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028A - 푸시록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028A
KR20020088028A KR1020010026726A KR20010026726A KR20020088028A KR 20020088028 A KR20020088028 A KR 20020088028A KR 1020010026726 A KR1020010026726 A KR 1020010026726A KR 20010026726 A KR20010026726 A KR 20010026726A KR 20020088028 A KR20020088028 A KR 20020088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act
spring
moving block
loc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657B1 (ko
Inventor
이상영
김훈곤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6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6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 H01H2003/167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with locking of the adjusted parts in the adjusted position by a separate ac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잠금기능이 딸린 이단 작동의 푸시록 스위치에 있어서; 접점스프링이 하면에 고정되고 일측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을 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삽입부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양면에 설치되고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점판이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힌지 설치되는 록핀과, 상기 록핀을 상부에서 고정 및 탄력 지지하는 플레이트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터미널 블록의 개선된 결합구조와 케이스에 록핀과 플레이트 스프링을 내장 설치함으로써,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터미널 블록과 이중 접점이 가능한 접점스프링이 설치되어 접점의 안정성과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스위치의 클릭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시록 스위치{PUSH LOCK SWITCH}
본 발명은 푸시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부착되는 해저드 스위치 등의 푸시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푸시록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편(3)을 하면홈에 고정 부착한 무빙블록(2)을 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1)내에 설치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의 개방된 하부에는 코킹처리된 고정접편(4)을 가지는 터미널 블록(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돌출된 상단 내부에는 "??"자형으로 설계된 록핀(6)의 그 일단이 케이스(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무빙블록(2)의 이동홈(7)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록핀(6)의 상부에는 지지 및 고정하는 "U"자형 판(8)이 내삽되어 록핀(6)을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
상기 작동은, 케이스(1)의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무빙블록(2)의 일측을 한번 누르므로서 접점이 온(on)되고, 그 잠김 상태에서 이단 작동으로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오프(off)된다.
상기 온 동작에서 상기 무빙블록(2)은 스프링(9)의 압축으로 케이스(1) 내부에 밀착되며, 이 때 상기 무빙블록(2)의 상부에 힌지 고정된 록핀(6)이 이동홈(7)을 따라 이동하다가 차단막(7a)에 걸리게 되면 무빙블록(2)은 이동을 멈추고 잠금 고정되어 접점의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접점 오프의 작동은 무빙블록(2)을 한번 더 누르는 이단 작동으로 록핀(6)이 차단막(7a)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홈(7)으로 이동되고, 고정되어 있던 무빙블록(2)은 스프링(9)의 복원력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무빙블록(2)의 전후진으로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접편(3)도 동시에 이동되어 하부에 설치된 터미널 블록(5)의 고정접편(4)에 접촉되어 단락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록핀(6)의 상부에 위치한 "U"자형 판(8)은 록핀(6)의 이탈을 방지하고 탄력있게 지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푸시록 스위치는 터미널 블록(5)에 고정접편(4)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코킹 처리함으로서 작업이 까다로우며, 케이스(1)에 결합된 터미널 블록(5)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1)의 돌출된 상면으로 록핀(6)과 "U"자형 판(8)이 조립되어 사용되어지므로 사용중 돌출된 부위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원활한 작동에 방해가 되며, "U"자형 판(8)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미널 블록에 일체로 삽입된 접점판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터미널 블록의 결합 구조 개선으로 이탈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스에 록핀과 플레이트 스프링을 내장시키므로서 이물질의 침투 방지로 조작성이 우수한 푸시록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금기능이 딸린 이단 작동의 푸시록 스위치에 있어서; 접점스프링이 하면에 고정되고 일측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을 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삽입부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양면에 설치되고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점판이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힌지 설치되는 록핀과, 상기 록핀을 상부에서 고정 및 탄력 지지하는 플레이트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푸시록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의 접점 온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삽입부
20 : 무빙블록 22 : 이동홈
22a : 차단막 24 : 스프링
30 : 접점스프링 32 : 판스프링
40 : 터미널블록 42 : 접점판
44 : 걸림턱 50 : 록핀
60 : 플레이트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의 접점 온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점스프링(30)이 하부에 고정되고 일측면에 스프링(24)을 가지는 무빙블록(20)은 습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케이스(10)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개방된 하부에는 다수개의 삽입부(12)가 측부에 형성되며 그 삽입부(12)에 결합되는 걸림턱(44)이 형성된 터미널 블록(40)이 체결된다.
상기 터미널 블록(40)의 저면에는 두 개의 단자에 각각 연결된 접점판(42)이 설치된다.
그리고 무빙블록(20)의 상면에는 이동홈(22)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 록핀(50)이 힌지 설치된다.
상기 록핀(50)의 상부에는 고정 및 탄력 지지하는 플레이트 스프링(6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의 조립과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0)의 내부에 절개부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플레이트 스프링(60)을 위치시키다.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60)의 하부에 일단은 케이스(10)에 힌지 고정시키고 타단은 상기 무빙블록(20)의 이동홈(22)이 위치할 수 있도록 록핀(50)이 조립한다.
그리고 스프링(24)이 결합된 무빙블록(20)을 개방된 측부를 통하여 케이스(10)에 삽입시키며, 상기 이동홈(22)에는 록핀(50)이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빙블록(20)의 하면에 접점스프링(30)을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다수의 삽입부(12)에 터미널 블록(40)의 걸림턱(44)을 끼워 맞춰 고정시킨다.
이로서 케이스(10)에 터미널 블록(40)을 개선된 결합구조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작동은, 케이스(10)의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무빙블록(20)을 누르면, 케이스(10)내에서 습동되는 무빙블록(20)이 스프링(24)과 같이 케이스(10) 내부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의 록핀(50)은 이동홈(22)을 따라 가이드 이동되다가 차단막(22a)에 걸리게되어 그 위치에서 무빙블록(20)을 잠금 고정시키다.
이때 이동된 상부의 접점스프링(30)은 터미널 블록(40)의 접접판(42)에 맞닿게 되어 접점이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 상태에서 한번 더 누르는 이단 작동은, 록핀(50)이 차단막(22a)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홈(22)으로 이동되면 고정되어 있던 무빙블록(20)이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귀된다.
상기 복귀된 무빙블록(20)에서는 같이 이동되어 나온 접점스프링(30)이 접점판(42)과 엇갈리는 위치로 복귀되어 접점을 오프 시키게 된다.
이러한 무빙블록(20)의 압하, 해제의 이단 작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접점스프링(30)의 양날개로 펼쳐져 있는 판스프링(32)의 전후진 이동으로 터미널 블록(40)의 접점판(42)에 맞닿게 되어 안정적인 이중 접점을 이루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록 스위치는, 터미널 블록의 개선된 결합구조와 케이스에 록핀과 플레이트 스프링을 내장 설치함으로써,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미널 블록과 이중 접점이 가능한 접점스프링이 설치되어 접점의 안정성과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스위치의 클릭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잠금기능이 딸린 이단 작동의 푸시록 스위치에 있어서;
    접점스프링이 하면에 고정되고 일측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을 습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삽입부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양면에 설치되고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접점판이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힌지 설치되는 록핀과, 상기 록핀을 상부에서 고정 및 탄력 지지하는 플레이트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판은, 상기 터미널 블록의 단자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 스위치.
  3. 제 1 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스프링은, 양쪽으로 펼쳐지듯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접점판에 대응 접점되어 안정적인 2중 접점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은, 중앙에 일부 절개된 부위를 하방으로 벤딩하여 상기 록핀을 보다 더 탄력적인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록 스위치.
KR10-2001-0026726A 2001-05-16 2001-05-16 푸시록 스위치 KR10044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726A KR100449657B1 (ko) 2001-05-16 2001-05-16 푸시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726A KR100449657B1 (ko) 2001-05-16 2001-05-16 푸시록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028A true KR20020088028A (ko) 2002-11-25
KR100449657B1 KR100449657B1 (ko) 2004-09-21

Family

ID=2770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726A KR100449657B1 (ko) 2001-05-16 2001-05-16 푸시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74B1 (ko) * 2005-10-13 2007-02-15 (주) 에스비 비젼 비틀림 스프링이 개재된 푸시락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81B1 (ko) * 2012-02-09 2013-04-17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락 스위치
KR101736934B1 (ko) 2016-11-30 2017-05-17 고정택 안전기능이 구비된 진동저감형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022Y1 (ko) * 1981-03-04 1984-10-06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푸시버튼 스위치
JPH08222065A (ja) * 1995-02-13 1996-08-30 Niles Parts Co Ltd ハザードスイッチのユニット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74B1 (ko) * 2005-10-13 2007-02-15 (주) 에스비 비젼 비틀림 스프링이 개재된 푸시락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657B1 (ko)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6868B1 (en) Push button switch device with lever
JPS6251118A (ja) 電気ユニツト取付用保持装置
US5803240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US6150624A (en) Keyswitch device
KR20040077418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100449657B1 (ko) 푸시록 스위치
US5742013A (en) Two-way lever switch
US5875887A (en) Contact switch assembly having a conductor that holds a movable contact plate
KR980010688A (ko) 시프트 노브의 구조
US5564559A (en) Mounting structure for switches
JP2901094B2 (ja) 電気押ボタンスイッチ、特に自動車用危険監視信号スイッチ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JP3835192B2 (ja) リード線接続構造
JP2571107Y2 (ja) スイッチ用スライダー
KR200408899Y1 (ko) 푸시락 스위치
JP3533868B2 (ja) 押釦スイッチ
JP3882251B2 (ja) プッシュ機構付スライドスイッチ
KR19990082217A (ko) 누름버튼과 같은 제어 또는 발신장치
EP3945641A1 (en) Power socket having a base part, an aesthetic cover, and a drive member for a movable cover of the aesthetic cover
KR100782057B1 (ko) 푸시락 스위치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JP2000195375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S6213298Y2 (ko)
JP2567068Y2 (ja) 配線器具スイッチの取付枠への取付構造
JPH0731960B2 (ja) 押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