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922A - 플랫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922A
KR20200017922A KR1020180093483A KR20180093483A KR20200017922A KR 20200017922 A KR20200017922 A KR 20200017922A KR 1020180093483 A KR1020180093483 A KR 1020180093483A KR 20180093483 A KR20180093483 A KR 20180093483A KR 20200017922 A KR20200017922 A KR 2020001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terminal
protruding
upper protrusion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766B1 (ko
Inventor
오충의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7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은 플렛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 영역에 장착되고, 전단으로부터 제1하부 접속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1하부 접속단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제1상부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의 측면에 장착되고, 전단으로부터 제2하부 접속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2하부 접속단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제2상부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제2터미널 및, 전단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전방의 개방위치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제1하부 접속단 및 제2하부 접속단의 접촉부를 가압 접속시키는 폐쇄위치로 회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두께 내에는 후방 영역으로 개방된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이 제한길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한길이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커넥터{FLAT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걸림홈을 형성시켜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전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림 위치시킴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액추에이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와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크기가 소형화되고 두께도 얇아짐에 따라 내부에 조립되는 각종 전자부품의 크기도 함께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과 전자부품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FPC (Flexible Printed Cable) 커넥터나, FFC(Flexible Flat Cable) 커넥터 등과 같은 플랫 타입의 커넥터(이하, 플랫 케이블 이라 함)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플랫 케이블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과 전자부품들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플랫 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종래의 플랫 케이블 커넥터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삽입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케이블의 단자와 접속되는 터미털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케이블의 결합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잠금 및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플랫 케이블 커넥터는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액추에이터 개방위치)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되는 구조가 없어, 액추에이터가 하방으로 빠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케이블 삽입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03648호(2003년 01월 1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FPC/FFC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걸림홈을 형성시켜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전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림 위치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상하 방향에 대한 걸림 구조가 함께 적용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액추에이터의 빠짐 및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 커넥터는, 전방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 영역에 장착되고, 전단으로부터 제1하부 접속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1하부 접속단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제1상부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의 측면에 장착되고, 전단으로부터 제2하부 접속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2하부 접속단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제2상부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제2터미널 및, 전단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전방의 개방위치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제1하부 접속단 및 제2하부 접속단의 접촉부를 가압 접속시키는 폐쇄위치로 회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두께 내에는 후방 영역으로 개방된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이 제한길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한길이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전단에는 상기 제1상부 돌출단의 전단이 상기 회전축의 상방을 통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전후로 관통된 관통홀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간격부를 통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상부 돌출단에는 상부로 절곡 연장되며, 하부에 회피공간에 상기 회전축이 위치되도록 제1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후방의 폐쇄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관통홀의 내부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상부 돌출단에는 상부로 절곡된 후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후방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2절곡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부의 상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후방의 폐쇄위치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간격부의 내부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상단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전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동일 높이 또는 처짐방지간격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삽입구의 상면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상부 돌출단의 전단을 상방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하부 개방홈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전단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상부 개방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 상면에는 한 쌍의 축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좌우측 양단에는 상기 회전축과 동일 선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 결합홈에 대응 삽입되는 보조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걸림홈을 형성시켜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전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림 위치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상하 방향에 대한 걸림 구조가 함께 적용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액추에이터의 빠짐 및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추에이터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록킹홈과 록킹돌기를 이용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고정시킴으로써,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관통홀과 간격부 내에 위치되므로, 액추에이터 폐쇄시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액추에이터가 교차로 위치되므로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저면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A-A선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B-B선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저면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A-A선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B-B선 단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의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제1터미널(200)과, 제2터미널(300) 및, 액추에이터(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절연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 영역에는 플랫형 케이블(10)의 결합 단부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구(110)가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 영역에는 후술 될 제1터미널(200)과 제2터미널(300)을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홈(120)이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장착홈(120)들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장착홈(120)들은 후술 될 제1터미널(200) 및 제2터미널(300)들의 좌우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후방 영역의 상면에는 후술 될 액추에이터(400)가 결합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의 상면에 장착홈(120)들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후방 영역은 후술 될 제1터미널(200) 및 제2터미널(300)들과 케이블(10)이 접속될 수 있도록 삽입구(110)의 후방과 연통된다.
특히, 삽입구(110)의 상부 두께 내에는 후술 될 제1상부 돌출단(220) 및 제2상부 돌출단(320)의 전단을 삽입시키기 위한 걸림홈(130)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30)들은, 장착홈(120)들의 전방과 나란한 위치에서 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홈(130)은 도 7 내지 8a에서처럼 다수의 하부 개방홈(131) 및, 다수의 상부 개방홈(1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방홈(131)은, 삽입구(110)의 상면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 될 제1상부 돌출단(220)의 전단을 상방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개방홈(131)은 장착홈(120)의 전방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삽입구(110)가 형성된 하방으로 개방되어 후술 될 제1상부 돌출단(220)의 상단을 상방에서 지지한다.
상부 개방홈(132)은, 하우징(100)의 상면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 될 제2상부 돌출단(320)의 전단을 하방에서 지지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은 장착홈(1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장착홈(1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도 4와 6에서처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홈(121)이 측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홈(121)에는, 후술 될 제1터미널(200)과 제2터미널(30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된 록킹돌기(230)(330)가 암수로 대응되게 삽입된다.
즉, 상기 록킹홈(121)과 후술 될 록킹돌기(230)(330)의 암수 결합을 통해 제1터미널(200)과 제2터미널(30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200)은, 하단이 장착홈(120)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200)들은 전도가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터미널(200)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터미널(200)의 전단으로부터 제1하부 접속단(210)이 돌출되고, 상기 제1하부 접속단(210)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상부 돌출단(220)이 전술한 하부 개방홈(131)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 접속단(210)의 전방측 상단에는 케이블(10)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2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11)의 전단에는 케이블(10)을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케이블(10)과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이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부 접속단(210)의 접속부(211)는 도 7에서처럼 삽입구(110)에 삽입된 케이블(10)의 하부 단자와 접속된다.
제1상부 돌출단(220)은, 도 7에서처럼 전단이 후술 될 관통홀(430)을 통해 걸림홈(130) 즉, 하부 개방홈(131)에 상방이 지지된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상부 돌출단(220)의 전단은 전방의 삽입구(110)를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된 하우징(100)의 두께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상부 돌출단(220)의 전단은, 하부 개방홈(131)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이 지지되어 회전축(410)이 제한길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 돌출단(220)이 제한하는 길이는 회전축(410)이 상승하여 후술 될 보조 회전축(440)들이 축 결합홈(140)들로부터 상향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제1상부 돌출단(220)은 후술 될 회전축(410)이 회전할 때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해 액추에이터(400)의 회전축(410)이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상부 돌출단(220)에는 도 7과 7a에서처럼 상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1절곡부(221)가 형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절곡부(221)는 상부로 절곡된 후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다시 하부로 절곡된 후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절곡부(221)의 전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절곡부(221)의 하부에는 상부로 오목한 회피공간(222)이 형성되며, 상기 회피공간(222) 내에는 후술 될 액추에이터(400)의 회전축(410)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221)의 하단은 도 7에서처럼 제1상부 돌출단(220)의 전방측 하단과 단차(D)를 형성하면서 더 높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221)의 상단은 후술 될 액추에이터(400)를 후방의 폐쇄위치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후술 될 관통홀(430)의 내부 또는 액추에이터(400)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터미널(2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술한 록킹홈(121)에 대응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230)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록킹돌기(230)는, 제1터미널(200)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측방으로 벤딩 성형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돌기(230)는 별도의 소재를 결합시키는 방식이 아닌, 일부분을 절개한 후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성형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2터미널(300)은, 하단이 장착홈(120)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2터미널(300)은 전도가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터미널(300)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터미널(300)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터미널(200)과 번갈아 가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터미널(300)의 전단으로부터 제2하부 접속단(310)이 돌출되고, 제2하부 접속단(310)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돌출된 제2상부 돌출단(320)이 전술한 상부 개방홈(132)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하부 접속단(310)의 전방측 상단에는 케이블(10)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311)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311)의 전단에는 케이블(10)을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케이블(10)과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이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하부 접속단(310)의 접속부(311)는 도 8에서처럼 삽입구(110)에 삽입된 케이블(10)의 하부 단자와 접속된다.
제2상부 돌출단(320)은, 도 8에서처럼 전단이 후술 될 간격부(420)을 통해 걸림홈(130) 즉, 상부 개방홈(132)에 하방이 지지된 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 돌출단(320)은 걸림홈(130)에 삽입된 상태로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액추에이터(400)가 제한길이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2상부 돌출단(320)이 제한하는 길이는 케이블(10)를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케이블(10)이 회전축(410)의 하단에 걸려서 삽입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범위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제2상부 돌출단(320)에는 상부로 절곡된 후 전방으로 절곡되어 후술 될 간격부(420) 내에 위치되는 제2절곡부(321)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상부 돌출단(320)의 전단은 도 8에서처럼 제2절곡부(321)에 의해 후방측 하단과 단차(D)를 형성하면서 상방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2절곡부(321)의 상단은 후술 될 액추에이터(400)를 폐쇄위치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후술 될 간격부(420)의 내부 또는 간격부(420)의 상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2터미널(3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술한 록킹홈(121)에 암수로 대응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330)가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록킹돌기(330)는, 제2터미널(300)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측방으로 벤딩 성형하여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상기 록킹돌기(330)는 별도의 소재를 결합시키는 방식이 아닌, 일부분을 절개한 후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성형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400)는, 전술한 제1터미널(200)과 제2터미널(300)이 설치된 장착홈(120)의 상방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액추에이터(400)는 전단의 회전축(410)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후 방향으로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400)는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시 상하 방향을 향해 길이를 갖는 상태로 개방되고, 후방의 폐쇄위치로 회동 위치시 전후 방향을 향해 길이를 갖는 상태로 수평하게 폐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4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부(420)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즉, 상기 회전축(410)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수평한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액추에이터(400)의 후단은 상기 회전축(410)을 기준으로 전방의 개방위치와 후방의 폐쇄위치로 회동 가능하다.
그리고, 액추에이터(400)의 전단에는 제1상부 돌출단(220)의 전단이 회전축(410)의 상방을 통해 하부 개방홈(131)에 삽입되도록 관통홀(43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30)은, 상기 액추에이터(4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430)은 회전축(41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430)은 제2상부 돌출단(320)의 전단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상기 관통홀(430)은 제2터미널(30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300)과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액추에이터(400)의 하면에는 폐쇄위치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제1터미널(200)과 제2터미널(30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부로 오목한 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액추에이터(400)를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제2상부 돌출단(320)의 상단과 하부로 회동된 액추에이터(400)의 전단은 동일 높이 또는 처짐방지간격(약 0.015mm, C)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간격(C)은, 액추에이터(400)를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간격부(420)에 위치된 액추에이터(400)의 전단과 제2상부 돌출단(320)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어 처짐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처짐방지간격(C)을 형성시키는 경우는 개방위치로 회동된 액추에이터(400)의 전단이 외력에 의해 처짐방지간격(C) 내에서 유동되어도 제2상부 돌출단(320)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물론, 액추에이터(400)가 처짐방지간격(C) 이상으로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2상부 돌출단(320)이 액추에이터(400)의 하방에서 위치를 제한하므로, 액추에이터(400)가 처짐방지간격(C) 이상으로 처지지 않는다.
만약, 액추에이터(400)가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되는 경우, 도 7a와 8b에서처럼 처짐방지간격(C)이 회전축(410)의 상하두께(약 0.11mm, A)보다 작기 때문에, 액추에이터(400)의 최대 처짐 발생시[(B=0)]에도 항상 회전축(410)의 상단과 제1상부 돌출단(220)의 하단 길이(B)만큼의 간격으로 액추에이터(400)를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위의 조건을 이용하면, [(A)-(B)] = 0.11 0.015 = 0.095 > 0]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400)의 고정을 위해 (B)는 (A)보다 항상 작은 값을 가지는 구조로, 액추에이터(400)가 처짐방지간격(C) 이상으로 처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제2상부 돌출단(320)의 상단과 액추에이터(400)의 전단이 동일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는 액추에이터(400)의 전단이 제2상부 돌출단(32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하우징(100)의 좌우측 상면에는 한 쌍의 축 결합홈(14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400)의 좌우측 양단에는 한 쌍의 보조 회전축(440)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회전축(440)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회전축(440)과 축 결합홈(140)의 결합을 통해 액추에이터(400)의 위치 변경 및 회동시 회전중심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400)는, 제1터미널(200)의 제1상부 돌출단(220)에 의해 회전축(410)의 상방이 지지되므로, 액추이에터(400)가 개폐 과정에서 하우징(100)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액추에이터(400)가 제1터미널(200)의 지지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액추에이터(400) 설치를 위한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한편, 액추에이터(400)의 좌우측 양단에는 개폐돌기(450)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하우징(100)의 좌우측 방향에는 액추에이터(400)를 폐쇄 위치로 수평하게 회동시 상기 개폐돌기(450)가 대응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도록 개폐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착홈(120)들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좌우측 벽면이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상기 좌우측 벽면 상에 개폐홈(150)을 대응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하우징(100)에 양 방향 걸림 구조를 형성시켜 제1터미널(200)과 제2터미널(300)의 전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걸림 위치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400)의 상하 방향에 대한 걸림 구조가 함께 적용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액추에이터(400)의 빠짐 및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추에이터(40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록킹홈과 록킹돌기를 이용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고정시킴으로써,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절곡부(221)와 제2절곡부(321)가 관통홀(430)과 간격부(420) 내에 위치되므로, 액추에이터(400) 폐쇄시 제1터미널(200) 및 제2터미널(300)과 액추에이터(400)가 교차로 위치되므로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케이블 100: 하우징
110: 삽입구 120: 장착홈
121: 록킹홈 130: 걸림홈
131: 하부 개방홈 132: 상부 개방홈
140: 축 결합홈 150: 개폐홈
200: 제1터미널 210: 제1하부 접속단
211: 접속부 220: 제1상부 돌출단
221: 제1절곡부 222: 회피공간
230: 록킹돌기 300: 제2터미널
310: 제2하부 접속단 311: 접속부
320: 제2상부 돌출단 321: 제2절곡부
330: 록킹돌기 400: 액추에이터
410: 회전축 420: 간격부
430: 관통홀 440: 보조 회전축
450: 개폐돌기 A: 회전축 상하두께
B: 회전축 상단과 제1상부 돌출단의 하단 길이
C: 처짐방지간격 D: 단차

Claims (7)

  1. 전방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 영역에 장착되고, 전단으로부터 제1하부 접속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1하부 접속단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제1상부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의 측면에 장착되고, 전단으로부터 제2하부 접속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2하부 접속단의 상방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제2상부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는 제2터미널 및, 전단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전방의 개방위치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제1하부 접속단 및 제2하부 접속단의 접촉부를 가압 접속시키는 폐쇄위치로 회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의 상부 두께 내에는, 후방 영역으로 개방된 걸림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이 제한길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로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한길이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전단에는,
    상기 제1상부 돌출단의 전단이 상기 회전축의 상방을 통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전후로 관통된 관통홀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전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간격부를 통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돌출단에는,
    상부로 절곡 연장되며, 하부에 회피공간에 상기 회전축이 위치되도록 제1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부의 상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후방의 폐쇄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관통홀의 내부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 돌출단에는,
    상부로 절곡된 후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후방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2절곡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부의 상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후방의 폐쇄위치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간격부의 내부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상단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전단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전방의 개방위치로 회동 위치시키는 경우, 동일 높이 또는 처짐방지간격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로 이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삽입구의 상면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상부 돌출단의 전단을 상방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하부 개방홈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상부 돌출단의 전단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상부 개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 상면에는,
    한 쌍의 축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좌우측 양단에는,
    상기 회전축과 동일 선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 결합홈에 대응 삽입되는 보조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20180093483A 2018-08-10 2018-08-10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2136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83A KR102136766B1 (ko) 2018-08-10 2018-08-10 플랫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83A KR102136766B1 (ko) 2018-08-10 2018-08-10 플랫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22A true KR20200017922A (ko) 2020-02-19
KR102136766B1 KR102136766B1 (ko) 2020-07-23

Family

ID=6967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483A KR102136766B1 (ko) 2018-08-10 2018-08-10 플랫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30A (ko) *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KR20230154714A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219A (ko) * 2003-10-16 2006-07-20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평면 회로 커넥터
KR20120028355A (ko) * 2012-02-27 2012-03-2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216024B1 (ko) * 2011-04-05 2012-1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57065B1 (ko) * 2013-06-07 2014-10-3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219A (ko) * 2003-10-16 2006-07-20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평면 회로 커넥터
KR101216024B1 (ko) * 2011-04-05 2012-12-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20028355A (ko) * 2012-02-27 2012-03-2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457065B1 (ko) * 2013-06-07 2014-10-3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30A (ko) *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KR20230154714A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766B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256B1 (ko) 커넥터
US9853382B2 (en) Connector
KR910000973B1 (ko) 전기 접속자
JP3146843U (ja) 電気コネクタ
JP449444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3151660A (ja) Fpc用コネクタ
CN101573841A (zh) 电缆连接器
JP4600411B2 (ja) コネクタ
WO2014136809A1 (ja) 雌端子金具
US20070020982A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3125090U (ja) 電気コネクタ構造
US6629859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KR20200017922A (ko) 플랫 케이블 커넥터
JP2007173043A (ja) コネクタ
KR101357439B1 (ko) 전기 커넥터
WO2019188738A1 (ja) コネクタ
KR101221506B1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US7909618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an offset mounting profile
JP5826482B2 (ja) コネクタ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KR20110110616A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2560489B1 (ko) Ffc용 커넥터
AU2003204259A1 (en) Connector
JP2011129533A (ja) コネクタ
WO2024038744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