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439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439B1
KR101357439B1 KR1020110137103A KR20110137103A KR101357439B1 KR 101357439 B1 KR101357439 B1 KR 101357439B1 KR 1020110137103 A KR1020110137103 A KR 1020110137103A KR 20110137103 A KR20110137103 A KR 20110137103A KR 101357439 B1 KR101357439 B1 KR 10135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amshaft
housing
terminals
corresponding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005A (ko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to KR102011013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439B1/ko
Priority to PCT/KR2012/003343 priority patent/WO2013094825A1/ko
Publication of KR2013007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 커넥터는 대응하는 전자요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상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캠축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캠축을 스토핑하는 제1 빔이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으로부터 액츄에이터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으로부터 액츄에이터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져 상호 결합되며, 리셉터클의 터미널과 플러그의 터미널이 서로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케이블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전기/전자기기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경질의 인쇄회로기판 대신 연질의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와 가요성 평탄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FPC/FFC는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거나, 또는 FPC/FFC가 직접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16428호는 FPC/FFC가 직접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는 경우로서, FPC/FFC가 삽입되는 하우징,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터미널, FPC/FFC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피팅 네일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FPC/FFC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의 중간 부분을 스토핑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클로즈 동작 시,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큰 힘으로 액츄에이터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이 피벗 빔의 피벗 홈에서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가 피벗 홈에서 해제되는 경우, 결국 FPC/FFC를 고정해주는 힘이 약화되어, FPC/FFC와 터미널의 접속력이 약해지거나 해제될 염려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0616호는 액츄에이터를 고정하기 위한 제2 터미널들(서브 터미널들)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안한다.
즉, 상기 제안된 커넥터는 액츄에이터의 클로즈 동작 시, 액츄에이터의 하부가 제2 터미널의 지지 면을 따라 가이드 되어, 액츄에이터에 불필요한 큰 힘이 가압되는 경우에도 액츄에이터의 중간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지 않게 되어,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이 걸림 홈 안에서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커넥터는 액츄에이터의 중간 부분의 고정을 위해, 제1 터미널들과는 별개의 제2 터미널들을 요구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으로부터 액츄에이터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하는 전자요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상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캠축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캠축을 스토핑하는 제1 빔이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캠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캠축과 제2 캠축 사이의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캠축을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스토핑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스토핑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핑면이 상기 제1 캠축을 하부에서 상부로 스토핑하고, 상기 제2 스토핑면이 상기 제2 캠축을 상부에서 하부로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스토핑면 상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돌기는 상기 제1 캠축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2 스토핑면 상에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제2 캠축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스토핑할 수 있다.
상기 제2 캠축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클로즈 동작 시 제2 걸림돌기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토핑면과 제2 스토핑면 사이의 높이(제1 빔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빔의 높이와 상기 제1 걸림돌기의 높이 및 제2 걸림돌기의 높이를 모두 포함하는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양단에 돌출 형성된 피벗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미널의 하부에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2 빔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하는 전자요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캠축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상기 캠축을 스토핑하는 빔이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으로부터 액츄에이터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터미널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터미널의 제1 빔이 제1 캠축과 제2 캠축 사이로 삽입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츄에이터가 오픈 위치에서 회전이 끝난 시점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때, 제1 캠축과 제2 캠축 및 제1 빔의 상호간 스토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오픈 위치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외압이 액츄에이터에 작용할 때, 제1 캠축과 제2 캠축 및 제1 빔의 상호간 스토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클로즈 위치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외압이 액츄에이터에 작용할 때, 제1 캠축과 제2 캠축 및 제1 빔의 상호간 스토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오픈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부가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삽입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클로즈 동작 시, 제2 캠축이 제2 걸림돌기를 따라 가이드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와 대응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넥터(100)에 끼워 맞춰지는 대응 커넥터가 FFC(210)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200)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FFC(210) 단독으로 직접 커넥터(1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끼워 맞춰진 경우, 액츄에이터(12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눌러 고정하며, 복수의 터미널(130)이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액츄에이터(120)는 하우징(110) 상에서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의 터미널(130)에 의해 스토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20)를 스토핑하기 위한 복수의 터미널(130)이 단일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커넥터(100)의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는 바,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액츄에이터(120), 복수의 터미널(130) 및 한 쌍의 보조 브래킷(1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의 전방에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다(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쪽을 전방, 반대쪽을 후방이라 함).
이때, 삽입홈(110)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부(2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회전축(122)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넥터(100)에 끼워 맞춰진 플러그 커넥터(200)를 눌러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액츄에이터(120)는 프론트 플립 타입(front flip type) 구조로서,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 즉 커넥터(100)의 전방으로 위치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액츄에이터(120)가 프론트 플립 타입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백 플립 타입(back flip type)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터미널(130)은 하우징(110)의 삽입홈(112) 내부에 일정한 피치를 갖고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복수의 터미널(130)의 삽입 방향은 바람직하게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 즉 커넥터(100)의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터미널(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보조 브래킷(140)은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보조 브래킷(140)은 복수의 터미널(130)과 마찬가지로 커넥터(100)의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20)와 복수의 터미널(1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20)의 구성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터미널(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는 양단에 돌출 형성된 피벗 돌기(124), 회전축(12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캠축(126) 및 제2 캠축(1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터미널(130)은 이러한 액츄에이터(120)를 스토핑하는 제1 빔(132) 및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2 빔(13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피벗 돌기(124)는 액츄에이터(120)가 하우징(110)에 회전축(122)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액츄에이터(120)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피벗 홈(114)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캠축(126) 및 제2 캠축(128)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축(122)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이하 설명하는 복수의 터미널(130)의 제1 빔(132)에 의해 스토핑된다.
이때, 제1 캠축(126)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전방 상부에 형성되며, 제2 캠축(128)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20)가 프론트 플립 타입의 구조를 가짐에 따른 것으로서, 복수의 터미널(130)의 제1 빔(132)이 제1 캠축(126)과 제2 캠축(128)의 사이로 삽입된 후, 액츄에이터(120)가 프론트 플립 타입으로 오픈 및 클로즈 위치로 회전하기 위함이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터미널(130)의 제1 빔(13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20)의 제1 캠축(126) 및 제2 캠축(128) 사이로 삽입되어 액츄에이터(120)를 스토핑하며,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스토핑면(132a),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스토핑면(132b), 제1 스토핑면(132a) 상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132c) 및 제2 스토핑면(132b) 상에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132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터미널(130)의 제2 빔(134)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캠축(126)이 액츄에이터(120)를 스토핑하는 상세한 구성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살펴보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먼저, 제1 빔(132)이 제1 캠축(126)과 제2 캠축(128) 사이의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터미널(130)의 제1 빔(132)이 제1 캠축(126)과 제2 캠축(128) 사이로 삽입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삽입된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132)은 제1 캠축(126)과 제2 캠축(128)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액츄에이터(120)를 스토핑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간격은 제1 빔(132)이 삽입되기 위한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례로, 제1 빔(132)의 제1 스토핑면(132a)과 제2 스토핑면(132b) 사이의 높이(이하, '제1 빔(132)의 높이'라 함)와 제1 걸림돌기(132c) 및 제2 걸림돌기(132d)의 높이를 모두 포함하는 높이보다 큰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간격은 제1 빔(132)이 삽입될 뿐만 아니라, 삽입 후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일례로, 제1 빔(132)의 높이보다 크고, 제1 빔(132)의 높이와 제1 걸림돌기(132c)의 높이 및 제2 걸림돌기(132d)의 높이를 모두 포함하는 높이보다 작은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캠축(126) 및 제2 캠축(128)의 제1 빔(132)에 의한 스토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a는 액츄에이터(120)가 오픈 위치에서 회전이 끝난 시점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때의 스토핑 관계를, 도 7b는 액츄에이터(120)의 오픈 위치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외압이 액츄에이터(120)에 작용할 때의 스토핑 관계를, 도 7c는 액츄에이터(120)의 클로즈 위치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외압이 액츄에이터(120)에 작용할 때의 스토핑 관계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가 오픈 위치에서 회전이 끝난 시점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때, 제2 스토핑면(132b)이 제2 캠축(128)을 상부에서 하부로 스토핑함으로써 하우징(110)으로부터 액츄에이터(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의 오픈 위치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외압이 액츄에이터(120)에 작용할 때, 제1 스토핑면(132a)이 제1 캠축(126)을 하부에서 상부로 스토핑함과 동시에, 제1 걸림돌기(132c)가 제1 캠축(126)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스토핑함으로써 하우징(110)으로부터 액츄에이터(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의 클로즈 위치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외압이 액츄에이터(120)에 작용할 때, 제1 스토핑면(132a)이 제1 캠축(126)을 하부에서 상부로 스토핑함으로써 하우징(110)으로부터 액츄에이터(1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형태의 복수의 터미널(130)에 의해서도 하우징(110)으로부터 액츄에이터(120)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토핑 관계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캠축(126), 제2 캠축(128), 제1 스토핑면(132a), 제2 스토핑면(132b), 제1 걸림돌기(132c) 및 제2 걸림돌기(132d) 상호간의 스토핑 관계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8은 액츄에이터(120)의 오픈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부(220)가 하우징(110)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삽입부(220)가 하우징(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20)의 클로즈 동작 시, 제2 캠축(128)이 제2 걸림돌기(132d)를 따라 가이드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부(220)는 액츄에이터(120)의 오픈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삽입홈(112)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20)가 삽입홈(112)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액츄에이터(120)는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가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회전축(122)을 따라 회전을 시작하면, 액츄에이터(120)의 캠부(121)는 삽입부(22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캠축(128)은 제2 스토핑면(132b)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스토핑됨과 동시에 제2 걸림돌기(132d)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스토핑되게 된다.
계속하여,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가 오픈 위치에서 클로즈 위치로 더 회전하게 되면, 캠부(121)는 삽입부(220)의 상부를 더 가압하게 되며, 액츄에이터(120)의 클로즈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제2 캠축(128)은 제2 걸림돌기(132d)를 따라 가이드되어 제2 걸림돌기(132d)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스토핑면(132b)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120)의 클로즈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제2 캠축(128)은 제2 걸림돌기(132d)를 타고 넘어 제2 스토핑면(132b)에 의해 다시 스토핑되게 된다.
이때, 캠부(121)가 삽입부(220)의 상부를 가압한 힘만큼 사용자는 체결감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는 클로즈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20)는 클로즈 위치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부(220)를 눌러 고정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며, FFC(210)와 복수의 터미널(130)의 접속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액츄에이터(120)의 중간부분에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1 캠축(126)이 제1 빔(132)의 제1 스토핑면(132a)에 의해 스토핑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되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형태의 복수의 터미널(130)에 의해 액츄에이터(120)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서브 터미널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종래의 커넥터에 비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120) 역시 회전축(122)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캠축(126) 및 제2 캠축(128)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종래의 액츄에이터에 비해 액츄에이터의 제작을 위한 금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리셉터클 커넥터 110 : 하우징
112 : 삽입홈 114 : 피벗 홈
120 : 액츄에이터 121 : 캠부
122 : 회전축 124 : 피벗 돌기
126 : 제1 캠축 128 : 제2 캠축
130 : 복수의 터미널 132 : 제1 빔
132a : 제1 스토핑면 132b : 제2 스토핑면
132c : 제1 걸림돌기 132d : 제2 걸림돌기
134 : 제2 빔 140 : 한 쌍의 보조 브래킷
200 : 플러그 커넥터 210 : FFC
220 : 삽입부

Claims (14)

  1. 대응하는 전자요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상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캠축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캠축을 스토핑하는 제1 빔이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캠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캠축과 제2 캠축 사이의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캠축을 스토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스토핑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스토핑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핑면이 상기 제1 캠축을 하부에서 상부로 스토핑하고, 상기 제2 스토핑면이 상기 제2 캠축을 상부에서 하부로 스토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스토핑면 상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돌기는 상기 제1 캠축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스토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2 스토핑면 상에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제2 캠축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스토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축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클로즈 동작 시 제2 걸림돌기를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스토핑면과 제2 스토핑면 사이의 높이(제1 빔의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1 빔의 높이와 상기 제1 걸림돌기의 높이 및 제2 걸림돌기의 높이를 모두 포함하는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양단에 돌출 형성된 피벗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의 하부에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2 빔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대응하는 전자요소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클로즈 위치에서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캠축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상기 캠축을 스토핑하는 빔이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양단에 돌출 형성된 피벗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의 하부에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2 빔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대응하는 전자요소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0137103A 2011-12-19 2011-12-19 전기 커넥터 KR10135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03A KR101357439B1 (ko) 2011-12-19 2011-12-19 전기 커넥터
PCT/KR2012/003343 WO2013094825A1 (ko) 2011-12-19 2012-04-30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03A KR101357439B1 (ko) 2011-12-19 2011-12-19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005A KR20130070005A (ko) 2013-06-27
KR101357439B1 true KR101357439B1 (ko) 2014-02-03

Family

ID=4866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103A KR101357439B1 (ko) 2011-12-19 2011-12-19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7439B1 (ko)
WO (1) WO20130948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731A (ko) 2021-11-23 2023-05-31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737B1 (ko) * 2015-01-16 2020-10-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커넥터용 홀드다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US10553973B2 (en) 2015-09-08 2020-02-04 Fci Usa Llc Electrical power connector
KR102497148B1 (ko) * 2016-02-25 2023-02-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35276B1 (ko) * 2017-02-14 2019-10-22 주식회사 트래닛 가요성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584709B1 (ko) * 2017-02-16 2023-10-05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743A (ko) * 2008-09-02 2011-06-1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전기 커넥터
KR20110119412A (ko) * 2010-04-27 2011-11-0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8948B2 (ja) * 2005-02-24 2010-07-07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9064743A (ja) * 2007-09-10 2009-03-26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4847569B2 (ja) * 2009-10-01 2011-12-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93788B2 (ja) * 2010-03-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743A (ko) * 2008-09-02 2011-06-1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전기 커넥터
KR20110119412A (ko) * 2010-04-27 2011-11-0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731A (ko) 2021-11-23 2023-05-31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005A (ko) 2013-06-27
WO2013094825A1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439B1 (ko) 전기 커넥터
KR101255032B1 (ko) 전기커넥터
JP5704319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06843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360505B1 (ko) 전기 커넥터
US7179107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TWI687002B (zh) 電連接器
JP2003151660A (ja) Fpc用コネクタ
KR20140112394A (ko) 전기 커넥터
JP2017107711A (ja) コネクタ
US2016002577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s thereof
JP4521351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677198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N104733883A (zh) 电连接器
CA2240967C (en) Plug connector for card-edge mounting
US9252516B2 (en) Connector
JP5671680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2136766B1 (ko)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40102083A1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latch arms and plug connector to be connected thereto
KR102143973B1 (ko) 커넥터
KR10121627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10110616A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2560489B1 (ko) Ffc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