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681B1 - 락 스위치 - Google Patents

락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681B1
KR101255681B1 KR1020120013135A KR20120013135A KR101255681B1 KR 101255681 B1 KR101255681 B1 KR 101255681B1 KR 1020120013135 A KR1020120013135 A KR 1020120013135A KR 20120013135 A KR20120013135 A KR 20120013135A KR 101255681 B1 KR101255681 B1 KR 101255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terminal
elastic piece
b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이승열
김진
김현진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세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Priority to KR1020120013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락 스위치는 서로 다른 터미널 단자를 갖는 터미널 블록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 블록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판 상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는 무빙 블록; 및 상기 터미널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무빙 블록의 상하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락 스위치{LOCK SWITCH}
본 발명은 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조립 공수를 줄임과 아울러, 접점 및 접점 해제 동작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락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시 스위치는 조작 부재에 유지되어 일체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 접점 부재에 복수의 가동 접점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귀용 탄성 부재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조작 부재가 압입 조작되면, 케이스 내에 배치된 제 1 고정 접점으로서의 공통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으로서의 전환 고정 접점에 대하여 각 가동 접점부가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 조작 부재의 압입 조작을 위한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 코일 스프링의 압축 및 이완 동작시 조작 부재의 틀어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자체가 단자 온 또는 오프의 부재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단자 연결에 요구되는 부재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위치 자체에 요구되는 부품의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6194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복수의 고정 접점간의 도통 상태의 전환의 동작 타이밍이 잘 어긋나지 않는 푸시 스위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 시 무빙 블록을 상하로의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판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스위치의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락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빙 블록의 스위칭 동작의 틀어짐 발생을 방지하여 설정된 위치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고, 스위칭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락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락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락 스위치는 서로 다른 터미널 단자를 갖는 터미널 블록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 블록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판 상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는 무빙 블록; 및 상기 터미널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무빙 블록의 상하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벤딩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무빙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탄성편의 단부는 상기 무빙 블록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편의 단부와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서로 다른 터미널 단자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편과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단자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탄성편의 승강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형성한다.
상기 단자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탄성편의 승강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무빙 블록이 관통되어 상기 이동이 안내되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의 상단에는 러버가 설치된다.
상기 러버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접점 시 무빙 블록을 상하로의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판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스위치의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빙 블록의 스위칭 동작의 틀어짐 발생을 방지하여 설정된 위치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고, 스위칭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 스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락 스위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락 스위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 스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락 스위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락 스위치는 크게 터미널 블록(100)과, 슬라이더(200)와, 무빙 블록(300)과, 케이스(400)와, 러버(500)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 블록(100)은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두 개의 터미널 단자(101,102)를 구비한다.
상기 터미널 블록(100)의 상단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격벽(110)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격벽(110)의 내측에는 한 쌍의 단자 플레이트(111,112)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단자 플레이트(111,112)는 제 1,2단자 플레이트(111,112)로 구성된다.
상기 각 단자 플레이트(111,112)는 각 터미널 단자(101,102)와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2단자 플레이트(111,112)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단자 플레이트(111)는 제 1높이(H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단자 플레이트(112)는 제 2높이(H2)를 형성한다.
상기 제 1높이(H1)는 상기 제 2높이(H2) 보다 일정 높이 더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록(100)의 상단 일측에는 끼움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블록(100)의 상단에는 케이스(400)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400)의 상단에는 안내홀(410)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410)은 상기 무빙 블록(300)이 관통 배치되는 홀이다.
상기 터미널 블록(100)의 상단에는 슬라이더(200)가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일정 길이 및 폭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고정편(210)과 상기 고정편(210)의 일단으로부터 각이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탄성편(220)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210)은 상기 터미널 블록(100)의 끼움홈(120)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탄성편(220)은 상기 터미널 블록(100)의 상단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220)은 상하로 탄성 유동 가능한 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편(220)의 상단부에는 무빙 블록(3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무빙 블록(3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빙 블록(300)은 상기 케이스(400)의 안내홀(410)을 관통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홀(410)은 상기 무빙 블록(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빙 블록(300)의 하단은 상기 탄성편(220)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기 무빙 블록(300)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편(220)과 면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면(3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220)에는 돌기(221)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돌기(221)는 무빙 블록(300)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기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220)은 무빙 블록(300)의 하단에 용이하게 면접촉되며, 상기 면접촉되는 위치가 오정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220)의 양측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촉 부재(222)가 형성된다. 상기 각 접촉 부재(222)는 두 갈래로 나뉜다.
상기 각 접촉 부재(222)는 제 1,2단자 플레이트(111,112)에 접촉하는 부재이다.
상기 접촉 부재(222)는 상방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두 갈래로 나뉜다. 따라서, 제 1단자 플레이트(111) 또는 제 2단자 플레이트(112)와 접촉시 접촉 불량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220)은 상기 무빙 블록(30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승강 높이(W)가 설정된다.
한편, 상기 탄성편(220)은 한 쌍의 격벽(110)의 사이에서 승강 유동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220)의 양측부 즉, 한 쌍의 접촉 부재(222)는 한 쌍의 단자 플레이트(111,112)의 일면과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제 1단자 플레이트(111)의 제 1높이(H1)는 상기 승강 높이(W)와 대응되는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단자 플레이트(112)의 제 2높이(H2)는 제 1단자 플레이트(111)의 제 1높이(H1)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한다.
따라서, 탄성편(220)은 승강 유동되면서, 제 1,2단자 플레이트(111,112)와 동시에 접촉되는 구간 및, 제 1단자 플레이트(111)와 접촉되는 구간을 반복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00)의 상단부로 노출되는 무빙 블록(300)은 러버(500)에 의하여 에워싸일 수 있다.
상기 러버(500)에는 노출홀(510)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홀(510)은 상기 무빙 블록(300)의 상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러버(500)는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러버(500)의 하단은 케이스(4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러버(500)의 상단은 무빙 볼록(300)의 상단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고정홈(320)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러버(500)는 다층으로 형성되는 주름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락 스위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무빙 블록의 상승되어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판 스프링인 슬라이더(200)의 탄성편(220)은 무빙 블록(300)의 하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승되어 위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220)이 일면측의 접촉 부재(222)는 한 쌍의 격벽(110) 중 하나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1단자 플레이트(111)와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편(220)의 타면측의 접촉 부재(222)는 제 2단자 플레이트(112)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이룬다.
이는, 제 2단자 플레이트(112)의 제 2높이(H2)가 제 1높이(H1) 보다 낮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단자 플레이트(111)와 연결되는 제 1터미널 단자(101)는 온 상태를 이루고, 제 2단자 플레이트(112)와 연결되는 제 2터미널 단자(102)는 오프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케이스(400)의 상단에서 무빙 블록(300)의 상단을 에워싸는 러버(500)는 이완된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무빙 블록(300)을 하방을 따라 누르는 외력을 가하면, 상기 무빙 블록(300)은 하방으로 유동된다.
상기 무빙 블록(300)의 하단에 면접촉되어 연결된 탄성편(220)은 하방으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220)은 한 쌍의 격벽(110)의 사이에서 하강되고, 상기 탄성편(220)의 일면 및 타면은 제 1,2단자 플레이트(111,112)와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즉, 상기 무빙 블록(300)의 하강 레벨은 제 2높이(H2)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제 1터미널 단자(101)와 제 2터미널 단자(102)는 모두 온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빙 블록(300)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기홈(미도시)에 탄성편(220)에 형성되는 돌기(221)가 끼워져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무빙 블록(300)의 승강 유동시, 무빙 블록(300)과 탄성편(220)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블록(300)의 승강 유동에 따라, 탄성편(220)의 승강 동작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 블록(3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면(310)은 탄성편(220)의 상면과 면접촉되며, 탄성편(220)의 승강시 기울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러버(500)는 케이스(400)의 상단에서 무빙 블록(300)의 하강 동작과 연동되어 압축된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러버(500)는 주름관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이완 및 압축 동작에 따르는 내구성을 구비한다.
또 한편, 하강되는 무빙 블록(300)에 의하여 하방으로 휘어진 탄성편(220)은, 자체의 복원 탄성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무빙 블록(30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무빙 블록(300)은 상기 탄성편(22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상승 위치된다.
따라서, 제 2터미널 단자(102)는 오프 상태를 이루고, 제 1터미널 단자(101)는 온 상태를 유지하여, 스위치는 원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접점 시 무빙 블록을 상하로의 동작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판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스위치의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무빙 블록의 스위칭 동작의 틀어짐 발생을 방지하여 설정된 위치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고, 스위칭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터미널 블록 110 : 격벽
111 : 제 1단자 플레이트 112 : 제 2단자 플레이트
200 : 슬라이더 210 : 고정편
220 : 탄성편 300 : 무빙 블록
310 : 경사면 400 : 케이스
500 : 러버 H1 : 제 1높이
H2 : 제 2높이 W : 승강 높이

Claims (5)

  1. 서로 다른 터미널 단자를 갖는 터미널 블록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 블록에 고정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판 상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는 무빙 블록과, 상기 터미널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무빙 블록의 상하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벤딩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무빙 블록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탄성편의 단부는 상기 무빙 블록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편의 단부와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스위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서로 다른 터미널 단자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편과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단자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탄성편의 승강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탄성편의 승강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무빙 블록이 관통되어 상기 이동이 안내되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의 상단에는 러버가 설치되되,
    상기 러버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스위치.
KR1020120013135A 2012-02-09 2012-02-09 락 스위치 KR101255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35A KR101255681B1 (ko) 2012-02-09 2012-02-09 락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35A KR101255681B1 (ko) 2012-02-09 2012-02-09 락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681B1 true KR101255681B1 (ko) 2013-04-17

Family

ID=4844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135A KR101255681B1 (ko) 2012-02-09 2012-02-09 락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5158A (zh) * 2018-06-19 2018-09-21 福州市汇合兴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开关及应用系统
CN117894618A (zh) * 2024-03-18 2024-04-16 创景传感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微动开关及其组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57B1 (ko) * 2001-05-16 2004-09-21 세진전자 주식회사 푸시록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57B1 (ko) * 2001-05-16 2004-09-21 세진전자 주식회사 푸시록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5158A (zh) * 2018-06-19 2018-09-21 福州市汇合兴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开关及应用系统
CN108565158B (zh) * 2018-06-19 2019-05-10 山东金瑞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开关的使用方法
CN117894618A (zh) * 2024-03-18 2024-04-16 创景传感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微动开关及其组装方法
CN117894618B (zh) * 2024-03-18 2024-05-24 创景传感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微动开关及其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744B2 (en) Reinforce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RU194213U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JP2016115550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1255681B1 (ko) 락 스위치
KR101059402B1 (ko) 푸시 스위치
CN101329961A (zh) 带杆按钮开关装置
US20170157738A1 (en) Polishing Apparatus
KR200423782Y1 (ko) 슬라이드 휴대폰의 스프링
KR20200063479A (ko)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KR101001915B1 (ko) 슬라이드 스위치
KR200484099Y1 (ko) 전자 접촉기
KR20120121364A (ko) 회로장치
KR100825401B1 (ko) 2단 슬라이드 구조
US10177472B2 (en) Spring contact having separate resilient arm and supporting portion
KR101208699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0411611Y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JP2009090299A (ja) プレス金型のカム構造
KR100953524B1 (ko) 좌우유동방지를 위한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모듈
JP2004055357A (ja) Icソケット
KR102575140B1 (ko) 슬라이딩 접점 구조를 갖는 기계식 릴레이
KR101081006B1 (ko) 홀더가 구비된 전자접촉기용 가동단자
CN209860782U (zh) 一种变频器壳体
KR200428008Y1 (ko) 키패드용 지그장치
KR100813280B1 (ko) 프로브 핀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소켓
KR101025817B1 (ko) 슬라이드 탄성모듈과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