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940B1 - 동축케이블접속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940B1
KR100276940B1 KR1019970056144A KR19970056144A KR100276940B1 KR 100276940 B1 KR100276940 B1 KR 100276940B1 KR 1019970056144 A KR1019970056144 A KR 1019970056144A KR 19970056144 A KR19970056144 A KR 19970056144A KR 100276940 B1 KR100276940 B1 KR 10027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cover
shield plate
cable connec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175A (ko
Inventor
히로시 유메야마
토루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2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1개용 매립형 박스에 여러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는 배면이 열린 대략 상자형의 합성수지제의 커버(2)와, 커버(2)의 배면을 덮는 도전성 실드판(3)으로 구성된다. 커버(2)의 배면에는 리셉터클(11)이 설치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의 끝부분에 배선된 플러그를 리셉터클(11)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2)의 배면에 구성된 실드판(3)에는 다른 동축 케이블을 장착하는 접속단자(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2)는 JIS 규격으로 규격화된 대각형 연속용 배선기구의 장착 테두리에 3개 장착 가능한 대각형 연속용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의 1개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여러개의 케이스(1)를 1개용 매립형 박스에 배열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접속기
본 발명은 주로 텔레비젼에 안테나선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로서는 매립 배선용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 테두리에 3개 부착할 수 있는 배선 기구의 단위 치수의 1.5개 분의 치수로 케이스를 형성하여, 동축 케이블 끝부분에 배선된 플러그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을 케이스의 앞면에 설치되고, 다른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 및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케이스의 배면에 설치한 것이 있었다.
상기 구성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로서는 케이스의 치수가 배선기구의 단위 길이의 1.5개 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벽면 등 조영면에 설치된 매립구멍에 매설되는 1개용 매립형 박스에 여러개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장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속 단자부에 동축 케이블을 유지하는 옴 밴드 등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부에 동축 케이블을 장착할때, 여러개의 나사로 동축 케이블을 나사 고정해야만함으로, 장착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적으로는 하는 점은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장착 작업의 번거로움을 적게한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매립 배선용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 테두리에 3개 장착가능한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의 1개분의 치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배면이 열려진 상자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커버와, 커버의 배면을 덮는 전도성 실드판으로 케이스를 구성하여, 장착 테두리에 걸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걸림고리를 커버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동축 케이블이 접속된 플러그의 내측 도체와 끼워맞추는 대략 원통형의 내부 접촉자와, 내부 접촉자와 동심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의 외측 도체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가압 접속되는 내부 접촉자보다도 직경이 큰 대략 원통형의 외부 접촉자로 구성되는 리셉터클을 커버의 앞면에 설치하고, 상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실드판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으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접속 단자부가, 실드판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1개의 고정나사로 실드판에 고정되어 다른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실드판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는 가압 부재, 실드판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다른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끼워 지지하는 단자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내부 접촉자와 단자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리셉터클의 외부 접촉자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설치된 접속 부재가 실드판에 코킹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3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의 양측면에 내부와 연결하는 거는 구멍을 형성하여, 실드판의 양측면 가장자리에 걸림 구멍과 걸림 및 분리가 자유롭게 거는 걸림부재를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4의 발명에 있어서, 앞면이 열려진 대략 원주형상의 매립형 박스에 케이스를 2개나란히 설치할 수 있도록 매립형 박스의 내주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테이퍼를 갖는 모떼기부를 커버의 네 구퉁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걸림 고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걸림고리의 단면형상을 바깥 쪽을 향함에 따라서 커버의 앞면측에서 커버의 배면측으로 경사지도록 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5 또는 6의 발명에 있어서, 커버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매립형 박스에 케이스를 배열 설치한 상태로 매립형 박스의 개구 가장자리에 들어가는 위치에서 커버의 앞면측의 위치까지, 상기 매립형 박스의 간섭 방지용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홈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5 내지 8의 발명에 있어서, 실드판 사방의 모서리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부를 상기 모떼기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9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른 동축 케이블이 커버의 긴 쪽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접속 단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2e는 실시형태 1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좌측면도.
도 2c는 우측면도.
도 2d는 배면도.
도 2e는 하측에서 본 측단면도.
도 3은 실시형태 2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4e는 실시형태 2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좌측면도.
도 4c는 우측면도.
도 4d는 배면도.
도 4e는 하측에서 본 측단면도.
도 5a 내지 5c는 실시형태 2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장착 테두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하측에서 본 측단면도.
도 5c는 우측에서 본 측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 2의 케이스를 장착하는 장착 테두리 및 화장 플레이트를 도시한 앞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 2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실시형태 2의 케이스의 장착 테두리에의 부착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실시형태 2의 케이스를 배열 설치하는 C형 매립형 박스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10은 실시형태 2의 케이스를 C형 매립형 박스에 2개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a 및 11b은 실시형태 2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a는 이면도.
도 11b는 C형 매립형 박스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a 및 12b는 실시형태 3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a는 배면도.
도 12b는 C형 매립형 박스에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케이스 2: 커버
3: 실드판 4: 접속 단자부
11: 리셉터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 1 및 도 2a 내지 2e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동축 케이블 접속기는 텔레비젼에 안테나선을 접속할 때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동축 케이블 접속기 케이스(1)는 매립 배선용 배선 기구가 장착되는 장착 테두리에 3개 장착할 수 있는 배선 기구의 단위 치수의 1개분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l)는 배면이 열려진 상자모양의 커버(2)와, 커버(2)의 배면을 닫는 실드판(3)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내에는 후술하는 스프링부재(18)와 단자 케이스(22)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는 적당한 치수로 설정하면 된다.
커버(2)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ABS 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커버(2)의 양측면에는 계단부(46)가 형성되고, 계단부(46)에는 측방향으로 개구함과 동시에 금속제 장착 테두리의 유지 고리가 끼워맞춰지는 결합 오목부(47)가 형성된다. 계단부(46, 46)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합성수지제 장착 테두리의 유지구멍에 걸어맞추는 한 쌍의 걸림고리(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의 양측면에는 커버(2)의 내부와 연결되는 걸림구멍(49)이 뚫려 있다. 커버(2)의 앞면 중앙부에 설치된 단면 원형의 오목부(12)내에는 동축 케이블의 끝부분에 배선된 플러그가 접속 가능한 소위 DIN 형식의 리셉터클(11)이 장착되어 있다. 오목부(12)의 저면에는 오목부(12)와 동심으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형의 지지통(13)이 돌출 설치된다. 외부 접촉자(14)는 전도성의 판금을 구부러져 형성되어, 지지통(13) 사이에 플러그의 외측 도체가 들어가는 틈을 형성하여 오목부(12)내에 배치된다. 외부접촉자(14)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는 치수가 다른 한 쌍의 접속 부재(15a, 15b)가 연장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속 부재 (15a, 15b)는 오목부(12)의 저면에 뚫려진 삽입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2개의 접속부재 중 발이 긴쪽의 접속부재(15b)는 대략 45도 비튼 후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려서 커버(2)내에 수용되어 있고, 발이 짧은 쪽의 접속부재(15a)도 대략 45도 비틀리어, 커버(2)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부재(18)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중앙부재(18a)의 한끝부분에서 평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략 원통형의 내부 접촉자(17)를 장착하여, 중앙부재(18a)의 다른 단부로부터 내부 접촉자(17)와 반대방향으로 신장되는 단자 스프링(20)을 형성하고 있고, 단자 스프링(20)은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접촉 스프링부재(21)로 구성되며, 내부접촉자(17)는 커버(2)의 지지통(13)내에 배열 장착되며, 단자 스프링(20)은 후술하는 단자 케이스(22)의 통부(23)내에 내장된다.
단자 케이스(22)는 합성 수지와 같은 투명한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 스프링(20)이 내장되는 각진 통형상의 바닥이 있는 통부(23) 주위에 칼날끝 형상부재(24)가 형성되고, 칼날끝 형상부재(24)의 양끝부분에는 커버(2)의 내벽과 접촉하는 돌기부(24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부(23)의 밑바닥에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뚫려지고, 통부(23)의 실드판(3)과 대향하는 측의 저면에는 내부 도체를 안내하는 주벽(23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리셉터클(11)에 동축 케이블이 접속된 플러그를 삽입하면, 플러그의 외측 도체는 지지통(13)의 외주면과 외부접촉자(14)의 내주면에서 가압 접속되어, 외측 도체와 외부 접촉자(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지지통(13)의 앞면 중앙에는 삽입구멍(16)이 뚫려져 있고, 플러그의 내측 도체는 삽입구멍(16)내에 삽입된다. 지지통(13) 내에는 내부 접촉자(17)가 내장되어 있고, 플러그 내측 도체는 내부 접촉자(17)와 끼워맞추어, 내측 도체와 내부 접촉자(17)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도성 실드판(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중앙부에는 걸이부재(53)를 절곡 형성하여, 걸이부재(54)의 중앙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재(54)가 형성되어 있고, 걸이부재(53)를 커버(2)에 설치한 걸림구멍(49)에 삽입하면, 걸림구멍(49)의 가장자리와 돌출부재(54)가 결합하여, 실드판(3)이 커버(2)에 장착된다. 이 때, 커버(2)에 장착된 외부 접촉자(14)의 발이 짧은 쪽의 접속부재(15a)가 실드판(3)에 형성된 삽입구멍(43a)에 삽입되어, 코킹 부재(43)로 접속부재(15a)를 코킹함으로써, 접속 부재(15a)가 실드판(3)에 고정되어, 외부 접촉자(14)와 실드판(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단자 케이스(22)의 통부(23)에 대응하는 실드판(3)의 부위에는 노치부(33)가 형성되어 있고, 노치부(33)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는 후방에 절곡된 한 쌍의 유지부재(34)가 형성된다. 유지부재(34)에는 유지홈(35)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홈(35)에는 가압 부재(36)로부터 연장된 축 다리부(37)가 삽입된다. 축 다리부(37)는 L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가압 금속 부재(36)는 실드판(3)에 대하여 개폐 자유롭게 유지된다. 가압 부재(36)에는 삽입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나사(39)를 삽입구멍(38) 및 링스프링(41)을 통해서 실드판(3)에 형성된 나사구멍(40)에 결합시킴으로써, 가압 부재(36)가 실드판(3)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압 부재(36)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예를 들면, 가압 부재(36)의 통부(23)와 접촉하는 부위에 돌출된 더보 등)에 의해서 개폐 각도가 규제되도록 해도 되고, 예를 들면 가압 부재(36)가 닫친 상태와 180도 열린 상태에서 스토퍼가 작용하도록 해도 된다.
즉, 접속 단자부(4)는 내부 접촉자(17)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 스프링(20)과, 외부접촉자(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실드판(3)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유지된 가압 부재(36) 등으로 구성되고, 단자 스프링(20)과 가압 부재(36)는 단자 케이스(22)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그런데, 동축 케이블을 이 접속 단자부(4)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가압 부재(36)를 개방한 상태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단자 케이스(22)의 통부(23)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멍(28)을 통해서 한 쌍의 접촉 스프링(21) 사이에 끼워 지지시킨 뒤, 내부 도체의 기초부를 실드판(3)과 평행하게 되도록 절곡하고, 이어서 가압 부재(36)를 폐쇄하여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실드판(3)과 가압 부재(36) 사이에 끼워 지지된 상태로 고정나사(39)를 실드판(3)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동축 케이블 내부 도체와 단자 스프링(20),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실드판(3)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리셉터클(11)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과, 접속 단자부(4)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실드판(3)측의 커버(2)의 한쪽 끝면에는 위치결정 돌기(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 돌기(29)에 반원형의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0)내에 동축 케이블을 위치시키고, 동축 케이블을 지탱하도록 하여 좌우의 옆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위치결정 돌기(29)에 형성된 오목부(30)내에 동축 케이블을 위치 결정하여, 가압 부재(36)를 실드판(3)에 나사 체결하는 경우에는 동축 케이블이 결정 위치에 정해지고, 또한 나사 고정만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행성이 향상되고, 시행시간의 단축으로도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와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립 배선용 배선기구를 3개장착가능한 장착 테두리에 최대 3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제의 장착 테두리에 대해서는 장착 테두리에 장착된 유지구멍에 커버(2)의 걸림고리(48)를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스(1)가 합성 수지제의 장착 테두리에 걸림 및 분리 자유롭게 장착된다. 또한, 금속제의 장착 테두리에 대해서는 장착 테두리에 설치된 유지고리를 케이스(2)의 걸림 오목부(47)에 끼워맞춤으로써, 케이스(1)가 금속제의 장착 테두리에 걸림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실드판(3)에는 나사구멍(40)의 측방향에 있어서, 실드판(3)의 긴 쪽방향으로 달리는 홈형상의 오목부(55)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가압 부재(36)를 실드판(3)에 고정할 때에, 고정나사(39)를 나사구멍(40)에 나사 장착하는 것이지만, 고정나사(39)를 체결하는 경우의 인장강도를 오목부(55)에 의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목부(55)에 의해 인장강도가 증가하여, 나사 체결에 의한 실드판(3)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를 도 3 및 도 4a 내지 4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l)은 매립 배선용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 테두리에 3개 장착할 수 있는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의 1개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는 배면이 열려진 대략 상자형상의 합성 수지(예를 들면 ABS 수지)제의 커버(2)와, 커버(1)의 배면을 덮는 전도성의 실드판(3)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의 긴 쪽방향의 양단에는 계단부(46, 46)가 형성되어 있고, 계단부(46)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케이스(1)의 긴 쪽방향에 합성 수지제 장착 테두리의 유지구멍과 결합하는 한 쌍의 걸림고리(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리(48)는 외측을 향할 수록, 커버(2)의 앞면측으로부터 커버(2)의 배면측으로 경사지도록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고리(48)의 강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시공시 및 시공 후에 동축 케이블에 가해지는 인장력이나 충격에 의해서, 걸림고리(4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커버(2)의 네 구퉁이의 모서리부에는 테이퍼를 갖는 모떼기부(2a)가 형성되어 있고, 모떼기부(2a)의 실드판(3) 측의 끝부분에는 모떼기부(2a)의 끝부분과 실드판(3)의 모서리부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노치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를 장착한 장착 테두리를 매립형 박스에 배열 설치할 때에, 커버(2)와 매립형 박스가 간섭하지 않도록, 커버(2)의 실드판(3)측의 단면으로부터, 매립형 박스의 개구 가장자리에 들어가는 위치에서 앞면측의 커버(2)의 위치까지, 커버(2)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 방지용 오목부로서의 홈((56))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홈(56)은 커버(2)의 매립형 박스내로 들어가는 위치보다도 상방의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고, 케이스(1)가 장착된 장착 테두리를 매립형 박스내에 배열 설치하였을 때에, 홈(56)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1)가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ABS 수지)제의 장착 테두리(80)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장착 테두리(80)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서, 케이스(1)가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장착 테두리(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착 테두리(8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창(81)의 주변 가장자리 배면측에 개구창(81)의 긴 쪽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도록 띠형상의 고정 지지부(84) 및 가동 지지부(85)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지지부(85)는 장착 테두리(80)의 긴 쪽방향에 따른 한 쌍의 측면 테두리부분(83a, 83b)의 한측면 테두리부분(83b)으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연결부(86)에 의해 그 양끝부분에 있어서 측면 테두리 부분(83b)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측면 테두리부분(83b)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된 폭이 좁은 한 쌍의 리브(87)에 의해서 가동지지부(85)가 지지되어 있고, 가동지지부(85)와 측면 테두리부분(83b) 사이에 생기는 틈이 상기 리브(87)에 의해서 3개 부분(이하, 각 부분을 슬릿(8a 내지 8c)이라 한다)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측면 테두리부재(83b)의 각 리브(87) 부근의 부위에는 가동지지부(85)를 용이하게 휘어지게 하기 위해 긴 구멍 형상의 홈(9)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부(84), 가동지지부(85)에는 케이스(1)의 양측면 가장자리에 돌출 설치된 걸림고리(48)가 결합되는 걸림홈(84a, 85a)을 각각 3쌍씩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테두리(80')에 케이스(1)를 장착했을 때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테두리 (8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 테두리(80')에 케이스(1)의 한쪽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걸림고리(48)를 가이드부(84)의 테이퍼면(84e)을 따라서 이동시키어 걸림홈(84a)에 삽입하고, 케이스(1)를 후방에서 밀어넣으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쪽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걸림고리(48)가 가이드부(85)의 테이퍼면(85e)을 따라서 이동하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48)가 걸림홈(85a)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케이스(1)를 장착 테두리(80')에 삽입 장착할 수 있고, 이 때, 케이스(1)의 앞면측이 개구창(81)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런데, 고정 지지부(84) 및 가동지지부(85)의 기초부와 장착 테두리(80')의 개구창(81)의 끝가장자리 사이에는 걸림고리(48)를 각 걸림홈(84a, 85a)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1)의 앞면측의 일부에 접촉하는 접촉부(84d, 85d)가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1)가 앞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접촉부(84d, 85d)에 의해서 규제할 수 있다.
한편, 장착 테두리(80')로부터 케이스(1)를 떼어내는 데는 고정 지지부(84)의 각 걸림홈(84a) 사이에 뚫려진 기구 분리 구멍(84c)에, 드라이버나 분리전용 지그 등의 선단부분을 삽입하여, 지그의 선단부분에서 케이스(1)를 가동지지부(85)측으로 눌러주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적은 힘으로 가동지지부(85)를 휘어지게 할 수 있게 되어, 고정 지지부(84) 측의 걸리홈(84a)과 케이스(1)의 걸림고리(48)의 결합을 해제하여 장착 테두리(80')로부터 케이스(1)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구창(81)을 주위 측면 테두리부분(83a, 83b)에 직교하는 각 연결부재(83c, 83d)에는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고, 각 오목부(82)에는 장착 테두리(80')를 스위치 박스 등의 매립형 박스에 장착할 수 있도록, 박스 나사를 삽입하는 긴 구멍(88)이 뚫려져 있고, 장착 테두리(80')를 벽면 등의 조영면에 직접 장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삽입구멍(89)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삽입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걸어맞춤하는 삽입부재 걸이구멍(184)이 뚫려져 있다.
또한, 장착 테두리(80')의 네 구석에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제의 화장 플레이트(100)의 배면에서 돌출된 걸어맞춤돌기(103)를 걸어맞추는 화장 플레이트 걸어맞춤구멍(189)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테두리(80')의 앞면측에 화장 플레이트(100)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화장 플레이트(100)의 거의 중앙에는 장착 테두리(80')에 장착한 케이스(1)의 앞면측을 노출하는 개구창(101)이 설치되어 있다. 화장 플레이트(100)의 폭치수는 장착 테두리(80')의 각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 조영면에 장착한 장착 테두리(80')의 앞면측에 화장 플레이트(100)를 부착하였을 때, 장착 테두리(80')가 화장 플레이트(100)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화장 플레이트(100)의 주위벽의 앞끝 가장자리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여기에서, 화장 플레이트(100)의 각 측벽(102)에는 조영면에 접촉하는 끝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로 경사지는 경사면(102a)을 형성함과 동시에, 장착 테두리(80')에 장착된 상태로 화장 플레이트(100)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리브(104a 내지 104c)를 다수열 설치되어 있고, 화장 플레이트(100)를 장착 테두리(80')에 장착한 상태로 화장 플레이트(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화장 플레이트(100)의 측벽(102)의 안쪽에 규제리브(104a 내지 104c)를 장착하는 대신에, 장착 테두리(80')의 주변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화장 플레이트(100')의 측벽(102)의 내주의 전주면에 걸쳐서 장착하여도 되고, 상기의 경우에도 장착 테두리(80')에 대한 화장 플레이트(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플레이트(100)의 배면측에는 장착 테두리(80')에 장착하였을 때에 장착 테두리(80')의 슬릿(8a 내지 8c)에 각각삽입되는 돌조부재(108a 내지 108c)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돌조부재(108a 내지 108c)의 치수는 장착 테두리(80)의 각 슬릿(8a 내지 8c)에 삽입된 상태로, 슬릿(8a 내지 8c)의 내주면과 각 돌조부재(108a 내지 108c) 사이에 약간의 간극 외엔 생기지 않게 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 장착 테두리(80')의 가동지지부(85)의 움직임(휘어짐)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고, 케이스(1)의 걸림고리(48)와 가동지지부(85) 및 고정 지지부(84)의 걸림홈(85a, 84a)의 걸림이 빠지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장착 테두리(80')로부터 화장 플레이트(100)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화장 플레이트(100)의 긴 쪽방향에 따른 한쪽의 측벽에 형성된 노치부(106)에 지그(드라이버의 선단 등)를 끼워넣어 장착 테두리(80')에 앞면측에의 힘을 가함으로써, 걸림돌기(103)와 화장 플레이트 걸이구멍(189)의 걸림을 해제하여, 화장 플레이트(100)를 장착 테두리(80')로부터 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장착 테두리(80')의 측면 가장자리부분(83b)의 노치부(10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안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해제부(186)가 장착되어 있어, 노치부(106)에 삽입된 지그를 해제함으로 속까지 삽입할 수 있고, 화장 플레이트(100)를 떼어낼 때에 힘을 쉽게 가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해제부(186)의 배면측단부에서는 얇은 리브(187)가, 화장 플레이트(100)의 노치부(106)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까지 연장하여 장착되어 있다. 즉, 노치부(106)에 삽입된 지그에 조영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지점으로서 힘을 가함으로 조영면에 상처가 날 우려가 있지만, 리브(187)를 장착함으로써 노치부(106)에 삽입된 지그가 리브(187)에 접촉하게 되어, 화장 플레이트(100)를 장착 테두리(80')로부터 떼어 낼때에 지그에 의해서 조영면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의 케이스(1)로서는 커버(2)의 네 구석에 테이퍼를 갖는 모떼기부(2a)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앞면이 개구된 거의 원주형상의 매립형 박스(130)(소위, C형 박스)에 케이스(1)를 2개연결 접속하여 장착한 경우에도, 커버(2)의 4구석에 모떼기부(2a)를 형성함으로써, 커버(2)의 측면과 매립형 박스(130)의 주변측면(135)은 간섭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긴 쪽방향을 상하로 하여 매립형 박스(130)내에 케이스(1)를 2개연결 접속하여 장착할 수 있어, 상기 매립형 박스(130)에의 케이스(1)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케이스(1)는 상기 매립형 박스(130)에 2개 장착한 경우에, 케이스(1)의 앞면측이 매립형 박스(130)의 개구면보다도 돌출하여 조영면에서도 돌출되도록 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매립형 박스(1)3의 저면(134) 및 주변측면(135)에는 전선 삽입용 구멍(132, 132)이 형성되어 있고, 주위측면의 앞면측에는 전주변에 걸쳐서 칼날끝부(1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2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로서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36)는 동축 케이블(5)을 케이스(1)의 긴 쪽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C형 박스로 이루어진 매립형 박스(130)에 2개의 케이스(1)를 나란히 설치한 경우, 동축 케이블(5)은 접속 단자부(4)로부터 케이스(1)의 긴 쪽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기 때문에, 케이스(1)가 장착된 장착 테두리(도시하지 않음)를 조영면에 고정하는 삽입부재(136)와 동축 케이블(5)이 간섭하여, 배선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로서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케이스(22)의 통부(23)를 케이스(1)의 긴 쪽방향의 일단측에 배치하여, 통부(23)에 대응하는 실드판(3)의 부위에 노치부(33)를 형성하여, 노치부(33)의 좌우 양측면 가장자리에 한 쌍의 유지부재(34)를 장착하고 있다. 유지부재(34)에는 유지홈(35)이 형성되어 있고, 유지홈(35)에는 가압 부재(36)보다 연장된 축다리부(37)이 삽입되어, 가압 부재(36)는 케이스(1)의 긴 쪽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단자 접속부(4)에 동축 케이블(5)을 접속한 경우, 동축 케이블(5)은 접속단자부(4)로부터 케이스(1)의 긴 쪽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신장하기 때문에, 도 l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5)과 삽입부재(136)가 간섭하지 않아서, 배선작업을 쉽게 하게 된다.
또한, 접속 단자부(4)의 배치 이외는 실시형태 1 또는 2와 같기 때문에, 동일의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어,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형태 1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접속 단자부(4)를 배치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매립 배선용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 테두리에 3개 장착 가능한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의 1개분의 치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배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커버와, 커버의 배면을 덮는 전도성 실드판으로써 케이스를 구성하여, 장착 테두리에 결합분리 자유롭게 결합하는 걸림고리를 커버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동축 케이블이 접속된 플러그의 내측 도체와 끼워 맞추는 대략 원통형상의 내부 접촉자와, 내부 접촉자와 동심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의 외측 도체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압접되는 내부 접촉자보다도 직경이 큰 대략 원통형의 외부접촉자로써 구성되는 리셉터클을 커버의 앞면에 장착하여, 상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실드판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의 1개분의 치수로 케이스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1개용 매립형 박스에 다수 배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접속 단자부가, 실드판에 개폐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1개의 고정나사로 실드판에 고정되어 다른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실드판의 사이에서 끼워지지하는 가압 부재와, 실드판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다른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끼워 지지하는 단자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동축 케이블을 1개의 고정나사로 장착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리셉터클의 내부 접촉자와 단자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리셉터클의 외부 접촉자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설치된 접속 부재가 실드판에 코킹 고정되어 있고, 내부 접촉자와 단자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조립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 부재는 실드판에 임시 고정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커버의 양측면에 내부와 연결되는 걸이구멍을 형성하여, 실드판의 양측면 가장자리와 걸이구멍과 결합 분리 자유롭게 결합하는 걸이부재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실드판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앞면이 개구된 거의 원주형상의 매립형 박스에 케이스를 2개 나란히 설치할 수 있도록 매립형 박스의 내주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테이퍼를 갖는 모떼기부를 커버의 네 구석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원주형상의 매립형 박스(소위, C형 박스)에 케이스를 2개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걸림고리의 두께를 두텁게 하여, 걸림고리의 단면형상을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커버의 앞면측에서 커버의 배면측으로 경사지도록 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고리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걸림고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시 및 시공후에 걸림고리에 외력이 가해지어 걸림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커버의 배면측에서, 상기 매립형 박스에 케이스를 장착한 상태로 매립형 박스의 개구 돌기로 삽입하는 위치보다도 커버의 앞면측의 위치까지, 상기 매립형 박스의 간섭방지용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오목부을 홈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와 매립형 박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섭 방지용 오목부가 케이스의 앞면측까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를 매립형 박스내에 장착한 상태로 간섭 방지용 오목부가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케이스의 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실드판의 사방의 각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부를 상기 모떼기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떼기부를 크게 갖고, 커버가 돌출되는 부분을 작게 할 수 있어, 매립형 박스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다른 동축 케이블이 커버의 긴 쪽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하도록 한 접속 단자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원주형상의 매립형 박스에 케이스를 2개 장착하였을 때에 장착 테두리를 조영면에 고정하기 위한 삽입부재에 동축 케이블이 접촉하지 않게, 동축 케이블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매립 배선용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 테두리에 3개 장착 가능한 배선기구의 단위 치수의 1개분의 치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배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의 합성 수지제 커버와, 커버의 배면을 덮는 전도성 실드판으로 케이스를 구성하고, 장착 테두리에 걸림 및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커버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하며, 동축 케이블이 접속된 플러그의 내측 도체와 맞물리는 원통형의 내부 접촉자와, 내부 접촉자와 동심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의 외측 도체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가압 접속되는 내부 접촉자보다도 직경이 큰 원통형의 외부 접촉자로 구성되는 리셉터클을 커버의 앞면에 설치하고, 상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실드판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부가 실드판에 개폐 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1개의 고정나사로 실드판에 고정되며 다른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실드판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가압 부재와, 실드판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다른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끼워 지지하는 단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내부 접촉자와 단자 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리셉터클의 외부 접촉자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설치된 접속 부재가 실드판에 코킹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의 양측면에 내부와 연통하는 걸림 구멍을 형성하고, 실드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걸림 구멍과 걸림 및 분리가 자유롭게 결합되는 걸림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앞면이 개구된 원주형상의 매립형 박스에 케이스를 2개 나란히 설치할 수 있도록 매립형 박스의 내주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테이퍼를 갖는 모떼기부가 커버의 네 구석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걸림 고리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걸림고리의 단면형상을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커버의 앞면측에서 커버의 배면측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커버의 배면측으로부터, 상기 매립형 박스에 케이스를 설치한 상태로 매립형 박스의 개구 가장자리에 삽입하는 위치보다도 커버의 앞면측의 위치까지 상기 매립형 박스의 간섭 방지용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홈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실드판 사방의 모서리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부를 상기 모떼기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동축 케이블이 커버가 긴쪽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접속 단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속기.
KR1019970056144A 1997-09-12 1997-10-30 동축케이블접속기 KR100276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9186A JPH1186926A (ja) 1997-09-12 1997-09-12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97-249186 199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175A KR19990028175A (ko) 1999-04-15
KR100276940B1 true KR100276940B1 (ko) 2001-01-15

Family

ID=1718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144A KR100276940B1 (ko) 1997-09-12 1997-10-30 동축케이블접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186926A (ko)
KR (1) KR100276940B1 (ko)
CN (1) CN1186860C (ko)
ID (1) ID19151A (ko)
TW (1) TW406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9929B2 (ja) * 1999-02-12 2009-06-1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ケーブルターミナル、同軸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ハイフィックス
JP3709837B2 (ja) * 2001-11-27 2005-10-26 松下電工株式会社 防滴プレート
JP4084292B2 (ja) 2003-11-21 2008-04-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JP6998535B2 (ja) * 2020-08-21 2022-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レビコンセント
CN114491805A (zh) * 2022-01-14 2022-05-13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隔框非法向柱状接头交点孔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259U (ko) * 1986-08-08 1988-02-24
JPS63213271A (ja) * 1987-02-27 1988-09-06 松下電工株式会社 高周波接続器
JP2942274B2 (ja) * 1989-05-20 1999-08-30 松下電工株式会社 Tvコンセント
JPH05166567A (ja) * 1991-12-11 1993-07-02 Natl House Ind Co Ltd 電気機器取付具
JP3035043B2 (ja) * 1991-12-24 2000-04-17 松下電工株式会社 アンテナ用コンセント
JPH06140105A (ja) * 1992-10-27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テレビターミナル
JP3261216B2 (ja) * 1993-07-09 2002-02-25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器具
JPH08222323A (ja) * 1995-02-14 1996-08-30 Yazaki Corp 半嵌合検知機能付コネクタ及び半嵌合検査方法
JP3539130B2 (ja) * 1997-05-27 2004-07-07 松下電工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接続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예 (특허공보 제91-989호) 사본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1839A (zh) 1999-03-24
JPH1186926A (ja) 1999-03-30
CN1186860C (zh) 2005-01-26
ID19151A (id) 1998-06-18
TW406452B (en) 2000-09-21
KR19990028175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2048B1 (en) Connector cover with fastener
EP1734617B1 (en)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board
US4934953A (en) Junction box for electrical cables
US6254403B1 (en) Assembly for and method of selectively grounding contacts of a connector to a rear portion of the connector
KR100882047B1 (ko) 접속이 용이한 하우징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및 실드커넥터 세트
KR100276940B1 (ko) 동축케이블접속기
KR20200096104A (ko) 전기 커넥터
CA2680871C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960002131B1 (ko) 접속 장치
EP0961363B1 (en) Bolted type connector
KR100800789B1 (ko) 실드 커넥터
JP353913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2014060073A (ja) コネクタ
US20200144758A1 (en) Connector
CN107732563B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0290210B1 (ko) 모듈러잭
JP2019192408A (ja) 電気機器の接続端子構造
JPH11126657A (ja) 機器直付シールド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US7476129B2 (en) C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connector
CN218160889U (zh) 线缆连接器
US20190058276A1 (en) Self-enclosed electrical assembly with wire crimping structure
CN110364395B (zh) 端子转换单元及具备该端子转换单元的电气设备
JP7156875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H1079583A (ja) 電気コードの保持構造
JP200111054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結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