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224A - 리셉터클 터미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224A
KR20080084224A KR1020070025622A KR20070025622A KR20080084224A KR 20080084224 A KR20080084224 A KR 20080084224A KR 1020070025622 A KR1020070025622 A KR 1020070025622A KR 20070025622 A KR20070025622 A KR 20070025622A KR 20080084224 A KR20080084224 A KR 20080084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plate
contact spr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963B1 (ko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9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이 수행되는 바렐부(22)와, 상기 몸체부(20)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선단이 개구된 통형상이고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 누름아치(26)가 마주보게 형성된 결합부(24)와, 연결편(33)에서 제1 및 제2 겹침판(31,32)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4)의 내부에 상대 터미널에 의해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31,32)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상대 터미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4)의 누름아치(26)와 상대 터미널의 사이에 일부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결합슬라이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면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의 삽입력과 분리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결합과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되고,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삽입력, 접점, 리셉터클

Description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리셉터클 터미널에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리셉터클 터미널에 탭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몸체부 22: 바렐부
24: 결합부 26: 누름아치
28: 스토퍼 30: 결합슬라이더
31: 제1 겹침판 32: 제2 겹침판
33: 연결판 36: 접촉아치
38: 접촉스프링판 39: 선단꺽임부
40: 탭 터미널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이 내부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리셉터클 터미널(1)의 골격을 몸체부(3)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의 후단에는 와이어(5')와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대 탭터미널(7')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7)가 형성된다. 실제로, 몸체부(3)와 바렐부(5) 및 결합부(7)는 모두 일체로 된 것으로 명확하게 영역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는 어렵다.
상기 결합부(7)는 양단으로 관통된 사각기둥형상이다. 상기 결합부(7)의 내부로는 상기 탭터미널(7')이 삽입되어 탭터미널(7')과 리셉터클 터미널(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부(7)의 내부에는 접촉편(9)이 탄성변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접촉편(9)은 상기 결합부(7)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편(9)은 상기 탭 터미널(7')의 밀착되어 접점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접촉편(9)의 표면과 마주보는 결합부(7)의 내면 일측에는 접촉돌부(9')가 상기 접촉 편(9)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부(9')도 탭 터미널(7')과 밀착되어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탭 터미널(7')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의 결합부(7)의 내부로 삽입될 때의 삽입력과 리셉터클 터미널(1)에서 분리될 때의 분리력이 탭 터미널을 삽입하고 분리할 때에 지속적으로 큰 문제점이 있다. 이는 탭 터미널(7')을 결합부(7)의 내부로 쉽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7)의 입구는 상대적으로 넓으면서도 내부로 가면서 접촉편(9)과 결합부(7)의 내벽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야 하기 때문이고, 접촉편(9)과 결합부(7)가 연결되는 부분이 결합부(7)의 선단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접촉편(9)과 상기 접촉돌부(9')에서만 리셉터클 터미널(1)과 탭터미널(7')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전기적 접촉이 상대적으로 불안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 터미널의 삽입과 분리를 위한 삽입력과 분리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이 수행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선단이 개구된 통형상이고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 누름아치가 마주보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대 터미널에 의해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누름아치와 상대 터미널의 사이에 일부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결합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는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상기 상대 터미널에 의해 밀리는 정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슬라이더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서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간부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촉아치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겹침판과,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는 접촉스프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 사이의 간격은 상대 터미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양측의 접촉스프링판은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후단으로 갈수록 그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 로 선단꺽임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이 수행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선단이 개구된 통형상이고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 누름아치가 마주보게 형성된 결합부와, 연결편에서 제1 및 제2 겹침판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대 터미널에 의해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상대 터미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누름아치와 상대 터미널의 사이에 일부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결합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중간부분에는 서로 상대측 겹침판 방향으로 돌출되게 접촉아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에는 접촉스프링판이 상대측 겹침판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선단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으로 후단에는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접촉스프링판은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에서 상기 겹침판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선단에는 선단꺽임부가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면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의 삽입력과 분리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결합과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되고,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셉터클 터미널의 골격을 몸체부(20)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22) 및 결합부(2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과의 경계는 명확치 않다. 실제로는 금속재질로 된 몸체부(20)에 바렐부(22) 및 결합부(24)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0)의 후단에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22)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형태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와이어가 안착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됨에 의해 터미널과 와이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20)의 선단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4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4)는 선단이 개구된 사각기둥형상이다. 상기 결합부(24)의 개구된 선단을 통해서 상기 탭 터미널(40)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24)에는 그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누름아치(26)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아치(26)는 상기 결합부(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그 중간부 분이 상대적으로 양단부에 비해 더 돌출된다. 상기 누름아치(26)는 상기 결합부(24)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탭 터미널(40)의 상면 및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4)에서 상기 누름아치(26) 사이의 간격은 탭 터미널(4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는 탭 터미널(40)이 상기 결합부(24)의 내부로 보다 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누름아치(26) 사이의 간격은 결합부(24) 내면에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누름아치의 최상단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상기 결합부(24)의 후단에는 스토퍼(28)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28)에 의해 상기 결합부(24)의 일단부가 폐쇄되도록 되었으나, 반드시 스토퍼(28)가 상기 결합부(24)의 후단을 폐쇄하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토퍼(28)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슬라이더(30)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24)의 내부공간에는 결합슬라이더(3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슬라이더(30)는 상기 결합부(24)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슬라이더(3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 겹침판(31,32)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부(24)의 선단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31,32)의 후단이 연결판(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들 겹침판(31,32)과 연결판(33)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겹침판(31,32)은 상기 연결판(33)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탄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겹침판(31,32) 사이의 간격은 그 선단이 중간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된다. 이는 상기 겹침판(31,32) 사이로 탭 터미널(40)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겹침판(31,32)의 중간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접촉아치(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아치(36)는 그 중간부분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상기 접촉아치(36)는 상기 탭 터미널(40)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양측의 접촉아치(36)사이의 간격중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의 간격은 상기 탭 터미널(40)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겹침판(31,32)의 두께는 상기 누름아치(26)와 탭 터미널(40)의 사이에 쉽게 압입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상기 접촉아치(36)가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됨에 의해 상기 결합슬라이더(30)는 상기 누름아치(26)의 사이, 즉 상기 결합부(24)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접촉아치(36)의 중간부분에서 상기 연결판(33)까지의 거리는 상기 결합부(24)의 누름아치(26)에서 스토퍼(28)까지의 거리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겹침판(31,32)의 선단에는 각각 접촉스프링판(38)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은 상기 겹침판(31,32)의 선단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은 그 절곡 형상이 겹침판(31,32)의 선단이 그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의 탄성변형은 각각의 겹침판(31,32)의 것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된다. 즉,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은 상기 각각의 겹침판(31,32)의 것이 겹침판(31,3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이 상기 탭 터미널(40)에 보다 밀착되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의 각각의 선단에는 선단꺽임부(39)가 구비된다. 상기 선단꺽임부(39)는 그 경사방향이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선단꺽임부(39)는 각각의 겹침판(31,32)의 내면에 지지되어 접촉스프링판(38)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터미널은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40)이 상기 결합부(24)로 삽입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결합슬라이더(30)가 상기 결합부(24)의 상대적으로 선단에서 내부로 상기 탭 터미널(40)과 함께 삽입되면서 누름아치(26)에 의해 눌러져, 결합슬라이더(30)가 상기 탭 터미널(40)과 상기 결합부(24)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결합슬라이더(30)는 상기 탭 터미널(40)과 함께 결합부(24)의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24)의 누름아치(26)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되면서 탭 터미널(40)에 압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슬라이더(30)가 상기 결합부(24)의 내부에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결합슬라이더(30)는 그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겹침판(31,32)의 외면이 상기 결합부(24)의 내면에 밀 착되면서 임의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즉, 도 4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접촉아치(36)를 기준으로 후단부는 상기 결합부(24)의 누름아치(26)와 스토퍼(28)의 사이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고 결합부(24)의 선단으로 빠지지는 않는다. 이는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접촉아치(36)에서 후단부가 상기 누름아치(26)에 걸리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겹침판(31,32)의 선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탭 터미널(40)의 두께보다 훨씬 넓어 탭 터미널(40)의 삽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탭 터미널(40)이 상기 결합부(24)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 선단이 상기 겹침판(31,32)의 선단 사이로 들어간다. 상기 탭 터미널(40)의 선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연결판(33)에 닿을 때까지 상기 결합슬라이더(30)에 삽입된다.
상기 탭 터미널(40)의 선단이 상기 연결판(33)에 닿게 되면, 탭 터미널(40)이 삽입되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슬라이더(30)도 함께 이동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겹침판(31,32)이 상기 탭 터미널(40)과 누름아치(26)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눌러지게 된다.
특히, 상기 겹침판(31,32) 선단의 접촉스프링판(38)은 상기 겹침판(31,32)과 탭 터미널(40)의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상기 겹침판(31,32)이 상기 결합부(24)의 누름아치(26)와 탭 터미널(40)의 사이에 압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연결판(33)이 상기 스토퍼(28)에 닿게 됨에 의해 상기 탭 터미널(40)은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이 상기 결합부(24)의 누름아치(26)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결합부(24)의 누름아치(26)와 탭 터미널(40)의 사이에 겹침판(31,32)과 접촉스프링판(38)이 함께 있게 되어 상기 겹침판(31,32)과 접촉스프링판(38)이 상기 누름아치(26)와 탭 터미널(40)의 사이에 압입된다. 따라서, 상기 탭 터미널(40)은 상기 결합부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누름아치(26)와 탭 터미널(40)의 사이에 겹침판(31,32)과 접촉스프링판(38)이 있게 되면, 상기 결합슬라이더(30)가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겹침판(31,32)이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이 각각 탭 터미널(40)의 양측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접촉아치(36)도 상기 탭터미널(40)의 양측 표면에 각각 밀착된다. 물론, 상기 탭 터미널(40)의 선단이 상기 연결편(33)에도 접촉된다. 물론, 상기 결합슬라이더(30)와 결합부(24) 사이의 결합 개소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그 접촉면적은 상당히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의 선단에 구비되는 선단꺽임부(39)는 상기 접촉스프링판(38)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어 상기 접촉스프링판(38) 부분이 상기 탭 터미널(4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슬라이더(30)의 형상은 상기 탭 터미널(40)이 결합 부(24)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아치(26)와 탭 터미널(40)의 사이에 압입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즉, 상기 각각의 겹침판(31,32)에 구비되는 접촉스프링판(38)이 겹침판(31,32)의 외면쪽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겹침판(31,32)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탭 터미널(40)과 누름아치(26) 사이에 존재하는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탭 터미널(40)과 누름아치(26)의 사이에 결합슬라이더(30)가 압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슬라이더가 탭 터미널과 함께 삽입되면서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부 내면 사이에 압입되어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탭 터미널과 결합부의 내면, 즉 누름아치의 사이에 압입될 때만 삽입력이 필요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삽입력이 작아도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분리시에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부에 형성된 누름아치와 탭 터미널의 사이에 결합슬라이더가 압입되므로 결합력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 사이의 접촉품질이 좋아져 본 발명의 리셉터클 터미널을 사용하는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이 수행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선단이 개구된 통형상이고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 누름아치가 마주보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대 터미널에 의해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의 누름아치와 상대 터미널의 사이에 일부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결합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는 상기 결합슬라이더가 상기 상대 터미널에 의해 밀리는 정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라이더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서 평행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간부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촉아치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겹침판과,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는 접촉스프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 사이의 간격은 상대 터미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접촉스프링판은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후단으로 갈수록 그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단꺽임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7.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의 연결이 수행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선단이 개구된 통형상이고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 누름아치가 마주보게 형성된 결합부와,
    연결편에서 제1 및 제2 겹침판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대 터미널에 의해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상대 터미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누름아치와 상대 터미널의 사이에 일부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결합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중간부분에는 서로 상대측 겹침판 방향으로 돌출되게 접촉아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에는 접촉스프링판이 상대측 겹침판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선단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으로 후단에는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접촉스프링판은 상기 제1 및 제2 겹침판의 선단에서 상기 겹침판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선단에는 선단꺽임부가 상기 접촉스프링판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KR1020070025622A 2007-03-15 2007-03-15 리셉터클 터미널 KR10087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622A KR100874963B1 (ko) 2007-03-15 2007-03-15 리셉터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622A KR100874963B1 (ko) 2007-03-15 2007-03-15 리셉터클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224A true KR20080084224A (ko) 2008-09-19
KR100874963B1 KR100874963B1 (ko) 2008-12-19

Family

ID=4002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622A KR100874963B1 (ko) 2007-03-15 2007-03-15 리셉터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79Y1 (ko) * 2009-12-03 2011-06-2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단자
KR200464727Y1 (ko) * 2008-09-22 2013-01-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KR101351756B1 (ko) * 2010-11-17 2014-01-14 주식회사 후성테크 진동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 커넥터 결합체 및 커넥터 하우징
WO2017014751A1 (en) * 2015-07-21 2017-0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emale electrical termin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924B1 (ko) * 2009-05-19 2015-09-07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엘피퓨즈의 고정단자
KR101063258B1 (ko) * 2009-10-19 2011-09-07 이호일 터미널단자 및 터미널단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4247B2 (ja) 2000-04-18 2010-01-0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4634238B2 (ja) 2005-06-29 2011-02-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金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27Y1 (ko) * 2008-09-22 2013-01-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KR200454279Y1 (ko) * 2009-12-03 2011-06-2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용 단자
KR101351756B1 (ko) * 2010-11-17 2014-01-14 주식회사 후성테크 진동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 커넥터 결합체 및 커넥터 하우징
WO2017014751A1 (en) * 2015-07-21 2017-0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emale electrical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963B1 (ko) 200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594B2 (en) Terminal
JP4207952B2 (ja) コネクタ
KR100874963B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9039429B2 (en) Wire-to-board connector
JP6437276B2 (ja) コネクタ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JP5956071B2 (ja) 接続端子
WO2014054670A1 (ja) メス端子
WO2014087977A1 (ja) 雌端子
CN107134672B (zh) 连接器
JP2007005295A (ja) 二重接点機能のばね接点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3031301A (ja) 電気コネクタ
US9876295B2 (en) Electric connector
CN109216985B (zh) 端子零件
JP2002025674A (ja) 接続端子
US20170054241A1 (en) Connector
JP3682824B2 (ja) コネクタ
CN107104303B (zh) 电联接端子结构
KR200437688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7188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90004915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50639Y1 (ko) 터미널
JP201015326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