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948B1 -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948B1
KR100973948B1 KR1020070019602A KR20070019602A KR100973948B1 KR 100973948 B1 KR100973948 B1 KR 100973948B1 KR 1020070019602 A KR1020070019602 A KR 1020070019602A KR 20070019602 A KR20070019602 A KR 20070019602A KR 100973948 B1 KR100973948 B1 KR 10097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ovable member
terminal
bracke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800A (ko
Inventor
요시노리 다카시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커넥터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가동 (可動) 부재가 벗겨지지 않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가동부재 (40) 는 열림 위치에서, 캠부 (44) 가 자유 상태에서의 2 개의 지지 아암 (14, 16)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일방의 지지 아암 (16) 에는 삽입 후의 캠부 (44) 와 걸어맞추어져 발출 방지를 도모하는 걸림부 (16B) 가 형성되고, 규제 금구 (30) 가 상기 단자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가동부재 (40) 가 규제 금구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규제부 (45) 를 가지고, 상기 규제 금구 (30) 가 규제 아암부 (33) 를 가지고 있고, 단자가 하우징 (20) 에 유지된 상태에서, 가동부재를 열림 위치에서 그 캠부 (44) 에 의해 두 개의 지지 아암 사이 (14, 16) 에 삽입 배치되고, 그 캠부 (44) 가 상기 일방의 지지 아암 (16) 걸림부 (16B) 와 걸어맞추어지는 위치에 있고, 규제 금구 (30) 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규제 아암부 (33) 에 의해 가동부재 (40) 의 피규제부 (45) 를 규제하여 상기 캠부 (44) 가 상기 걸림부 (16B) 와의 걸어맞춤되는 것을 유지하고 있다.

Description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FOR PARALLEL CIRCUIT BOAR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규제 금구 장착 전에 가동 (可動) 부재의 장착 도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A) 는 단자 위치, (B) 는 규제 금구의 장착 예정 위치에 대한 단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에서 규제 금구 장착 후에 가동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로서, (A) 는 단자 위치, (B) 는 규제 금구 위치에 대한 단면이다.
도 3 은 종래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커넥터를 상이한 방향에서 본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단자
13 지지점부 (연결부)
14, 16 지지 아암
15, 17 접촉 아암
16B 걸림부
20 하우징
30 규제 금구
31A 고정 다리
33 규제 아암부
40 가동부재
44 캠부
45 피규제부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31561
본 발명은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회로 기판으로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 (FPC), 플랫 케이블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평형 회로 기판을 접속 대상 부재, 예를 들어, 다른 회로 기판에 접속시키는 전기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는 첨부 도면의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한 채로 가공된 단자 (51) 가 판면에 대해서 직각인 방향에서 하우징 (52) 에 복수 유지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자 (51) 은 대략 가로 H 형상을 이루며, 상아암과 하아암이 중간에서 연결 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아암은 연결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 형상으로 탄성 기울기 변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아암은 지지점부 (53) 로부터 우측으로 지지 아암 (54A) 을 형성하고, 좌측으로 돌기 형상의 접촉부 (54C) 를 갖는 접촉 아암 (54B) 을 형성하고 있다. 하아암은 지지점부 (53) 로부터 우측으로 지지 아암 (55A) 과 그 건너편에 접속부 (55B) 를 가지고, 좌측에는 돌기부 (55C) 를 갖는 고정 아암 (55D) 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52) 에는 단자 (51) 를 삽입하는 홈 (56) 이 단자 (51) 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3 에서 우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든 홈 (56) 은 하우징 (52) 의 좌부 개구 (57) 에서 연통되고, 또, 우부 개구 (58) 에서도 연통되어 있다. 좌부 개구 (57) 로부터 평형 회로 기판이 접촉 아암 (54B) 과 고정 아암 (55D)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우부 개구부 (58) 에는 가동부재 (59) 가 회전 운동이 자유롭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재 (59) 는 하우징과 동일하게,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도 3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조작부 (59A) 와, 회전 운동 피안내부 (59B) 와, 가압부 (59C) 와, 또 축부 (59D) 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 (59A) 는 하우징 (52) 의 우부 개구 (58) 로부터 돌출하여 지렛대 형상을 이루고 있다. 회전 운동 피안내부 (59B) 는 원호 형상 단면을 가지고 있고, 단자 (51) 하아암의 지지 아암 (55A) 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목부에서, 회전 운동 안내되고 있다. 가압부 (59C) 는 조작부 (59A) 에서 가동부재 (59) 가 시계 방향으로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전 운동되었을 때에, 단자 (51) 상아암의 지지 아 암 (54A) 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회전 운동 부재 (59) 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회전 운동 피안내부 (59B) 의 원호 중심선의 연장 상에 중심을 가지고 돌출된 축부 (59D)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축부 (59D) 는 가동부재 (59) 의 회전 운동시에, 상기 회전 운동 피안내부 (59B) 와 맞물려 가동 지지 그리고 안내된다.
하우징의 측벽 (60) 내측에는, 테이퍼 홈부 (61) 와 이에 인접하여 단차 형상 홈부 (62)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측벽 (60) 과 하우징 상벽 (63) 과의 경계부에는 슬릿 (6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 (64) 은 측벽 (60) 이 외측으로 탄성 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동부재 (59) 는, 도 3 에서 우방으로부터 그리고 도 4 에서는 우상방으로부터 하우징 (52) 에 장착된다. 그 때, 축부 (59D) 는 상기 측벽 (60) 의 테이퍼 홈 (61) 을 이동시키면서 그 측벽 (60) 을 외측으로 탄성 휨 변형시켜, 단차 형상 홈부 (62) 에 수용된다. 축부 (59D) 가 이 단차 형상 홈부 (62) 내에 수용되면, 상기 탄성체 휨 변형은 해제되고, 축부 (59D) 는 상기 단차 형상 홈부 (62) 와 걸어맞추어, 외력을 받아도 잘 벗겨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 가동부재의 양측단에 형성된 축부가 하우징의 단차 형상 홈에 걸려 가동부재의 벗겨짐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단자의 수가 많아지면, 상기 가동부재는 양측 단 사이의 폭 치수가 커져 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양측 단 사이의 범위에서는 단자의 지지 아암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약간의 방지 효과가 있지만, 가동부재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의 휨이 발생하면, 가동부재의 회전 운동 피안내부가 이 오목부로부터 쉽게 나와버려, 벗겨짐 방지는 상기 축부에만 의지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축부에 부하가 크게 걸리는 것, 상기 휨에 의해 축부의 단차 형상 홈부와의 걸림 깊이가 작아지는 것, 축부로부터의 큰 힘을 받아 측벽이 열려버려, 한층 더 걸림 깊이가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 결과, 축부의 파손, 가동부재의 벗겨짐이 발생할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가동부재를 개폐 조작하거나 혹은 가동부재에 뜻밖의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가동부재가 벗어나 평형 회로 기판이 단자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커넥터로서의 기능이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가동부재의 벗겨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며, 특히 단자의 수가 많아져도, 그 벗겨짐 방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한 채로 가공하여 얻어지는 단자가 상기 판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하우징에 복수 유지되고, 그 단자는 두 개의 지지 아암이 이들을 연결하는 지지점부로부터 일방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타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아암을 가지고, 그 접촉 아암과의 접촉 위치에 삽입된 평형 회로 기판과 그 접촉 아암과의 접압을 높이기 위한 가동부재가 캠부를 가지고, 그 캠부가 상기 두 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부재가 상기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상기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가동부재는 열림 위치에서, 캠부가 자유 상태에서의 두 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일방의 지지 아암에는 삽입 후의 캠부와 걸어맞추어져 발출 방지를 도모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나아가서는, 규제 금구가 상기 단자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가동부재가 규제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규제 금구가 규제 아암부를 가지고 있고, 단자가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에서, 가동부재가 열림 위치에서 그 캠부에 의해 두 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그 캠부가 상기 일방의 지지 아암의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위치에 있고, 규제 금구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규제 아암부에 의해 가동부재의 피규제부를 규제되어 상기 캠부가 상기 걸림부와의 걸어맞춤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캠부와 피규제부가 동일 회전 운동 축선을 가지고, 캠부에서 회전 운동 축선에 대해서 일방측에서 단자가, 그리고 피규제부에서 회전 운동 축선에 대해서 반대측에서 규제 금구가 각각 상기 캠부, 그리고 피규제부를 규제하도록 위치하고, 그 규제가 상기 축선을 사이에 오도록 하여 행해지므로, 가동부재는 상기 걸림부와의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가동부재는 벗겨지는 경우가 없다. 상기 규제 금구를 설치함으로써, 커넥터는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규제 금구의 판두께 정도밖에 커넥터는 커지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의 대형화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또,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 규제 금구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단, 혹은 이에 더하여 중간부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부재의 캠부는, 가동부재의 열림 위치에서 두 개의 지지 아암의 간격보다 작고, 닫힘 위치에서 그 간격보다 큰 치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동부재는 열림 위치에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닫힘 위치로 함으로써 평형 회로 기판에 대한 가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부는 적어도 일방의 지지 아암에 오목부로서 형성되면 충분하다. 캠부는 2 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일방의 지지 아암 오목부에 오게 하고, 후에, 규제 금구에서의 규제에 의해 상기 오목부로부터 어긋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 금구의 규제 아암부는 단자의 타방 지지 아암에 대응하여 연장되고 또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규제 금구는 규제 아암부가 단자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부터 하우징에 삽입됨으로써,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 상기 지지 아암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되어, 회전 운동 축선에 대해서 규제 아암부와 지지 아암이 서로 반대측에 온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 금구는 하우징 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고정 다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다리를 갖도록 하면,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었을 때, 그 고정 다리를 그 회로 기판에 땜납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커넥터의 상기 회로 기판에서의 유지력이 강고해 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의 도 1 및 도 2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조립 과정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A) 는 배열된 복수의 단자 중 하나의 단면이고, (B) 는 단자에 나란히 배치 형성된 규제 금구의 배치 형성 위치에서의 규제 금구 배치 형성 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 에 있어서, 전기 절연재를 성형하여 얻어지는 하우징 (20) 에 단자 (10) 가 유지되어 있다.
단자 (10) 는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한 채로, 예를 들어, 펀칭에 의해 가공 되어 있고, 이 판면에 직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 단자 (10) 는 도 1(A)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횡 H 자를 이루고 있고, 거의 평행하는 상아암 (11) 과 하아암 (12) 을 가지고, 양아암 (11, 12) 은 연결부 (13) 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아암 (11) 은 연결부 (13) 로부터 우방에서 상지지 아암 (14), 좌방에서 상접촉 아암 (15) 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하아암 (12) 은 연결부 (13) 로부터 우방으로 하지지 아암 (16), 좌방으로 하접촉 아암 (17) 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상지지 아암 (14) 에는, 그 우단 근방에, 오목 원호 형상의 수압부 (受壓部 : 14A)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접촉 아암 (15) 에는 그 좌단 근방에, 하방을 향하는 돌기 형상의 상접촉부 (15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지지 아암 (16) 에는 그 길이 방향 중간부에 오목부 (16A) 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 (16A) 보다 우단에 걸쳐 하우징 (20) 밖으로 돌출하는 접속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 (16) 는 그 우가장자리가 오목 원호 형상의 걸림부 (16B) 를 이루고, 그 걸림부 (16B) 는 상기 상지지 아암 (14) 의 수압부 (14A) 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 (16A) 는 걸림부 (16B) 로부터 직선부를 거쳐 연장되고 있고, 그 횡방향 거리는 상기 걸림부 (16B) 와 수압부 (14A) 와의 간격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부 (18) 는 상기 하우징 (20) 으로부터 우방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하우징 (20) 의 저면보다 약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커넥터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접속부 (18) 의 하가장자리 (18A) 가 회로 기판 상의 대응 회로부에 접면하고, 여기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속 다리 (18) 의 좌가장자리에는 오목하게 만곡된 피장착부 (18B) 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의 저벽 단부에 끼워 넣어져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접촉 아암 (17) 에는 그 좌단 근방에, 상방을 향한 돌기 형상의 하접촉부 (17A) 가 형성되고, 또 연결부 (13) 근처 위치에는 피고정 돌기 (17B) 가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단자 (10) 는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판면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하여 복수 배열되어 있다. 각 단자 (10) 는 대응하여 하우징 (20) 에 형성된 단자 홈에 압입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 (20) 은, 상기 복수 단자 (10) 의 각각을 수용하는 단자 홈 (21) 이 도 1(A) 의 지면에 평행하는 슬릿 형상으로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자 홈 (21) 은 좌부측 영역과 우부측 영역에서 각각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통하여 좌부 개구 (22) 와 우부 개구 (23) 를 형성하고 있다. 좌부 개구 (22) 는, 도시하지 않는 평형 회로 기판이 단자 (10) 의 상하 접촉부 (15A, 17A) 사이에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우부 개구 (23) 는, 단자 (10) 의 상아암 (11) 의 상지지 아암 (15) 에 작용하는 하기 기술하는 가동부재의 배치, 그리고 회전 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 이 가동부재의 회전 운동을 위해서 하우징 (20) 은 상벽이 크게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20) 은, 도 1(B) 와 같이, 상기 복수 단자 (10) 의 배열 범위밖에서 양단의 단자 (10) 에 인접하여, 후술하는 규제 금구를 수용하기 위한 금구 홈 (2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금구 홈 (24) 도, 단자 홈 (11) 과 동일하게 지면에 평행한 슬릿 형상을 이루어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좌부 영역에서는 상기좌부 개구 (22) 와 연통하고, 우부 영역에서는 우부 개구 (23) 와 연통하고 있다. 이 금구 홈 (24) 은, 이곳에 수용되는 규제 금구가 좌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관계 상, 하우징 (20) 은 적어도 그 하벽이 좌단측에서 절결된 절결부 (24A) 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하벽은, 상기 우부 개구 (23) 에 대응하는 위치에 단차 형 상 저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 저부 (25) 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단자 (10) 의 하지지 아암 (16) 에 형성된 오목부 (16A) 의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20) 의 금구 홈 (24) 에 삽입되는 규제 금구 (30) 는, 도 2(B)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좌방으로부터, 즉 단자 (10) 의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금구 홈 (24) 에 삽입된다. 이 규제 금구 (3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자 (10) 과 동일하게, 금속판의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기부 (基部 : 31), 고정 아암부 (32), 그리고 규제 아암부 (33) 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상기 규제 금구 (30) 의 기부 (31) 는 상기 금구 홈 (24)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그 금구 홈 (24) 의 좌부 개구 (22)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절결부 (24A) 에까지 미치고, 하우징 (20) 의 하방으로 약간 돌출하여 그 하가장자리가 고정 다리 (31A) 를 형성하고 있다.
고정 아암부 (32) 는, 하우징 (20) 상벽과 하벽 사이에 압입되는 아암 형상을 이루고, 그 하가장자리에 걸림 돌기 (32A, 32B) 를 가지고, 압입시에 하우징 하벽의 면에 맞물려 들어가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
규제 아암부 (33) 는, 상기 고정 아암부 (32) 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고, 하우징의 우부 개구 (23) 내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규제 아암부 (33) 는 좌우 방향으로 단자 (10) 의 상지지 아암 (14) 과 동일한 정도로 연장되어, 지면에 직각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그 상지지 아암 (14) 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고, 특히 그 하가장자리 (33A) 는 그 상지지 아암 (14) 의 하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가동부재 (40) 는, 하우징 (20) 과 동일한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레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A), (B)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열림 위치에 있는 가동부재 (40) 는, 하반부가 하우징 (20) 의 우부 개구 (23) 내에 있고, 상반부가 하우징 (20)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조작부 (41) 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가동부재 (40) 의 하반부에는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단자 홈 (21) 그리고 금구 홈 (24) 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로 관통하여 좌부 하방으로 개구되는 슬릿 (42, 43)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 (42, 43) 은 단자 (10) 의 상지지 아암 (14) 그리고 규제 금구 (30) 의 규제 아암부 (33) 각각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슬릿 (42) 의 우하부에는 캠부 (44) 가, 그리고 슬릿 (43) 의 우하부에는 피규제부 (45) 가 각각 도 (島)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재 (40) 는 세로 길이의 자세를 취하는 열림 위치와 가로 길이의 자세를 취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는데, 캠부 (44) 의 범위 내, 그리고 피규제부 (45) 의 범위 내에 회전 운동 중심 (44A, 45A) 이 있어, 서로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캠부 (44) 는, 도 1(A) 의 상태에서, 세로 길이의 타원형 단면을 가지고, 그 캠부 (44) 의 우부 원호 반경이 단자의 하지지 아암 (16) 에 형성된 걸림부 (16B) 의 원호 반경과 거의 동일하고, 그 캠부 (44) 의 좌부 원호 반경이 상지지 아암 (14) 의 수압부 (14A) 원호 반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이들 네 개의 원호 반경이 거의 동등하다. 그리고 도 1(A) 에 있어서의 상기 캠부 (44) 의 높이 치수는, 상지지 아암 (14) 의 직선 형상 하가장 자리와 하지지 아암 (16) 의 걸림부 (16B) 상가장자리와의 간격보다 작아, 도 1(A) 에서 화살표 A 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캠부 (44) 가 쉽게 상지지 아암 (14) 과 하지지 아암 (16) 사이에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추가로 상기 캠부 (44) 는 상기 회전 운동 중심 (44A) 에 대해서, 우부보다 좌부쪽으로 연장되고 있고, 캠부 (44) 의 횡방폭은 상기 상지지 아암 (14) 의 수압부 (14A) 와 하지지 아암 (16) 의 걸림부 (16B) 와의 간격보다 커서, 가동부재 (40) 가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했을 때에, 캠부 (44) 가 상지지 아암 (14) 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휨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피규제부 (45) 는, 회전 운동 중심 (45A) 에 대해서, 하방보다 상방으로, 그리고 우방보다 좌방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정방형을 우하부와 좌상부에서 원호 형상부이며 둥그스름한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피규제부 (45) 는, 도 2(B) 에 있어서, 그 높이 및 폭이 규제 금구 (30) 의 규제 아암부 (33) 하가장자리 (33A) 와 하우징 (20) 의 단차 형상 저부 (25) 와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고, 회전 운동 중심 (45A) 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에 상기 좌상부의 원호 형상부가 그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있어, 회전 운동각이 어디에 있어도, 상기 규제 아암부 (33) 하가장자리 (33A) 가 이 피규제부 (45) 에 접촉 혹은 가까이에 있다. 또, 우상부와 좌하부를 둥글게 하지 않은 것은 소정각 이상 회전 운동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도 한다는 이유에 의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조립할 수 있고, 또, 사용된다.
(1) 조립시에 있어서는 먼저, 복수의 단자 (10) 가 하우징 (20) 의 대응 단자 홈 (21) 에 삽입된다. 이 단자 (10) 의 하우징 (20) 에 대한 삽입은, 도 1(A)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20) 의 우부 개구 (23) 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이루어진다. 하접촉 아암 (17) 의 피고정 돌기 (17B) 가 하우징의 고정부에 맞물려 들어감과 함께, 접속부 (18) 의 피장착부 (18B) 가 하우징의 저벽 단면에 끼워 맞추어져, 단자 (10) 의 위치가 고정됨과 함께, 빠짐이 방지된다.
(2) 다음으로, 가동부재 (40) 를 도 1(A) 과 같이 조립해 넣는다. 동일 도면의 자세에 있어서, 가동부재 (40) 는, 그 캠부 (44) 가, 우부 개구 (23) 에서, 쉽게 단자 (10) 의 상지지 아암 (14) 과 하지지 아암 (16) 사이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진입한다. 이 때, 피규제부 (45) 도 도 1(B) 과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3) 도 1(A), (B) 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진입한 캠부 (44) 그리고 피규제부 (45) 는 상방으로 뜬 위치에 있다. 다음으로, 동일 도면에서 화살표 B 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 (44) 그리고 피규제부 (45) 를 하방으로 떨어뜨려 넣는다. 이 상태에서는, 캠부 (44) 가 단자 (10) 의 오목부 (16A) 에 수용되어 그 캠부 (44) 의 우하부에서 걸림부 (16B) 와 걸리고, 피규제부 (45) 는 하우징의 단차 형상 저부 (25) 와 맞닿는다. 따라서, 캠부 (44) 가 걸림부 (16B) 와 횡방향으로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일단 가동부재 (40) 의 우측에 대한 빠짐은 방지되어 있다. 그러나, 캠부 (44) 와 피규제부 (45) 는 화살표 B 와 역방향, 즉 상방으로 들려 올라갈 가능성이 남아 있고, 만일 들려 올라갔을 때에는, 화살표 A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끌리면 가동부재 (40) 는 간단하게 벗겨져 버린다.
(4) 그래서, 도 2(A), (B)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캠부 (44) 와 피규제부 (45) 가 떨어트려 넣어진 상태에서, 좌부 개구 (22) 로부터, 화살표 C 방향으로, 규제 금구 (30) 를 대응되는 금구 홈 (24) 에 삽입한다. 기부 (31) 는 좌부 개구 (22) 내에 있는 하가장자리인 고정 다리 (31A) 가 하우징 (20) 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 고정 아암부 (32) 는, 하우징 (20) 상벽과 하벽 사이에 압입되고, 걸림 돌기 (32A, 32B) 가 이 하벽의 상면에 맞물려 들어가, 규제 금구 (30) 의 빠짐을 방지한다. 규제 아암부 (33) 는 그 하가장자리 (33A) 가 상기 가동부재 (40) 의 피규제부 (45) 상면에 접촉 혹은 가까이에 있고, 이로써, 이 피규제부 (45) 는 상방으로는 떠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가동부재 (40) 는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오는 경우는 없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자체의 조립은 완료한다.
(5) 그렇게 한 후에,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장착하고, 또 평형 회로 기판, 예를 들어, 플렉시블 회로 기판이 접속된다. 커넥터의 회로 기판에 대한 장착은 단자 (10) 의 접속부 (18) 가 그 하가장자리 (18A) 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 상에 배치된 후에 땜납 접속되고, 또, 규제 금구 (30) 의 고정 다리 (31A) 가 회로 기판의 대응 고정부 상에 배치된 후에 땜납 고정됨으로써 행하여진다.
(6) 마지막으로, 평형 회로 기판을 좌부 개구 (22) 로부터 상접촉 아암 (15)과 하접촉 아암 (17) 사이에 삽입하고, 그렇게 한 후에, 가동부재 (40) 를 횡방향이 되는 닫힘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다. 가동부재 (40) 는, 캠부 (44) 가 단 자 (10) 의 걸림부 (16B) 에서, 그리고 피규제부 (45) 가 규제 금구 (30) 의 규제 아암부 (33) 와 하우징 (10) 의 단차 형상 저부 (25) 에서, 각각 안내 지지되면서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전 운동하고, 닫힘 위치의 직전 위치로부터 상기 캠부 (44) 가 세로 길이 상태로 상지지 아암 (14) 을 수압부 (14A) 에서 상방으로 눌러 그 상지지 아암 (14) 을 휘게 한다. 이 상지지 아암 (14) 은 연결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 형상으로 경사되듯이 휘고, 그 결과, 상접촉 아암 (15) 은 상기 연결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 형상으로 하방을 향하여 휘고, 그 접촉부 (15A) 에서 평형 회로 기판을 하접촉 아암 (17) 의 접촉부 (17A) 에 눌러 그 접촉압을 높인다. 이렇게 하여, 평형 회로 기판은 그 접점이 접촉하는 접촉부 (15A) 및 접촉부 (17A) 의 적어도 일방에서 단자 (10) 과 접촉하고, 그 단자 (10) 를 거쳐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규제 금구는, 그 규제 아암부가 가동부재의 피규제부와 상시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캠부가 걸림부로부터 벗어나 버리지 않을 정도라면, 피규제부 사이에 간극을 두어도 된다. 또, 캠부는 그 형상도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편심 원형 캠이어도 된다.
또, 규제 금구는, 그 고정 아암부가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입에 의하지 않아도, 일단 가로 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상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하우징의 대응 홈 등에 밀어 넣어지도록 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추가로 규제 금구는, 그 강도 향상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규제 금구는, 단자의 배열 범위 밖에서 가장 바깥 단의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열 범위 내에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규제 금구를 단자의 배열에 추가하는 것만으로, 가동부재의 회전 운동 중심 부분을, 단자와 상기 규제 금구에 의해 규제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회전 운동 중심 부분은 단자에 형성된 걸림부로부터 나오지 않고 걸림을 유지하고, 가동부재의 회전 운동 조작시, 혹은 가동부재가 뜻밖의 외력을 받았을 때에도, 가동부재는 벗겨지지 않는다. 또, 단자의 수가 많아져도, 예를 들어, 단자의 배열 방향 중간 위치에 하나라도 규제 금구를 설치하면, 간단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규제 금구는, 단자와 동일한 금속판 부재로 만들 수 있으므로, 이 규제 금구의 배열 형성에 의해 상기 배열 방향의 커넥터 치수는 규제 금구의 판두께 정도밖에 커지지 않는다.

Claims (5)

  1.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한 채로 가공하여 얻어지는 단자가 상기 판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하우징에 복수 유지되고, 그 단자는 두 개의 지지 아암이 이들을 연결하는 지지점부로부터 일방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타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아암을 가지고, 그 접촉 아암과의 접촉 위치에 삽입된 평형 회로 기판과 그 접촉 아암과의 접압을 높이기 위한 가동부재가 캠부를 가지고, 그 캠부가 상기 두 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배치되고, 가동부재가 상기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상기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가동부재는, 열림 위치에서, 캠부가 자유 상태에서의 두 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삽입할 수 있고, 적어도 일방의 지지 아암에는 삽입 후의 캠부와 걸어맞추어 발출 방지를 도모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또, 규제 금구가 상기 단자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가동부재가 규제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규제부를 가지고, 상기 규제 금구가 규제 아암부를 가지고 있고, 단자가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에서, 가동부재를 열림 위치에서 그 캠부에 의해 두 개의 지지 아암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그 캠부가 상기 일방의 지지 아암의 걸림부와 걸어맞추는 위치에 있고, 규제 금구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규제 아암부에 의해 가동부재의 피규제부를 규제하여 상기 캠부가 상기 걸림부와의 걸어맞춤을 유지하고 있고,
    가동부재의 캠부와 피규제부가 동일 회전운동축선을 가지고, 이 회전운동축선에 대해 일방에서 단자가 캠부를 규제하고, 반대측에서 규제금구가 피규제부를 규제하도록 위치하며, 그 규제가 상기 축선을 사이에 오도록 행하여지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규제 금구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부재의 캠부는, 가동부재의 열림 위치에서 두 개의 지지 아암의 간격보다 작고, 닫힘 위치에서 그 간격보다 큰 치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부는 적어도 일방의 지지 아암에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 금구의 규제 아암부는 단자의 타방 지지 아암에 대응하여 연장되고, 또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규제 금구는 하우징 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고정 다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070019602A 2006-03-24 2007-02-27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973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2432A JP4576349B2 (ja) 2006-03-24 2006-03-24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JP-P-2006-00082432 200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800A KR20070096800A (ko) 2007-10-02
KR100973948B1 true KR100973948B1 (ko) 2010-08-05

Family

ID=3825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602A KR100973948B1 (ko) 2006-03-24 2007-02-27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0304B1 (ko)
EP (1) EP1837954A1 (ko)
JP (1) JP4576349B2 (ko)
KR (1) KR100973948B1 (ko)
CN (1) CN100505428C (ko)
TW (1) TW2007421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8931B2 (ja) * 2004-10-18 2010-11-1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30084B2 (ja) * 2007-06-12 2009-09-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223332B2 (ja) * 2007-12-28 2013-06-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
JP4992707B2 (ja) * 2007-12-28 2012-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20950B2 (ja) * 2008-10-01 2013-10-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526522B2 (ja) * 2008-10-01 2014-06-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KR101041833B1 (ko) * 2008-12-18 2011-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5555143B2 (ja) * 2010-11-29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85118B2 (ja) * 2011-05-13 201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914876B2 (ja) * 2012-01-13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54845B1 (ja) * 2012-01-19 2012-10-2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2929B2 (ja) * 2012-06-11 201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20904B2 (ja) * 2013-08-08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端子連結装置
JP6208008B2 (ja) * 2013-12-27 2017-10-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75898B2 (ja) * 2015-06-26 2019-09-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152335A (ja) * 2016-02-26 2017-08-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939A (ja) * 2000-07-28 2002-02-08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20040055586A (ko) * 2002-12-13 2004-06-2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662A (ja) * 1997-01-30 1998-08-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3047862B2 (ja) * 1997-07-08 2000-06-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48672B2 (ja) * 1999-04-30 2009-04-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159178B2 (ja)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964583B2 (ja) * 1999-10-26 2007-08-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754869B2 (ja) 2000-04-17 2006-03-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446136B2 (ja) 2000-06-05 2003-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2002252049A (ja) 2001-02-22 2002-09-06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903338B2 (ja) *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TW566683U (en) * 2003-05-20 2003-12-11 P Two Ind Inc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4479989B2 (ja) * 2003-08-29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54740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zifコネクタ
JP4498948B2 (ja) 2005-02-24 2010-07-07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939A (ja) * 2000-07-28 2002-02-08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20040055586A (ko) * 2002-12-13 2004-06-2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7954A1 (en) 2007-09-26
CN101043107A (zh) 2007-09-26
US20070224848A1 (en) 2007-09-27
TWI351793B (ko) 2011-11-01
KR20070096800A (ko) 2007-10-02
CN100505428C (zh) 2009-06-24
JP2007258054A (ja) 2007-10-04
US7300304B1 (en) 2007-11-27
TW200742185A (en) 2007-11-01
JP4576349B2 (ja)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948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3228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692210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5121884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20020075225A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6884108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20050013948A (ko) 커넥터 조립체
JP2007095594A (ja)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20100109427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744977B1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32132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041833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10128599B2 (en) Connector
JP5993755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5056748A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4793879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084288B2 (ja) Fpc用コネクタ
JP5377739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20100064736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8130258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