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113B1 -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113B1
KR101512113B1 KR20130093622A KR20130093622A KR101512113B1 KR 101512113 B1 KR101512113 B1 KR 101512113B1 KR 20130093622 A KR20130093622 A KR 20130093622A KR 20130093622 A KR20130093622 A KR 20130093622A KR 101512113 B1 KR101512113 B1 KR 10151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insulator housing
locking pin
shel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548A (ko
Inventor
이수찬
송인덕
박건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1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된 커버 쉘; 및 상기 커버 쉘에 구비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에 끼워지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IMPROVED FLAT CABLE CONNECTOR FOR LOCKING MEMBER}
본 발명은 플랫(Flat) 타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의 체결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 부재의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TV나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OLED TV,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이하, '플랫 케이블'이라 함)을 접속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는 절연체 하우징과,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조립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와, 삽입된 플랫 케이블을 상기 컨택트에 대하여 가압 및 고정하도록 절연체 하우징에 결합된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125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019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917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컨택트의 일부에 형성된 피벗부에 구속된 채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절연체 하우징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컨택트는 실질적으로 두 가닥으로 분기된 도체핀 형태로 구성된다. 컨택트를 이루는 두 가닥의 도체핀 중 한쪽은 플랫 케이블의 시그널층(Signal layer)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쪽은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피벗부를 제공한다.
다른 형태의 커넥터로서, 일본특허공개 제2004-071160호에는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도체핀과, 상기 한 쌍의 도체핀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컨택트를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한쪽 편에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고, 다른쪽 편에는 슬라이더의 압압부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과 커넥터 간의 체결이 정위치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하기가 곤란하여 접속 불량이 종종 발생하는 취약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절연체 하우징 내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고정이 액츄에이터의 클로즈(Close) 작용에 의존하여 이루어짐으로 인해 외력에 의해 플랫 케이블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의 체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탄성체 록킹핀이 쉘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랫 케이블이 탄성체 록킹핀에 작은 삽입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탄성체 록킹핀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구조의 쉘을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체결부를 가진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된 커버 쉘; 및 상기 커버 쉘에 구비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홈에 끼워지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 쉘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탑 쉘과,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는 바텀 쉘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 쉘에 상기 록킹핀이 구비되고, 상기 탑 쉘에는 상기 록킹핀의 이동량을 정의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핀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 홀에 끼워져서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 쉘은 상기 바텀 쉘에 대하여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탑 쉘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록킹핀이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바텀 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 케이블을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플랫 케이블의 체결이 자동으로 완료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탑 쉘을 슬라이딩할 경우에는 매우 작은 삽입력으로 플랫 케이블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록킹핀에 의해 클릭감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의 체결상태를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록킹핀의 탄성 작용에 의해 록킹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을 강제로 잡아당기더라도 커넥터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커넥터에 대한 플랫 케이블 체결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록킹핀에 의해 플랫 케이블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플랫 케이블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에서 액츄에이터를 후진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플랫 케이블의 삽입 후 액츄에이터를 원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액츄에이터의 슬라이딩 전,후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100)과, 절연체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101)와, 절연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결합되는 커버 쉘(102,103)과, 커버 쉘(102,103)에 설치되어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에 대하여 록킹 기능을 제공하는 록킹핀(104)을 포함한다.
절연체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을 삽입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플랫 케이블(1)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은 적어도 플랫 케이블(1)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랫 케이블(1)은 FPC나 FFC와 같은 케이블이며,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는 체결부로서 바람직하게 체결홈(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컨택트(101)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 핀 형태로 구성되어 그 일부가 절연체 하우징(100)의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에 조립된다. 플랫 케이블(1)의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컨택트(101)는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형성된 시그널 전달용 배선 패턴과 접촉을 이룬다.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한쪽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소정의 슬롯(Slot)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커버 쉘(102,103)은 절연체 하우징(100)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결합된다. 커버 쉘(102,103)은 절연체 하우징(100)의 상부에 체결되는 탑 쉘(102)과, 절연체 하우징(100)의 하부에 체결되는 바텀 쉘(103)을 포함한다. 탑 쉘(102)은 바텀 쉘(103)에 대하여 절연체 하우징(100)의 폭방향으로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바텀 쉘(103)에 조립된다. 플랫 케이블(1)의 체결 과정을 편리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탑 쉘(102)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텀 쉘(103)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1)의 양단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하는 지점에는 탑 쉘(102)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탄성 변형과 복원이 가능한 록킹핀(104)이 구비되고, 탑 쉘(102)에는 록킹핀(104)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이동량을 정의하는 가이드 홀(102a)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04)은 바텀 쉘(103)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1)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홈(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록킹핀(104)은 바텀 쉘(103)에 일체로 형성된다.
록킹핀(104)은 플랫 케이블(1)의 삽입시 플랫 케이블(1)의 체결홈(2)에 끼워질 수 있는 후크부(104a)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록킹핀(104)의 후크부(104a)는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플랫 케이블(1)의 삽입력을 감소시키고 록킹 완료시 플랫 케이블(1)을 구속할 수 있도록 플랫 케이블(1)의 진입방향으로 가면서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핀(104)은 플랫 케이블(1)의 삽입시 플랫 케이블(1)에 의해 밀려서 탄성변형되었다가 후크부(104a)가 플랫 케이블(1)의 체결홈(2)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된다.
록킹핀(104)의 이동량, 즉 탄성 변형에 의해 이동하는 정도는 탑 쉘(102)에 형성된 가이드 홀(102a)에 의해 결정된다. 록킹핀(104)의 일부는 가이드 홀(102a)을 관통하도록 끼워져서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가이드 홀(102a)은 플랫 케이블(1)의 삽입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내벽이 비스듬히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탑 쉘(102)의 슬라이딩 시 록킹핀(104)이 가이드 홀(102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는 플랫 케이블(1)이 삽입되어 록킹핀(104)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지는 동작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내부로 플랫 케이블(1)을 밀어넣으면 록킹핀(104)은 가이드 홀(102a) 내에 구속된 상태에서 바깥 방향으로 밀리면서 탄성 변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이 완료되어 체결홈(2)이 록킹핀(104)의 후크부(104a)를 통과하게 되면 록킹핀(104)이 복원되면서 그 후크부(104a)가 체결홈(2)에 끼워져서 록킹됨으로써 플랫 케이블(1)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1)이 성공적으로 체결되었음을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다.
록킹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록킹핀(104)의 후크부(104a)가 플랫 케이블(1)의 체결홈(2)에 완전히 걸리게 되므로 강제로 플랫 케이블(1)을 당겨서 발거를 시도하더라도 플랫 케이블(1)은 커넥터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플랫 케이블(1)의 체결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탑 쉘(102)을 후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록킹핀(104)을 바깥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잡아 당김으로써 간편히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은 도 6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에는 탑 쉘(102)의 슬라이딩 작용을 이용하여 더욱 작은 삽입력으로 플랫 케이블(1)을 체결하는 동작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내부로 플랫 케이블(1)을 밀어넣기 전에 미리 탑 쉘(102)을 후진 슬라이딩시키면 탑 쉘(102)의 가이드 홀(102a) 내에 구속된 록킹핀(104)은 가이드 홀(102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바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밀어넣으면 록킹핀(104)과의 간섭이 미미하거나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므로 매우 작은 삽입력으로 플랫 케이블(1)을 커넥터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탑 쉘(102)을 원위치로 전진 슬라이딩시키면 록킹핀(104)은 가이드 홀(102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안쪽 방향, 즉 플랫 케이블(1) 방향으로 복원되어 플랫 케이블(1)의 체결홈(2)에 끼워져서 록킹됨으로써 플랫 케이블(1)의 체결이 완료된다.
플랫 케이블(1)의 체결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탑 쉘(102)을 다시 후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록킹핀(104)을 바깥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잡아 당김으로써 간편히 분리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04)은 탑 쉘(102)의 가이드 홀(102a) 내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탑 쉘(102)의 슬라이딩 시 가이드 홀(102a)의 경사진 내벽에 의해 가이드되어 탄성변형된다.
탑 쉘(102)의 후진 슬라이딩 시 록킹핀(104)은 가이드 홀(102a)에 의해 가이드되어 바깥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후크부(104a)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펼쳐짐으로써 플랫 케이블(1)이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탑 쉘(102)의 전진 슬라이딩 시에는 록킹핀(104)은 가이드 홀(102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플랫 케이블 2: 체결홈
100: 절연체 하우징 101: 컨택트
102: 탑 쉘 102a: 가이드 홀
103: 바텀 쉘 104: 록킹핀

Claims (6)

  1. 체결부를 가진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탑 쉘과,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하부에 체결되는 바텀 쉘을 구비한 커버 쉘;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 쉘에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삽입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에 끼워지는 록킹핀이 구비되고,
    상기 탑 쉘에는 상기 록킹핀의 탄성 변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에 끼워져서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 쉘은 상기 바텀 쉘에 대하여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탑 쉘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록킹핀이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바텀 쉘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30093622A 2013-08-07 2013-08-07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51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622A KR101512113B1 (ko) 2013-08-07 2013-08-07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622A KR101512113B1 (ko) 2013-08-07 2013-08-07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48A KR20150017548A (ko) 2015-02-17
KR101512113B1 true KR101512113B1 (ko) 2015-04-14

Family

ID=5303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3622A KR101512113B1 (ko) 2013-08-07 2013-08-07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622351U (zh) * 2021-03-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8512A (ja) 2009-03-31 2010-10-21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064310A (ja) 2009-06-03 2012-03-29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8512A (ja) 2009-03-31 2010-10-21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064310A (ja) 2009-06-03 2012-03-29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48A (ko)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28B2 (en) Connector
US851205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558824B2 (ja) コネクタ装置
NL2015465B1 (en) Plug connector.
US20130029516A1 (en) Connector
JP2006190596A (ja)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US10665989B2 (en) Connector including a catching portion that catches an elastic locking portion of a mating connector, and an unlocking member to release the elastic locking portion
JP5076947B2 (ja) コネクタ装置
JP7229125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292278B1 (ko)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9048941A (ja) コネクタ装置
KR101512113B1 (ko)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546804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150401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WO201417130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553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US10637191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544906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260320B1 (ko)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586248B1 (ko) 이탈 방지 핀이 구비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16085812A (ja) 電気コネクタ
KR101235416B1 (ko)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