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213B1 -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에 의해 감합부의 플로팅이 조절되는커넥터 - Google Patents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에 의해 감합부의 플로팅이 조절되는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213B1
KR100800213B1 KR1020050065260A KR20050065260A KR100800213B1 KR 100800213 B1 KR100800213 B1 KR 100800213B1 KR 1020050065260 A KR1020050065260 A KR 1020050065260A KR 20050065260 A KR20050065260 A KR 20050065260A KR 100800213 B1 KR100800213 B1 KR 10080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loating
insulator
conta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899A (ko
Inventor
코지 카와세
아키라 키무라
토시유키 모리타케
노부카즈 카토
카즈시 카마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이이 히로사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이이 히로사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감합부(fitting portion)(20)와 고정부(fixed portion)(40)를 포함하는 플로팅(floating) 커넥터(101)에 있어서, 지지기구(1)는 고정부에 대하여 감합부를 지지하도록 고정부와 감합부에 접속되어, 감합부가 상대측 커넥터(102)의 감합 방향(26)으로 플로팅(floating)을 허용한다. 플로팅 제어 기구(22, 25)는 감합부와 고정부 사이에 있다. 상대측 커넥터가 플로팅 커넥터에 감합되지 않은 때, 플로팅 제어 기구는 감합부의 플로팅을 로크하거나 금지한다. 그러나, 플로팅 제어기구는 플로팅 커넥터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동작에 따라서 감합부의 플로팅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에 의해 감합부의 플로팅이 조절되는 커넥터{CONNECTOR IN WHICH FLOATING OF A FITTING PORTION IS CONTROLLED BY FITTING OF A MATING CONNECTOR}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팅 커넥터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B-IB선을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나타낸 플로팅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낸 플로팅 커넥터의 뒷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A에서의 플로팅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는 상기 감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의 VA-V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의 VB-V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A의 플로팅 커넥터에 포함된 금속판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금속판의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나타낸 금속판의 정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에 나타낸 금속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팅 커넥터에서 천정판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의 확대된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에서, 천정판이 제거된 상태의,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플로팅 커넥터에서, 천정판이 제거된 상태의, 확대된 부분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에 포함된 고정 절연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에 포함된 감합부 절연체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에 포함된 슬라이드캠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슬라이드캠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7의 플로팅 커넥터에 포함된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 출원 제2004-211859호 및 제2004-319357호의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상기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SATA(Serial AT Attachment) 커넥터와 접속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SATA 커넥터와 접속을 위하여, 감합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서로 수직인 방향(X축 방향 및 Y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감합부를 가지는 플로팅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플로팅 커넥터는, 예컨대 일본 특개평 10-32129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유사하게는, 일본 특개평 2002-93531호 공보에는 폭방향(X축 방향)과 높이방향(Y축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감합부를 가지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플로팅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지지 않은 미감합 상태(unfitted state)에서조차도 감합부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감합부는 콘택에 의해서만 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감합부가 기계적 충격을 받으면 감합부가 움직여, 콘택의 변형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질 감합부가 미감합 상태에서 고정되어,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된 후에 플로팅 가능한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동작에 따라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감합부가 이동가능한 상술한 형태의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X축, Y축 및 Z축으로 감합부가 이동가능한 상 술한 형태의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된 후에 위치결정 에러 또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감합부, 고정부, 고정부에 대하여 감합부를 지지하도록 감합기구와 고정기구에 접속되어 감합부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플로팅을 허용하는 지지기구, 및 상대측 커넥터가 플로팅 커넥터에 감합되지 않은 때 플로팅을 로크하고 플로팅 커넥터에 대한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동작에 따라서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감합부와 고정부 사이에 플로팅 제어기구를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팅 커넥터(이하, 제1 플로팅 커넥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플로팅 커넥터는 101로 표시되며, 감합 방향(26)으로 상대측 커넥터(102)에 끼워질 감합부(15, 18)를 가지는 감합부 절연체(20) 또는 감합부와, 가동부 또는 가동 절연체(30)와, 고정부 또는 고정 절연체(40)를 포함한다. 고정 절연체(40)에서, 콘택부(10)의 일단은 매설되어 있다. 감합부 절연체(20)에는 L자 형상 스토퍼(25)와, 그 일단에 위치된 슬라이드 캠(22)이 설치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102)의 감합방향(26) 및 감합 방향(26)에 반대되는 제거방향 또는 반대방향을 일괄하여 제 1 방향(Z축 방향)(28)으로 한다.
감합부 절연체(20)는 단면 ⊃ 형상의 박스 형상 부재를 구비하는 감합부 절연체 본체(11)와, 그 대향측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12)를 포함한다. 감합부 절연체 본체(11)의 정면쪽에, 감합부(15, 18)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15, 18)는, 이하에 설명되는 콘택(1)의 단부(4)를 수용하기 위한 홈(16, 17)이 각각 설치된 천정판(ceiling plates)을 가진다.
도시된 예에서, 콘택부(10)는 고정 절연체(40)의 한쪽에만 형성된다. 그러나, 유사한 콘택부가 고정 절연체(40)의 다른 쪽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절연체(30)는 그 내부에 감합부 절연체(20)를 수용 가능한 박스 형상을 가진다. 가동 절연체(30)는 전방이 개방된 수용부(32)를 가지는 가동 절연체 본체(31)와, 그 후방 단부에서 가동 절연체 본체(31)의 대향 측에 형성된 한쌍의 L자 형상 플로팅 결합부재(34)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34)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수직으로 구부러져 외부로 연장한다. 가동 절연체 본체(31)와 각 결합부재(34) 사이에, 결합홈(35)이 수직방향(Y축 방향)인 제2 방향(36)을 관통하여 폭방향(X축 방향)인 제3 방향(37) 외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고정 절연체(40)는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며 제3 방향(37)으로 연장하는 고정 절연체 본체(41), 제3 방향(37)으로 연장하고, 제2 방향(36)으로 연장하여 기립하도록 고정 절연체 본체(41)의 대향 측상에 형성된 한쌍의 제1 플로팅 가이드 부재(42), 및 제1 플로팅 가이드 부재(42)의 외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1 방향(28)과 제2 방향(36)으로 연장하는 플랫 형상의 한쌍의 제2 플로팅 가이드 부재(43)를 포함한다. 고정 절연체 본체(41)는 그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홈이 진 계단부(44)와 그 후방부(rear part)를 조금 절단하여 형성된 계단부(45)를 가진다.
콘택부(10)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콘택(1), 각 콘택(1)의 일부를 지지하는 가요성 편평 절연체(7) 및 상기 절연체(7)의 이면(裏面)을 덮는 금속판(6)(도 6A 내지 6D)을 포함한다. 따라서, 절연체(7)는 콘택(1)과 금속판(6) 사이에 놓여 클램핑된다. 절연체(7)의 일부는 콘택(1)의 베이스부(3)에 위치된다. 절연체(7)는 콘택(1)의 지지부(2)에 위치된 유지부를 가진다.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6)은 금속박판을 구비하며, 금속판(6)은 고정 절연체 본체(41)에 부착된 돌출부(6a)를 가진다.
제1 플로팅 커넥터(101)가 HDD 등의 SATA 커넥터 등의 고속전송용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경우, 콘택(1)의 임피던스 정합은, 나란하게 배열된 콘택(1)에 그 사이에 절연체(7)를 끼우고 접지로서 금속판(6)을 부착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5A 및 5B에서, 절연체(7)는 금속판(6)과 대략 유사한 형상이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콘택(1)은 원호 형상의 지지부(2), 그곳으로부터 연장하는 베이스부(3), 콘택이 접혀 꺽이는 단부(4) 및 후방으로 연장하는 접힘부(5)를 가진다.
도 5A와 5B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 둥글게 돌출되는 접촉부(1a)가 콘택(1)의 단부(4)와 접힘부(5) 사이에 형성된다. 콘택의 단부(4) 근처의 베이스부(3)와 콘택(1)의 접힘부(5)는 감합부 절연체(20)의 감합부 절연 본체(11)에 의해 유지된다. 여기서, 도 5A에 나타낸 콘택(1)은 신호 콘택이다. 도 5B에 나타낸 콘택(1)은 접지 콘택이며, 금속판(6)과 접촉된 접힘부(5)의 단부(1b)를 가진다.
한편, 원호 형상 지지부(2)는 고정 절연체 본체(4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지지부(2)는 제2 방향(36)으로 고정 절연체(40)의 고정 절연체 본체(41)를 통하여 연장하여, 커넥터의 하단에서 단자부(2a)를 형성하도록 감합방향(26)쪽으로 구부러진다. 콘택부(10)의 각각의 콘택(1)은 감합부 절연체(20)와 고정 절연체(40)에 고정된다. 콘택(1)은 지지 기구로서 기능한다.
감합부 절연체(20)를 용이하게 가동하도록, 콘택(1)의 두께는 감소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콘택(1)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은 콘택(1)이 가요성을 갖도록 고정부보다 더 길다. 콘택(1)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 두께를 얇게 하므로, HDD 등(미도시됨)의 상대측 커넥터(102)의 대상 콘택(63)과의 접촉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 콘택(1)은 단부(4), 즉 커넥터의 감합부(15, 18) 근방의 단부에서 접혀져 꺾이고, 베이스부(3)와 접힘부(5) 모두 감합부 절연 체 본체(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구조를 가지는 콘택(1)의 사용에 의해, 콘택(1)의 스프링 상수를 증가시켜, 접촉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대측 콘택(63)과 접지 사이의 접속을 이루기 위해, 콘택(1)의 접힘부(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접촉부(1a)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택(1)의 하측상에 위치되어 접지로 되는 금속판(6)(도 5B)이 콘택(1)의 접촉부(1b)에 접속된다.
스토퍼(25)는 감합 방향(26)으로 가동 절연체(30)에 대하여 감합부 절연체(20)의 이동을 저지(로크)하도록 한다. 스토퍼(25)는 L자 형상의 판부재(25c), L자 형상의 대략 중심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하는 회전축(25a), 및 L자 형상의 일단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축(25b)을 가진다. 따라서, 가이드축(25b)은 회전축(25a)에 대하여 편심 위치(eccentric position)에 배치된다. 회전축(25a)은 가이드 부재(12)의 축구멍(13)으로 삽입된다. 한편, 가이드 축(25b)은 슬라이드 캠(22)의 일면상에 형성된 캠홈(24)에 삽입된다.
슬라이드 캠(22)은 제1 방향(28)으로 슬라이드캠(22)의 일면을 따라 관통하는 가이드홈(23)과, 캠홈(24)을 가진다. 캠홈(24)은 제1 방향(28)으로 연장하는 직선부와, 외부에 도달하도록 곡선형상으로 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대략 S자 형상부를 가진다.
도 1A 와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 절연체(20)의 가이드 부재(12)내에 형성된 리브(rib)(레일, rail)(19)가 슬라이드캠(22)의 가이드 홈(23)에 끼워진다. 또한, 스토퍼(25)의 일면(一面) 상의 회전축(25a)은 가이드 부재(12)의 축구멍(13)에 끼워진다. 스토퍼(25)의 타면(他面) 상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 축(25b)은 슬라이드캠(22)의 캠홈(24)에 끼워진다. 스토퍼(25)와 슬라이드캠(22)의 결합은 감합부 절연체(20) 이동의 로크를 수행하고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플로팅 제어기구로서 기능한다.
슬라이드 캠(22)이 상대측 커넥터(102)의 감합 방향(26)에 대향하는 쪽에 위치되면, 스토퍼(25)의 전체 또는 일부가 가동 절연체(30)에 들어간다.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제1 플로팅 커넥터(10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고정 절연체(40)의 상부로부터, 제1 플로팅 가이드 부재(42)가 가동 절연체(30)의 후방의 결합홈(35)에 끼워진다. 다음으로, 콘택부(10)가 수용부(32)에 삽입된다.
슬라이드캠(22)이, 리브(21)와 가이드홈(23)을 사용하여, 감합부 절연체(20)의 가이드 부재(12)에 끼워진다. 그리고나서, 스토퍼(25)의 회전축(25a)은 가이드 부재(12)의 축구멍(13)으로 삽입된다. 스토퍼(25)의 가이드축(25b)이 슬라이드 캠(22)의 캠홈(24)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감합부 절연체(20)의 후단이 가동 절연체(30)의 수용부(32)에 수용된다. 이때, 콘택(1)의 단부(4)가 감합부(18)의 홈(17)에 각각 압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택(1)은 전방 및 후방 단부 근처 부분에서 감합부 절연체(20)와 고정 절연체(40)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로팅 커넥터(101)는 도 1A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대측 커넥터(102)의 감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대측 커넥터(102), 예컨대 HDD의 SATA 커넥터의 감합 전에는, 스토퍼(25)가 가동 절연체(30)의 측부에 형성된 홈(33)의 저부(33a)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플로팅 커넥터(101)의 감합부 절연체(20)는 감합 방향(26)으로 고정 절연체(40)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제2 방향(37) 및 제3 방향(36)으로, 감합부 절연체(20)가 이동가능하다. 즉 플로팅가능하다. 여기서, 상대측 커넥터(102)가 접속되지 않을 때는, 가동 절연체(30)는 감합부 절연체(20)에 고정되어, 감합부 절연체(20)는 기계적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 방향(28)으로 움직이는 것이 저지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다음으로, 도 4A에 나타낸 감합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102)의 일단(61a)이 감합 방향(26)으로 슬라이드캠(22)의 일단을 가압하며, 그리고 나서, 가이드 축(25b)은 도 1B의 화살표(2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5)를 회전시키도록 슬라이드캠(22)에 대하여 캠홈(24)내에서 전방으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스토퍼(25)의 일단부는 회전하여 가동 절연체(3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감합부 절연체(20)는 제1 방향(28)으로 플로팅가능하다. 상대측 커넥터(102)가 감합된 후에, 제2 방향(36) 및 제3 방향(37)으로 상대측 커넥터의 위치결정 에러 또는 변위를 흡수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102)가 끼워지면, 슬라이드캠(22)은 스토퍼(25)를 회전시키도록 상대측 커넥터(102)에 의해 가압되어, 가동 절연체(30)의 로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가동 절연체(30)는 미감합 상태에서는 고정되며, 감합 후에 가동 절연체(30)는 움직이게 된다.
제1 플로팅 커넥터(101)에서, 감합부 절연체(20)는 상대측 커넥터(102)와 감합이 완료될 때까지 고정된다. 감합 완료후에, 가동 절연체(30)는 로크해제되어, 커넥터 감합 방향으로 플로팅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절연체(30)는 제1, 제2 및 제3 방향(28, 36, 37)으로 자유롭게 플로팅 가능하다.
제1 플로팅 커넥터(101)에서, 콘택의 구부림 형태를 변형하는 것만으로 동일한 부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커넥터 장착 높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플로팅 커넥터(이하에서는, 제2 플로팅 커넥터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유사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제2 플로팅 커넥터는 103으로 표시한다. 제2 플로팅 커넥터(103)는 감합부 절연체(20), 그 안에 삽입된 감합부 절연체(20)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 절연체(40), 서로 대칭으로 마주하도록 감합부 절연체(20)의 대향 측부에 배치된 한쌍의 슬라이드캠(22), 서로 대칭으로 마주하도록 감합부 절연체(20)의 대향 측부에 배치된 한쌍의 스토퍼(25) 및 콘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콘택부는 제1 플로팅 커넥터(101)의 콘택부(10)의 구조와 유사하여, 그 도시는 생략한다.
제2 플로팅 커넥터(103)는 가동 절연체(30)가 생략되어 있거나, 가동 절연체(30)와 고정 절연체(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플로팅 커넥터(101)와 다르다. 어쨌든, 고정 절연체는 동일한 참조부호 40으로 표시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절연체(40)는 저부 판(27)과 한쌍의 측부 판(48)을 가지는 박스 형상을 가진다. 고정 절연체(40)는 그 정면측에 그 대향측부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수용부(77)와, 가이드 수용부(77) 사이에 형성되어 높이가 좁아진 수용부(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부 판(48)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스토퍼(25)에 접촉하게 될 정면 단면을 가진다.
도 15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 절연체(20)는 감합부 절연 본체(11), 감합부 절연 본체(11)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날카로운 단부(end)를 가지는 한 쌍의 원주형 삽입가이드(14), 삽입가이드(14)의 후방의 대향 측부 상에 형성된 대략 L자 형상의 한 쌍의 제1 가이드(75), 제1 가이드(75)의 후방으로 대향 측부 상에 형성되고 대략 L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한쌍의 제2 가이드(76) 및 한쌍의 판형상 제3 가이드(29)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각각의 스토퍼(25)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75, 76, 29)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스토퍼(25) 아래에, 슬라이드 캠(22)이 삽입된다. 제2 가이드(76)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 돌기(73)를 가진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25)는 L자 형상을 갖는다. 스토퍼(25)는 그 일면 상에 원통형 회전축(25a)과 돌기(25d) 및 타면상에 형성된 원통형상 가이드축(25b)을 가진다. 도 13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퍼(25)의 일면상에 회전축(25a)은 제2 가이드(76)의 천정판 상에 형성된 축구멍(13)으로 삽입된다. 스토퍼(25)의 돌출부(25d)와 돌출부(73) 사이에서, 코일스프링(71)이 제2 가이드(76)쪽으로 스토퍼(25)를 끌어당기도록 형성된다.
도 16A 및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캠(22)은 일부 모서리가 잘려진 연장된 직사각판을 구비하며, 사다리꼴 상부표면을 가지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사다리꼴부(22a)를 가진다. 슬라이드 캠(22)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가이드홈(23)을 가진다. 또한, 슬라이드 캠(22)은 하방으로 돌출하며 그 하면의 중심에 형성된 돌출부(22c)와, 사다리꼴부(22a)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하면상에 형성된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돌기(22b)를 가진다. 스토퍼(25)의 가이드축(25b)은 슬라이드 캠(22)의 긴 구멍(23)으로 삽입된다.
도 11 내지 13 및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가이드(29)는 제1 및 제2 가이드(75, 76)과 일체로 된 판 부재를 포함한다. 제3 가이드(29)는 스루홀인 그 중심에 형성된 가이드를 위한 L자 형상 캠홈(24)과, 정면측상에 형성된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9a)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캠(25)의 돌출부(22c)는 제3 가이드(29)의 L자 형상 캠홈(24)에 삽입된다. 제3 가이드(29)의 원통형 돌출부(29a)와 슬라이드캠(22)의 돌출부(22b) 사이에, 스프링(72)이 슬라이드캠(29)을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코일스프링(71, 72)에 의해, 감합부 절연체(40)와, 스토퍼, 슬라이드캠을 가지는 고정 절연체(20)가 평형을 이루며 상대측 커넥터(미도시)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위치에 항상 위치된다.
제2 플로팅 커넥터(103)를 조립하기 위하여, 도 16에 나타낸 슬라이드 캠(22), 및 도 17에 나타낸 스토퍼(25)가 도 15에 도시된 감합부 절연체(20)에 부착된다. 이후에, 코일 스프링(71, 72)이 감합부 절연체(20)에 부착된다. 그리고 나서, 감합부 절연체(20)가 후방측으로부터 고정 절연체(40)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제2 플로팅 커넥터(103)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제2 플로팅 커넥터(10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감합 방향과 거기에 반대되는 제거 방향은 통칭하여 제1 방향(Z축 방향)(28)으로 한다. 수직 방향은 제2 방향(X축 방향)(36)으로 한다. 폭방향은 제3 방향(Y축 방향)(37)으로 한다. 이 경우, 제2 플로팅 커넥터(103)에서, 감합부 절연체(20)는 수직 방향, 즉 제2 방향(36)으로 고정 절연체(40)에 대하여 항상 이동가능하다.
도 7 내지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스토퍼(25)가 고정 절연체(40)의 측단면(46)의 각각에 접촉하게 된 상태에서, 스토퍼(25)의 일축은 제2 가이드(76)의 천정판으로 삽입되어 감합부 절연체(20)가 감합방향(26)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슬라이드 캠(22)은 대향측부에 형성되므로, 감합부 절연체(20)는 폭방향인 제3 방향(37)으로도 고정 절연체(40)에 대하여 이동되지 않는다. 제2 플로팅 커넥터(103)가 상대측 커넥터(미도시)에 끼워지면, 상대측 커넥터의 단부는 각각의 슬라이드 캠(22)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드 캠(22)이 코일 스프링(72)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슬라이드 캠(22)이 후방으로 밀리면, 도 11에 나타낸 슬라이드 캠(2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2c)는 캠홈(24)의 L자 형상의 교차점까지 제1 방향(28)으로 캠홈(24)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캠(22)은 제3 방향(37)으로 캠홈(24)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감합부 절연체(20)는 고정 절연체(40)에 대하여 제3 방향(37)으로 이동가능하다. 고정 절연체(40)를 상술한 상태에서 뽑아내면, 감합부 절연체(20)와 상대측 커넥터는 다시 서로 미감합 상태로 해방된다.
만약 스토퍼(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합상태에서 로크해제된다면, 고정 절연체(40)와 감합부 절연체(20)는 제1 방향(28)으로 이동가능하다. 감합부 절연체(20)는 스토퍼(25) 회전시 슬라이드캠(22)을 안쪽으로 밀도록 힘을 가한다. 스토퍼(25)는 제2 방향(36)으로 슬라이드캠(22)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드캠(22)이 고정 절연체(40)와 접촉되는 위치와, 슬라이드 캠(22)이 내부에 수용된 위치는 스토퍼(25)의 회전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스토퍼의 위치는 코일 스프링(71)의 스프링힘에 의해 결정된다.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시, 슬라이드 캠(22)은 코일 스프링(71)의 고정력보다 큰 삽입력에 의해 밀어내진다. 따라서, 감합부 절연체(20)와 슬라이드캠(22) 사 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감합부 절연체(20)는 제1 방향(28), 제2 방향(36) 및 제3 방향(37)중 어느 하나로 플로팅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플로팅 커넥터(103)에서, 슬라이드 캠(22)은 상대측 커넥터의 제거 방향으로 가압되고, 감합부 절연체(20)에 의해 유지되어, 제1 방향(28)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스토퍼(25)는 고정 절연체(40)에 의해 유지되어 고정된다. 슬라이드캠(22)이 상대측 커넥터의 제거 방향으로 돌출하면, 스토퍼(25)의 일부는 감합부 절연체(20)로 들어가고, 다른 부분은 고정 절연체(40)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밖으로 노출된다.
슬라이드 캠(22)이 상대측 커넥터(102)의 감합 방향(26)의 반대 쪽에 위치되면, 스토퍼(25)의 일부는 가동 절연체(30)로 들어간다. 로크가 해제되면, 스토퍼(25) 전체가 감합부 절연체(20)로 들어간다.
제2 플로팅 커넥터(103)에서, 제3 가이드(29)의 캠홈(24)은 L자 형상을 가지지만, R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상술한 로킹이 감합 전에 제1 및 제3 방향(28, 37)으로 수행된다. 감합시, 슬라이드 캠(22)은 제2 방향(36)의 중심쪽으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상술한 슬라이드 캠(22)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25)가 회전한다. 상기 스토퍼(25)의 회전에 의해, 로킹이 해제되어 제1 및 제3 방향(28, 37)으로 플로팅을 허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플로팅 커넥터의 어느 하나는 HDD의 SATA 커넥터에 접속된 커넥터와 같은, 진동을 받기 쉬운 작은 부위에 사용되는 플로팅 커넥터로서 적당하다.
지금까지 본원 발명은 몇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본원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는 플로팅 커넥터의 라이트사이드에 제공된 플로팅 제어 기구에 관하여 기재하였지만, 플로팅 커넥터의 양쪽에 플로팅 제어기구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복수의 신호 콘택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단일 신호 콘택이 플로팅 커넥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는 플로팅 커넥터에서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대측에 의해 슬라이드캠을 압압하여 스토퍼를 회전시키고, 플로팅 절연체의 로크해제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미감합시에는 고정되며, 감합후에는 움직일 수 있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커넥터에서는 미감합 시에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감합부에 충격 등이 가해져도 움직이지 않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커넥터에서는 감합 후에는 로크해제되고, 자유로 플로팅할 수 있는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커넥터에서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모든 방향으로 플로팅 가능한 플로팅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커넥터에서는 상대측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플로팅 커넥터로서,
    제1 방향으로 상대측 커넥터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콘택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감합부(fitting portion);
    그 내부에 콘택의 타단부가 매립된 본체와, 각각 상기 제3 방향과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수직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기립하도록 상기 본체의 대향측에 형성된 플로팅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fixed portion);
    콘택들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에 대하여 감합부를 지지하도록 고정부와 감합부에 접속되어, 감합부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플로팅(floating)이 허용되는 지지기구(supporting mechanism);
    상기 감합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캠과, 상기 슬라이드 캠과 감합부에 걸림 결합된 스토퍼를 구비하는 플로팅 제어기구(floating control mechanism); 및
    상기 감합부와 고정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감합부를 수용하도록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플로팅 가이드 부재와 걸림 결합되도록 그 후방 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대향 측에 형성된 플로팅 결합부재와, 상기 본체의 측면상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가동부(movabl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슬라이드 캠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고정부에 상기 감합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가동부의 홈과 결합하여 제1 방향으로의 플로팅을 로크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은,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된 경우, 상대측 커넥터에 의해 가압되어 스토퍼가 회전되며 상기 가동부로부터 결합 해제됨으로써,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는 플로팅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2 및 제 3 방향으로 플로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판형상의 가요성을 가지는 콘택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은 고정부와 감합부에 고정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고정부가 비고정부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감합부 절연체를 가지고, 상기 콘택은 감합부 근처 단부에서 접혀 꺽이는 형상을 가지며 감합부 절연체에 의해 유지된 접힘부와 베이스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은 접힘부에 형성된 스프링 콘택을 가지며, 상기 콘택은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될 때 후면 금속(back-surface metal)이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가의 콘택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콘택은 고정부와 감합부에 고정되고, 부가 콘택과 상기 콘택은 어레이로 배열되고, 각각의 부가 콘택 및 상기 콘택에는 그 한쪽에 위치된 금속판이 설치되어 상기 콘택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개재된 절연체와 함께 접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KR1020050065260A 2004-07-20 2005-07-19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에 의해 감합부의 플로팅이 조절되는커넥터 KR100800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1859 2004-07-20
JP2004211859 2004-07-20
JPJP-P-2004-00319357 2004-11-02
JP2004319357A JP4086245B2 (ja) 2004-07-20 2004-11-02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899A KR20060053899A (ko) 2006-05-22
KR100800213B1 true KR100800213B1 (ko) 2008-02-01

Family

ID=3565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260A KR100800213B1 (ko) 2004-07-20 2005-07-19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에 의해 감합부의 플로팅이 조절되는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04707B2 (ko)
EP (1) EP1667287B1 (ko)
JP (1) JP4086245B2 (ko)
KR (1) KR100800213B1 (ko)
TW (1) TWI3039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5960B2 (en) * 2005-05-06 2008-05-20 Silicon Image, Inc. Apparatus for removably securing storage components in an enclosure
TWM300879U (en) * 2005-12-26 2006-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I318483B (en) 2006-04-28 2009-12-11 I Pex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545176B2 (ja) 2007-06-29 2010-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39557B2 (ja) 2007-11-22 2010-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530839B1 (en) * 2008-04-15 2009-05-12 Jess-Link Product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210861B2 (en) 2010-05-12 2012-07-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two connectors capable of movement in differing directions
JP5587807B2 (ja) * 2011-02-07 2014-09-10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6095167B2 (ja) * 2013-06-12 2017-03-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205476B4 (de) * 2016-04-01 2019-08-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ckeraufnahme und Stecker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WO2019130880A1 (ja) * 2017-12-28 2019-07-04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及び保持体
CN111630724B (zh) 2018-01-24 2022-05-2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4029A (ja) 2000-02-29 2001-09-07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EP1139504A2 (en) * 2000-03-30 2001-10-04 Molex Incorporated Floating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6299B1 (fr) * 1994-02-16 1996-04-19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flottant à verrouillage temporaire et son application au domaine spatial.
JPH10321290A (ja) 1997-05-15 1998-12-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表面実装コネクタ
JP3276324B2 (ja) * 1997-08-08 2002-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脱構造
JP2002093531A (ja) 2000-09-11 2002-03-29 Yazaki Corp 自動調心型の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4029A (ja) 2000-02-29 2001-09-07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EP1139504A2 (en) * 2000-03-30 2001-10-04 Molex Incorporated Floating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8416A (en) 2006-06-01
EP1667287A3 (en) 2007-05-09
JP4086245B2 (ja) 2008-05-14
US7204707B2 (en) 2007-04-17
EP1667287A2 (en) 2006-06-07
TWI303903B (en) 2008-12-01
KR20060053899A (ko) 2006-05-22
EP1667287B1 (en) 2012-07-04
JP2006059788A (ja) 2006-03-02
US20060019520A1 (en)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213B1 (ko)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에 의해 감합부의 플로팅이 조절되는커넥터
CN108604748B (zh) 浮动连接器装置
US731152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31409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403940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247920B2 (ja) レバーコネクタ
JP5601347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135173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826384B1 (ko) 속결단자장치
JP6016661B2 (ja) コネクタ
JP5587807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CN111987521B (zh) 用于插头的包括显示单元的壳体
JP2015056244A (ja) コネクタ装置
JP200716522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5050860B2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WO2020075443A1 (ja) スイッチ
JP4527887B2 (ja) カード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装置
JP4223033B2 (ja) パネル取付用コネクタ
JP7454344B2 (ja) 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と接続対象物との嵌合構造及び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と接続対象物との嵌合方法
JP5448633B2 (ja) コネクタ
JPH11260471A (ja) コネクタ
JP200801042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H0519982Y2 (ko)
JP445813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CN115968142A (zh) 具有板构件的无间隙固定的电气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