 뽑으면 문(3)의 자체 무게에 의해서 문(3)이 닫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인서트 블록(50)의 접촉 용수철(53)에 먼지 등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용수철(39), 누름판(38)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어 저 코스트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케이스(D)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예컨대 ABS 수지 등)의 부착 플레이트(80)에 설치된다. 여기에, 케이스(D)의 긴쪽방향의 양측면에는,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전면이 후면방향으로 경사하는 계지클릭(125)(돌기부)이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D)는 부착 플레이트(80)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부착 플레이트(80)와 대략 같은 형상이고 케이스(D)가 설치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의 부착 플레이트(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착 플레이트(8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창(開口窓)(81)의 테두리 배면측에 개구창(81)의 긴쪽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띠모양의 고정양부(固定梁部)(84)와 나란히 가동양부(可動梁部)(85)가 마련되어 있다. 가동양부(85)는 부착 플레이트(80')의 긴쪽방향을 따른 한쌍의 옆틀편(83a,83b)의 한쪽의 옆틀편(83b)에서 떨어지고, 또한 연결부(86)에 의해 그 양단에서 옆틀편(83b)에 일체로 연결되고 있다.
또한, 옆틀편(83b)에서 일체로 연장하여 설치된 폭이 좁은 한쌍의 리브(87)에 의해서 가동양부(85)가 지지되어 있고, 가동양부(85)와 옆틀편(83b)과의 사이에 생긴 간격이 상기 리브(87)에 의해서 3개의 부분(이하, 각 부분을 슬릿 8a∼8c라고 부름)으로 분할되어 있다. 게다가, 옆틀편(83b)의 각 리브(87) 근방의 부위에는, 가동양부(85)를 휘기 쉽게 한 긴 구멍모양의 틈(9)이 한쌍 마련되어 있다.
고정양부(84), 가동양부(85)에는, 케이스(D)의 옆테두리에 돌출 설치된 계지클릭(125)이 계지하는 계지홈(84a,85a)을 각각 같은 피치로 6개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부착 플레이트(80')에 케이스(D)를 설치할 때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80')의 후방에서 부착 플레이트(80')에 케이스(D)의 한쪽의 옆테두리로부터 돌출 설치한 계지클릭(125)을 가이드부(84)의 테이퍼면(84e)을 따라 이동시켜 계지홈(84a)에 삽입하고, 케이스(D)를 후방에서 밀어넣으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쪽의 옆테두리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계지클릭(125)이 가이드부(85)의 테이퍼면(85e)을 따라 이동하고,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클릭(125)이 계지홈(85a)에 계지됨에 따라 케이스(D)를 부착 플레이트(80')에 끼워넣을 수 있고, 이 때, 케이스(D)의 전면측이 개구창문(81)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런데, 고정양부(84)와 더불어 및 가동양부(85)의 기부(基部)와 부착 플레이트(80')의 개구창(81)의 끝테두리와의 사이에는, 계지클릭(125)을 각 계지홈(84a,85a)에 계지시킨 상태에서 케이스(D)의 전면측의 일부에 당접하는 당접부(84d,85d)가 마련되어 있어, 케이스(D)가 전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당접부(84d,85d)에 의하여 규제할 수가 있다.
한편, 부착 플레이트(80')로부터 케이스(D)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고정양부(84)의 각 계지홈(84a)의 사이에 천설된 기구빼기구멍(84c)에, 드라이버나 떼어내기 전용의 치구 등의 선단 부분을 삽입하여, 치구의 선단부분으로 케이스(D)를 가동양부(85)측으로 눌러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적은 힘으로 가동양부(85)를 풀 수 있고, 고정양부(84)측의 계지홈(84a)과 케이스(D)의 계지클릭(125)과의 계지를 해제하여 부착 플레이트(80')로 부터 케이스(D)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구창(81)을 둘러싸는 옆틀편(83a,83b)에 직교하는 각 연결편에는,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고, 각 오목부(82)에는 부착 플레이트(80')를 스위치 박스 등의 매입박스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박스나사를 삽입통과하는 긴구멍(88)이 천공되고, 부착 플레이트(80')를 벽면 등의 조영면(造營面)에 바로 붙이기 위한 나사가 삽입통과되는 나사 삽입통과 구멍(89)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패널 등에 설치할 때 사용하는 집게 철물이 설치될 수 있도록 철물부착구멍(184)이 천설되어 있다.
또한, 부착 플레이트(80')의 네 구석에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화장 플레이트(100)의 배면에서 돌출 설치한 계지돌기(103)(도 12참조)를 계지하는 화장 플레이트 계지공(189)이 마련되어 있어, 부착틀 플레이트(80')의 전면측에 화장 플레이트(100)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화장 플레이트(100)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장 플레이트(100)의 대략 중앙에는, 부착 플레이트(80')에 부착된 케이스(D)의 전면측을 노출하는 개구창(101)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화장 플레이트(100)의 폭치수는, 부착 플레이트(80')의 각 폭치수보다도 크게 하고 있어, 조영면에 설치한 부착 플레이트(80')의 전면측에 화장 플레이트(100)를 부착할 때, 부착플레이트(80')가 화장 플레이트(100)의 안쪽으로 둘어가 화장 플레이트(100)의 둘레벽의 선단테두리가 조영면에 거의 당접하게 된다. 또, 화장 플레이트(100)의 둘레벽의 안쪽에는, 부착 플레이트(80')에 설치한 상태로 화장 플레이트(100)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리브(104a,104b,104c)를 복수열 설치하고있다(도 12참조). 또한, 화장 플레이트(100)의 배면측에는, 부착 플레이트(80')에 부착하였을 때에 부착 플레이트(80')의 슬릿(8a∼8c)에 각각 감입되는 돌조편(突條片)(108a∼108c)이 열지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돌조편(108a∼108c)의 치수는, 부착 플레이트(80')의 각 슬릿(8a∼8c)에 감입된 상태로 슬릿(8a∼8c)의 내주면과 각 돌조편(108a∼108c)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 밖에 생기지 않도록 한 치수로 설정하고 있고, 부착 플레이트(80')의 가동양부(85)의 움직임(풀림)이 규제되게 되어 있어서, 케이스(D)의 계지클릭(125)과 가동양부(85) 및 고정양부(84)의 계지홈(85a,84a)과의 계지가 벗겨지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착 플레이트(80')로부터 화장 플레이트(100)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화장 플레이트의 긴쪽방향에 따른 한쪽의 측벽에 형성된 절결부(切缺部)(106)에 치구(드라이버의 선단 등)를 집어넣어 부착 플레이트(80')의 전면측으로 힘을 가하여 계지돌기(103)와 화장 플레이트 계지구멍(189)과의 계지를 해제하고 화장 플레이트(100)를 부착플레이트(80')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치구를 받아서 벽면이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187)와 도망가지 않게 하는 오목부(186)를 부착 플레이트(80')의 측부에 마련하고 있다.
상기 부착 플레이트(80')에 있어서는, 고정양부(84) 및 가동양부(85)의 각 계지홈(84a,85a)을 모두 같은 피치로 6개씩 마련함으로써 부착 플레이트(80')의 개구창(81)에 대한 케이스(D)의 부착위치를 여러 가지 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모듈러 잭의 케이스(D)는, 커버(120)의 네모 모양의 외주테두리에, 도 14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전면이 개구한 밑이 있는 대략 원통모양(전면 개구의 지름이 밑바닥부의 지름보다도 큰 외형이 대략 원추대 모양)의 매입형 박스(130)(소위 C형 환(丸) 박스)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연설하여 부착 가능하도록 테이퍼를 갖는 챔퍼부(1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매입형 박스(130)에 설치할 수 있고, 네모퉁이에 챔퍼부(1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매입형 박스(130)에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케이스(D)는, 상기 매입형 박스(130)를 2개 배치한 경우에, 케이스(D)의 전면측이 상기 매입형 박스(130)의 전면의 개구면보다도 돌출하여 조영면보다도 돌출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매입형 박스(130)의 저면 및 측면에는 전선 삽입통과용의 구멍(132,133)이 형성되고, 측면의 전면(前面) 측에는 전 둘레에 걸쳐 칼날부(鍔部)(13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가 전면에 개구한 케이스와, 케이스내의 정위치에 고정되고 삽입구를 통해서 케이스내로 삽입된 모듈러 플러그의 접촉자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 용수철을 가지는 인서트 블록을 구비하며, 케이스는, 플러그 삽입구가 전면에 개구하는 커버와, 커버의 후면에 결합하는 바디로 구성됨과 동시에 매입형 배선기구용의 부착틀에 설치할 수 있는 부착부를 양 측면에 가지며, 커버의 후면측과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에는, 플러그 삽입구를 따라 상기 양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 삽입구를 개폐하는 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러 잭을 연설하여 부착틀에 설치한 경우에는 문의 개폐방향이 다른 모듈러 잭의 연설방향와 직교하기 때문에, 모듈러 플러그의 삽입이 쉽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 치수의 매입형의 배선기구의 1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설치할 수 있어, 콘센트 등의 다른 배선 기구와의 연설도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 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의 3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되고, 인서트 블록, 플러그삽입구, 문을 각각 2개 갖기 때문에 2개의 모듈러 플러그를 접속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2개의 모듈러 플러그를 1개소에 접속한 필요가 있을 경우에 부착시공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문은, 개폐 방향으로의 폭치수가 상기 개폐방향으로의 플러그 삽입구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된 한 장의 문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2장의 문인 경우와 비교하여 문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내에 문을 닫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복귀수단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설치상태에 관계없이 문이 닫혀 있기 때문에 먼지가 접촉 용수철에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사용시에 있어서의 전송의 신뢰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복귀수단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수단을 비교적 저코스트로 구성할 수가 있어서 모듈러 잭 전체의 저 코스트화를 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문은 이 문의 개폐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한쌍의 용수철받이편을 가지며, 양 용수철받이편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측이 감입되는 용수철 자리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을 2개 마련하는 것에 의해 문의 개폐동작이 안정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의 후면측에는 코일 스프링의 굴곡을 방지하는 누름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이 굴곡하는것을 억제할 수가 있어 문의 개폐동작가 안정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의 발명에 있어서, 누름판은 커버의 후면측과의 사이에 적어도 한쌍의 코일 스프링을 개재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조립도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 누름판은 대략 ″ㄷ″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러 삽입구에 대하여 거추장스럽게 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는 네모 모양의 외주테두리에 전면이 개구한 밑이 있는 대략 원통모양의 매입형 박스에 부착 가능해지도록 테이퍼를 가지는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이 개구한 밑이 있는 대략 원통모양의 매입형 박스에 설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는 네모 모양의 외주테두리의 4 모퉁이에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챔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면이 개구한 밑이 있는 대략 원통모양의 매입형 박스에 설치할 수 있고, 4 모퉁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매입 박스에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바디에는, 인서트블록의 접촉 용수철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디에 형성된 전선 삽입통과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편와, 단자편에 전선을 압접접속하는 잠금 용수철로 구성되는 속결 단자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이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접속될 수 있으므로 균일한 결선과 시공의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배선기구용의 부착틀에 마련한 유지구멍에 삽입되는 계지클릭이기 때문에, 콘센트나 스위치 등의 배선기구와 같은 시공 방법으로 시공할 수가 있어서, 시공업자에 있어서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전면이 후면방향으로 경사지게하는 돌기부이기 때문에, 청구항 14의 발명과 비교하여 부착부가 구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시공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바디의 후면에는 각 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을 바디의 후면과의 사이에 협지할 수 있는 장력제거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더라도 케이스내의 전선의 단부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전선과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모듈러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가 전면(前面)으로 개구한 케이스와, 케이스내의 정(定)위치에 고정되고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서 케이스내에 삽입된 모듈러 플러그의 접촉자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용수철을 가지는 인서트 블록을 구비하고, 케이스는, 플러그 삽입구가 전면으로 개구하는 커버와,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는 바디에 의해 구성됨과 동시에 매입형 배선기구용의 부착틀에 설치할 수 있는 부착부를 양 측면에 가지며, 커버의 후면측과 인서트 블록과의 사이에는, 플러그삽입구를 따라 상기 양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 삽입구를 개폐하는 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連設)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의 1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틀에 최대 3개까지 연설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치수의 매입형 배선기구의 3개분에 상당하는 치수로 형성되고, 인서트 블록, 플러그 삽입구, 문을 각각 2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은 개폐 방향에 있어서의 폭치수가 상기 개폐 방향에서의 플러그 삽입구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된 한 장의 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내에 문을 닫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복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6. 제5항에 있어서, 복귀수단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7. 제6항에 있어서, 문은, 이 문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한쌍의 용수철받이편을 가지며, 양 용수철받이편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측이 감입되는 용수철 자리가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8. 제7항에 있어서, 커버의 후면측에는 코일 스프링의 굴곡을 방지하는 누름판이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9. 제8항에 있어서, 누름판은 커버의 후면측과의 사이에 적어도 한쌍의 코일스프링이 개재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10. 제9항에 있어서, 누름판은 대략 ″ㄷ″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11.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네모 모양의 외주 테두리에 전면(前面)이 개구한 밑바닥을 가진 대략 원통모양의 매입형 박스에 부착가능하도록 한 테이퍼를 가진 챔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1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네모 모양의 외주 테두리의 4 모퉁이에 챔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13. 제1항에 있어서, 바디에는, 인서트 블록의 접촉용수철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바디에 형성된 전선 삽입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외부전선이 접속되는 단자편와, 단자편에 전선을 압접 접속하는 잠금 용수철로 구성되는 속결(速結) 단자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배선기구용의 부착틀에 설치된 유지구멍에 삽입되는 계지(係止)클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전면(前面)이 후면 방향으로 경사지는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16. 제13항에 있어서, 바디의 후면에는 각 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을 바디의 후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할 수 있는 장력(張力)제거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
KR1019970053521A 1997-09-12 1997-10-18 모듈러잭 KR100290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9187A JPH1186955A (ja) 1997-09-12 1997-09-12 モジュラジャック
JP97-249187 199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170A KR19990028170A (ko) 1999-04-15
KR100290210B1 true KR100290210B1 (ko) 2001-05-15

Family

ID=1718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521A KR100290210B1 (ko) 1997-09-12 1997-10-18 모듈러잭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186955A (ko)
KR (1) KR100290210B1 (ko)
CN (1) CN1125510C (ko)
ID (1) ID21418A (ko)
TW (1) TW371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8766B2 (ja) * 2005-03-10 2008-08-27 東名通信工業株式会社 モジュラジャック
JP4771155B2 (ja) * 2006-05-26 2011-09-1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接続器具
CN102738633A (zh) * 2011-04-11 2012-10-17 余姚市嘉利电子科技有限公司 立式插座
TWI465176B (zh) * 2013-01-30 2014-12-11 Wistron Corp 蓋板開合模組
CN110176692B (zh) * 2019-06-03 2021-03-23 深圳华泓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可监控电器功率异常的智能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86955A (ja) 1999-03-30
TW371808B (en) 1999-10-11
ID21418A (id) 1999-06-10
KR19990028170A (ko) 1999-04-15
CN1125510C (zh) 2003-10-22
CN1211838A (zh) 199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JP3180014B2 (ja) コネクタ
KR100290210B1 (ko) 모듈러잭
GB2298973A (en) Terminal structure for a wiring device
JP353913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KR100276940B1 (ko) 동축케이블접속기
JP3050559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871177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3012250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810723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3050560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826209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810704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985851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985854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3473420B2 (ja) 情報コンセント
JP2985850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985852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985849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985848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985853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H0733392Y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H10326637A (ja) モジュラジャック
JP3220489B2 (ja) 露出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3022442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