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79A -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79A
KR20200063479A KR1020180149178A KR20180149178A KR20200063479A KR 20200063479 A KR20200063479 A KR 20200063479A KR 1020180149178 A KR1020180149178 A KR 1020180149178A KR 20180149178 A KR20180149178 A KR 20180149178A KR 20200063479 A KR20200063479 A KR 20200063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contact
housing
contact pressure
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070B1 (ko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는, 회로 기판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도록 일측에 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접점과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접점부를 갖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상단에 배치되며 상하 유동이 가능한 누름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상기 누름부를 하방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강제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누름부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접점간 일정한 접압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두께에 연동하여 터미널들과 기판과의 접압력 및 오버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 에지 커넥터는 접촉용 스트립이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이다.
통상의 카드 에지 커넥터는 회로기판의 결합에지(접촉용 스트립이 마련된 에지) 및 그에 인접하는 복수의 접촉 패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카드 에지 커넥터는 회로기판의 결합에지를 수용하는 슬롯이 마련된 하우징과, 슬롯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된 다수의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성기 슬롯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터미널이 끼워지는 다른 슬롯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터미널은 회로기판의 접촉용 스트립에 접촉되는 접점부와, 케이블이 연결되는 바렐부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터미널은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는 다른 슬롯을 통해 다수의 터미널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다수의 터미널의 접점부들은 나란하게 위치된다. 상기 접점부는 벤딩되는 형상을 이루어 일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벤딩되는 외측 둘레의 일부는 회로 기판의 접점들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제 1두께를 갖는 회로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롯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여 위치된다.
이때 회로 기판은 터미널들의 접점부들을 하방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에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접점들은 다수의 터미널의 접점부들과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과 터미널들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 1두께와 다른 제 2두께를 갖는 회로 기판이 슬롯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되는 경우에 회로 기판의 접점들과 터미널들의 접점부들 간의 접압력이 가변된다.
예컨대 제 2두께가 제 1두께 보다 얇은 경우, 접점들이 형성된 회로 기판의 하면과 터미널들의 접점부 간에 형성되는 접압력이 하락되어 이들 간의 공차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 2두께가 제 1두께 보다 두꺼운 경우, 접점들이 형성된 회로 기판의 하면과 터미널들의 접점부 간에 형성되는 접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이들 간의 공차가 적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삽입되는 회로 기판이 터미널들의 접점부를 하방으로 밀어주는 힘을 통해 상기의 접압력이 형성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의 두께 및 공차에 따라 접점 스트로크 및 접압력의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다양한 두께를 갖는 회로 기판의 접점들과 터미널들의 접점부들 간 불안정한 접압력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815456 호(등록일자: 2017년12월29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두께에 연동하여 터미널들과 기판과의 접압력 및 오버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는, 회로 기판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도록 일측에 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접점과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접점부를 갖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상단에 배치되며 상하 유동이 가능한 누름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상기 누름부를 하방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강제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누름부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접점간 일정한 접압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는, 벤딩 부재와, 누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벤딩 부재는, 일단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벤딩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벤딩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강제 누름부에 의해 눌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강제 누름부와 경사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제 누름부는,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설정된 길이를 갖는 강제 누름 부재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에 걸리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강제 누름 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 다단으로 접촉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점차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 부재의 상단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하단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단차부와 상기 제 2단차부는 서로 다단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단차부와 상기 제 2단차부는 서로 비스듬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 2단차부와 연결되는 직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직선면과 수평 접촉되는 이동 안내 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터미널의 접점부와 상기 누름 부재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는 상하를 따라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접점은, 상기 중첩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미널이 다수를 이루는 경우, 상기 누름 부재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는 상기 중첩 영역에서 다수를 이루는 상기 터미널의 접점부에 대응되도록 다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기판의 두께에 연동하여 터미널들과 기판과의 접압력 및 오버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두께에 따라 강제 누름 부재의 진입 위치에 따라 접압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을 교체하는 경우 형성되어 있는 접압력을 용이하게 해제하여 안정적인 리워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누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회로 기판이 하우징의 내부에 진입하여 터미널들과 접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누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터미널들(200)과, 누름부(300)와, 강제 누름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한다.
하우징(100)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101)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제 1슬롯(11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는 제 2슬롯(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슬롯(110)과 제 2슬롯(120)은 상기 내부 공간(101)과 연결된다.
상기 제 1슬롯(110)은 회로 기판(10)이 진입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 2슬롯(120)은 터미널(200)이 진입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 1,2슬롯(110, 120)과 내부 공간(101)은 연결되고, 회로 기판(10)은 제 1슬롯(110)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고, 터미널들(200)은 제 2슬롯(120)을 통해 내부 공간(101)으로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10)의 하단에는 폭 방향을 따라 다수의 위치에 접점들이 형성된다.
터미널(200)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들(200) 각각은 제 1슬롯(110)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상기 터미널들(200) 각각은 일단에 탄성을 갖는 접점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 바렐(220)이 형성된다. 상기 바렐(220)은 케이블(23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들(200)은 제 2슬롯(120)을 통해 내부 공간(101)으로 진입된다.
터미널들(200) 각각의 접점부들(210)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 하단에 형성된 지지 부재(130)에 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들(210)은 내부 공간(101)으로 진입되는 회로 기판(10)의 하단에 형성된 접점들과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누름부(300)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 상단에 배치되며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300)는 벤딩 부재(310)와, 누름 부재(320)로 구성된다.
상기 벤딩 부재(310)의 일단은 상기 내부 공간(101)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벤딩 부재(310)의 타단은 상기 내부 공간(101)의 상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벤딩된다.
상기 누름 부재(320)는 상기 벤딩 부재(310)의 타단에 연결되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 누름 부재(32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 상단면과 이격된다.
또한, 상기 누름 부재(320)의 타단에는 제 1단차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단차부(321)의 구성은 후술한다.
강제 누름부(400)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누름부(400)는 하우징(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유입홀(140)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101)으로 진입되어 상기 누름부(300)를 하방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유입홀(140)은 하우징(100)의 타측에 형성되되, 제 2슬롯(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유입홀(140)은 내부 공간(10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누름부(300)와 연결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강제 누름부(400)는 상기 유입홀(140)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10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강제 누름부(400)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강제 누름 부재(410)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140)에 걸리는 고정 부재(420)로 구성된다.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는 상기 내부 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누름 부재(320)의 상면에 다단으로 접촉되어 상기 누름 부재(320)를 점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부재(320)의 상단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단차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의 하단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2단차부(4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단차부(321)와 상기 제 2단차부(411)는 서로 다단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단차부(321)와 상기 제 2단차부(411)는 서로 비스듬한 단차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의 하단에는, 상기 제 2단차부(411)와 연결되는 직선면(4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유입홀(140)과 연결되어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직선면(412)과 수평 접촉되는 이동 안내 부재(15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에서, 상기 터미널(200)의 접점부(210)와 상기 누름 부재(320)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는 상하를 따라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A)에 배치된다.
상기 회로 기판(10)의 접점은, 상기 중첩 영역(A)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200)이 다수를 이루는 경우, 상기 누름 부재(320)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는 상기 중첩 영역(A)에서 다수를 이루는 상기 터미널(200)의 접점부(210)에 대응되도록 다수를 이룬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회로 기판이 하우징의 내부에 진입하여 터미널들과 접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터미널들(200)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 2슬롯(12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으로 진입된다.
터미널들(200)의 접점부들(21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 하단에 형성된 지지 부재(130) 상단에 지지되는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누름 부재(320)는 벤딩 부재(310)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접점부들(2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어 제 1두께를 갖는 회로 기판(10)은 제 1슬롯(11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으로 진입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10)의 하단에 형성된 접점들은 지지 부재(130) 상에 지지된 터미널들(200) 각각의 접점부들(210)과 탄성적으로 1차 접촉된다.
그리고 누름 부재(320)의 저면은 회로 기판(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누름부(400)의 강제 누름 부재(410)는 유입홀(14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으로 진입될 수 있다.
진입되는 강제 누름 부재(410)는 누름 부재(320)와 내부 공간의 상단부의 사이로 진입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 부재(320)의 제 1단차부(321)는 강제 누름 부재(410)의 제 2단차부(411)와 점진적으로 다단 접촉된다.
이에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0)는 상기 내부 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누름 부재(320)의 상면에 다단으로 접촉되어 상기 누름 부재(320)를 점차적으로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연동되어 누름 부재(320)의 하단에 접촉된 회로 기판(10)은 하방으로 일정의 힘으로 눌려진다.
여기서 제 1단차부(321)와 상기 제 2단차부(411)는 서로 비스듬한 단차를 이루어 서로 경사 접촉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10)은 하방을 따라 다단을 이루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에서 상기 터미널(200)의 접점부(210)와 상기 누름 부재(321)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411)는 상하를 따라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A)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10)의 접점은 역시 상기 중첩 영역(A)에 위치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10)의 접점들과 터미널들(200)의 접점부들(210) 사이의 접압력은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 1두께의 회로 기판(10)의 접점들과 터미널들(200)의 접점부들(210)은 강제 누름 부재(410)가 진입된 제 1위치에서 제 1접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두께 보다 얇은 제 2두께를 갖는 회로 기판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1)에 진입되는 경우, 후자의 회로 기판 상면과 누름 부재(321)와의 접촉력이 전자의 회로 기판의 상면과의 접촉력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후자의 회로 기판 접점들과 접점부들(210) 간 접압력 역시 전자의 경우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은 강재 누름 부재(410)의 진입 위치를 전자의 경우 보다 더 내부 공간(101) 내측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강제 누름 부재(410)에 의해 누름 부재(320)가 더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제 2위치라 한다.
이에 누름 부재(320)는 회로 기판은 전자의 경우 보다 더 높은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회로 기판은 하방으로 더 가압되고, 회로 기판의 접점들과 터미널들(200)의 접점부들(210)은 강제 누름 부재(410)가 진입된 제 2위치에서 제 2접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접압력과 제 2접압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회로 기판의 두께에 대응하여 회로 기판을 누르는 힘을 가변시켜 기판과 터미널 간의 접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기판의 두께에 연동하여 터미널들과 기판과의 접압력 및 오버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두께에 따라 강제 누름 부재의 진입 위치에 따라 접압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을 교체하는 경우 형성되어 있는 접압력을 용이하게 해제하여 안정적인 리워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제 1슬룻
120 : 제 2슬롯
130 : 지지 부재
140 : 유입홀
150 : 이동 안내 부재
200 : 터미널
210 : 접점부
220 : 바렐
230 : 케이블
300 : 누름부
310 : 벤딩 부재
320 : 누름 부재
321 : 제 1단차부
400 : 강제 누름부
410 : 강제 누름 부재
411 : 제 2단차부
422 : 직선면
420 : 고정 부재
A : 중첩 영역

Claims (9)

  1. 회로 기판이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도록 일측에 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회로 기판의 접점과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접점부를 갖는 터미널;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상단에 배치되며 상하 유동이 가능한 누름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는 유입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어 상기 누름부를 하방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강제 누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누름부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접점간 일정한 접압력을 형성하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벤딩 부재와, 누름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벤딩 부재는,
    일단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벤딩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벤딩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강제 누름부에 의해 눌려지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강제 누름부와 경사 접촉되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누름부는,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설정된 길이를 갖는 강제 누름 부재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에 걸리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강제 누름 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 다단으로 접촉되어 상기 누름 부재를 점차적으로 가압하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의 상단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하단에는,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제 2단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1단차부와 상기 제 2단차부는 서로 다단으로 접촉되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차부와 상기 제 2단차부는 서로 비스듬한 단차를 형성하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 2단차부와 연결되는 직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강제 누름 부재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직선면과 수평 접촉되는 이동 안내 부재가 형성되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터미널의 접점부와 상기 누름 부재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는 상하를 따라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접점은,
    상기 중첩 영역에 위치되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다수를 이루는 경우,
    상기 누름 부재와, 상기 강제 누름 부재는 상기 중첩 영역에서 다수를 이루는 상기 터미널의 접점부에 대응되도록 다수를 이루는,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KR1020180149178A 2018-11-28 2018-11-28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KR10263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78A KR102633070B1 (ko) 2018-11-28 2018-11-28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78A KR102633070B1 (ko) 2018-11-28 2018-11-28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79A true KR20200063479A (ko) 2020-06-05
KR102633070B1 KR102633070B1 (ko) 2024-02-02

Family

ID=7108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178A KR102633070B1 (ko) 2018-11-28 2018-11-28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82A (ko) 2020-08-10 2022-0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KR20220124442A (ko) * 2021-03-03 2022-09-1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면 접점 기판용 접속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8U (ja) * 1991-08-21 1993-03-0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14182901A (ja) * 2013-03-18 2014-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20160027915A (ko) * 2014-09-02 2016-03-1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단자
KR101815456B1 (ko) * 2017-01-11 2018-01-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JP2018022617A (ja) * 2016-08-04 2018-02-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8U (ja) * 1991-08-21 1993-03-0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14182901A (ja) * 2013-03-18 2014-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20160027915A (ko) * 2014-09-02 2016-03-1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단자
JP2018022617A (ja) * 2016-08-04 2018-02-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101815456B1 (ko) * 2017-01-11 2018-01-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82A (ko) 2020-08-10 2022-0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KR20220124442A (ko) * 2021-03-03 2022-09-1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면 접점 기판용 접속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070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KR10115785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20050277338A1 (e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wiping action is carried out in a narrow area
JP6227103B2 (ja) コネクタ
KR20180053233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46536A (ko)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2015035352A (ja) コネクタ
US10707601B1 (en) Memory socket protecting cover and memory socket assembly
US20030232533A1 (en) Plug connector comprising a movable plug piece receptacle
KR20200063479A (ko) 균일한 접압력 형성이 가능한 커넥터
US20140364017A1 (en) Connector
KR101450736B1 (ko) 커넥터
JP2004063358A (ja)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202216200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550788B2 (ja) Icソケット
KR101931094B1 (ko) 통합된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직접 플러그인 부재
TWI583062B (zh) Connector
US10797422B2 (en) Connector
KR20080084224A (ko) 리셉터클 터미널
CN107104303B (zh) 电联接端子结构
KR20170051904A (ko)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CN105305156A (zh) 通信模块
KR200448723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US9779897B2 (en) Switch
KR102266627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