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536A -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536A
KR20060046536A KR1020050066291A KR20050066291A KR20060046536A KR 20060046536 A KR20060046536 A KR 20060046536A KR 1020050066291 A KR1020050066291 A KR 1020050066291A KR 20050066291 A KR20050066291 A KR 20050066291A KR 20060046536 A KR20060046536 A KR 20060046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lat cable
pressing member
terminal
midd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스나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부드러운 스프링계로서의 단자를 갖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각 단자 (8) 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완부 (9), 중완부 (10) 그리고 하완부 (11) 를 갖고, 상완부와 중완부 사이에서 가압 부재 (3) 를 그 가압 부재의 캠축부 (14) 에 의해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가동으로 안내 지지하고, 중완부와 하완부 사이에 평형 케이블 (C) 을 삽입하고, 가압 부재의 이동에 의해 중완부를 눌러 평형 케이블과 상기 중완부의 접촉부를 탄압 접촉시키도록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완부 (11) 는 그 베이스부측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 (11A) 가 형성되고, 그 하완부의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완부의 베이스부측에 가요부 (13) 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 (3) 의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중완부와 상완부는 상기 가요부 (13) 를 기점으로 한 일체적인 휨과 함께 서로 상대적으로 이간 방향으로도 휨을 발생시키는 탄성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EQUILIBRIUM CABLE}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부분 파단 사시도로,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부분 파단 사시도로,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커넥터의 단면도로, (A) 는 가압 부재가 열림 상태에서 케이블 미삽입시, (B) 가압 부재가 열림 상태에서 케이블 삽입시, (C) 는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 도중시, (D) 는 닫힘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 (A) 내지 (D) 는 도 3 의 (A) 내지 (D) 와 각각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1A: 맞닿음부
3: 가압 부재
8: 단자(端子)
9: 상완부(上腕部)
9A: 규제부 (오목부)
10: 중완부
10A: 접촉부
10B: 규제부 (볼록부)
11: 하완부
11A: 피유지부 (돌기)
13: 가요부
16: 제 1 단자
17: 제 2 단자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93504호본 발명은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는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단자가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평탄하고 단자의 판면끼리가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각 단자는 고정부와, 그 고정 부로부터 평행하게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형상의 상단 보, 중단 보 그리고 하단 보의 3개의 보를 갖고 있다.
고정부는 하우징의 대응 구멍에 압입되어 고정 유지되어 있고, 상단 보와 중단 보 사이에서 가압 부재로서의 액추에이터에 형성된 타원 형상의 캠부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중단 보와 하단 보 사이에 평형 케이블의 일종인 플렉시블 배선판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단 보는 강성이 높아 잘 휘어지지 않고, 중단 보가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액추에이터를 열림 위치로 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배선판을 삽입한 후에 그 액추에이터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면, 그 액추에이터의 캠부가 중단 보를 하방으로 휘어지게 하여 그 중단 보의 전극부가 플렉시블 배선판의 상면의 대응 회로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상단 보의 강성이 높아 잘 휘어지지 않는다. 이상적으로는 이 상단 보는 강체이다. 따라서, 플레시블 배선판과의 접촉압을 얻기 위한 탄성 휨은 오로지 중단 보에만 의존하고 있다. 즉, 단자 전체를 스프링계로 생각했을 때에, 캠부의 장경(長徑)와 단경(短徑)의 직경차에 상당하는 중단 보의 변위에 의한 하나의 스프링 하에서 탄성력, 즉 접촉압을 얻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 에서는 접촉압을 얻도록 필요한 휨 변위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스프링으로서의 중단 보에 큰 힘을 작용시켜야 한다. 또, 이는 액추에이터에 큰 조작력을 가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단자는 전체적으로 경질의 스프링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당하는 가압 부재의 캠부에서의 변위가 동일하더라도, 부드러운 스프링계 하에서, 쉽게 가압 부재를 조작할 수 있고, 충분한 휨 변위를 확보할 수 있는 단자를 갖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그 판면끼리가 평행해지도록 하우징에 복수 배열하고, 각 단자는 거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완부, 중완부 그리고 하완부를 갖고, 상완부와 판면내에서의 탄성 휨 가능한 중완부와의 사이에서 가압 부재를 그 가압 부재의 캠축부에서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가동으로 안내 지지하고, 중완부와 하완부 사이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중완부와 하완부의 적어도 일방이 내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평형 케이블의 회로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가압 부재가 중완부를 눌러 단자의 상기 판면내에서 탄성 휨을 발생시킴으로써 평형 케이블과 상기 접촉부를 탄압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하완부는 그 베이스부측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그 하완부의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완부의 베이스부측에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의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중완부와 상완부는 상기 가요부를 기점으로 한 일체 적인 휨과 함께 서로 상대적으로 이간 방향으로도 휨을 발생시키는 탄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는 하완부는 그 베이스부의 범위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베이스부단에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피유지부와 접속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완부의 베이스부가 형성되고, 가압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 완료시에 중완부가 평형 케이블측으로부터의 항력을 받아 상완부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가압 부재, 중완부를 개재하여 상완부와 하완부 사이에서 평형 케이블을 끼움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단자 전체를 스프링계로서 생각하면, 상완부와 중완부를 포함하는 영역과 하완부의 피유지부와의 사이에 1 단째의 스프링을 가요부에 갖고, 또한 상기 영역 중에서도 상완부와 중완부가 서로의 스프링을 2 단째의 스프링으로서 직렬적으로 갖고 있다. 따라서, 단자 전체적으로는 스프링을 2 단 구조로 갖고, 또한 2 단째에는 직렬적으로 2개의 스프링을 형성하고, 그 결과, 매우 부드러운 스프링계가 된다.
이 커넥터에서는 평형 케이블의 삽입 후, 가압 부재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완부는 상방으로 중완부는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휘고, 이와 더불어 상완부와 중완부가 가요부에 대하여 휜다. 결과적으로, 중완부의 휨이 커져, 접촉부에서 휨이 충분히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완부는 상완부보다 휘어지기 쉬운 탄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하면, 중완부가 상완부보다 휘어지기 쉬워진다. 중완부는 평형 케이블에 직접 접촉하므로 바람직하다. 이 중완부는 예를 들어, 가요부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서 상완부와 분지(分枝)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완부는 하우징의 대응 슬릿을 관통하여 그 하우징에 장착되고, 그 하완부의 베이스부측에 형성된 피유지부가 상기 대응 슬릿에 의해 유지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완부와 중완부의 적어도 일방은 가압 부재의 캠축부의 이동을 소정 범위 내에서 하도록 규제하는 볼록 형상과 오목 형상의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이루는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압 부재의 열림 위치를 닫힘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이동시에 가압 부재의 캠축부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완부는 접촉부와 가압 부재의 캠축을 지지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 그 중완부의 다른 영역보다 고강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축부로부터의 힘 그리고 평형 케이블로부터의 반력에 의한 변형, 특히 굽힘 변형을 방지하여 캠축에서 평형 케이블로 힘을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단자의 사이에서 이들 자유단측으로부터 진입하여 가압 부재의 캠축부 이외의 부위에서 그 가압 부재와 맞닿아 그 가압 부재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이동시에 그 가압 부재를 규제 안내하는 맞닿음부를 갖고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이동시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완부는 자유단측에서 하우징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탄성을 갖고 있도록 할 수 있고, 이 탄성에 의해, 단자의 중완부의 접촉부 나 하완부의 케이블 지지 부분이 단자 사이에서 위치 편차가 있더라도, 이 편차를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단자가 상완부, 중완부 그리고 하완부의 3개의 아암부 전부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인접하는 2개의 단자를 1 세트로 하여, 이 1 세트의 단자에 의해서 상기 3개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즉, 단자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세트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제 1 단자가 상완부와 하완부를 그리고 제 2 단자가 중완부와 하완부를 갖고 세트를 이룸으로써 3종의 아암부를 형성하고, 하완부는 그 베이스부측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제 1 단자는 하완부의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완부의 베이스부측에, 제 2 단자는 하완부의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중완부의 베이스부측에 각각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제 1 단자의 상완부와 제 2 단자의 중완부는 각각의 상기 가요부를 기점으로 하여 함께 서로 상대적으로 이간 방향으로 휨을 발생시키는 탄성을 갖고 있다.
상기 기술한, 각 형태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 부재는 캠축부의 주변에서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 영역이 단자의 상완부의 상방으로의 휨 변위를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럼으로써 커넥터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 는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1 은 가동인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 그리고 도 2 는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함께 A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평형 케이블을 생략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 는 하우징으로, 전기 절연 재료이며 좌우 방향 (상방에서 보아 A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 으로 폭이 넓고, 좌우의 측벽 (2) 을 제외하고 A 방향에서 선방측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공간에서 가압 부재 (3) 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그 가압 부재 (3) 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 (3)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의 외관을 띤다.
하우징 (1) 은 바닥벽부 (4), 중벽부 (5) 그리고 위벽부 (6) 를 갖고, 이들은 상기 측벽부 (2)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바닥벽부 (4) 는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에 탑재되는 저면을 형성하고, 하우징 (1) 의 평면 형상 전체에 미치고 있다. 중벽부 (5) 는 케이블 삽입 방향이 되는 상기 A 방향에서 비교적 짧게 그리고 높이 방향에서 중간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그 중벽부 (5) 는 상기 바닥벽부 (4) 로부터 일으켜 세워져 형성되고, 거기에는 단자의 후술하는 하완부가 관통 압입되는 슬릿 홈 (5A) 이 형성되어 있다. 아직, 상기 상벽부 (6) 는 상기 A 방향에서 앞이 되는 앞단측에 형성되고 있고, 그 상벽부 (6), 상기 바닥벽부 (4) 그리고 상기 측벽부 (2) 에 의해, 평형 케이블의 삽입구 (7) 를 형성하고 있다. 그 삽입구 (7) 는 케이블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입구 내부 둘레가장 자리가 테이퍼부 (7A) 를 이루고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은 단자 (8) 사이에서 후술하는 상완부, 중완부의 자유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가압 부재 (3) 의 후방으로의 어긋남을 규제하도록 맞닿음부 (1A) 를 형성하고 있고, 단자 (8) 의 배열 위치에서는 상완부, 중완부에 대응하는 부위가 절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에 의해 유지되는 단자 (8) 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예를 들어 펀칭 등의 성형 가공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8) 는 도 3(A) 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완부 (9), 중완부 (10), 하완부 (11) 그리고 접속부 (12) 를 갖고 있다. 하완부 (11) 는 후방 (도면 3(A) 에서 우측) 에서 전방으로 향해 연장되고 그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 (1) 의 중벽부 (5) 에 형성된 슬릿 (5A) 으로 압입된다. 슬릿홈 (5A) 에는 하완부 (11) 에 형성된 피유지부로서의 돌기 (11A) 가 파고들어, 상기 슬릿 홈 (5A) 에서 유지되어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그 하완부 (11) 의 내부 가장자리 자유단 근방의 위치에는 돌출 형상의 지지부 (11B)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하완부 (11) 의 후방에는 하우징 (1) 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접속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접속부 (12) 의 하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 (1) 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미소하게 경사져 있다.
상기 단자 (8) 는 상기 하완부 (11) 의 베이스부의 상방으로 굴곡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요부 (13) 를 거쳐 다시 좌측으로 연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상완부 (9) 그리고 중완부 (10) 가 좌측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요부 (13) 는 접속부 (12) 의 베이스부 근방 위치에 있어서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13A) 에 의해 형성된 협애부에 의해 가요성을 높이고 있다.
상기 상완부 (9) 그리고 중완부 (10) 는 상기 가요부(13) 보다 좌측 위치에서 분지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하완부 (11) 의 자유단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자유단을 갖도록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상기 상완부 (9) 는 그 중간부에서 하측 가장자리가 단부 (9A) 를 갖고, 거기서부터 자유단을 향하여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 (9A) 로부터 상기 범위에서, 상완부 (9) 와 상기 중완부 (10) 사이에서, 후술하는 가압 부재 (3) 의 캠축부 (14) 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중완부 (10) 는 전체적으로 상기 상완부 (9) 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하측 가장자리 선단부에 돌기 형상의 접촉부 (10A) 를 갖고, 이 접촉부 (10A) 의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 (3) 의 캠축부 (14) 와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범위가 그보다 베이스부 근방의 범위에 비하여 폭이 크고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상기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는, 상기 가요부 (13) 를 중심으로 하여 함께 휘어짐과 함께 독립하여 가요성을 갖고 가압 부재의 캠축부 (14) 로부터 외력을 받아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 때,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중완부 (10) 는 상완부 (9) 보다 가늘기 때문에 휨량도 그 만큼 크다.
가압 부재 (3) 는 도 2 에서는 하우징 (1) 에 대하여 덮개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도 3 의 단면도에서는 레버 형상이다. 이 가압 부재 (3) 는 하우징 (1) 과 마찬가지로 전기 절연 재료로 제작되어 있고, 도 3 에 있어서 캠축부 (14) 를 갖고 있어, 그 캠축부 (14) 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여 도 3(A) 의 열림 위치 와 도 3(D) 의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 (3) 는 상기 캠축부 (14) 가 위치하는 측의 영역, 즉 도 3(A) 에서 하반부의 영역에서 단자 (8) 에 대응한 위치에 그 단자 (8) 의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의 선단측 부분의 진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된 홈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즉, 그 홈부 (15) 의 대향홈 내면끼리를 그 일부에서 잇도록 상기 캠축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캠축부 (14) 는 단면 형상이, 가압 부재 (3) 가 도 3(A) 의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로 길이, 즉 상기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의 길이 방향으로 길고, 도 3(D) 의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세로 길이, 즉 상기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으로 아일랜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캠축부 (14) 는 단경이 상기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의 양자 간격보다 작고, 장경이 이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관한 사용 요령을 도 3 에 의해 설명한다.
(1) 먼저, 도 3(A) 에 있어서, 가압 부재 (3) 를 일으켜 세운 열림 상태로 해둔다. 이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 (3) 의 캠축 (14) 은 가로 길이로 단자 (8) 의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에 전혀 힘을 미치고 있지 않으므로 양 아암부 (9, 10) 는 자유 상태에 있다. 따라서 중완부 (10) 와 하완부 (11) 사이는 넓게 개방되어 있다.
(2) 다음으로, 하우징 (1) 의 전면에 개구된 삽입구 (7) 로부터 평형 케이블 (C) 을 삽입한다. 예를 들어, 이 평형 케이블 (C) 은 선단측의 상면에 단자와의 접속부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형 케이블 (C) 은 도 3(B) 와 같이, 그 평형 케이블 (C) 의 선단이 하우징의 중벽부 (5) 의 단면에 맞닿아 삽입 깊이가 정해진다. 이렇게 하여, 평형 케이블 (C) 은 단자 (8) 의 중완부 (10) 와 하완부 (11) 사이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된다.
(3) 그런 후에, 가압 부재 (3) 는 도 3(C) 의 상태를 지나서 도 3(D) 의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 이동한다. 그 때, 가압 부재 (3) 는 하우징 (1) 의 맞닿음부 (1A) 에 의해 후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3(C) 그리고 도 3(D) 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는 회전 운동되면, 그 캠축부 (14) 는 세로 길이 상태가 되어, 그 캠축 (14) 은 단자 (8) 의 상완부 (9) 를 상방으로 그리고 중완부 (10) 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양자를 이간하는 방향으로 휨 변위시킨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중완부 (10) 는 상완부 (9) 보다 크게 변위한다. 또,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는, 그것들이 전체적으로 가요부 (13) 를 중심으로 휨 변위한다. 따라서,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의 변위는 각각의 독자의 변위와 전체적인 일체의 변위가 중첩된다. 이들 변위는 도 3(C) 의 상태에서 최대치를 취하고, 가압 부재가 도 3(D) 의 이동 완료된 닫힘 위치에서는 이 최대치보다 약간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 (3) 는 다소의 외력을 받더라도 도 3(C) 의 상태를 넘어서 부적절하게 열리는 경우는 없다.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는, 상완부 (9) 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수반되는 가요부 (13) 를 중심으로 한 휨의 반력으로서 하방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 을 발생시킨다. 이 힘은 중완부 (10) 도 함께 변위시켜, 평형 케이블 (C) 을 누르는 힘을 증대시킨다.
하방으로 변위된 중완부 (10) 는 그 접촉부 (10A) 에서, 평형 케이블 (C) 을 하완부 (11) 와의 사이에서 끼움지지하여 그 평형 케이블 (C) 의 대응 접속부와 탄압 접촉한다. 가압 부재 (3) 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캠축부 (14) 의 둘레 영역이 홈부 (15) 로 되어 있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3(D)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 가 닫힘 위치로 왔을 때에, 이 홈부 (15) 에 상완부 (9) 의 연을 수용할 수 있고, 그 상완부 (9) 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허용함과 함께, 커넥터로서의 높이 방향에서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있다. 중완부의 자유단 근방, 즉 접촉부로부터 캠축을 지지하는 영역은 중완부의 베이스부와 연결하는 중간부보다 높이 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케이블이 상면에 접속부를 갖고 있는 경우를 예 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하면에, 또는 상하 양면에 접속부를 갖고 있는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하면의 접속부에 대하여는 하완부 (11) 의 돌출 형상의 지지부 (11B) 가 단자의 접촉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는 이후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 (3) 의 회전 운동시에 회전 운동 중심이 후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우징 (1) 의 맞닿음부 (1A) 에 의해 가압 부재 (3) 를 규제하였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에 있어서도 회전 운동 중심이 되는 캠축부 (14) 를 직접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4(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3) 의 상완부 (9) 에는 회전 운동 안내용 오목부 (9A) 가 그리고 중완부 (10) 에는 볼록부 (10B)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 (9A) 와 볼록부 (10B) 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도 4(A)∼(D)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가압 부재 (3) 의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압 부재 (3) 의 캠축부 (14) 는 상기 오목부 (9A) 그리고 볼록부 (10B) 에 의해 후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직접 규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완부 (11) 는 그 앞부분 영역에서 하측 가장자리가 하우징 (1) 의 바닥벽부 (4) 에 대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가요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하완부 (11) 는 가압 부재 (3) 의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평형 케이블 (C) 에 의해 눌려져 하방으로 변위 가능하고,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 (10A) 또는 지지부 (11B) 의 위치에 다소의 편차가 있더라도 이것은 흡수된다.
<제 3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3) 의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는, 하완부 (11) 의 베이스부로부터의 상방의 연장되는 영역을 거친 다음 분지되어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5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거치지 않고, 하완부 (11) 의 베이스부에서 바로 분지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캠축 (14) 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완부 (9) 와 중완부 (10) 는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완부 (9) 는 그 반력에 의해 가요부 (13) 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여 복원력을 얻는다.
<제 4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단자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2종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16) 와 제 2 단자 (17) 를 갖고, 양 단자 (16, 17) 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앞 실시형태의 단자 (8) 와 비교하여, 제 1 단자 (16) 는 중완부를 그리고 제 2 단자 (17) 는 상완부를 갖고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단자 (16) 는 상완부 (9) 와 하완부 (11) 를, 제 2 단자 (17) 는 중완부 (10) 와 하완부 (11) 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 (3) 의 캠축부 (14) 는 세트를 이루는 제 1 단자 (16) 의 상완부 (9) 와 제 2 단자 (17) 의 중완부 (10) 에 의해 회전 운동 안내 지지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하우징에 대한 고정측이 되는 하완부의 베이스부와 중완부 그리고 상완부와의 사이에 가요부를 형성함과 함께, 중완부와 상완부 사이에서 휨 탄성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단자 전체에서의 스프링계가 부드러워져, 가압 부재의 캠축부에서의 변위가 종래와 같더라도, 작은 조작력으로 쉽게 가압 부재를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접촉부에서의 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1)

  1. 금속 단자를 그 판면끼리가 평행해지도록 하우징에 복수 배열하고, 각 단자는 거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완부, 중완부 그리고 하완부를 갖고, 상완부와 판면내에서의 탄성 휨 가능한 중완부와의 사이에서 가압 부재를 그 가압 부재의 캠축부에서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가동으로 안내 지지하고, 중완부와 하완부 사이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중완부와 하완부의 적어도 일방이 내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평형 케이블의 회로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가압 부재가 중완부를 눌러 단자의 상기 판면내에서 탄성 휨을 발생시킴으로써 평형 케이블과 상기 접촉부를 탄압 접촉시키도록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완부는 그 베이스부측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그 하완부의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완부의 베이스부측에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의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중완부와 상완부는 상기 가요부를 기점으로 한 일체적인 휨과 함께 서로 상대적으로 이간 방향으로도 휨을 발생시키는 탄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2. 금속 단자를 그 판면끼리가 평행해지도록 하우징에 복수 배열하고, 각 단자는 거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완부, 중완부 그리고 하완부를 갖고, 상완부와 판면내에서의 탄성 휨 가능한 중완부와의 사이에서 가압 부재를 그 가압 부재의 캠축부에서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가동으로 안내 지지하고, 중완부와 하완부 사이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중완부와 하완부의 적어도 일방이 내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평형 케이블의 회로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가압 부재가 중완부를 눌러 단자의 상기 판면내에서 탄성 휨을 발생시킴으로써 평형 케이블과 상기 접촉부를 탄압 접촉시키도록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완부는 그 베이스부의 범위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베이스부단에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피유지부와 접속부 사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완부의 베이스부가 형성되고, 가압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 완료시에 중완부가 평형 케이블측으로부터의 항력을 받아 상완부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가압 부재, 중완부를 개재하여 상완부와 하완부 사이에서 평형 케이블을 끼움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완부는 상완부보다 휘어지기 쉬운 탄성을 갖고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완부는 가요부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서 상완부와 분지되어 형성되어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완부는 하우징의 대응 슬릿을 관통하여 그 하우징에 장착되고, 그 하완부의 베이스부측에 형성된 피유지부가 상기 대응 슬릿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완부와 중완부의 적어도 일방은 가압 부재의 캠축부의 이동을 소정 범위 내에서 하도록 규제하는 볼록 형상과 오목 형상의 적어도 일방의 형상을 이루는 규제부를 갖고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완부는 접촉부와 가압 부재의 캠축을 지지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이 그 중완부의 다른 영역보다 고강성으로 되어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단자의 사이에서 이들 자유단측으로부터 진입하여 가압 부재의 캠축부 이외의 부위에서 그 가압 부재와 맞닿아 그 가압 부재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이동시에 그 가압 부재를 규제 안내하는 맞닿음부를 갖고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하완부는 자유단측에서 하우징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탄성을 갖고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10. 금속 단자가 판면끼리를 평행하게 하도록 하우징에 복수 배열되어, 배열 상태로 거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완부, 중완부 그리고 하완부의 3종의 아암부를 갖고, 상완부와 판면내에서의 탄성 휨 가능한 중완부와의 사이에서 가압 부재를 그 가압 부재의 캠축부에서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가동(可動)으로 안내 지지하고, 중완부와 하완부 사이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중완부와 하완부의 적어도 일방이 내부 가장자리부에 상기 평형 케이블의 회로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가압 부재가 중완부를 눌러 단자의 상기 판면내에서 탄성 휨을 발생시킴으로써 평형 케이블과 상기 접촉부를 탄압 접촉시키도록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세트가 복수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제 1 단자가 상완부와 하완부를 그리고 제 2 단자가 중완부와 하완부를 갖고 세트를 이룸으로써 3종의 아암부를 형성하고, 하완부는 그 베이스부측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고, 제 1 단자는 하완부의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완부의 베이스부측에, 제 2 단자는 하완부의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중완부의 베이스부측에 각각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제 1 단자의 상완부와 제 2 단자의 중완부는 각각의 상기 가요부를 기점으로 하여 함께 서로 상대적으로 이간 방향으로 휨을 발생시키는 탄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부재는 캠축부의 주변에서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 영역이 단자의 상완부의 상방으로의 휨 변위를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1020050066291A 2004-08-03 2005-07-21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20060046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6839 2004-08-03
JP2004226839A JP4282014B2 (ja) 2004-08-03 2004-08-03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536A true KR20060046536A (ko) 2006-05-17

Family

ID=3511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291A KR20060046536A (ko) 2004-08-03 2005-07-21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7729B2 (ko)
EP (1) EP1624532A3 (ko)
JP (1) JP4282014B2 (ko)
KR (1) KR20060046536A (ko)
CN (1) CN100394647C (ko)
TW (1) TWI27521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181B1 (ko) * 2005-03-09 2006-11-10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0946176B1 (ko) * 2009-04-29 2010-03-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4740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zifコネクタ
JP4054741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WO2005038992A1 (en) * 2003-10-16 2005-04-28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JP4168986B2 (ja) * 2004-07-06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484218B2 (ja) * 2004-10-22 2010-06-1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283089B (en) * 2005-02-05 2007-06-21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Terminal buckling structure and buckling method thereof
CN2821903Y (zh) * 2005-07-20 2006-09-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83081B2 (ja) * 2005-07-21 2011-09-2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938303B2 (ja) *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15403B2 (ja) * 2006-03-17 2010-07-28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707610B2 (ja) * 2006-05-31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108615B2 (ja) * 2008-05-09 2012-12-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JP5016635B2 (ja)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1104B2 (ja) * 2010-02-12 2014-01-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US8430685B2 (en) * 2011-07-25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535089B2 (en) 2011-07-25 2013-09-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TWI496366B (zh) * 2011-08-04 2015-08-11 Dai Ichi Seiko Co Ltd 電連接器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TWI509906B (zh) * 2012-12-10 2015-11-21 Ya Ping Lin 電連接器
CN106410482A (zh) * 2016-06-02 2017-02-15 浙江新富尔电子有限公司 一种立式掀盖连接器
JP6723875B2 (ja) * 2016-08-26 2020-07-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1585293S (ko) * 2017-02-02 2017-09-04
JP1585292S (ko) * 2017-02-02 2017-09-04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1700A (en) * 1956-05-14 1957-10-29 Bell Telephone Labor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board
US3475717A (en) * 1967-03-31 1969-10-28 Itt Zero force connector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US6431897B1 (en) * 1999-10-06 2002-08-13 Japan Aviation Electroncis Industry Limited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JP2002093504A (ja) 2000-09-18 2002-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Fpc用コネクタ
JP4607348B2 (ja) * 2001-02-07 2011-01-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252049A (ja) * 2001-02-22 2002-09-06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741619B2 (ja) * 2001-03-23 2006-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605586B2 (ja) *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3217718A (ja) * 2002-01-18 2003-07-31 Smk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US6837740B2 (en) * 2002-02-19 2005-01-04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JP3757316B2 (ja) * 2002-06-12 2006-03-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TWM250340U (en) * 2003-08-01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181B1 (ko) * 2005-03-09 2006-11-10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0946176B1 (ko) * 2009-04-29 2010-03-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4647C (zh) 2008-06-11
EP1624532A3 (en) 2007-10-03
EP1624532A2 (en) 2006-02-08
TWI275218B (en) 2007-03-01
JP2006049031A (ja) 2006-02-16
TW200607186A (en) 2006-02-16
US20050255732A1 (en) 2005-11-17
JP4282014B2 (ja) 2009-06-17
CN1734847A (zh) 2006-02-15
US6997729B2 (en)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6536A (ko)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282027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817466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0973948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P1378966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JP4525699B2 (ja) 基板間接続コネクタ
EP3796480B1 (en) Floating connector
JP2019129084A (ja) コネクタ
JP7107708B2 (ja) コネクタ
JPWO2004114468A1 (ja) 接続端子
JP2019160698A (ja) 可動コネクタ
JP2000133353A (ja) 中間電気コネクタ
JP2018037150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1490907B (zh) 电缆连接器
KR101159462B1 (ko) 커넥터
JP2009176427A (ja) 電気コネクタ
US6602083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068896B2 (ja) 端子押し付け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10128599B2 (en) Connector
JPH0913476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775917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398297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20160380368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