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094B1 - 속결 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속결 단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094B1
KR100851094B1 KR1020060104104A KR20060104104A KR100851094B1 KR 100851094 B1 KR100851094 B1 KR 100851094B1 KR 1020060104104 A KR1020060104104 A KR 1020060104104A KR 20060104104 A KR20060104104 A KR 20060104104A KR 100851094 B1 KR100851094 B1 KR 10085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elease lever
terminal device
piec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117A (ko
Inventor
미노루 혼다
마키 곤도
노보루 하시모토
히데아키 우지하라
가즈히로 가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크리프 변형에 의한 해제 레버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품 점수(点數)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조립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단자판(10)의 단부를 끼워 넣어 간섭함으로써 회전량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38)가 압동부(36)와 조작부(31)를 연결하는 아암부(34)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예와 같이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한 스토퍼가 크리프 변형에 의해서 회전량의 규제에 이상을 초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크리프 변형에 의한 해제 레버(30)의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해제 레버(30)가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회전 방향에 평행한 평면(X)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제 레버가 비대칭인 경우에 비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조립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속결 단자 장치{QUICK CONNECTION TERMI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콘센트의 본체를 도시하며,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우측면도, 도 2c는 배면도, 도 2d는 저면도,
도 3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콘센트의 커버를 도시하며,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좌측면도, 도 3c는 배면도, 도 3d는 저면도,
도 4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소켓을 생략한 단자판을 도시하며,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저면도, 도 4c는 우측면도,
도 5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자물쇠 스프링을 도시하며,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저면도, 도 5c는 우측면도,
도 6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해제 레버를 도시하며,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저면도, 도 6c는 우측면도,
도 7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해제 레버의 사시도,
도 8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보조 스프링을 도시하며,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저면도, 도 8c는 우측면도,
도 9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단자판, 자물쇠 스프링, 해제 레버의 사시도,
도 10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본체에 해제 레버를 편입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도 11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보조 스프링의 사시도,
도 12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단자판, 자물쇠 스프링, 보조 스프링의 사시도,
도 13은 상기와 같은 것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14는 상기와 같은 것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도 15는 상기와 같은 것의 전선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도 16a 및 도 16b는 상기와 같은 것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보조 스프링 블록의 사시도,
도 18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보조 스프링 블록을 본체에 편입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19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보조 스프링 블록을 본체에 편입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단자판, 자물쇠 스프링, 해제 레버, 보조 스프링의 사시도,
도 21a 및 도 21b는 상기와 같은 것의 동작 설명도,
도 22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단자판, 자물쇠 스프링, 해제 레버, 다른 구성의 보조 스프링의 사시도,
도 23은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단자판, 자물쇠 스프링, 해제 레버, 또 다른 구성의 보조 스프링의 사시도,
도 24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단자판, 자물쇠 스프링, 해제 레버, 또 다른 구성의 보조 스프링의 사시도,
도 25는 상기와 같은 것에서의 단자판, 자물쇠 스프링, 해제 레버, 다른 구성의 보조 스프링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자물쇠 스프링을 도시하며, 도 26a는 사시도, 도 26b는 단자판, 해제 레버와 함께 본체에 편입한 상태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器體) 10 : 단자판
12 : 접촉편 12c : 피계지부
20 : 자물쇠 스프링 22 : 스프링편
30 : 해제 레버 31 : 조작부
32 : 계지부(係止部) 34 : 아암부
35 : 축부 36 : 압동부(押動部)
38 : 규제 오목부
본 발명은 속결(速結) 단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배선 기구에 있어서는 기체(器體)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을 통하여 기체 내에 도입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하여 속결 단자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속결 단자 장치는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고, 스위치에서의 접점이나 콘센트에서의 소켓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판과,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전선(도체)을 끼워 지지하여 전선과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전선을 쇄정(鎖錠)하여 빠짐방지하는 쇄정 스프링과, 기체에 설치한 조작 구멍을 통하여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조작되어 쇄정 스프링에 의한 쇄정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속결 단자 장치는 전선이 확실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알 수 없기 때문에, 시공자에게 불안감을 준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속결 단자 장치에서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해제 버튼을 조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선의 해제 작업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수동 조작에 의해서 쇄정 스프링에 의한 쇄정을 해제하는 동시에 전선의 접속 완료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속결 단자 장치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속결 단자 장치는 배선 기구의 기체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 기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조작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축부, 축부를 지지점으로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하였을 때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전선에 접촉한 쇄정 스프링을 전선으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 레버와, 해제 레버에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가압 수단과,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부가 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 위치에서 해제 레버를 래치하는 동시에 전선 삽입 구멍을 통하여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쇄정 스프링에 의하여 단자판과 접속되었을 때에 전선에 의해서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하여, 기체 배면의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이 쇄정 스프링에 의해서 단자판과 접속되면, 전선에 의해서 래치 수단의 래치 상태가 해제되기 위하여 해제 레버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조작부의 위치가 바뀜으로써 접속 완료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를 수동 조작하여 해제 레버를 회전하면, 압동부에 의해서 쇄정 스프링이 밀려 움직여지기 때문에 전선을 빼낼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85905호(단락 0014, 도 1)
그런데, 상기 해제 레버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자물쇠부가 압동부에 의해서 과잉하게 밀려 움직여지는 일이 없도록 회전량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가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범위를 규제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되었을 경우에 크리프 변형되게 되어, 해제 레버가 동작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 배선 기구에 있어서는 직렬 배선용으로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를 병설 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해제 레버가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병설된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에서 각각 전용 해제 레버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 점수(点數)의 증가에 의해서 비용이 상승하거나 잘못 편입하는 일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리프 변형에 의한 해제 레버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조립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속결 단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선 기구의 기체에 관통 형성된 전선 삽입 구멍을 통하여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끼워 지지하는 동시에 자물쇠부가 상기 전선에 접촉하여 빠짐방지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한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조작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지지점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하였을 때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접속 수단의 전선에 접촉한 상기 자물쇠부를 상기 전선으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제 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부가 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 위치에서 상기 해제 레버를 래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을 통하여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자판과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속결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단자판의 단부(端部)를 끼워 넣어 간섭함으로써 회전량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가 압동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동부를 사이에 두고 자물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해제 레버의 회전시에 축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리브가 상기 기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단자판에 설치된 피계지부와, 상기 해제 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지부에 걸리는 동시에 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 의해 밀려 피계지부와의 걸림이 빠지는 계지부를 갖고,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축부, 압동부, 조작부, 계지부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계지부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위에 두꺼운 보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자물쇠부의 다른 장소를 동시에 밀어 움직이는 복수의 상기 압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동부는 상기 자물쇠부와 면접촉하는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기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기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기체 내에서의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부에 걸린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서 상기 전선 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 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전선을 관통하는 삽입 통과부와, 상기 삽입 통과부에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부에 걸린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서 상기 전선 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 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상기 단자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전선을 관통하는 삽입 통과부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를 구부려 일으켜서 이루어지는 상기 피계지부가 설치되고, 피계지부의 선단과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와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가 상기 삽입 통과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가압하는 보조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띠 판 형상의 스프링재를 벤딩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선단쪽 부분이 해제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띠 판 형상의 스프링재를 벤딩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후단쪽 부분이 상기 기체의 내부 벽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 벽에 접촉하는 접촉편과, 선단 근방에서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스프링편과, 상기 스프링편과 접촉편을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연결편을 갖고, 상기 스프링편이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연결편쪽 부위에서 해제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바닥벽에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단자판과 해제 레버와 보조 스프링이 수납되는 수납 구간을 갖는 박스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면을 막는 형태로 본체와 결합되는 박스형의 커버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개구면쪽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돌출편이 상기 보조 스프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보조 스프링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에 대하여 전선의 반삽입 방향에 접촉하는 부위가 상기 단자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보조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 벽 및 단자판에 접촉하는 접촉편과, 선단 근방에서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스프링편과, 상기 스프링편과 접촉편을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연결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청구항 17의 발명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보조 스프링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보조 스프링의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돌출부가 상기 기체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기체 내에서 단자판에 대하여 전선 삽입 구멍과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해제 레버와 접촉하는 부위만이 해제 레버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스프링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청구항 2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을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3의 발명은,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복수의 해제 레버와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스프링편이 서로 병행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4의 발명은, 청구항 2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5의 발명은, 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복수의 해제 레버와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스프링편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자물쇠부를 갖는 자물쇠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자물쇠 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끼워 지지하는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자물쇠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자물쇠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자물쇠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자물쇠부보다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해제 레버의 압동부와 접촉하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자물쇠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7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자물쇠부를 갖는 자물쇠 스프링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자물쇠 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끼워 지지하는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자물쇠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스프링이 상기 자물쇠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8의 발명은, 청구항 2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자물쇠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자물쇠부보다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해제 레버의 압동부와 접촉하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자물쇠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어스 터미널이 있는 매립형 콘센트에 있어서의 단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속결 단자 장치는 상기 콘센트 이외의 배선 기구(스위치 등)에 있어서의 단자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형태 1)
먼저, 본 실시형태의 어스 터미널이 있는 매립형 콘센트(이하, 콘센트라 함)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합성수지제의 박스형의 본체(1a)와 커버(1b)를 금속제의 조립 프레임(2)에 의하여 결합하여 기체(器體)(1)를 구성하고 있다. 이 조립 프레임(2)은 소위 매립 박스 등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프레임을 겸하는 것으로서, JIS에 있어서 매립형의 배선 기구용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일련의 설치 프레임(JIS C 8375 대각형 연용 배선 기구의 설치 프레임)과 거의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체(1)는 상기 규격화된 일련의 설치 프레임에 3개까지 설치할 수 있는 단위 치수의 배선 기구 3개분의 치수(3개 모듈 치수라 함)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1a) 및 커 버(1b)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볼록부(3a, 3b)가, 조립 프레임(2)의 양측편(2a, 2a)으로부터 각각 한쌍씩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대략 U자형의 돌출편(2b...)의 내측 둘레에 걸림으로써, 본체(1a)와 커버(1b)가 조립 프레임(2)에 의하여 고정되어 기체(1)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조립 프레임(2)의 긴 쪽 방향에 대향하는 설치편(2c, 2c)에는 상기 매립 박스에 설치하기 위한 박스 나사용의 긴 구멍(2d, 2d)과, 벽을 구성하는 석고 보드 등에 설치하기 위한 종래부터 널리 알려진 갈고리 금속구(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는 부착 구멍(2e, 2e)과, 전면에 플레이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등을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 나사용 나사 구멍(2f, 2f)과, 벽재 등에 조립 프레임(2)을 바로 설치할 때의 설치 나사 등이 관통되는 나사 삽입통과 구멍(2g...)이 적어도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b)의 전면[기체(1)의 전면]에는 한쌍의 플러그날 삽입구(4a, 4b)와 접지극 삽입구(4c)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삽입구(4)가 긴 쪽 방향을 따라서 두 세트 설치되어 있고, 접지극이 있는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2개 동시에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커버(1b)의 전면에 배치된 두 세트의 플러그 삽입구(4)의 도면 내에서의 하측에는 두 극의 플러그에 설치된 어스선이 접속되는 어스 터미널(5)이 배치되고, 어스 터미널(5)의 전면을 덮는 도어(6)가 커버(1b)에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체(1)의 내부에는 두 세트의 삽입구(4a, 4b, 4c)로부터 삽입된 플러그날 및 접지극과 각각 따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한쌍의 접지쪽 소켓(7a, 7a), 전압쪽 소켓(8a, 8a) 및 접지 소켓(9a, 9a)이, 각 삽입구(4a, 4b, 4c) 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접지쪽 소켓(7a, 7a)은 판 형상의 금속 부재를 가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속결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접지쪽 단자판(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전압쪽 소켓(8a, 8a)도, 판 형상의 금속 부재를 가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속결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전압쪽 단자판(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접지쪽 소켓(7a, 7a)과 접지쪽 단자판(10)으로 접지쪽 소켓 블록(7)이 구성되는 동시에, 전압쪽 소켓(8a, 8a)과 전압쪽 단자판(10)으로 전압쪽 소켓 블록(8)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접지쪽 소켓 블록(7)과 전압쪽 소켓 블록(8)은 완전히 동일한 형성을 갖고 있다.
한쌍의 접지 소켓(9a, 9a)은 마찬가지로 판 형상의 금속 부재를 가공함으로써, 교락(橋絡)편(9b)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 교락편(9b)의 일단쪽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속결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접지 단자판(10', 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접지 소켓(9a, 9a)과 교락편(9b)과 접지 단자판(10')으로 접지 소켓 블록(9)이 구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접지 단자판(10', 10')에는 나사 단자 금속구(5a)가 코킹(caulking) 고정되고, 나사 단자 금속구(5a)와 나사(5b)와 좌금(座金)(5c)으로 어스 터미널(5)이 구성되어 있다.
도어(6)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커버(1b)의 삽입구(1c, 1c)에 삽입되어, 커버(1b)에 계지/이탈이 자유롭게 걸리는 계지편(6a, 6a)과, 힌지부(6b, 6b)를 개재하여 계지편(6a, 6a)에 접속되는 동시에, 커버(1b)의 전면 단부에 설치된 개구부(1d)를 개폐가 자유롭게 덮는 덮개부(6c)로 구성된다. 덮개부(6c)는 얇은 형상의 힌지부(6b, 6b)에 의하여, 계지편(6a, 6a)에 대하여 벤 딩/스트레칭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즉, 도어(6)의 덮개부(6c)는 계지편(6a, 6a)에 대하여 펴거나 구부리거나 함으로써, 커버(1b)의 개구부(1d)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닫았을 때에 어스 터미널(5)을 가리게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구(4)의 플러그날 삽입구(4a, 4b)를 자동적으로 차폐하는 한쌍의 도어(100, 100)를 가진, 소위 도어가 있는 콘센트이다. 도어(100)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기체(1) 내에 수납된 안쪽 프레임(101)의 전면쪽에, 커버(1b)의 배면쪽에 있어서 플러그날 삽입구(4a, 4b)를 차폐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102)에 의해서 플러그날 삽입구(4a, 4b)를 차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이 가해지고 있다. 즉, 플러그날 삽입구(4a, 4b)에 삽입된 플러그의 플러그날에 밀림으로써 복귀 스프링(10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어(1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100)에 의해 차폐되어 있던 플러그날 삽입구(4a, 4b)가 개방되어 플러그날을 소켓(7a, 8a)에 접속할 수 있고, 반대로 플러그를 뽑으면 복귀 스프링(10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도어(10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플러그날 삽입구(4a, 4b)를 차폐하는 위치로 복귀하여, 플러그날 삽입구(4a, 4b)를 통하여 기체(1)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도어가 있는 콘센트는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도어(100)나 안쪽 프레임(101) 등의 구체적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속결 단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 태의 속결 단자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판(10 또는 10')과 자물쇠 스프링(20)과 해제 레버(30)와 보조 스프링(50)로 구성된다.
단자판(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주편(主片)(11)과, 주편(11)의 긴 쪽 방향을 따르는 한쪽 끝으로부터 후방으로 늘어뜨려진 한쌍의 접촉편(12)과, 주편(11)의 긴 쪽 방향을 따르는 다른 쪽 끝으로부터 후방으로 늘어뜨려진 접촉편(當接片)(13)을 갖고, 탄성을 갖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가공하여 주편(11), 접촉편(12), 접촉편(13)이 일체로 형성된다. 단, 도 4에 있어서는 주편(11)의 양단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소켓[접지쪽 소켓(7a), 전압쪽 소켓(8a)]을 생략하고 있다. 접촉편(12)에는 전선의 삽입 방향[도 4c에서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양단부에 있어서 전선을 가압하는 한쌍의 가압부(12a, 12b)와, 상측의 가압부(12b)의 끝을 접촉편(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 일으켜서 이루어지는 피계지부(12c)가 설치되고, 가압부(12b)와 주편(11)의 사이에는 본체(1a)의 바닥벽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전선 삽입 구멍(91)과 대향하여 전선이 관통되는 삽입 통과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자물쇠 스프링(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대략 J자 형상으로 벤딩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단자판(10)의 주편(11) 및 접촉편(13)에 접촉하는 갈고리형의 도통편(21)과, 도통편(2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U자 형상으로 벤딩 형성된 스프링편(22)을 가지며, 전선에 접촉하여 빠짐방지하는 스프링편(22)의 선단이 자물쇠부가 된다. 또, 스프링편(22)에는 전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통편(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벤딩부(22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물쇠 스프링(2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편(11)과 접촉편(13)에 도통편(21)을 접촉하게 하는 동시에 스프링편(22)을 접촉편(12)과 대향시키는 형태로 단자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접촉편(12)의 폭 치수가 스프링편(22)의 폭 치수보다 좁게 되어 있어, 전선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4b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보아 접촉편(12)의 양측에 스프링편(22)이 튀어 나오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자판(10) 및 자물쇠 스프링(20)은 본체(1a)에 설치된 단자판 수납실(90)에 수납된다. 그리고, 전선 삽입 구멍(91)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을 단자판(10)의 접촉편(12)과 자물쇠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는 동시에 자물쇠부[스프링편(22)의 선단]을 전선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빠짐방지할 수 있다.
해제 레버(30)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조작부(31)와, 직사각형 판 형상의 계지부(32)와, 조작부(31)와 계지부(32)의 긴 쪽 방향 양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3, 33)와, 연결부(33, 33)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돌출하는 아암부(34, 34)와, 아암부(34, 34)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축부(35, 35)와, 축부(35, 35) 선단면의 중앙쪽 위치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의 압동부(36, 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35, 35)의 선단면의 외측 부분과 압동부(36, 36)의 외측 면에 의해 보조 스프링(50)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37, 37)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에서는 각 단자판(10, 10')에 대하여 직렬 배선용을 포함하여 속결 단자 장치가 각각 두 개씩 설치되고, 이들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가 각 단자판(10, 10')과 함께 본체(1a)의 각 단자판 수납실(90)에 나란히 수납된다. 본체(1a)의 측면에는 단자판 수납실(90)과 통하는 복수의 세로 홈(93)이 설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한쌍의 세로 홈(93, 93)을 통하여 연결부(33) 및 조작부(31)가 기체(1) 밖에 배치된 상태로 해제 레버(30)가 본체(1a)에 설치된다. 본체(1a) 내에서 한쌍의 세로 홈(93, 93)과 전선 삽입 구멍(91)의 사이에 있는 부위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레버(30)의 회전시에 축부(35, 35)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용 리브(92, 92)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스프링(50)은 도 8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판 형상의 스프링재를 벤딩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기체(1)[본체(1a)]의 내부 벽에 접촉하는 접촉편(51)과, 선단 근방에서 해제 레버(30)에 접촉하는 스프링편(52)과, 스프링편(52)과 접촉편(51)를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연결편(53)과, 접촉편(5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갈고리형의 돌출편(54)을 갖는다. 또, 스프링편(52)은 해제 레버(30)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선단쪽이 해제 레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지고, 다시 상기 접촉 부위보다 연결편(53)쪽 부위에서 해제 레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 스프링(5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물쇠 스프링(20)과 함께 단자판(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프링편(52)의 선단부(52a)가 해제 레버(30)의 아암부(34)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결정부(37)에 위치결정되어 해제 레버(30)에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스프링편(52)은 해제 레버(30)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선단쪽 부분이 해제 레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기 때문에, 보조 스프링(50)의 선단 부분이 다른 부품이나 다른 보조 스프링(5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해제 레버(30)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후단쪽 부분[접촉편(51)]이 기체(1)의 내부 벽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스프링편(52)의 선단부(52a)가 해제 레버(30)의 아암부(34)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결정부(37)에 위치결정되므로, 기체(1) 내에서 보조 스프링(50)을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 스프링(50)의 스프링편(52)이 해제 레버(30)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연결편(53)쪽 부위에서 해제 레버(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스프링편(52)의 스트로크를 길게 잡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스프링(50)에 설치된 돌출편(54)이 단자판(10)의 주편(11) 근방까지 연장되어 본체(1a)의 개구면쪽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조 스프링(50)이 편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스프링(50)에 대하여 전선의 반삽입 방향(도 12에서의 아래쪽 방향)에 접촉하는 부위(11a)가 단자판(10)에 설치되어, 보조 스프링(50)이 전선의 삽입 방향으로 빗나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속결 단자 장치에서는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32)가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c)에 걸리는(래치하는) 회전 위치까지 해제 레버(30)가 회전시켜져 있다(이하, 이 회전 위치를 「초기 위치」라 함). 해제 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자물쇠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의 양단부가 한쌍의 압동 부(36, 36)에 밀려 움직여져 자물쇠부[스프링편(22)의 선단]가 접촉편(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휜 상태에 있다. 이 때 스프링편(22)의 스프링력과 보조 스프링(5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해제 레버(30)에 반조작 방향(도 14에서의 반시계 회전)으로 탄성이 가해지는데, 계지부(32)가 단자판(10)의 피계지부(12c)에 걸려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30)는 초기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전선 삽입 구멍(91)을 통하여 전선(200)의 도체(201)을 접촉편(12)과 스프링편(22)과의 사이에 도입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통과부(14)를 통하여 도체(201)의 선단이 해제 레버(30)의 계지부(32)에 접촉하여, 계지부(32)를 밀어올려 계지부(32)와 피계지부(12c)와의 래치 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면, 스프링편(22) 및 보조 스프링(50)의 스프링력에 의해 탄성이 가해지고 있던 해제 레버(30)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편(22) 선단의 자물쇠부가 도체(201)에 접촉함으로써 전선(200)이 빠짐방지되는 동시에 스프링편(22)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도체(201)가 접촉편(12)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도체(201)는 한쌍의 가압부(12a, 12b)에 의해서 스프링편(22) 방향으로 가압되고, 자물쇠부와 한쌍의 가압부(12a, 12b)의 가압력이 균형을 이루어 전선(200)이 끼여 지지된다. 또, 피계지부(12c)와의 걸림이 빠질 때에 계지부(32)가 피계지부(12c)에 튕겨져 소리가 발생한다. 여기서, 단자판(10)의 주편(11)에는 도체(201)의 선단을 삽입 통과부(14)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부에 의해서 도체(201)를 확실하게 삽입 통과부(14)에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편(11)에 마련된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삽입 통과부(14)에 있어서 피계지부(12c)와 대향하는 끝에 형성된 경사면(14a)을 안내부로 하고 있다(도 14 참조).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200)이 접속된 상태에서 조작부(31)를 위쪽으로 밀어올리도록 조작하면, 지지용 리브(92, 92)로 지지된 축부(35, 35)를 지지점으로 하여 해제 레버(30)가 접속시와 반대 방향(도 15에서의 시계 회전)으로 회전하여, 압동부(33, 33)가 자물쇠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을 가압하여 도체(201)에 접촉하는 자물쇠부[스프링편(22)의 선단]를 도체(201)로부터 떼어놓도록 스프링편(22)을 휘게 하여 전선(200)을 뽑을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자판(10)과 전선(200)의 접속이 완료되면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가 초기 위치보다 하방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전선의 접속 완료 표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계지부(32)가 피계지부(12c)에 튕겨져서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서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30)를 전선(200)의 접속 완료 표시에 겸용함으로써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해제 레버(30)의 축부(35, 35)를 지지하는 지지용 리브(92, 92)에 의해서 압동부(36, 36)가 자물쇠부로부터 받는 반발력을 받을 수 있고, 더욱이, 압동부(36, 36)를 사이에 두고 자물쇠부[자물쇠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 선단]와 대향하는 위치에 지지용 리브(92, 9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동부(36, 36)가 자물쇠부로부터 받는 반발력에 의해서 해제 레버(30)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해제 레버(30)는 자물쇠부[스프링편(22)의 선단]의 다른 장소(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근방)를 한쌍의 압동부(36, 36)에 의해서 동시에 가압하고 있으므로, 자 물쇠부를 원활하게 밀어 움직일 수 있게 되어 해제 레버(3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동부(36, 36)에 있어서의 자물쇠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으면 자물쇠부가 압동부(36, 36)를 타고 넘게 되어, 해제 레버(30)에 의한 해제가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동부(36, 36)가 자물쇠부와 면접촉하는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물쇠부가 압동부(36, 36)를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해제 레버(30)의 계지부(32)에 자물쇠 스프링(20)이나 보조 스프링(50)의 스프링력이 작용해서 휘어, 창고 등에 초기 위치인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었을 경우에 계지부(32)가 크리프 변형될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 레버(30)에 있어서 계지부(32)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분[연결부(33)]에 두꺼운 보강부(33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도 6b 참조], 계지부(32)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접지쪽 소켓 블록(7) 및 전압쪽 소켓 블록(8)의 각 단자판(10, 10)에 대해서는 직렬 배선용을 포함하여 각각 두 개씩의 속결 단자 장치가 설치되고, 이들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는 동일한 단자판 수납실(90)에 나란히 수납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 레버(30)가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방향에 평행한 평면(X)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도 6 참조), 각각의 속결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해제 레버(30, 30)를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종래예와 같이 해제 레버가 비대칭인 경우에 비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조립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전선(200)의 접속을 해제할 때에 해제 레버(30)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어 자물쇠 스프링(20)이 소성 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해제 레버(30)의 회전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이 해제 레버(30)에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 수단은 아암부(34, 34)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의 계지부(32, 32)쪽의 단부에 설치된 규제 오목부(38, 38)로 이루어지며, 해제 레버(30)가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단자판(10)의 단부를 끼워 넣어 간섭함으로써 회전량을 규제하는 것이다(도 9 참조). 즉, 종래예에 있어서는 해제 레버의 회전량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범위를 규제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되었을 경우에 스토퍼가 크리프 변형되어 버려, 해제 레버가 동작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암부(34, 34)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의 계지부(32, 32)쪽의 단부에 설치된 규제 오목부(38, 38)에 의해 해제 레버(30)의 회전량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한 스토퍼가 크리프 변형에 의해서 회전량의 규제에 이상을 초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크리프 변형에 의한 해제 레버(30)의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해제 레버(30)의 조작부(31)는 수동 조작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한데, 단순히 두께를 두껍게 하면 조작시에 기체(1)[본체(1a)]와 간섭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부(31)의 기체(1)와 대향하는 면에 기체(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릴리프)(31a)가 설치되어 있어(도 14 참조), 오목부(31a)에 의해서 조작부(31)와 기체(1)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해제 레버(30)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전선(200)의 접속시에 전선(200)의 피복(202)이 전선 삽입 구멍(91)의 주위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으나, 전선 삽입 구멍(91)의 주위는 본체(1a)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께가 얇기 때문에 큰 하중이 가해지면 갈라지거나 이가 빠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a) 내에서의 전선 삽입 구멍(91)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1e)가 설치되어, 결선 작업시에 전선 삽입 구멍(91)의 주위가 전선(200)으로부터 받는 힘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200)의 결선이 완료되면 계지부(32)와 피계지부(12c)와의 걸림이 빠져 해제 레버(30)가 반조작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나, 전선(20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물쇠 스프링(20)의 스프링편(22)이 압동부(36, 36)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면을 수직 하방을 향하여 기체(1)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 보조 스프링(50)이 없으면, 해제 레버(30)가 자중(自重)에 의해 조작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접속 완료 표시가 불명확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보조 스프링(50)로 해제 레버(30)에 항상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된 경우이더라도 계지부(32)와 피계지부(12c)의 걸림이 빠진 상태의 해제 레버(30)가 자중에 의해 조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 완료의 표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피계지부(12c)는 삽입 통과부(14)가 되는 구멍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돌기)를 구부려 일으킴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나, 가공용의 금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피계지부(12c)가 되는 상기 돌기와 구멍[삽입 통과부(14)]의 둘레와의 사이의 간극을 어느 정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200)의 도체(201)가 상기 간극(S)에 꼭 들어맞아 접촉편(12)의 상측의 가압부(12b)로부터 빗나가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계지부(12c)의 선단과 구멍[삽입 통과부(14)]의 둘레와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14b)를 삽입 통과부(14)에 마련하고 있어, 삽입 통과부(14)에 관통한 전선(200)의 도체(201)가 간극(S')에 꼭 들어맞는 것을 방지하여 피계지부(12c)[가압부(12b)]와 확실하게 접촉하게 하여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보조 스프링(50)에 특징이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형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보조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보조 스프링 블록(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조 스프링 블록(50')은 스프링편(52')과 연결편(53')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보조 스프링부가 접촉편(51')에 의해서 연결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a) 내의 단자판 수납실(90)에 있어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보조 스프링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돌출부(1f)가 바닥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 레버(30)를 본체(1a)에 설치한 상태에서 한쌍의 보조 스프링부의 사이에 돌출부(1f)를 꽂도록 하면, 보조 스프링 블록(50')을 용이하게 위치결정하여 단자판 수납실(91)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촉편(51')을 부분적으로 스프링편(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단자판(10)의 주편(11)뿐만 아니라 접촉편(13)에도 접촉하게 하고 있으므로(도 19 참조), 전선 삽입시에 보조 스프링 블록(50')이 빗나가거나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보조 스프링을 일체로 한 보조 스프링 블록(5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1과 같이 각각의 속결 단자 장치마다 보조 스프링(50, 50)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는 보조 스프링에 특징이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조 스프링(6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1) 내에 있어서 단자판(10)에 대하여 전선 삽입 구멍(91)과 반대쪽, 즉, 단자판(10)의 전방(도 20에서의 상방)에 배치되고, 해제 레버(30)를 전방으로부터 후방(도 20에서의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꽉 누르는 것이다. 이 보조 스프링(60)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b)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61)와, 고정부(61)로부터 연장되어 해제 레버(30)와 접촉하는 부위(선단부)만이 해제 레버(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역へ자 형상의 스프링편(62)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보조 스프링(60)에 의해서 해제 레버(30)에 전방으로부터 탄성을 가함으로써, 해제 레버(30)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보조 스프링(60)의 스프링편(62)이, 해제 레버(30)와 접촉하는 선단부만이 해제 레버(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역へ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편(62)의 선단이 해제 레버(30)의 조작시에 휩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도 21b 참조].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61)로부터 한쌍의 스프링편(62, 62)을 병행으로 연장하여 해제 레버(30)를 두 개의 스프링편(62, 62)으로 누르게 하면, 해제 레버(30)에 더 확실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 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스프링편(62, 62)으로 각각 인접하는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의 해제 레버(30, 30)에 탄성을 가하면,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61)에 대하여 네 개의 스프링편(62)을 설치하여 두 개의 해제 레버(30, 30)에 각각 한쌍의 스프링편(62, 62)으로 탄성을 가하면, 해제 레버(30, 30)에 확실하게 힘을 가하는 동시에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센트에서는 접지 소켓 블록(9)의 두 개의 단자판(10', 10')이 기체(1)의 양측에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25에 도시 한 바와 같이 고정부(61)로부터 각각 반대쪽으로 한쌍의 스프링편(62, 62)을 연장시켜 보조 스프링(60)을 구성하면, 접지 소켓 블록(9)에 대응하는 두 개의 속결 단자 장치에 있어서도 보조 스프링의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는 자물쇠 스프링에 특징이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물쇠 스프링(20')은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편(22)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자물쇠부(23)가 설치되는 동시에, 자물쇠부(23)보다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해제 레버(30)의 압동부(36, 36)와 접촉하는 한쌍의 피압동부(24, 24)가 스프링편(2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자물쇠부(23)의 양측에 설치되고, 또한 보조 스프링(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피압동부(24, 24)는 스프링편(22)의 선단 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단을 나눈 후, 단이 나뉘어진 폭 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보조 스프링(25)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보조 스프링(50)의 돌출편(54)을 제거한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물쇠부(23)에 접촉하는 도체(201)가 양측의 피압동부(24, 24)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도체(201)가 스프링편(22)의 폭 방향으로 빗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자물쇠부(23)로 확실하게 쇄정(鎖錠)할 수 있으며, 또한 피압동부(24, 24)가 해제 레버(30)의 압동부(36, 3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자물쇠부(23)를 도체(201)로부터 떼어놓을 때에 필요한 해제 레버(30)의 회전량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보조 스프링(25)이 자물쇠 스프링(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단자판의 단부를 끼워 넣어 간섭함으로써 회전량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가 압동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다른 부위로부터 돌출한 스토퍼가 크리프 변형에 의해서 회전량의 규제에 이상을 초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크리프 변형에 의한 해제 레버의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해제 레버가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해제 레버가 비대칭인 경우에 비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조립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압동부가 자물쇠부로부터 받는 반발력을 기체에 설치된 지지용 리브로 받을 수 있고, 더욱이 지지용 리브가 압동부를 사이에 두고 자물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에 있어서 계지부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위에 두꺼운 보강부가 설치되었으므로, 계지부의 크리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압동부로 상기 자물쇠부의 다른 장소를 동시에 밀어 움직이므로, 자물쇠부를 원활하게 밀어 움직일 수 있게 되어 해제 레버의 조작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압동부가 자물쇠부와 면접촉하는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물쇠부가 압동부를 타고 넘어 해제 레버에 의한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에 의하여 조작부와 기체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해제 레버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기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결선 작업시에 전선 삽입 구멍의 주위가 전선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전선 삽입 구멍으로부터 기체 내에 도입된 전선이 단자판의 삽입 통과부에 관통된 후에 해제 레버의 계지부를 밀어 피계지부와의 걸림을 풀 수 있고, 더욱이, 단자판에 설치된 안내부에 의해서 전선을 확실하게 삽입 통과부에 관통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피계지부의 선단과 상기 구멍의 둘레와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가 상기 삽입 통과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삽입 통과부에 관통한 전선을 확실하게 피계지부와 접촉하게 하여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에 반조작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보조 스프링을 구비하였으므로, 계지부와 피계지부와의 걸림이 풀린 상태의 해제 레버가 자중에 의해 조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 완료의 표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선단쪽 부분이 해제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기 때문에, 보조 스프링의 선단 부분이 다른 부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후단쪽 부분이 상기 기체의 내부 벽에 접촉 지지되므로, 보조 스프링을 기체 내에서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 스프링의 스프링편이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연결편쪽 부위에서 해제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스프링편의 스트로크를 길게 잡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개구면쪽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돌출편이 상기 보조 스프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스프링이 편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 스프링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해제 레버에 설치하였으므로, 기체 내에서 보조 스프링을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 스프링에 대하여 전선의 반삽입 방향에 접촉하는 부위가 상기 단자판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스프링이 전선의 삽입 방향으로 빗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7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의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내부 벽 및 단자판에 접촉하는 접촉편이 보조 스프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선 삽입시에 보조 스프링이 빗나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보조 스프링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부품을 기체 내에 용이하게 위치결정하여 수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에 의하면, 해제 레버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 스프링의 스프링편 선단이 해제 레버의 조작시에 휩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2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프링편에 의해서 해제 레버에 확실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3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프링편에 의해서 해제 레버에 확실하 게 힘을 가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5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6의 발명에 의하면, 자물쇠 스프링에 있어서 스프링편의 폭 방향 중앙에 자물쇠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자물쇠부보다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해제 레버의 압동부와 접촉하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스프링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자물쇠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선을 자물쇠부로 확실하게 쇄정할 수 있는 동시에 해제 레버의 회전량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7의 발명에 의하면, 보조 스프링이 자물쇠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8의 발명에 의하면, 전선을 자물쇠부로 확실하게 쇄정할 수 있는 동시에 해제 레버의 회전량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배선 기구의 기체(器體)에 관통 형성된 전선 삽입 구멍을 통하여 기체에 도입되는 전선에 접촉하는 단자판과,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선을 끼워 지지하는 동시에 자물쇠부가 상기 전선에 접촉하여 빠짐방지하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한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기체의 표면에 노출되어 수동 조작되는 조작부와, 기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조작부를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지지점으로 상기 조작부가 수동 조작에 의해서 회전하였을 때에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접속 수단의 전선에 접촉한 상기 자물쇠부를 상기 전선으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는 압동부를 구비한 해제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제 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부가 기체로부터 떨어진 회전 위치에서 상기 해제 레버를 래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을 통하여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자판과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전선에 의해서 래치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속결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빠짐방지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단자판의 단부를 끼워 넣어 간섭함으로써 회전량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가 압동부(押動部)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동부를 사이에 두고 자물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해제 레버의 회전시에 축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리브가 상기 기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단자판에 설치된 피계지부와, 상기 해제 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지부에 걸리는 동시에 기체에 도입된 전선의 선단부에 의해 밀려 피계지부와의 걸림이 빠지는 계지부(係止部)를 갖고,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축부, 압동부, 조작부, 계지부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계지부와 다른 부위를 연결하는 부위에 두꺼운 보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자물쇠부의 다른 장소를 동시에 밀어 움직이는 복수 의 상기 압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동부는 상기 자물쇠부와 면접촉하는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기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기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 내에서의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의 주위에 보강용 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부에 걸린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서 상기 전선 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 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전선을 관통하는 삽입 통과부와, 상기 삽입 통과부에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부에 걸린 상기 계지부가 전선의 도입 방향에서 상기 전선 삽입 구멍과 대향하고, 전선 삽입 구멍과 상기 계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판에, 상기 단자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전선을 관통하는 삽입 통과부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부위를 구부려 일으켜서 이루어지는 상기 피계지부가 설치되며, 피계지부의 선단과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와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단차가 상기 삽입 통과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를 반조작 방향으로 가압하는 보조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띠 판 형상의 스프링재를 벤딩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선단쪽 부분이 해제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띠 판 형상의 스프링재를 벤딩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후단쪽 부분이 상기 기체의 내부 벽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 벽에 접촉하는 접촉편과, 선단 근방에서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스프링편과, 상기 스프링편과 접촉편을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연결편을 갖고,
    상기 스프링편이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부위보다 연결편쪽 부위에서 해제 레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바닥벽에 상기 전선 삽입 구멍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단자판과 해제 레버와 보조 스프링이 수납되는 수납 구간을 갖는 박스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면을 막는 형태로 본체와 결합되는 박스형의 커버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개구면쪽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돌출편이 상기 보조 스프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보조 스프링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에 대하여 전선의 반삽입 방향에 접촉하는 부위가 상기 단자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보조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기체의 내부 벽 및 단자판에 접촉하는 접촉편과, 선단 근방에서 해제 레버에 접촉하는 스프링편과, 상기 스프링편과 접촉편을 연결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연결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보조 스프링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보조 스프링의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돌출부가 상기 기체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기체 내에서 단자판에 대하여 전선 삽입 구멍과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해제 레버와 접촉하는 부위만이 해제 레버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스프링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을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복수의 해제 레버와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스프링편이 서로 병행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편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링은 복수의 해제 레버와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스프링편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자물쇠부를 갖는 자물쇠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자물쇠 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끼워 지지하는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자물쇠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자물쇠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자물쇠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자물쇠부보다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해제 레버의 압동부와 접촉하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자물쇠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편과, 스프링편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자물쇠부를 갖는 자물쇠 스프링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판은 상기 자물쇠 스프링과의 사이에서 전선을 끼워 지지하는 동시에 전선에 접촉 도통하는 접촉편과, 전선을 자물쇠 스프링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자물쇠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 중앙에 상기 자물쇠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자물쇠부보다 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해제 레버의 압동부와 접촉하는 한쌍의 피압동부가 상기 스프링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자물쇠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결 단자 장치.
KR1020060104104A 2005-10-26 2006-10-25 속결 단자 장치 KR100851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1984 2005-10-26
JP2005311984 2005-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117A KR20070045117A (ko) 2007-05-02
KR100851094B1 true KR100851094B1 (ko) 2008-08-08

Family

ID=3827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104A KR100851094B1 (ko) 2005-10-26 2006-10-25 속결 단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1094B1 (ko)
TW (1) TW20071792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992A (ja) * 2005-06-27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工具本体及び電動工具
JP2008006005A (ja) * 2006-06-28 2008-01-17 Toshiba Corp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およ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JP2008006004A (ja) * 2006-06-28 2008-01-17 Kokuyo Co Ltd 把手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992A (ja) * 2005-06-27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工具本体及び電動工具
JP2008006005A (ja) * 2006-06-28 2008-01-17 Toshiba Corp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およ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JP2008006004A (ja) * 2006-06-28 2008-01-17 Kokuyo Co Ltd 把手の取付構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1999-28172호
공개특허 제2006-0049612호
공개특허 제2006-005064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7926A (en) 2007-05-01
TWI327390B (ko) 2010-07-11
KR20070045117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791B1 (ko)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US7674130B2 (en) Electric connector for routing a line through a housing wall
JP2009541919A (ja) 電気コネクタ
AU2009276011A1 (en) Checkable plug-in connection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a plug-in connection
KR20090016395A (ko) 레버식 커넥터
JP3855833B2 (ja) 電線接続コネクタ
US20200251842A1 (en) Flat-conductor connector
JP4084079B2 (ja) コネクタ構造
KR20130077047A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N108429071B (zh) 连接器
US820616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830556B2 (ja) 速結端子装置並びに配線器具
KR100851094B1 (ko) 속결 단자 장치
EP2874175B1 (en) Fuse holder and fuse cover with fixing structure
KR100446796B1 (ko) 커넥터
JP4614270B2 (ja) リード線を印刷回路基板に接触させる端子ユニット
US6493236B1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8277037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2008277036A (ja) L型コンタクト
CN108461963B (zh) 连接器
JP2017183035A (ja) コネクタ
WO2021111826A1 (ja) コネクタ
JP4834855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20090073841A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JP2008277035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