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210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210B1
KR101692210B1 KR1020100028380A KR20100028380A KR101692210B1 KR 101692210 B1 KR101692210 B1 KR 101692210B1 KR 1020100028380 A KR1020100028380 A KR 1020100028380A KR 20100028380 A KR20100028380 A KR 20100028380A KR 101692210 B1 KR101692210 B1 KR 10169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ortion
lower arm
lock member
portions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482A (ko
Inventor
기요카즈 후루카와
?타로 와다
šœ타로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평형 도체의 임시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접속 후에는 예기치 않은 빠짐의 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평형 도체 (F) 의 빠짐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 (45) 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로크 부재 (45)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판면 부분에 형성되어 연결부 (48) 에서 연결된 상아암부 (46) 와 하아암부 (47) 를 갖고, 상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49) 가 형성되고, 하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 (F2) 와 걸리는 로크 돌출부 (52) 를 각각 갖고 있고, 로크 부재 (45) 는 그들의 상아암부 후부에 가동 부재 (30) 의 캠부 (32C) 가 맞닿는 수압부 (50) 를 갖고 있어,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수압부 (50) 가 캠부 (32C) 에 가압되어, 상기 로크 부재의 상아암부 (46) 가 가압부 (49) 에서의 평형 도체 (F) 와의 접압을 높이도록 탄성 변위된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평형(平型) 도체가 접속되었을 때에 이 평형 도체의 빠짐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FPC 등의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형식의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평형 도체가 접속 후에 예기치 않게 빠지지 않도록, 예를 들어, 그 평형 도체의 측연 (側緣) 에 귀 형상으로 형성된 피걸림부와 걸리는 로크 부재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상아암부와 하아암부가 연결부에서 연결된 가로 H 자 형상의 로크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하아암부는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유지되어, 상아암부가 상기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도록 탄성 변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아암부는 평형 도체의 삽입측이 되는 전부 (前部) 에 로크 돌출부를 갖고, 후부에 회전 운동하는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가압되는 수압부 (受壓部) 를 갖고 있다. 수압부가 캠부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상아암부의 탄성 변위에 의해 로크 돌출부는 하방으로 변위된다. 로크 돌출부는 하방으로의 변위에 의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고, 평형 도체의 발출 방향에서 그 피걸림부와 간섭하여 평형 도체의 예기치 않은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78908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로크 돌출부는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울도록 탄성 변위 가능한 상아암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되어 있는 평형 도체를 발출 방향으로 세게 당기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상기 상아암부가 그 평형 도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로크 돌출부가 피걸림부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평형 도체가 빠진다.
또한, 로크 돌출부는 평형 도체를 정규 위치에 삽입한 후에 가동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비로소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린다. 따라서, 로크 돌출부는 하방을 향하는 돌기로서 상아암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의 삽입 직후이고 가동 부재의 조작 전인 경우에는, 로크 돌출부는 피걸림부와 전혀 걸려 있지 않고,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에서 정규 삽입 위치에 배치되어도, 외력이 조금이라도 작용하면, 이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려, 가동 부재를 닫힘 위치를 향해 조작해도 로크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지 않는 사태가 발생하기 쉽다. 즉, 평형 도체를 단자와 접압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가동 부재를 닫힘 위치를 향해 조작하는 시점 이전에 평형 도체를 정규 위치에 유지시켜 두는, 이른바 임시 유지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평형 도체의 예기치 않은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임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신호 단자와, 복수의 그 신호 단자를 배열 유지하는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전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평형 도체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로부터 그 평형 도체를 신호 단자의 접촉부에 가압하는 닫힘 위치를 향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부재와, 삽입된 평형 도체의 빠짐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다음의 제 1 발명에 의해서도 해결하고, 제 2 발명에 의해서도 해결한다.
<제 1 발명>
상기 서술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 본 발명에서는 로크 부재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 부분을 가져 형성되고, 그 판면 부분이 신호 단자의 배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유지되어 있고, 로크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판면 부분에 형성된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갖고,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그 연결부보다 전방의 상아암부 전부와 하아암부 전부 사이에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하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면 부분의 면을 포함하는 면 내에서 상기 하아암부에 대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도록 탄성 변위시킬 수 있으며, 로크 부재는 상기 상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는 로크 돌출부를 각각 갖고 있고, 로크 부재는 그들의 상아암부 후부에 가동 부재의 캠부가 맞닿는 수압부를 갖고 있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수압부가 캠부에 가압되어, 상기 로크 부재의 상아암부가 가압부에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높이도록 탄성 변위되고,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 전부의 로크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전후 방향에서 간섭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의 삽입 직후에는, 그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는 상방으로부터 배치되어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에 형성된 로크 돌출부에 전후 방향에서 서로 걸리도록 위치하고 있고, 또 이 하아암부는 고정적으로 유지되어 있어 탄성 변위되지 않기 때문에, 그 평형 도체가 단순히 발출 방향으로 당겨져도, 동시에 상방을 향해 들어 올려지지 않는 한, 평형 도체는 발출되지 않는다. 즉, 평형 도체는 임시 유지가 이루어져, 신호 단자의 접촉부와의 접속을 위한 정규 위치를 유지한다.
이 임시 유지 상태에서, 다음으로 가동 부재를 닫힘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 닫힘 위치에서는, 가동 부재는 평형 도체를 신호 단자의 접촉부와 접속시켜 소정의 접속 상태를 확보하고 또한 유지한다. 가동 부재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그 가동 부재의 캠부가 로크 부재의 상아암부 후부에 형성된 수압부를 가압하여 상아암부를 기울이고, 상아암부 전부의 가압부를 하방으로 변위시킨다. 가압부는 이 하방으로의 변위에 의해 평형 도체를 동일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평형 도체는 발출 방향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힘을 받아도, 상기 가압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부상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평형 도체는 어느 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신호 단자는 연결부에서 연결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갖고, 상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그리고 상아암부 후부에 가동 부재의 캠부가 맞닿는 수압부를 갖고 있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수압부가 캠부에 가압되어, 상기 상아암부가 접촉부에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높이도록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아암부 전부가 접촉부로 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는 로크 부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일 때에, 평형 도체는 상기 상아암부 전부와 하아암부 전부 사이에 삽입되고,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일 때에, 상아암부 후부의 수압부가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아암부가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압부가 하방으로 변위되도록 기운다. 그 결과, 가압부는 평형 도체를 가압하여 하아암부 전부의 접촉부의 접압을 높인다. 이 신호 단자의 가압부에서의 하방으로의 가압력은, 평형 도체와 신호 단자의 접촉부의 접압을 높일 뿐만 아니라,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그 평형 도체의 상방으로의 부상에 의해 로크 돌출부로부터 벗겨지는 것까지도 저지하는 데에 공헌한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은 신호 단자의 적어도 배열 범위를 덮는 실드부를 갖는 금속 쉘이 장착되어 있고, 그 금속 쉘의 일부가 로크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로크 부재와 상기 실드부가 1 부재로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크 부재와 실드부가 금속 쉘로서 1 부재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로크 부재와 실드 부재를 따로따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저감, 제조 및 편성 작업의 간단화는 물론, 양자간 결합 부분의 존재에 의해, 부재 자체의 강도의 향상, 나아가서는 하우징에 의한 유지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에서 로크 부재는 하아암부 및 상아암부의 적어도 일방에 평형 도체의 그라운드 회로부와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를 갖고 있어 그라운드 부재도 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 도체의 그라운드 회로부와 접촉하는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저감 및 부재의 간단화가 도모됨과 함께, 평형 도체가 로크 부재의 상아암부에 형성된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결과,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에서의 접압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 금속 쉘은 실드부와 로크 부재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회로 기판의 면에 접면하는 땜납 고정부를 갖고, 그 고정부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땜납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드부와 로크 부재를 연결하는 부분을 땜납 고정부로서 이용할 수 있어, 별도 부재로서 또는 금속 쉘의 다른 부위에 땜납 고정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부재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에서 로크 부재는, 판면 부분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이간되어 위치하여 서로 연결된 평행한 면의 2 부위로서 형성되고, 일방의 부위에 가압부 그리고 타방의 부위에 로크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판면 부분이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여, 가압부와 로크 돌출부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이간된 2 부위에 판면 부분을 갖고, 각각에 가압부와 로크 돌출부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전후 방향, 즉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에서 가압부를 피걸림부의 범위 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가압력에 의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에서의 부상을 더욱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
본 발명은 제 2 발명에서는, 로크 부재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 부분을 갖고 만들어지고, 그 판면 부분이 신호 단자의 배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유지되어 있고, 로크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판면 부분에 형성된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갖고,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는 서로의 후부에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 사이에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하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면 부분의 면을 포함하는 면 내에서 상기 하아암부에 대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도록 탄성 변위시킬 수 있으며, 로크 부재는 상기 상아암부에 상기 가동 부재의 축부를 안내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가 형성되고,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에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는 로크 돌출부를 각각 갖고 있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안내 지지부가 상기 가동 부재의 축부에 가압되어, 상기 가동 부재가 그 축부로부터의 반력으로서의 가압력에 의해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높이고,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의 로크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전후 방향에서 간섭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발명에서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 그 가동 부재의 축부를 안내 지지하는 상아암부의 안내 지지부가 축부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반력으로서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즉, 안내 지지부는 가압부로서 기능하고, 그 가압력이 가동 부재를 통해 평형 도체에 전해진다. 앞서 서술한 제 1 발명에서는, 가압력이 상아암부의 가압부로부터 직접적으로 평형 도체에 전해진 것에 반해, 이 제 2 발명에서는 가동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평형 도체에 전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로크 돌출부에 대해서는 제 1 발명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발명에서도 가압부로서 기능하는 안내 지지부와 로크 돌출부가 서로 작용하여, 평형 도체의 예기치 않은 발출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는 로크 부재의 로크 돌출부를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하아암부에 형성하고,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평형 도체를 상아암부에 형성된 가압부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상아암부에 형성된 안내 지지부에서 간접적으로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평형 도체의 접속시에는, 예기치 않은 발출력이 평형 도체에 작용해도 피걸림부는 부동의 로크 돌출부에 걸린 상태이고, 또 발출력이 위로 향하는 성분을 갖고 있어도, 평형 도체는 상방으로부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있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아 상기 로크 돌출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확실하게 평형 도체의 빠짐을 방지한다. 또,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일 때에는, 로크 돌출부에 의해 평형 도체를 정규 위치에 삽입한 상태로 유지시켜, 임시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접속시에는 평형 도체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접속 전에는 정규 위치를 유지하여 접속 조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로크 돌출부와 수압부, 또한 가압부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고, 그 만큼 부품의 관리가 용이해지고, 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와 이것에 접속되어야 할 평형 도체의 접촉 전에 있어서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2 종의 신호 단자가 배열된 도 1 의 커넥터에 대하여, 신호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A) 는 일종의 신호 단자의 위치, (B) 는 타종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서 각각 단면되고,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에 장착되는 금속 쉘의 사시도이며, (A) 는 상방에서, (B) 는 하방에서 각각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를, 도 1 의 경우와는 역 방향인 후방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A) 는 금속 쉘 장착 전, (B) 는 장착 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는 도 1 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도 3 의 V-V 에 대응하는 로크 부재의 위치에서 단면되고 있고, (A)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 (B) 는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의 금속 쉘의 사시도이며, 로크 부재의 가압부와 로크 돌출부가 다른 판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실드부를 갖고 있지 않고, 로크 부재가 땜납 고정부 및 지지 아암부와 일체로 되어 있는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실드부를 갖고 있지 않고, 로크 부재가 땜납 고정부와 일체로 되어 있는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이것에 접속되어야 할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에서 부호 1 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이며, 부호 F 는 커넥터 (1) 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이다. 커넥터 (1) 는 전기 절연재로 형성된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금속판제의 복수의 신호 단자 (20) 와, 접속되는 평형 도체 (F) 를 신호 단자 (20) 에 가압하는 가동 부재 (30) 와, 하우징 (10) 에 장착되는 금속판제 금속 쉘 (40) 을 갖고 있다.
평형 도체 (F) 는 예를 들어, 가요성 (可撓性) 시트의 하면에 각 신호 단자 (20) 와 접촉하는 대응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1) 에 삽입되는 부분이 되는 선단 부분의 상면에 보강 시트 (F1) 가 장착되어 있다. 이 평형 도체는 보강 시트 (F1)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측연에 커넥터의 로크 아암부와 걸려 그 평형 도체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피걸림부로서의 걸림 오목부 (F2) 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0) 은 예를 들어,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한 채 형상이 형성된 2 종의 복수의 신호 단자 (20 ; 20A 및 20B) 를 그 판면에서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격 배열하여 유지하고 있다. 이 하우징 (10) 은 상기 2 종의 신호 단자 (20A, 20B) 각각의 위치에서 그 신호 단자 (20) 의 판면과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2(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도 2(A), (B) 에서 좌우 방향) 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벽 (12) 및 하벽 (13) 을 갖고 있다. 상벽 (12) 은 후부 영역 (도 2(A), (B) 에서 우측 부분 영역) 이 절결되어 있어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 (14) 을 이루고 있고, 이 공간 (14) 에 후술하는 가동 부재 (30) 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10) 의 상벽 (12) 과 하벽 (13) 의 각각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단자 삽입 홈 (15, 1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삽입 홈 (15, 16) 의 홈 폭 (도 2(A), (B) 에서 지면과 직각 방향에서의 홈 내폭) 은, 신호 단자 (20) 의 판 두께와 거의 동일하여, 신호 단자 (20) 를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지지할 수 있는 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 단자 삽입 홈 (15, 16) 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는 상하 1 세트의 단자 삽입 홈 (15, 16) 에서 1 개의 신호 단자를 지지한다. 2 종의 신호 단자 (20A, 20B) 는 상기 단자 삽입 홈 (15, 16) 에 대하여 예를 들어, 교대로 압입되어 있다. 도 2(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 종의 신호 단자 (20A) 그리고 타종의 신호 단자 (20B) 는, 단자 삽입 홈 (15, 16) 에 대하여, 각각 우방에서 그리고 좌방에서 압입되어 있다. 신호 단자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단자 삽입 개시측에서 하벽 (13) 의 단부를 얇게 하고 여기에 신호 단자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16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 종의 신호 단자 (20A, 20B) 는 가로 H 자 형상을 이루고, 상아암부 (21A, 21B), 하아암부 (22A, 22B), 양 아암을 연결하는 연결부 (23A, 23B) 를 각각 갖고 있다. 상아암부 (21A, 21B) 는 전단측 (도면에서 좌단측) 에 돌기 형상의 가압부 (24A, 24B), 후단측에 오목 형상 혹은 몰입형의 수압부 (25A, 25B) 를 갖고 있다. 그 수압부 (25A, 25B) 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 (30) 의 캠부로부터 상방을 향한 힘을 받는 부위이고, 이러한 힘을 받으면 상아암부 (21A, 21B) 는 탄성을 갖는 상기 연결부 (23A, 23B)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어, 가압부 (24A, 24B) 를 하방으로 변위시키고, 그 가압부 (24A, 24B) 로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일종의 신호 단자 (20A) 의 상아암부 (21A) 는 타방의 신호 단자 (20B) 의 상아암부 (21B) 보다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고, 따라서 가압부 (24A) 는 가압부 (24B)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반해, 수압부 (25A, 25B) 는 전후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다. 상기 상아암부 (21A, 21B) 는 연결부 (23A, 23B) 근처에서의 상연 (上緣) 에서 단자 삽입 홈 (15) 의 저면에 가압되어 압입 상태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연결부 (23A, 23B) 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울이도록, 상기 단자 삽입 홈 (15) 과 대향 홈 내면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하아암부 (22A, 22B) 는 하벽 (13) 의 단자 삽입 홈 (16) 에 수용된다. 일종의 신호 단자 (20A) 에서는, 하아암부 (22A) 는 연결부 (23A)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전단측에서 들어 올려져 있고 상하 방향에서의 탄성을 갖고, 전단에 돌출 형상의 접촉부 (26A) 를 가지며, 연결부 (23A)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후단측에 접속부 (27A) 와 피고정부 (28A) 를 갖고 있다. 접속부 (27A) 는 하우징 밖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하연 (下緣) 이 회로 기판에 접하는 위치에 있어,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의 땜납 접속에 제공한다. 피고정부 (28A) 는 이 접속부 (27A) 의 내연 (內緣) 을 이루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 (10) 의 하벽 (13) 의 고정부 (16A) 에 끼워 장착된다. 접속부 (27A) 와 연결부 (23A) 사이 부분의 상연에는 걸림 볼록부 (29A) 가 형성되고, 그 전방 위치에 그 걸림 볼록부 (29A) 의 전연 (前緣) 과 함께 가동 부재 (30) 의 캠부의 회전 운동시에 그 캠부를 지지하는 오목 형상의 지지부 (29A-1) 가 형성되어 있다.
타방의 신호 단자 (20B) 에서는, 하아암부 (22B) 는 연결부 (23B)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전단이 하우징 밖에 있고 접속부 (27B) 와 피고정부 (28B) 를 갖고 있다. 상기 1 종의 신호 단자 (20A) 에 대하여, 접속부 (27B) 와 피고정부 (28B) 는 형성되어 있는 위치가 반대이고 전단이기는 하지만, 그 형태 그리고 기능은 상기 일방의 신호 단자 (20A) 의 경우와 동일하고, 접속부 (27B) 는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고, 피고정부 (28B) 는 하우징 (10) 의 하벽 (13) 의 고정부 (16B) 에 끼워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아암부 (22B) 는, 연결부 (23B) 와 접속부 (27B) 사이에서, 전후 방향에서 가압부 (24B) 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돌출 형상의 접촉부 (26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아암부 (22B) 는, 연결부 (23B) 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직상 (直狀) 상연에, 가동 부재 (30) 의 캠부의 회전 운동시에 그 캠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29B) 가 형성되어 있다.
평형 도체를 신호 단자 (20A, 20B) 의 접촉부 (26A, 26B) 를 향해 밀기 위해, 상아암부 (21A, 21B) 의 가압부 (24A, 24B) 를 하방에 변위시키도록, 수압부 (25A, 25B) 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기 위한 가동 부재 (30)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과 동일한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조작부 (31) 와 캠부 (32A, 32B) 를 갖고 있다. 상기 가동 부재 (30) 는, 하우징 (10) 의 후부에서의 공간 (14) 에 배치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각 신호 단자 (20A, 20B) 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들 신호 단자 (20A, 20B) 의 상아암부 (21A, 21B) 의 후부 진입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홈부 (31A, 31B) 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의 홈부 (31A, 31B) 내에 홈 내벽면을 연결하도록 섬 형상의 캠부 (32A, 32B)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캠부 (32A, 32B)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30) 가 도 2(A), (B) 의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가로로 긴 타원형의 섬 형상을 이루고, 그 캠부 (32A, 32B) 와 상기 홈부 (31A, 31B) 의 홈 바닥 (33A, 33B) 사이에서 상기 상아암부 (21A, 21B) 의 후부를 홈부 (31A, 31B) 내에 수용하고 있다. 상기 가동 부재 (30) 는 캠부 (32A, 32B) 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2(A), (B) 에 도시하는 세로로 긴 자세를 취하는 열림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가로로 긴 자세를 취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 운동 조작을 받는다. 도 2(A), (B) 에 도시하는 열림 위치의 자세에서, 상기 가동 부재 (30) 는, 하우징의 공간 (14)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부분이 조작부 (31) 로 되어 있고, 이 조작부 (31) 에서 회전 운동을 위한 조작력을 받는다. 캠부 (32A, 32B) 는 신호 단자 (20A, 20B) 의 지지부 (29A-1, 29B) 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닫힘 위치로의 회전 운동시에, 가로로 긴 상태에서 세로로 긴 상태로 되고, 그 상연에서 신호 단자 (20A, 20B) 의 수압부 (25A, 25B) 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렇게 하여, 신호 단자 (20A, 20B) 의 상아암부 (21A, 21B)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 (23A, 23B)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고, 가압부 (24A, 24B) 에 의해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그 평형 도체와 신호 단자 (20A, 20B) 의 접촉부 (26A, 26B) 의 접압을 높인다.
하우징 (10) 에 장착되는 금속 쉘 (40) 은, 도 3(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 장의 금속판의 외형을 뜬 후에 굴곡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다. 그 금속 쉘 (40) 은 하우징 (10) 의 상면에 밀착되는 평탄면을 갖는 상부 실드부 (42) 와 하우징 (10) 의 측부에 위치하는 측부 실드부 (43) 를 구비한 실드부 (41) 와, 그 측부 실드부 (43) 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 땜납 고정부 (44) 와, 그 땜납 고정부 (44) 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측부 실드부 (43) 와 평행, 즉 신호 단자 (20A, 20B) 와 평행한 판면을 갖는 로크 부재 (45) 를 1 부재로서 일체로 갖고 있다. 즉, 로크 부재 (45) 는 금속 쉘 (40) 의 일부로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상부 실드부 (42) 는 평탄면이며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길이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중앙부에서 후연 (後緣) 에 반원 형상과 직상의 내연을 갖는 장착 절결부 (4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절결부 (42A) 는 상부 실드부 (42) 의 전후 방향의 폭에 비해 작아 그 상부 실드부 (42) 의 강도를 저하시킬 정도도 아니고 실드 효과를 저하시킬 정도도 아닌, 작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절결부 (42A) 의 후부를 이루는 직상 내연에는 걸림 돌기 (42A-1) 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 실드부 (43) 는 전후 방향에서 상부 실드부 (42) 의 측단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는 전부 (43A) 와 이것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부 (43B) 를 갖고 있다. 전부 (43A) 는 상기 상부 실드부 (42) 와의 경계에서 굴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부 (43B) 는 전부 (43A) 의 면을 그대로 후방으로 연장시켜 형성되고 아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전부 (43A) 의 하연에는 절개 홈 (43A-1)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절개 홈 (43A-1) 보다 후방 부분이 단자 배열 방향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부 실드부 (42) 와 평행한 면의 부분을 이루는 땜납 고정부 (4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땜납 고정부 (44) 는 저면이 회로 기판의 면과 접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땜납 고정된다. 상기 전부 (43A) 는 상기 절개 홈 (43A-1) 보다 전방의 하연부에서 상기 후부 (43B) 와 동일 면을 이룬 레그부 (43A-2) 를 갖고 있다. 그 레그부 (43A-2) 는 그 하단연 (下端緣) 이 회로 기판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땜납 고정부 (44) 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과의 고정을 보조하는 다른 땜납 고정부를 형성한다. 회로 기판과의 땜납 고정은, 상기 땜납 고정부 (44) 또는 레그부 (43A-2) 의 어느 일방만이어도 된다. 상기 측부 실드부 (43) 의 후부 (43B) 에는, 그 후단측 하연이 계단 형상으로 절취되어 있어 축지지부 (43B-1)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축지지부 (43B-1) 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 (30) 가 단자 배열 방향 양 단에 회전 운동축을 갖고 있을 때에, 이 축지지부 (43B-1) 에 그 회전 운동축을 수용하고, 이것을 회전 운동 지지한다.
로크 부재 (45) 는 신호 단자 (20A, 20B) 와 동일한 가로 H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로크 부재 (45) 는 그 전부에서 상기 땜납 고정부 (44) 와 연결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 (45)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러한 금속 쉘 (40) 을 장착하는 관점에서, 상기 하우징 (10) 에 대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1 의 커넥터 (1) 을 후방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 사시도인 도 4(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는, 금속 쉘 (40) 의 로크 부재 (45) 를 삽입하는 금속 쉘 유지 홈 (17) 과, 상부 실드부 (42) 의 장착 절결부 (42A) 를 걸기 위한 돌출부 (18) 를 갖고 있다. 상기 금속 쉘 유지 홈 (17) 은, 로크 부재 (45) 가 신호 단자 (20A, 20B) 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관계상, 단자 삽입 홈 (15, 16) 과 동일한 홈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금속 쉘 유지 홈 (17) 은 도 4(A), (B) 로부터도 분명하듯이, 단자 배열 범위, 바꿔 말하면 단자 삽입 홈 (15, 16) 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의 외측에 있고, 단자 삽입 홈 (15, 16) 에서 유지되는 신호 단자의 판과 평행한 면에 상기 로크 부재 (45) 의 판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 (18) 는, 전방으로부터 금속 쉘 (40) 이 하우징 (10) 에 장착되었을 때에, 금속 쉘 (40) 의 장착 절결부 (42A) 가 끼워 장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장착 절결부 (42A) 의 내연에 형성된 걸림 돌기 (42A-1) 가 그 돌출부 (18) 의 측면에 파고들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단자 배열 방향으로 긴 상부 실드부 (42) 는 하우징 (10) 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금속 쉘 (40) 이 하우징 (10) 에 장착될 때에는, 로크 부재 (45) 는 하우징 (10) 의 금속 쉘 유지 홈 (17) 내에 삽입된다.
금속 쉘 유지 홈 (17) 내에 삽입된 로크 부재 (45) 는, 도 5(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하우징 (10) 의 금속 쉘 유지 홈 (17) 으로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여기에서 유지된다. 이 금속 쉘 유지 홈 (17) 은, 도 2(B) 의 단자 삽입 홈 (15, 16) 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 단자 삽입 홈 (15, 16) 에 비해, 하우징 (10) 의 상벽 (12) 그리고 하벽 (13) 이 전부에서 절결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로크 부재 (45) 는, 도 2(B) 의 신호 단자 (20B) 와 상당히 유사하여 가로 H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아암부 (46), 하아암부 (47) 그리고 연결부 (48)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46) 는 신호 단자 (20B) 와 마찬가지로, 전단측에 가압부 (49), 후단측에 수압부 (50) 를 갖고 있다. 또 하아암부 (47) 는 전단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돌출부 (52) 를 가짐과 함께, 중간부에 그라운드 접촉부 (51) 그리고 후단측에는 신호 단자 (20) 와 마찬가지로, 가동 부재 (30) 의 캠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53) 를 갖고 있다. 상기 로크 돌출부 (52)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 (1) 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 (F) 에 형성되어 있는 피걸림부로서의 걸림 오목부 (F2) 에 돌입하여, 평형 도체 (F) 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로크 부재 (45) 는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 (51) 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라운드 단자로서의 기능도 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 (10) 의 상벽 (12) 이 절결되어 있는 것은, 상기 로크 돌출부 (52) 에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2) 가 걸릴 때에, 평형 도체 (F) 의 선단이 로크 돌출부 (52) 에 올라앉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가동 부재 (30) 는 도 5(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아암부 (46) 의 후부분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부 (31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 (31C) 에 섬 형상의 캠부 (3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31C) 와 캠부 (32C) 의 형상은, 신호 단자 (20A, 20B) 의 홈부 (31A, 31B) 및 캠부 (32A, 32B) 와 동일하다. 이렇게 하여,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하면, 신호 단자 (20A, 20B)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아암부 (46) 는 연결부 (48) 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압부 (49) 가 하방으로 변위되도록 하여 기울어진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되고 기능한다.
(1) 먼저, 커넥터의 조립시에는, 가동 부재 (30) 와 금속 쉘 (40) 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2(A) 에서 볼 수 있는 신호 단자 (20A) 를 우방에서 단자 삽입 홈 (15, 16) 에 삽입하고 피고정부 (28A) 로 하우징 (10) 의 고정부 (16A) 에 고정시킴과 함께, 도 2(B) 에서 볼 수 있는 신호 단자를 좌방에서 단자 삽입 홈 (15, 16) 에 삽입하고 피고정부 (28B) 로 하우징 (10) 의 고정부 (16B) 에 고정시킨다. 신호 단자 (20A) 와 신호 단자 (20B) 는 대부분의 경우 교대로 배치되지만, 요구에 따라 이것과는 상이한 순서로 혼재되도록 해도 된다.
(2) 다음으로, 가동 부재 (30) 를, 도 2(A), (B) 및 도 5(A) 에 도시된 열림 위치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장착한다. 그 가동 부재 (30) 의 캠부 (32A, 32B) 는, 신호 단자 (20A, 20B) 의 지지부 (29A-1, 29B) 에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3) 이렇게 한 후, 금속 쉘 (40) 을 하우징 (10) 에 전방으로부터 장착한다. 그 금속 쉘 (40) 의 실드부 (41) 를 이루는 상부 실드부 (42) 와 측부 실드부 (43) 는 하우징 (10) 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접면하여 위치하고, 로크 부재 (45) 는 금속 쉘 유지 홈 (17) 내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 실드부 (42) 는 그 장착 절결부 (42A) 가 하우징 (10) 의 상면의 돌출부 (18) 에 끼워지고, 장착 절결부 (42A) 의 내연의 걸림 돌기 (42A-1) 가 그 돌출부 (18) 의 측면에 파고들어 상기 상부 실드부 (42) 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금속 쉘 유지 홈 (17) 내에 삽입된 로크 부재 (45) 는, 도 5(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연결부 (48) 의 범위에서, 상아암부 (46) 의 상연과 하아암부 (47) 의 하연에서 금속 쉘 유지 홈 (17) 의 상하 홈 바닥 사이에 대하여 압입되어 유지된다. 또, 하아암부 (47) 의 하연에는, 빠짐 방지를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그 빠짐 방지는 더욱 강고하게 되어 있다.
(4)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커넥터 (1) 는, 사용시에 소정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다.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면, 신호 단자 (20A, 20B) 의 접속부 (27A, 27B), 금속 쉘 (40) 의 땜납 고정부 (44), 나아가서는 레그부 (43A-2) 는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접면한다. 그 후, 이 대응부와의 납땜이 이루어져, 신호 단자 (20A, 20B) 는 대응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고정되고, 금속 쉘 (40) 의 땜납 고정부 (44) 그리고 레그부 (43A-2) 는 접지됨과 함께 고정된다.
(5) 그 후, 도 1 에 도시되는 평형 도체 (F) 를 커넥터 (1) 에 삽입하고, 가동 부재 (30) 를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시킨다. 이 닫힘 위치로의 회전 운동에 의해 가동 부재 (30) 의 캠부 (32A, 32B, 32C) 는 세로로 긴 상태가 되어 신호 단자 (20A, 20B) 의 수압부 (25A, 25B) 그리고 로크 부재 (45) 의 수압부 (50) 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앞서 서술한 지레의 원리에 의해, 신호 단자 (20A, 20B) 의 상아암부 (21A, 21B) 그리고 로크 부재 (45) 의 상아암부 (46) 은 전단의 가압부 (24A, 24B, 49) 가 하방으로 변위되도록 기울어, 이들 가압부 (24A, 24B, 49) 가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하방으로 가압된 평형 도체 (F) 는 신호 단자 (20A, 20B) 의 접촉부 (26, 26B) 와의 접압을 높인다. 또, 로크 부재 (45) 의 그라운드 접촉부 (51) 가 평형 도체의 그라운드부와 접촉함과 함께,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2) 에는 로크 부재 (45) 의 로크 돌출부 (52) 가 돌입하여 평형 도체 (F) 의 빠짐이 방지된다. 게다가, 평형 도체 (F) 는 로크 부재 (45) 의 상기 가압부 (49)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 (F) 는 부상하지 않고, 상기 로크 돌출부 (52) 는 걸림 오목부 (F2) 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 (F) 와 신호 단자 (20A, 20B) 의 전기적인 접속은, 그 평형 도체 (F)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와 그 신호 단자 (20A, 20B) 의 접촉부 (26A, 26B) 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져 있으나, 접속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형 도체 (F) 의 상면에 대응 회로부를 형성하여, 그 대응 회로부와 신호 단자 (20A, 20B) 의 가압부 (24A, 24B) 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또 평형 도체 (F) 의 상면 및 하면에 대응 회로부를 형성하여, 상접점 접속 및 하접점 접속의 양방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또, 그 상접점 접속 및 그 하접점 접속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금속 쉘 (40) 의 일부로서 만들어진 로크 부재 (45) 는, 1 개의 판면 부분에 가압부 (49) 와 로크 돌출부 (52) 가 위치하였는데, 서로 평행한 2 개의 판면 부분의 일방에 가압부 및 타방에 로크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 의 변형예로서의 형태에서는, 전부에 가압부 (49) 및 후부에 수압부 (50) 를 갖고 있다. 상아암부 (46) 와 연결부 (48) 에서 연결되어 있는 하아암부 (47) 는, 상기 상아암부 (46) 와 동일 면에 위치하는 제 1 하아암부 (47A) 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 그 제 1 하아암부 (47A) 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그 제 1 하아암부 (47A) 와 평행한 판면 부분을 이루는 제 2 하아암부 (47B) 를 갖고 있다. 그 제 2 하아암부 (47B) 는 상기 제 1 하아암부 (47A) 의 전부 하연에서 굴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 (47C) 에 의해 그 제 1 하아암부 (47A) 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하아암부 (47A) 는 이 연장 돌출부 (47C) 의 바로 후방 위치에 그라운드 접촉부 (51) 그리고 후단 위치에 지지부 (53) 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하아암부 (47A) 는 상아암부 (46) 와 거의 동일하게 길게 연장되어 있으나, 제 2 하아암부 (47B) 는 상기 연장 돌출부 (47C) 의 위치보다 전방으로만 연장되어 있어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하아암부 (47B) 는 연장 돌출부 (47C) 의 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굴곡됨으로써 상기 제 1 하아암부 (47A) 와 평행한 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하아암부 (47B) 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돌출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 돌출부 (47C) 는 땜납 고정부 (44) 와 연결되어 있어 동일 면을 이루고 있고, 땜납 고정부 (44) 의 일부로서 회로 기판과의 땜납 고정에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도 6 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압부 (49) 와 로크 돌출부 (52) 가 단자 배열 방향, 즉 평형 도체의 폭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돌출부 (52) 가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2) (도 1 참조) 에 돌입하여 걸렸을 때에는, 상기 가압부 (49) 는 전후 방향에서 걸림 오목부 (F2) 의 범위 내에서 또한 그 걸림 오목부 (F2) 의 측연 근방에서 평형 도체 (F) 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가압부 (49) 에 의한 가압 위치가 전후 방향에서 로크 돌출부 (52) 와 일치하기 때문에, 평형 도체 (F) 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외력을 받아도, 들어 올리는 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아, 로크를 위한 가압이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도 1 내지 도 6 의 형태는, 로크 부재 (45) 는 실드부 (41) 를 갖는 금속 쉘 (40) 의 일부로서 만들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로크 부재 (45) 는 실드부 (41) 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을 필요가 없어, 로크 부재 (45) 는 실드부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갖는 부분과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변형예로서의 형태는, 로크 부재 (45) 와 땜납 고정부 (44) 나아가서는 지지 아암부 (43') 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7 의 형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 (45) 자체는, 도 3 그리고 도 5 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압부 (49) 를 갖는 상아암부 (46) 와 로크 돌출부 (52) 를 갖는 하아암부 (47) 는 동일 면에 위치하고 있고, 이 하아암부 (47) 의 전부에서 굴곡되어 회로 기판과 평행한 면을 이루는 땜납 고정부 (44) 를 갖고, 추가로 굴곡되어 상기 로크 부재 (45) 와 평행한 면을 이루는 지지 아암부 (43') 를 갖고 있다. 이 지지 아암부 (43') 자체는, 도 3 의 형태의 금속 쉘 (40) 에서의 측부 실드부 (43) 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도 7 에서의 로크 부재 (45), 땜납 고정부 (44) 그리고 지지 아암부 (43') 를 일체로 갖는 부재는, 도 3 에서의 금속 쉘 (40) 로부터 상부 실드부 (42) 를 잘라내고, 남은 부재와 동일한 형태이다. 도 7 에서 상기 지지 아암부 (43') 의 전부는 레그부 (43A-2) 를 이루어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이 가능하고 상기 땜납 고정부 (44) 와 서로 작용하여 커넥터의 고정에 제공한다. 또, 상기 지지 아암부 (43') 의 후부에는, 계단 형상으로 잘라내어진 축지지부 (43B-1) 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부재가 단자 배열 방향 양 단에 회전 운동축을 갖고 있을 때에, 상기 축지지부 (43B-1) 는 이 회전 운동축을 수용하여 지지한다.
도 8 은, 로크 부재 (45) 와 땜납 고정부를 일체로 한 변형예로서의 형태이다. 이 도 8 의 형태에서는 로크 부재 (45) 는 다시, 가압부 (49) 와 로크 돌출부 (52) 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떨어져서 평행한 두 개의 판면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도 6 의 로크 부재 (45) 와 동일한 형태이다. 즉, 제 2 하아암부 (47B) 의 하연에서 굴곡되어 연장 돌출부 (47C) 가 연장되고, 이 연장 돌출부 (47C) 로부터 상방을 향해 굴곡되어 돌출되는 로크 돌출부 (52)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 돌출부 (47C)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상기 로크 돌출부 (52) 의 위치보다 앞쪽까지 동일 면에서 연장되는 땜납 고정부 (44) 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고, 그 땜납 고정부 (44) 와 서로 작용하여 회로 기판과의 땜납에 의한 고정에 제공한다. 도 8 의 형태에서, 땜납 고정부 (44) 는 없어도 되고, 연장 돌출부 (47C) 에서의 땜납 고정만으로도 충분하다. 또, 다른 고정부에서의 고정력이 충분하면, 연장 돌출부 (47C) 에서의 땜납 고정도 불필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회로 기판과 평행한 방향에서 평형 도체가 삽입되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커넥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우징이 상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고 있어, 평형 도체가 회로 기판과 직각인 방향에서 그 개구부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이른바 세로형 (버티컬 타입) 커넥터여도 된다.
또, 신호 단자는 도시된 것과 같은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한 것이 아니어도 되고, 금속판의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이른바 굴곡 단자여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커넥터는, 신호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가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갖고, 양 아암부가 그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그 연결부보다 전방에서 양 아암부 사이에 평형 도체를 수용하고, 연결부보다 후방에서 가동 부재의 작용에 의해 상아암부를 기울임으로써 상아암부 전단부에서 평형 도체를 하아암부 전단의 접촉부에 가압하는, 이른바 백 플립형 단자를 갖는 커넥터에 장착되는 형식의 커넥터였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프론트 플립형 단자를 갖는 커넥터로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단자의 형상 및 가동 부재가 전단측에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상이하기 때문에, 그 단자 및 가동 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 에서 로크 부재 (60) 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의 평면인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다. 상아암부 (61) 와 하아암부 (62) 는 그들의 후부에서 연결부 (63)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아암부 (61) 는 연결부 (6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휘는 탄성을 갖고 있다. 그 상아암부 (61) 의 전부에는 역 U 자 형상의 안내 지지부 (64)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아암부 (62) 는 하우징 (70) 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전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돌출부 (66)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 (80) 는 일단측에 조작부 (81) 를, 그리고 타단측에 로크 부재 (60) 의 상아암부 (61) 의 전단부를 수용하는 홈부 (81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 (81A) 에는 축부 (8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80) 는, 도 9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로 놓인 자세의 닫힘 위치와, 상기 축부 (82) 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주위로 회전 운동하여 수립 (垂立) 자세의 열림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축부 (82) 는 상기 로크 부재 (60) 의 안내 지지부 (64) 에 의해, 회전 운동 안내 지지를 받는다.
가동 부재 (80) 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는,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에 로크 돌출부 (66) 가 진입한다. 한편, 평형 도체 (F) 를 가압하는 가동 부재 (80) 가 그 축부 (82) 에서 상기 로크 부재 (60) 의 안내 지지부 (64) 로부터의 반력을 받는다. 이 반력은 가동 부재 (80) 를 통해 평형 도체 (F) 에 대한 가압력이 된다. 따라서, 평형 도체 (F) 는 상방으로부터 이 가압력을 받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외력을 받아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 않아, 로크 돌출부 (66) 는 상기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 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평형 도체 (F) 의 발출 방향에서의 로크 돌출부 (66) 와의 걸림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평형 도체 (F) 의 하면에 그라운드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아암부 (62) 의 상연에 형성된 그라운드 접촉부 (67) 에 상기 그라운드 접점을 접촉시킴으로써, 로크 부재 (60) 는 그라운드 단자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A, 20B 신호 단자
26A, 26B 접촉부
30 가동 부재
40 금속 쉘
41 실드부
44 땜납 고정부
45 로크 부재
51 그라운드 접촉부
52 로크 돌출부
60 로크 부재
61 상아암부
62 하아암부
63 연결부
64 안내 지지부
66 로크 돌출부
80 가동 부재
81 축부
F 평형 도체
F2 피걸림부

Claims (7)

  1. 금속판의 신호 단자와, 복수의 그 신호 단자를 배열 유지하는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전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평형 도체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로부터 그 평형 도체를 신호 단자의 접촉부에 가압하는 닫힘 위치를 향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부재와, 삽입된 평형 도체의 빠짐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로크 부재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 부분을 갖고 만들어지고, 그 판면 부분이 신호 단자의 배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유지되어 있고, 로크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판면 부분에 형성된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갖고,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그 연결부보다 전방의 상아암부 전부과 하아암부 전부 사이에 상기 평형 도체를 삽입할 수 있게 하고 있고, 하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면 부분의 면을 포함하는 면 내에서 상기 하아암부에 대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도록 탄성 변위 가능하고, 로크 부재는 상기 상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는 로크 돌출부를 각각 갖고 있고, 로크 부재는 그들의 상아암부 후부에 가동 부재의 캠부가 맞닿는 수압부를 갖고 있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수압부가 캠부에 가압되어, 상기 로크 부재의 상아암부가 가압부에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높이도록 탄성 변위되고,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 전부의 로크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전후 방향에서 간섭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 단자는 연결부에서 연결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갖고, 상아암부 전부에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그리고 상아암부 후부에 가동 부재의 캠부가 맞닿는 수압부를 갖고 있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수압부가 캠부에 가압되어, 상기 상아암부가 접촉부에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높이도록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신호 단자의 적어도 배열 범위를 덮는 실드부를 갖는 금속 쉘이 장착되어 있고, 그 금속 쉘의 일부가 로크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로크 부재와 상기 실드부가 1 부재로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는 하아암부 및 상아암부의 적어도 일방에 평형 도체의 그라운드 회로부와 접촉하는 그라운드 접촉부를 갖고 있어 그라운드 부재도 겸하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금속 쉘은 실드부와 로크 부재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회로 기판의 면에 접면 하는 땜납 고정부를 갖고, 그 고정부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땜납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는, 판면 부분이 단자 배열 방향으로 이간되어 위치하고 서로 연결된 평행한 면의 2 부위로서 형성되고, 일방의 부위에 가압부 및 타방의 부위에 로크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7. 금속판의 신호 단자와, 복수의 그 신호 단자를 배열 유지하는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전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평형 도체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열림 위치로부터 그 평형 도체를 신호 단자의 접촉부에 가압하는 닫힘 위치를 향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부재와, 삽입된 평형 도체의 빠짐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로크 부재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 부분을 갖고 만들어지고, 그 판면 부분이 신호 단자의 배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유지되어 있고, 로크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판면 부분에 형성된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갖고,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는 서로의 후부에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 사이에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하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되고, 상아암부가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판면 부분의 면을 포함하는 면 내에서 상기 하아암부에 대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도록 탄성 변위 가능하고, 로크 부재는 상기 상아암부에 상기 가동 부재의 축부를 안내 지지하는 안내 지지부가 형성되고,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에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는 로크 돌출부를 각각 갖고 있어,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안내 지지부가 상기 가동 부재의 축부에 가압되어, 상기 가동 부재가 그 축부로부터의 반력으로서의 가압력에 의해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높여, 로크 부재의 하아암부의 로크 돌출부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전후 방향에서 간섭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00028380A 2009-03-31 2010-03-30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692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4868 2009-03-31
JP2009084868A JP4995861B2 (ja) 2009-03-31 2009-03-31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482A KR20100109482A (ko) 2010-10-08
KR101692210B1 true KR101692210B1 (ko) 2017-01-03

Family

ID=4294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380A KR101692210B1 (ko) 2009-03-31 2010-03-30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95861B2 (ko)
KR (1) KR101692210B1 (ko)
CN (1) CN101859948B (ko)
TW (1) TWI5040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8733B2 (ja) * 2009-07-16 2014-05-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US9153888B2 (en) 2010-10-22 2015-10-06 Fci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JP4945006B1 (ja) * 2011-09-26 2012-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79078B2 (ja) 2011-11-28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89362B2 (ja) * 2012-03-08 2016-09-0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5340135B (zh) * 2013-04-18 2019-12-17 Fci连接器新加坡私人有限公司 低矮型电路板连接器
KR101512113B1 (ko) 2013-08-07 2015-04-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99128B1 (ko) * 2014-01-23 2015-03-05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쉴드 타입 커넥터
JP2016004618A (ja) * 2014-06-13 2016-01-12 株式会社東芝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342342B2 (ja) * 2015-01-26 2018-06-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56808B2 (ja) * 2015-02-17 2020-03-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組立体
JP6356167B2 (ja) * 2016-02-10 2018-07-11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JP6634348B2 (ja) * 2016-06-22 2020-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
JP6530110B2 (ja) * 2018-06-12 2019-06-12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JP6874059B2 (ja) * 2019-06-14 2021-05-19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CN216529647U (zh) * 2021-12-08 2022-05-13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ffc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1067A (ja) 2002-12-25 2004-08-05 D D K Ltd コネクタ
JP2008192574A (ja) 2007-02-08 2008-08-21 Smk Corp コネクタ
JP2008243554A (ja) 2007-03-27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53U (ja) * 1992-07-31 1994-03-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0223218A (ja) * 1999-01-27 2000-08-11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コネクタ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3925919B2 (ja) * 2002-11-14 2007-06-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4479989B2 (ja) 2003-08-29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60802A (ja) * 2005-03-15 2006-09-28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コネクタ、当該コネクタを備えた光源モジュール及び面光源装置
JP4429246B2 (ja) * 2005-09-30 2010-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951321B2 (ja) * 2006-12-07 2012-06-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3904B2 (ja) * 2007-04-27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793879B2 (ja) * 2007-07-17 2011-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956339B2 (ja) * 2007-09-07 2012-06-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1067A (ja) 2002-12-25 2004-08-05 D D K Ltd コネクタ
JP2008192574A (ja) 2007-02-08 2008-08-21 Smk Corp コネクタ
JP2008243554A (ja) 2007-03-27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482A (ko) 2010-10-08
JP2010238512A (ja) 2010-10-21
CN101859948A (zh) 2010-10-13
JP4995861B2 (ja) 2012-08-08
TW201036279A (en) 2010-10-01
CN101859948B (zh) 2015-01-28
TWI504079B (zh) 201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210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6949316B2 (en) Connector
JP4834147B2 (ja) 施錠機構を備えた電子コネクタ
KR101008302B1 (ko) 편평한 단자용 커넥터
JP486331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83175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JP580920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0885863B1 (ko) 전기 커넥터
US6558187B2 (en)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KR10133130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12652902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KR10132132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WO2018012243A1 (ja) コネクタ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CN108963494B (zh) 金属卡罩及其卡连接器
US10128599B2 (en) Connector
JP4273964B2 (ja) コネクタ
JP388962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6391746B1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KR100591116B1 (ko) 전기 커넥터
KR100562774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KR100591583B1 (ko) 전기 커넥터
CN220821979U (zh) 一种板端连接器
JP431868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17199864A (zh) 一种端子及板端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