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024B1 -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024B1
KR101216024B1 KR1020110031271A KR20110031271A KR101216024B1 KR 101216024 B1 KR101216024 B1 KR 101216024B1 KR 1020110031271 A KR1020110031271 A KR 1020110031271A KR 20110031271 A KR20110031271 A KR 20110031271A KR 101216024 B1 KR101216024 B1 KR 101216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insulator housing
locking
actua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523A (ko
Inventor
이익균
송인덕
박건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1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02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부를 가진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에 끼워지는 록킹부를 구비한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FLAT CABLE CONNECTOR HAVING LOCKING MEMBER}
본 발명은 플랫(Flat) 타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의 체결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컨택트의 수도 많아지고 컨택트 간의 배열 피치(Pitch) 또한 매우 좁게 설계되는 추세에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절연체 하우징(10)과, 절연체 하우징(1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11)와, 수용된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1)에 대하여 가압 및 고정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에 결합된 액츄에이터(Actuator)(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2)는 컨택트(11)의 일부에 형성된 피벗부(Pivot portion)(11b)에 구속된 채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절연체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다.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11)는 실질적으로 두 가닥으로 분기된 도체핀 형태로 구성된다. 컨택트(11)를 이루는 두 가닥의 핀 중 한쪽은 플랫 케이블(1)의 시그널층(Signal layer)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인 접촉부(11a)를 제공하고, 다른쪽은 액츄에이터(12)를 지지하는 피벗부(11b)를 제공한다.
다른 형태의 커넥터로서, 일본특허공개 제2004-071160호에는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도체핀과, 상기 한 쌍의 도체핀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컨택트를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지지부를 기준으로 한쪽 편에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고, 다른쪽 편에는 슬라이더의 압압부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삽입 성공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하기가 곤란하여 접속 불량이 종종 발생하는 취약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절연체 하우징 내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고정이 액츄에이터의 클로즈(Close) 작용에 의해서만 이루어짐으로 인해 외력에 의해 플랫 케이블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의 체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록킹(Locking) 수단이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체결부를 가진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에 끼워지는 록킹부를 구비한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록킹핀은, 상기 록킹부에 인접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삽입에 의해 상기 록킹부와 함께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록킹부가 상기 체결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핀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 샤프트를 지지하는 액츄에이터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플랫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부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록킹핀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편에 위치하는 단일 가닥의 금속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된 하우징 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록킹핀에 의해 클릭감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의 체결상태를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록킹핀에 마련된 텐션부에 의해 록킹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을 강제로 잡아당기더라도 탈거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시 록킹핀에 의해 플랫 케이블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록킹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록킹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플랫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100)와, 절연체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103)와, 절연체 하우징(100)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체결된 액츄에이터(101)와, 절연체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에 대하여 록킹 기능을 제공하는 록킹핀(104)과, 절연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쉘(105)을 포함한다.
절연체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FPC나 FFC와 같은 플랫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은 실질적으로 플랫 케이블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액츄에이터(101)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절연체 하우징(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액츄에이터 지지부재(102)가 구비된다. 액츄에이터 지지부재(102)는 액츄에이터(101)의 한쪽 가장자리단에 마련된 회전 샤프트(도 8의 101a 참조)를 지지함으로써 액츄에이터(101)에 커플링된다. 액츄에이터 지지부재(102)는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 고정되고,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컨택트(103)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 핀 형태로 구성되어 그 일부가 절연체 하우징(100)의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컨택트(103)는 플랫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액츄에이터 지지부재(102)의 타편에 위치하여, 플랫 케이블의 하면에 형성된 시그널 전달용 배선층인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룬다. 컨택트(103)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한쪽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소정의 슬롯(Slot)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컨택트(103)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액츄에이터 지지부재(102)와 컨택트(10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컨택트(103)와 액츄에이터 지지부재(102)가 플랫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된다.
액츄에이터(101)는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에 위치하고 액츄에이터 지지부재(102)에 의해 지지된다. 액츄에이터(101)는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액츄에이터(101)는 클로즈 위치에서 플랫 케이블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04)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 구조의 체결부(도 9의 1a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04)은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1a)에 끼워지는 돌기 형상의 록킹부(104b)와, 록킹부(104b)에 인접한 텐션부(104c)를 포함한다.
록킹부(104b)는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플랫 케이블(1)의 삽입력을 감소시키고, 록킹 완료시 플랫 케이블을 구속할 수 있도록 플랫 케이블의 진입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지면으로부터 높아지는 형태로 상면이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텐션부(104c)는 플랫 케이블(1)에 의해 밀려서 록킹부(104b)와 함께 탄성변형되었다가 록킹부(104b)가 체결부(1a)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록킹핀(104)의 상부에는 액츄에이터(101)의 회전 샤프트를 지지하는 액츄에이터 지지부(104a)가 구비된다.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록킹부(104b)와 액츄에이터 지지부(104a)는 플랫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호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대안으로, 록킹핀(10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부(104a)가 없는 단일 가닥의 금속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밖에, 록킹핀(104)에는 록킹핀(104)의 후미에 위치하는 기판실장부(104e)와, 텐션부(104c)와 기판실장부(104e) 사이에 구비되어 절연체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104d)가 마련된다.
록킹핀(104)이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었을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104b)의 상면은 플랫 케이블(1)이 진행하는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랫 케이블(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홈 형태의 체결부(1a)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 쉘(105)은 절연체 하우징(100)의 상면과 하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결합된다.
도 10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동작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삽입공간에 플랫 케이블(1)을 밀어넣었을 때 플랫 케이블(1)은 록킹핀(104)에 의해 삽입이 가이드됨과 동시에 삽입력이 감소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이 진행되었을 때 록킹핀(104)은 하방으로 탄성변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이 완료된 지점에서 록킹핀(104)의 록킹부(104b)는 플랫 케이블(1)의 체결부(1a)에 끼워지면서 상방으로 복원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1)이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1)를 클로즈 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액츄에이터(101)에 의해 플랫 케이블(1)이 하방으로 눌려서 체결부(1a)에 록킹핀(104)의 록킹부(104b)가 완전히 끼워짐으로써 록킹이 완료된다. 록킹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록킹부(104b)가 플랫 케이블(1)의 체결홈(1a)에 완전히 걸리게 되므로 강제로 플랫 케이블(1)을 당겨서 발거를 시도하더라도 플랫 케이블(1)이 이탈되지 않는다.
플랫 케이블(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액츄에이터(101)를 상방으로 젖혀서 오픈 위치로 전환하면 된다. 액츄에이터(101)가 오픈 위치로 전환되면 플랫 케이블(1)을 하방으로 누르던 힘이 제거되어 플랫 케이블(1)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므로 플랫 케이블(1)을 잡아당김으로써 간편하게 커넥터로부터 플랫 케이블(1)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플랫 케이블 1a: 체결부
100: 절연체 하우징 101: 액츄에이터
102: 액츄에이터 지지부재 103: 컨택트
104: 록킹핀 104a: 액츄에이터 지지부
104b: 록킹부 104c: 텐션부
104d: 하우징 고정부 104e: 기판실장부
105: 하우징 쉘

Claims (6)

  1. 체결부를 가진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플랫 케이블의 일면에 마련된 시그널층과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에 끼워지는 록킹부를 구비한 록킹핀;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 샤프트를 지지하는 액츄에이터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가 상기 플랫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츄에이터 지지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은,
    상기 록킹부에 인접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삽입에 의해 상기 록킹부와 함께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록킹부가 상기 체결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체결부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핀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된 하우징 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20110031271A 2011-04-05 2011-04-05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21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71A KR101216024B1 (ko) 2011-04-05 2011-04-05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71A KR101216024B1 (ko) 2011-04-05 2011-04-05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523A KR20120113523A (ko) 2012-10-15
KR101216024B1 true KR101216024B1 (ko) 2012-12-27

Family

ID=4728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271A KR101216024B1 (ko) 2011-04-05 2011-04-05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922A (ko) * 2018-08-10 2020-02-1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94B1 (ko) * 2013-10-04 2015-02-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지 기능을 구비하는 fpc/ffc용 커넥터
DE102015004160A1 (de) * 2015-03-30 2016-10-06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Test-Contactor, Verfahren und Verwend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76B1 (ko) * 2009-04-29 2010-03-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76B1 (ko) * 2009-04-29 2010-03-0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922A (ko) * 2018-08-10 2020-02-1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2136766B1 (ko) 2018-08-10 2020-07-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523A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6737B1 (en) Connector
KR101360505B1 (ko) 전기 커넥터
JP4484218B2 (ja) コネクタ
EP1950847B1 (en) Connector
US20070066127A1 (en) Connector having an actuator which is stably operable
JP2006351453A (ja) コネクタ
KR101302844B1 (ko) 커넥터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EP2741373B1 (en) Electrical connector
JP5076947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292278B1 (ko)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KR102165737B1 (ko) 플랫 케이블 커넥터용 홀드다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221506B1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JP4109978B2 (ja) Fpc用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101142084B1 (ko) 록킹 구조를 갖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5185543B2 (ja) コネクタ
KR1014553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KR101311482B1 (ko)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1544906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70428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512113B1 (ko)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