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659Y1 - 리셉터클 터미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659Y1
KR200430659Y1 KR2020060021676U KR20060021676U KR200430659Y1 KR 200430659 Y1 KR200430659 Y1 KR 200430659Y1 KR 2020060021676 U KR2020060021676 U KR 2020060021676U KR 20060021676 U KR20060021676 U KR 20060021676U KR 200430659 Y1 KR200430659 Y1 KR 200430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pling box
coupling
tab termin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1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6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고안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24)와, 상기 몸체부(22)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탭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박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박스(30)의 내면중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는 소정의 폭과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접촉돌출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출리브(34)는 서로 대응되는 면에 각각 한쌍의 나란히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상대되는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결합가이드곡면(35)이 결합박스(30)의 내면과 접촉돌출리브(34)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단 탭 터미널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외력에 의해 접촉상태가 변하지 않아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터미널을 구성하면서 탄성변형되는 탄성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작을 위한 작업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에의 삽입이 정확하게 되고, 결합박스의 모서리에 보강비드가 각각 형성되어 리셉터클 터미널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상대 탭터미널과의 결합이 확실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리셉터클, 터미널, 접촉면적, 진동

Description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리셉터클 터미널 22: 몸체부
24: 바렐부 26: 와이어바렐
28; 인슐레이션 바렐 30: 결합박스
32: 공간부 34: 접촉돌출리브
35: 결합가이드곡면 36: 삽입가이드편
38: 보강비드
본 고안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5) 및 결합박스(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5) 및 결합박스(10)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
상기 터미널(1)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는 크게 와이어바렐(7)와 인슐레이션바렐(8)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7)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8)은 전선의 인슐레이션을 감싸서 터미널(1)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의 선단에는 결합박스(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박스(10)는 대략 사각형의 통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박스(10)는 터미널(1)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구되는 사각통상이다. 상기 결합박스(10)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10)의 공간부(11) 내부에는 상기 탭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12)과 접촉반구면(14)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2)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탭터미널이 결합박스(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반구면(14)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탄성편(12)은 상기 결합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결합박스(10)와 별도로 만들어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별도로 탄성편(12)을 만들어 결합박스(10)에 넣게 되면 터미널(1)을 제작하는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편(12)을 상기 결합박스(10)와 일체가 되도록 만드는데, 이와 같이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2)을 제작하기 위해 빗금친 영역만큼의 공간이 모재에서 제거되어야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12)은 탭터미널이 삽입되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탭터미널을 상기 접촉반구면(14)에 밀착되게 한다. 하지만, 상기 탄성편(12)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차량과 같이 진동이 심한 환경에서 터미널(1)이 사용되면 진동되면서 상기 탭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이 나빠지게 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리셉터클 터미널(1)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될 때, 그 삽입방 향을 안내하는 구성이 없어 상기 터미널(1)에 하우징이 반대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어 커넥터 제작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을 구성하는 결합박스(10)는 사각통형상으로 모재를 접어 만들어지는데, 상기 결합박스(10)가 형성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여 변형이 발생하면 탭 터미널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탭 터미널과의 접촉이 확실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한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터미널을 하우징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박스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여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탭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박스의 내면중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는 소정의 폭과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접촉돌출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출리브는 서로 대응되는 면에 각각 한쌍의 나란히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상대되는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결합가이드곡면이 결합박스의 내면과 접촉돌출리브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의 일측 외면 모서리에는 겹침편이 구비되고, 상기 겹침편의 일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중 상기 겹침편이 구비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모서리에는 보강비드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면 일단 탭 터미널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외력에 의해 접촉상태가 변하지 않아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터미널을 구성하면서 탄성변형되는 탄성편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작을 위한 작업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에의 삽입이 정확하게 되고, 결합박스의 모서리에 보강비드가 각각 형성되어 리셉터클 터미널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상대 탭터미널과의 결합이 확실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리셉터클 터미널(20)은 판상의 금속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리셉 터클 터미널(20)은 몸체부(22)의 후단에는 바렐부(24)가 선단에는 결합박스(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2)와 바렐부(24) 및 결합박스(30)는 그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대략 몸체부(22)를 기준으로 후단에 바렐부(24)가 선단에 결합박스(30)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4)는 와이어바렐(26)과 인슐레이션바렐(28)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26)은 전선의 와이어를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8)은 전선의 인슐레이션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 터미널(2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22)의 선단에는 결합박스(3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박스(30)는 대략 납작한 4각통형상이다. 상기 결합박스(30)는 터미널(20)의 길이방향 전후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30)의 내부에는 공간부(32)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부(32)는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32)가 상기 터미널(32)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박스(30)의 내면으로 돌출되게 접촉돌출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출리브(34)는 상기 터미널(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서로 대응되는 면에 각각 한쌍이 나란히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출리브(34)는 도 3에서는 단지 그 반대면의 요입된 부분만이 보인다.
상기 접촉돌출리브(34)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터미널(20)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폭이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출리브(34) 의 일단부는 결합가이드곡면(35)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가이드곡면(35)은 상기 결합박스(30)의 내면과 상기 접촉돌출리브(34)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약간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곡면(35)은 서로 마주보는 접촉돌출리브(34) 사이로 탭 터미널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결합박스(30)의 외면 일측에는 삽입가이드편(3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편(36)은 터미널(20)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삽입가이드편(36)에 의해 터미널(20)이 하우징에 오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편(36)는 모재가 박스형상으로 절곡되어 결합박스(30)가 만들어질 때, 결합박스(3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단부의 일부를 결합박스(30)의 외면에 수직으로 세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박스(30)에는 또는 그 모서리에 보강비드(38)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비드(38)는 상기 삽입가이드편(36)이 형성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3 모서리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비드(38)는 상기 결합박스(30)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반대면은 요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보강비드(38)는 결합박스(3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비드(38)가 하나의 모서리에 두개씩 총 6개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삽입가이드편(36)이 구비되는 결합박스(20)의 모서리에는 보강비드(38)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삽입가이드편(36)이 형성되는 모서리 쪽은 겹침편(39)이 있어 다른 부분에 비해 결합박스(30)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이다. 상기 겹침편(39)은 결합박스(20)를 절곡하여 형성할 때, 일부를 겹치게 형성한 부분 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터미널(20)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삽입가이드편(36)이 삽입 방향을 안내한다. 즉, 터미널(20)이 삽입되는 하우징의 입구에 상기 삽입가이드편(36)이 통과할 수 있는 채널(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 터미널(20)의 최초삽입시 상기 삽입가이드편(36)이 상기 채널의 입구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터미널(20)이 하우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일단 하우징 내에 삽입된 터미널(20)은 상대 커넥터의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다. 상기 탭 터미널은 상기 결합박스(30)의 공간부(32)로 삽입되는데, 상기 공간부(32)에 탭 터미널이 삽입되면, 탭 터미널의 선단이 상기 접촉돌출리브(34) 선단의 결합가이드곡면(35)에 닿게 된다.
상기 접촉돌출리브(34)는 탭 터미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어, 탭 터미널의 선단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접촉돌출리브(34)의 결합가이드곡면(35)에 각각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탭 터미널이 리셉터클 터미널(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박스(30)의 서로 마주보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이 각각 탄성변형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사이로 탭 터미널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탭 터미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2개씩의 접촉돌출리브(34)가 밀착되면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접촉돌출리브(34)가 탭 터미널에 접촉돌출리브(34)의 상단 폭과 길이를 곱한 만큼의 면적에 걸쳐 모두 4군데에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탭 터미널이 결합박스(30)에 삽입되면서 결합박스(30)에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합박스(30)의 강성이 약하면 탭 터미널과 접촉돌출리브(34)의 밀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보강비드(38)가 결합박스(30)의 강성을 높여 주었으므로, 접촉돌출리브(34)가 상기 탭 터미널에 보다 확실하게 접촉되어 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탭 터미널과의 접촉을 위해 결합박스 자체를 성형하여 만든 접촉돌출리브를 사용한다. 즉, 결합박스를 구성하는 부분에 탭 터미널의 상하면에 각각 소정 폭으로 길게 접촉되도록 접촉돌출리브를 서로 마주보게 돌출시켜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탄성편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터미널의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외력, 즉 진동 등에 의해 접촉상태가 변하지 않아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일측에 삽입가이드편을 형성하여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을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될 수 있어 커넥터 제작작업의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결합박스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결합박스의 모서리에 보강비드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보강비드가 결합박스의 강성을 높여 소성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변형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강한 힘을 제공하여 결합박스의 접촉돌출리브가 탭 터미널이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리셉터클 터미널의 변형이 방지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이 커지면서 상대 탭터미널과의 결합이 확실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탭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박스의 내면중 서로 대응되는 내면에는 소정의 폭과 탭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접촉돌출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출리브는 서로 대응되는 면에 각각 한쌍의 나란히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상대되는 탭 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결합가이드곡면이 결합박스의 내면과 접촉돌출리브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박스의 일측 외면 모서리에는 겹침편이 구비되고, 상기 겹침편의 일부를 수직으로 절곡하여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박스중 상기 겹침편이 구비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모서리에는 보강비드가 요철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KR2020060021676U 2006-08-11 2006-08-11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30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76U KR200430659Y1 (ko) 2006-08-11 2006-08-11 리셉터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76U KR200430659Y1 (ko) 2006-08-11 2006-08-11 리셉터클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659Y1 true KR200430659Y1 (ko) 2006-11-13

Family

ID=4177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676U KR200430659Y1 (ko) 2006-08-11 2006-08-11 리셉터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65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164A (ko) * 2008-04-01 2009-10-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0467486Y1 (ko) *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101426798B1 (ko) 2011-12-26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전기 접속 단자
KR102412144B1 (ko) * 2021-08-26 2022-06-22 에코캡 주식회사 변형방지구조를 갖는 양극접촉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164A (ko) * 2008-04-01 2009-10-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0467486Y1 (ko) *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101426798B1 (ko) 2011-12-26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전기 접속 단자
KR102412144B1 (ko) * 2021-08-26 2022-06-22 에코캡 주식회사 변형방지구조를 갖는 양극접촉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5815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6074289B2 (ja) 雌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101346475B1 (ko) 커넥터
US10122115B2 (en) Connector
JP719892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20043065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20140169871A1 (en) Connector
TWI687004B (zh) 插座連接器
KR200432451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4379231B2 (ja) 雌端子金具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JP4706760B2 (ja) 端子金具
JP2017010701A (ja) アライニングプレート付きコネクタ
US10153578B2 (en) Connector structure
JP6174360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4273681B2 (ja) 端子金具
KR101613410B1 (ko) 단자 피팅
KR200437688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00243498A (ja) 箱型雌端子
JP2016207253A (ja)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JP2814921B2 (ja) 雌形端子金具
KR20090004915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44472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