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915U - 리셉터클 터미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915U
KR20090004915U KR2020070018607U KR20070018607U KR20090004915U KR 20090004915 U KR20090004915 U KR 20090004915U KR 2020070018607 U KR2020070018607 U KR 2020070018607U KR 20070018607 U KR20070018607 U KR 20070018607U KR 20090004915 U KR20090004915 U KR 200900049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ox
contact
terminal
elastic contact
bo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8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915U/ko
Publication of KR20090004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고안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탄성접촉편(36,36')과 접촉돌기(34,34') 두 쌍이 위치를 달리하여 상대 탭터미널과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접촉편(36)은 터미널(20)의 결합박스부(30)의 내면에서 연장되는데, 그 연장방향이 상기 결합박스부(30)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한다. 그리고 다른 탄성접촉편(36')은 상기 탄성접촉편(36)의 연장방향과 반대로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상기 탄성접촉편(36,36')의 각각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접촉돌기(34,34')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의 터미널이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대 커넥터의 탭 터미널과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접촉면적은 유지되면서도 삽입력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리셉터클, 터미널, 접촉

Description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
본 고안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5) 및 결합박스부(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5) 및 결합박스부(10)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
상기 터미널(1)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는 크게 와이어바렐(7)와 인슐레이션바렐(8)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 어바렐(7)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8)은 전선의 인슐레이션을 감싸서 터미널(1)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의 선단에는 결합박스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0)는 대략 사각형의 통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0)는 터미널(1)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구되는 사각통상이다. 상기 결합박스부(10)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0)의 삽입공간(11) 내부에는 상기 탭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1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2)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탭터미널이 결합박스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결합박스부(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탄성편(12)은 상기 결합박스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결합박스부(10)와 별도로 만들어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별도로 탄성편(12)을 만들어 결합박스부(10)에 넣게 되면 터미널(1)을 제작하는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편(12)을 상기 결합박스부(10)와 일체가 되도록 만드는데, 이와 같이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2)을 제작하기 위해 빗금친 영역만큼의 공간이 모재에서 제거되어야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12)은 탭터미널이 삽입되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탭터미널을 마주보는 결합박스부(10)의 내면에 밀착되게 한다. 하지만, 상기 탄성편(12)이 형성된 부분에서만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탭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이 불안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탭터미널과 접촉되는 탄성편의 형성을 위해 모재의 낭비가 최소화된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탭터미널과의 접촉이 다접점에서 이루어지면서도 탭터미널의 삽입력이 최소화된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탭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박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박스부의 내면중 인접한 두 면에는 접촉돌기가 상기 결합박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박스부의 내면에 상기 접촉돌기와 마주하도록 상기 결합박스부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내부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탄성접촉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 촉편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접촉부가 상기 접촉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탭 터미널의 반대면에 접촉되도록 되며, 상기 제1탄성접촉편은 상기 결합박스부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탄성접촉편은 상기 결합박스부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탄성접촉편의 선단에는 상기 제2탄성접촉편의 연장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박스부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박스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촉편의 변형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박스부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박스부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박스부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결합박스부의 일측 단부의 외측면과 겹쳐지는 겹침편이 연장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체결돌기의 탈거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탄성접촉편을 형성할 때, 각각 결합박스부를 구성하는 부분을 절개하고 절곡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작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재의 양이 최소화되고, 제작과정에서 버려지는 모재의 양 또한 최소화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터미널의 제작비용이 최소화되어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탄성접촉편과 접촉돌기가 상대터미널과 접하게 되는데, 상대터미널과의 접점위치를 상기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하였다. 따라서 상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이 4부분에서 접촉이 이루어져 전기적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상대터미널의 삽입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터미널의 사용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리셉터클 터미널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리셉터클 터미널(20)은 판상의 금속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20)은, 몸체부(22)의 후단에는 바렐부(24)가 선단에는 결합박스부(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2)와 바렐부(24) 및 결합박스부(30)는 그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대략 몸체부(22)를 기준으로 후단에 바렐부(24)가 선단에 결합박스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4)는 와이어바렐(26)과 인슐레이션바렐(28)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26)은 전선의 와이어를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8)은 전선의 인슐레이셤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 터미널(2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22)의 선단에는 결합박스부(3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박스부(30)는 대략 4각통형상이다. 상기 결합박스부(30)는 터미널(20)의 길이방향 전후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부(30)의 내부에는 삽입공간(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간(32)은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32)은 상기 터미널(2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박스부(30)의 내면으로 돌출되게 제1 및 제2접촉돌기(34,3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접촉돌기(34,34')는 탭 터미널과 전기적 접촉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접촉돌기(34,34')는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인접한 두 면에 각각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상면에 형성된 제1접촉돌기(34)와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측면에 형성된 제2접촉돌기(34')는 상기 터미널(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도 5참조).
상기 결합박스부(30)에서 상기 제1및 제2접촉돌기(34,34')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제1및제2탄성접촉편(36, 3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촉편(36,36')은 탭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촉편(36, 36')은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일부가 절개되고 상기 삽입공간(32) 내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촉편(36,36')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공 간(32) 내부로 가장 많이 돌출되는 부분인 접촉부(38,38')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8,38')는 상기 접촉돌기(34,34')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접촉편(36,36')의 상기 접촉부(38,38')에서 더욱 연장되는 부분은 다시 하향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면(39, 39')이다. 상기 제1탄성접촉편(36)의 가이드면(39)은 상기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탄성접촉편(36')의 가이드면(39')은 상기 탭 터미널이 상기 삽입공간(32)으로부터 분리될 때 그 분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촉편(36,36')은 상기 결합박스부(30)의 내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박스부(30)의 하면에 형성된 제1탄성접촉편(36)은 상기 터미널(20)의 선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측면에 형성된 제2탄성접촉편(36')은 상기 터미널(20)의 후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38,38')는 상기 접촉돌기(34,34')와 마찬가지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외면 일측에는 겹침편(42)이 형성된다. 상기 겹침편(42)은 사각 통상으로 결합박스부(30)를 형성할 때,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겹침편(42)과 인접한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외면 일측에는 슬롯(43)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43)은 후술할 체결돌기(4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체결돌기(44)는 상기 겹침편(42)이 형성되는 상기 결합박스부(30)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44)는 상기 슬롯(43)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박스 부(30)가 형성될 때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슬롯(43)에 삽입된 체결돌기(44)는 상기 겹침편(42)에 의하여 쉽게 탈거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결합박스(30)의 형상이 유지된다. 물론 이와는 다르게 상기 결합박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돌기(44)의 선단을 구부려 상기 체결돌기(44)가 상기 슬롯(43)을 확실히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선단에는 삽입가이드편(45,49)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편(45,49)은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선단에서 돌출되게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편(45,49)이 내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32)의 개구부가 좁아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탭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가이드편(45,49)은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여, 상기 탭 터미널이 상기 삽입공간(32)에 삽입되면서 상기 탄성접촉편(36)의 형상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터미널(20)은 도 8에 도시된 하나의 금속판이 여러번 절곡되어 만들어진다. 특히 상기 결합박스부(30)는 금속판이 여러번 절곡되어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일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돌기(44)가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슬릿(43)에 끼워지고, 마지막으로 상기 겹침편(42)이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외측면에 겹쳐져 사각통형상의 결합박스부(3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터미널(20)은 하우징 내에 안착되어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 널과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탭터미널이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삽입공간(32)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가이드편(45,49)에 의해 상기 탭 터미널의 삽입이 안내된다.
상기 삽입공간(32)에 탭터미널이 삽입되면,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이 상기 제1탄성접촉편(36)의 가이드면(39)에 닿게 된다. 이는 상기 결합박스부(30)의 선단에서 볼 때, 상기 제1탄성접촉편(36)의 가이드면(38)이 상기 삽입공간(32)의 입구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탭 터미널을 계속 삽입하면 상기 가이드면(39)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1탄성접촉편(36)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삽입공간(32) 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탭 터미널이 상기 삽입공간(32)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은 서로 마주보는 제2접촉돌기(34') 및 접촉부(38')와 양측에서 접촉되고, 탭터미널의 후단은 상기 삽입공간(32)의 입구부와 인접한 상기 제1접촉돌기(34)와 접촉부(38)와 각각 접촉되어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서로 어긋난 위치의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접점에서 탭터미널과 터미널(20)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탄성접촉편(36,36')과 접촉돌기(34,34') 두 쌍이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탭터미널과 접촉된다. 즉, 탭터미널과는 4부분에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한 쌍의 탄성접촉편(36)과 접촉돌기(34)는 상기 탭터미널의 후단과 접촉되며, 또 다른 한 쌍의 탄성접촉편(36')과 접촉돌기(34')는 상기 탭터미널의 선단과 접촉되어 탭터미널의 삽입력이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탄성접촉편과 제2탄성접촉편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탄성접촉편(36,36')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며, 두 개의 탄성접촉편(36,36')을 순서에 의미를 두지 않고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의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터미널 22: 몸체부
24: 바렐부 30: 결합박스부
34,34': 접촉돌기 36,36': 탄성접촉편
38,38': 접촉부 39,39': 가이드면
42: 겹침편 43: 슬롯
44 체결돌기 45,49: 삽입가이드편

Claims (4)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탭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박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박스부의 내면중 인접한 두 면에는 접촉돌기가 상기 결합박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박스부의 내면에 상기 접촉돌기와 마주하도록 상기 결합박스부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내부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탄성접촉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촉편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접촉부가 상기 접촉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돌기가 접촉되는 상기 탭 터미널의 반대면에 접촉되도록 되며,
    상기 제1탄성접촉편은 상기 결합박스부의 후단에서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탄성접촉편은 상기 결합박스부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접촉편의 선단에는 상기 제2탄성접촉편의 연장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박스부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박스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상기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고 상기 제1 및 제2탄성접촉편의 변형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박스부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박스부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박스부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결합박스부의 일측 단부의 외측면과 겹쳐지는 겹침편이 연장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체결돌기의 탈거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KR2020070018607U 2007-11-19 2007-11-19 리셉터클 터미널 KR200900049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07U KR20090004915U (ko) 2007-11-19 2007-11-19 리셉터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07U KR20090004915U (ko) 2007-11-19 2007-11-19 리셉터클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15U true KR20090004915U (ko) 2009-05-22

Family

ID=4130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607U KR20090004915U (ko) 2007-11-19 2007-11-19 리셉터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91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8854A (zh) * 2019-05-30 2019-08-20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电连接端子及其应用的公母互配电连接器
KR20200022638A (ko) * 2018-08-23 2020-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638A (ko) * 2018-08-23 2020-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CN110148854A (zh) * 2019-05-30 2019-08-20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电连接端子及其应用的公母互配电连接器
CN110148854B (zh) * 2019-05-30 2024-02-27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电连接端子及其应用的公母互配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7952B2 (ja) コネクタ
US6893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US643993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KR101700058B1 (ko) 암형 단자
EP1482594A1 (en) A terminal
KR100264848B1 (ko) 소켓형 콘택트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커넥터
JPH08321343A (ja) 雌型端子金具
JP2019029055A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KR200432451Y1 (ko) 리셉터클 터미널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KR20080084224A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90004915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3065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37688Y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10461456B2 (en) Connector
JP2018014300A (ja) コネクタ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7188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50639Y1 (ko) 터미널
KR200444472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1906177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KR20100008653A (ko) 리셉터클터미널
JPH11345644A (ja) 端子金具
JP2001167834A (ja) 端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