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73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736B1
KR101450736B1 KR1020137005246A KR20137005246A KR101450736B1 KR 101450736 B1 KR101450736 B1 KR 101450736B1 KR 1020137005246 A KR1020137005246 A KR 1020137005246A KR 20137005246 A KR20137005246 A KR 20137005246A KR 101450736 B1 KR101450736 B1 KR 10145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essing
flexible circuit
connection object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653A (ko
Inventor
도오루 다카네
겐이치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두 개의 콘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서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키도록 한 경우에도, 누름 부재를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접속 대상물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누름 부재(30)가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하면, 누름판(40)이 누름 부재(30)의 누름부(32)에 눌려지면서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면접촉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와 플렉시블 회로(1)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가 누름판(40)을 통하여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측으로부터 눌려져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이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에 압접하도록 했으므로, 누름판(40)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의 휨을 억제할 수 있어 누름 부재(30)를 대형화시키는 일도 없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는 FPC나 FFC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이하, 플렉시블 회로라고 한다.)을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플렉시블 회로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접촉하는 콘택트를 가지는 단자와, 플렉시블 회로와 콘택트를 압접시키는 회전운동 자유로운 누름 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회로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한 상태로 누름 부재를 한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가 플렉시블 회로의 두께 방향 다른 쪽 면을 눌러 플렉시블 회로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이 콘택트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누름 부재를 다른쪽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콘택트와 플렉시블 회로와의 압접이 해제되어 플렉시블 회로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빼고 꽂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에서는, 단자의 콘택트가 플렉시블 회로의 꽂고 빼는 방향(揷拔方向) 한군데에서만 접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플렉시블 회로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콘택트와 플렉시블 회로와의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면, 이물에 의해서 콘택트와 플렉시블 회로와의 도통 상태가 차단되어 접속 불량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플렉시블 회로와의 접촉 위치가 서로 플렉시블 회로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다른 두 개의 콘택트를 가지는 단자를 이용하도록 하면, 한쪽의 콘택트와 플렉시블 회로와의 사이에 이물이 들어간 경우에도, 다른 한쪽의 콘택트에 의해서 플렉시블 회로와의 도통 상태가 확보되어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국 특허 제2892945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568791호 공보
그러나, 플렉시블 회로는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회로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두 개의 콘택트를 압접시킨 경우, 제 1 및 제 2 콘택트의 중간점을 누름 부재로 누르면, 플렉시블 회로가 휘어서 각 콘택트와의 접촉압이 불충분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플렉시블 회로가 제 1 및 제 2 콘택트의 양쪽 모두에 압접하도록 누름 부재의 누름면을 평면형상으로 형성하면, 플렉시블 회로에 누름 부재의 누름면을 회전운동하면서 원활히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누름 부재의 회전운동 반경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되어, 그만큼 누름 부재가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두 개의 콘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서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키도록 한 경우에도, 누름 부재를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접속 대상물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요성을 가지는 평형의 접속 대상물을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트와, 소정의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접속 대상물과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압접시키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 위치가 서로 접속 대상물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다르도록 형성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누름 부재를 상기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눌러지면서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면접촉함으로써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을 제 1 및 제 2 콘택트에 압접시키는 누름판을 구비하고, 누름판을, 적어도 제 1 및 제 2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측으로부터 누르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누름 부재를 소정의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판이 누름 부재에 눌려지면서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면접촉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가 누름판을 통하여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측으로부터 눌려져,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이 제 1 및 제 2 콘택트에 압접하기 때문에 누름 부재를 대형화시키지 않아도 누름판에 의해서 접속 대상물의 휨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서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키도록 한 경우에도, 접속 대상물의 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에 대한 제 1 및 제 2 콘택트의 접촉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누름 부재를 대형화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누름판의 사시도.
도 5는 커넥터의 개방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커넥터의 폐쇄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플렉시블 회로가 삽입된 커넥터의 개방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플렉시블 회로가 삽입된 커넥터의 폐쇄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플렉시블 회로가 삽입된 커넥터의 폐쇄 상태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FFC나 FPC를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로서의 플렉시블 회로(1)의 일단측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20)와, 플렉시블 회로(1)를 각 단자(20)에 압접시키는 회전운동 자유로운 누름 부재(30)와, 누름 부재(30)의 누름에 의해서 플렉시블 회로(1)를 각 단자(20) 측으로 누르는 누름판(40)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회로(1)는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평형의 접속 대상물이며, 이른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로 이루어진다. 또,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는 복수의 전기 접점(도시 생략)이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전면부(11), 배면부(12) 및 측면부(13)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저면측에는 각 단자(20)를 홀딩하는 복수의 단자구멍(10b)이 서로 폭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 본체(10) 내에는 누름판(40)의 하단측이 삽입되는 가로로 긴 홈(10c)이 설치되고, 각 측면부(13)에는 누름판(40)의 폭방향 양단측이 압입되는 홈(13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부(12)의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단자(20)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각 단자구멍(10b)에 각각 저면측에서부터 압입함으로써 홀딩되어 있다. 각 단자(20)의 전단 측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고정편부(21)가 설치되고, 고정편부(21)는 커넥터 본체(10)의 단자구멍(10b)의 전단측에 압입되어 있다. 고정편부(21)의 상단측에는 누름 부재(30)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운동 지지부(21a)가 설치되고, 회전운동 지지부(21a)는 누름 부재(30)가 후방에서부터 걸어맞춤되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20)의 후단측에는 서로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쪽으로 두 갈래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가 설치되고, 각 콘택트(22, 23)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콘택트(22)는 제 2 콘택트(23)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고, 제 2 콘택트(23)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22, 23)의 상단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의 전기 접점(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접촉부(22a, 23a)가 각각 설치되고, 각 접촉부(22a, 23a)는 전방을 향해 산 모양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콘택트(22)의 접촉부(22a)는 제 2 콘택트(23)의 접촉부(23a)의 위쪽에 배치되고, 제 1 콘택트(22)의 접촉부(22a)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회로(1)와의 접촉점은, 제 2 콘택트(23)의 접촉부(23a)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회로(1)와의 접촉점보다 약간 전방(플렉시블 회로(1)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각 단자(20)의 하단에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30)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상면전단측에서부터 전면 상단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30)에는 각 단자(20)의 회전운동 지지부(21a)를 삽입 통과하게 하는 복수의 삽통구멍(揷通孔) (30a)이 서로 폭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삽통구멍(30a) 내에는 회전운동 지지부(21a)에 걸어맞추는 회전운동 축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30)의 일단에는 누름판(40)을 후방으로 누르는 누름부(32)가 설치되고, 누름부(32)는 각 단자(20)의 고정편부(21)와 각 콘택트(22, 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누름부(32)는 누름 부재(30)가 개방 위치(누름 부재(30)의 상면이 수평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위치)에 있을 때는 누름판(40)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누름 부재(30)를 폐쇄 위치(누름 부재(30)의 상면이 수평 방향과 약 75°를 이루는 위치)를 향해 회전운동시키면, 후방으로 돌출하여 누름판(40)을 후방으로 누르게 되어 있다. 그때, 누름 부재(30)가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하면, 누름부(32)가 제 1 콘택트(22)의 접촉부(22a)와 제 2 콘택트(23)의 접촉부(23a)에 있어서의 상하방향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누름 부재(30)의 상단에는 조작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40)은 굽힘 가공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자(20)의 고정편부(21)와 각 콘택트(22, 2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넥터 본체(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판(40)은 누름 부재(30)의 누름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평판 형상의 가동편부(41)와, 커넥터 본체(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42)와,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1)를 가홀딩하는 한 쌍의 가홀딩부(43)와, 플렉시블 회로(1)를 안내하는 가이드부(44)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누름판(40)의 폭방향 양단부와 가동편부(41)의 사이에는 상단을 개방한 노치부(40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동편부(41)는 각 노치부(40a)의 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모든 단자(20)에 걸치도록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그 하단측은 커넥터 본체(10) 내의 단자구멍(10b)에 삽입되어 있다. 가동편부(41)의 하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41a)이 설치되고, 각 구멍(41a)은 서로 가동편부(41)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편부(41)는 각 구멍(41a)이 설치되어 있는 하부 쪽이 각 구멍(41a)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부보다 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누름 부재(30)에 의해서 가동편부(41)의 상부를 누름으로써 가동편부(41)의 하부(각 구멍(41a)의 사이 부분)가 탄성 변형하여 가동편부(41)의 상부가 후방으로 변위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가동편부(41)의 상부는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의 접촉부(22a, 23a)와 플렉시블 회로(1)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서부터 누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부(42)는 각 노치부(40a)에 의해 가동편부(41)와 분리된 누름판(40)의 폭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각각 후방을 향해 L자 형상으로 굴곡하고 있다. 각 고정부(42)는 커넥터 본체(10)의 각 홈(13a)에 각각 압입됨으로써 커넥터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 고정부(42)의 하단에는 각각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42a)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가홀딩부(43)는 각 노치부(40a) 내에 설치되고, 노치부(40a)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홀딩부(43)는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상단측에는 플렉시블 회로(1)에 거는 산 모양의 걸림부(43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44)는 가동편부(41)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방의 비스듬한 위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플렉시블 회로(1)를 접속하는 경우는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를 개방 위치로 하여 커넥터 본체(10)의 개구부(10a)에 위쪽에서부터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한다. 그때, 누름판(40)의 가이드부(44)의 경사면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 내로 안내된다. 또, 플렉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되면, 각 가홀딩부(43)의 걸림부(43a)가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의 폭방향 양측에 압접하도록 걸려, 각 가홀딩부(43)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 측에 가홀딩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30)의 조작부(33)를 하부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누름 부재(3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플렉시블 회로(1)가 각 단자(20)에 압접하여 플렉시블 회로(1)가 접속된다. 그때, 누름 부재(3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누름 부재(30)의 누름부(32)가 회전운동 지지부(21a)에 지지되면서 회전운동 축부(31)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누름판(40)의 가동편부(41)가 누름부(32)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측으로 눌려진다. 이에 따라, 가동편부(41)가 후방으로 변위하여 플렉시블 회로(1)를 누르고,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이 각 단자(20)의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의 접촉부(22a, 23a)에 압접한다. 그때, 누름판(40)은, 누름 부재(30)에 의해서 가동편부(41)의 상부가 눌러짐으로써 가동편부(41)의 하부가 탄성 변형하여 가동편부(41)의 상부가 평면상태를 유지한 채로 후방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가동편부(41)가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의 접촉부(22a, 23a)와 플렉시블 회로(1)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면접촉하면서 누르기 때문에 플렉시블 회로(1)보다 두께 방향으로 강성이 높은 누름판(40)의 가동편부(41)를 통하여 플렉시블 회로(1)가 누름 부재(30)에 의해 눌려져 플렉시블 회로(1)의 휨이 억제된다. 또, 가동편부(41)는 제 1 콘택트(22)의 접촉부(22a)와 제 2 콘택트(23)의 접촉부(23a) 사이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을 누름부(32)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32)로부터의 누름력(F)에 의한 제 1 콘택트(22)의 반력(R1)과 제 2 콘택트(23)의 반력(R2)이 플렉시블 회로(1)에 거의 균등하게 가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단자(20)를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에 2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각 콘택트(22, 23)의 한쪽과 플렉시블 회로(1) 사이에 이물이 들어간 경우에도, 각 콘택트(22, 23)의 다른 쪽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와의 도통 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접속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 부재(3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누름판(40)이 누름 부재(30)의 누름부(32)에 눌려지면서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면접촉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와 플렉시블 회로(1)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가 누름판(40)을 통하여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측으로부터 눌려져 플렉시블 회로(1)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이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에 압접하도록 했으므로, 누름판(40)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1)의 휨을 억제할 수 있어 플렉시블 회로(1)에 대한 제 1 및 제 2 콘택트(22, 23)의 접촉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 부재 자체를 플렉시블 회로(1)에 면접촉 시키는 경우와 같이, 누름 부재(30)의 회전운동 반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누름 부재(30)를 대형화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도 있다.
또, 누름판(40)에, 누름 부재(30)의 누름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가동편부(41)를 설치하고, 가동편부(41)의 하부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가동편부(41)의 상부가 플렉시블 회로(1)에 면접촉하도록 했으므로, 가동편부(41)를 그 상부가 평면상태를 유지한 채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어 가동편부(41)를 플렉시블 회로(1)에 확실히 면접촉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동편부(41)의 하부에 복수의 구멍(41a)을 설치함으로써 가동편부(41)의 하부를 상부보다 강성이 낮아지도록 형성했으므로, 가동편부(41)로부터 누름 부재(30)의 누름부(32)에 가해지는 복원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누름 부재(30)를 원활히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또, 누름 부재(30)가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하면, 누름부(32)에 의한 누름판(40)에의 누름 위치가, 플렉시블 회로(1)에의 제 1 콘택트(22)의 접촉부(22a)의 접촉 위치와 제 2 콘택트(23)의 접촉부(23a)의 접촉 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했으므로, 누름부(32)로부터의 누름력(F)에 의한 제 1 콘택트(22)의 반력(R1)과 제 2 콘택트(23)의 반력(R2)을 플렉시블 회로(1)에 거의 균등하게 가할 수 있어 플렉시블 회로(1)에 대한 각 콘택트(22, 23)의 도통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회로(1)를 가이드부(44)에 의해 커넥터 본체(10) 내로 안내하도록 했으므로, 플렉시블 회로(1)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44)를 누름판(40)에 일체로 설치했으므로, 플렉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 내로 안내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1)에 누름판(40)의 가홀딩부(43)을 걺으로써 플렉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측에 가홀딩하도록 했으므로, 누름 부재(3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기 전이어도 플렉시블 회로(1)의 위치 어긋남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플렉시블 회로(1)의 접속 작업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10)에 고정한 누름판(40)을 누름 부재(30)의 누름에 의해 탄성 변형시키도록 한 것을 나타냈지만, 커넥터 본체(10)에 고정되지 않는 누름판을 누름 부재(30)의 누름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20)에 제 1 콘택트(22)와 제 2 콘택트(23)를 일체로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제 1 및 제 2 콘택트는 각각 별체의 단자에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1: 플렉시블 회로 10: 커넥터 본체
20: 단자 22: 제 1 콘택트
22a: 접촉부 23: 제 2 콘택트
23a: 접촉부 30: 누름 부재
32: 누름부 40: 누름판
41: 가동편부 43: 가홀딩부
44: 가이드부

Claims (6)

  1. 가요성을 가지는 평형의 접속 대상물을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에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트와, 소정의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접속 대상물과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압접시키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콘택트를,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 위치가 서로 접속 대상물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다르도록 형성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누름 부재를 상기 회전운동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누름 부재에 눌려지면서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에 면접촉함으로써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한쪽 면을 제 1 및 제 2 콘택트에 압접시키는 누름판을 구비하고,
    누름판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 다른쪽 면측으로부터 누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에는 누름 부재의 누름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가동편부가 설치되고,
    가동편부는 그 일부가 다른 부분에 대해 탄성 변형함으로써 다른 부분이 접속 대상물에 면접촉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부의 일부는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회전운동 방향의 소정 위치까지 회전운동하면, 누름판에의 누름 위치가 접속 대상물에의 제 1 콘택트의 접촉 위치와 제 2 콘택트의 접촉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에는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 본체 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에는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에 걺으로써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 본체 측에 가홀딩하는 가홀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05246A 2011-06-13 2012-05-31 커넥터 KR101450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1384A JP5010043B1 (ja) 2011-06-13 2011-06-13 コネクタ
JPJP-P-2011-131384 2011-06-13
PCT/JP2012/064055 WO2012172984A1 (ja) 2011-06-13 2012-05-3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653A KR20130055653A (ko) 2013-05-28
KR101450736B1 true KR101450736B1 (ko) 2014-10-14

Family

ID=4684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46A KR101450736B1 (ko) 2011-06-13 2012-05-31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6487B2 (ko)
EP (1) EP2720321B1 (ko)
JP (1) JP5010043B1 (ko)
KR (1) KR101450736B1 (ko)
CN (1) CN103140992B (ko)
TW (1) TW201251234A (ko)
WO (1) WO2012172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4331B (zh) 2012-09-05 2017-02-22 意力速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5571837B1 (ja) 2013-08-21 2014-08-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4319528A (zh) * 2014-10-15 2015-01-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弹片连接器
US9397444B1 (en) * 2015-06-01 2016-07-19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wiring device
JP6463410B2 (ja) * 2017-06-06 2019-01-3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US20230029463A1 (en) * 2021-07-27 2023-02-02 Dell Products L.P. Battery connector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429A (ja) 2004-10-21 2006-05-11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2007265911A (ja) 2006-03-29 2007-10-11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4372224B1 (ja) 2009-06-01 2009-11-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8284B2 (ja) 1991-06-20 1998-05-28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電気的に書き込み消去可能な不揮発性メモリを備えたカウンタ
JP2892945B2 (ja) 1994-08-05 1999-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1338712A (ja) * 2000-05-30 2001-12-07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605586B2 (ja) *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7387528B2 (en) * 2005-06-23 2008-06-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WM299368U (en) * 2006-01-20 2006-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748674B2 (ja) * 2006-04-07 2011-08-1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0002099A2 (ko) * 2008-07-03 2010-01-07 Lee Soo-Jin Fpc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fpc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c 접속방법
JP4847569B2 (ja) * 2009-10-01 2011-12-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68791B1 (ja) * 2009-12-16 2010-10-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0429A (ja) 2004-10-21 2006-05-11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2007265911A (ja) 2006-03-29 2007-10-11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4372224B1 (ja) 2009-06-01 2009-11-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653A (ko) 2013-05-28
CN103140992B (zh) 2015-08-19
EP2720321B1 (en) 2017-07-05
US8936487B2 (en) 2015-01-20
EP2720321A1 (en) 2014-04-16
TW201251234A (en) 2012-12-16
US20140099828A1 (en) 2014-04-10
JP2013004199A (ja) 2013-01-07
EP2720321A4 (en) 2014-10-22
JP5010043B1 (ja) 2012-08-29
WO2012172984A1 (ja) 2012-12-20
CN103140992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736B1 (ko) 커넥터
JP4859261B1 (ja) 基板用コネクタ
US8172592B2 (en) Connector having a rotatable press member
KR101310820B1 (ko) 커넥터
JP551535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425063B1 (ko) 커넥터
TWI595707B (zh) 連接器
KR20120102671A (ko) 커넥터
EP2442411A1 (en) Connector
EP2439819B1 (en) Connector
JP2008146935A (ja) コネクタ
JP4798277B2 (ja) コネクタ
JP2011044405A (ja) コネクタ
JPWO2018012243A1 (ja) コネクタ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8022617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101821900B1 (ko) 전기 커넥터
JP2005347021A (ja) コネクタ
JP6929548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20160071607A (ko) 무접촉단자형 fpc 커넥터
JP5776894B2 (ja) コネクタ装置
JP431868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211908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