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709B1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709B1
KR102584709B1 KR1020170021233A KR20170021233A KR102584709B1 KR 102584709 B1 KR102584709 B1 KR 102584709B1 KR 1020170021233 A KR1020170021233 A KR 1020170021233A KR 20170021233 A KR20170021233 A KR 20170021233A KR 102584709 B1 KR102584709 B1 KR 10258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connector
contact
flexible cabl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729A (ko
Inventor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7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연장부와, 제1 접촉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제1 접촉부는, 서로 이격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를 연결하고 실장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 아래에 배치되고 연결부 아래에 미배치되는 하부 전원 단자부와, 제1 접촉부 상에 배치되고 연결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전원 단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커넥터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은 평판 형상의 케이블로 FPC(Flexible Printed Cable)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은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가지며, 내측에 전기선이 평형으로 배열되어 넓은 폭으로 상대 터미널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케이블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통해 전자 부품이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일반적인 구조는, 합성수지재로 된 절연 케이스와 상기 절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다수 개의 단자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삽입홈에는 다수 개의 금속재 단자가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금속재 단자는 절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속된다. 절연 케이스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여 금속재 단자와 접속시키는 슬라이더를 가진다. 절연 케이스 내측의 금속재 단자는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부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품 신뢰성이 향상된 커넥터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플렉시플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연장부와, 제1 접촉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제1 접촉부는, 서로 이격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를 연결하고 실장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 아래에 배치되고 연결부 아래에 미배치되는 하부 전원 단자부와, 제1 접촉부 상에 배치되고 연결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전원 단자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전원 단자부는, 상부 전원 단자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의 하면은 연결부의 상면을 지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전원 단자는, 연결부의 제2 방향으로의 양측으로부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연장부는, 제1 벤딩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서브 연장부와, 제2 벤딩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연장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연장부는, 제1 방향으로의 말단에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 서브 연장부는, 제1 방향으로의 말단에 지지축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장부의 최하면은 연결부의 최하면보다 낮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전원 단자의 제2 방향으로의 폭은 3.5mm 내지 4.0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의 제2 방향으로의 폭은 각각 1.25mm 내지 1.35mm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전원 단자부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신호 단자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신호 단자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축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전원 단자부에 배치되는 제1 접촉부와,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부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와, 지지축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전원 단자부는, 제1 접촉부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전원 단자부와, 제1 접촉부 상에 배치되는 상부 전원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부 전원 단자부는 하부 전원 단자부보다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1 접촉부의 제1 방향으로의 말단을 지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전원 단자부는, 상부 전원 단자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의 하면은, 제1 접촉부의 제1 방향으로의 말단의 상면을 지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전원 단자는, 제1 접촉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실장부의 최하면은 제1 접촉부의 최하면보다 낮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커넥터 전원 단자 및 커넥터 신호 단자가 배치되지 않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되, 신호 단자부는 전원 단자부의 제2 방향으로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확장부는 전원 단자부의 제2 방향으로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원 단자부는 신호 단자부의 제2 방향으로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장부의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0.2mm 내지 0.5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는, 제1 접촉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제2 접촉부는, 제2 접촉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제2 접촉 돌기의 최상면의 높이는 제1 접촉 돌기의 최상면의 높이보다 높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는, 제1 방향으로의 말단에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하우징의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커넥터 전원 단자를 고정시키고, 커넥터 전원 단자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넓은 폭의 전원 단자를 갖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제품 신뢰성이 향상된 커넥터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플렉시플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전원 단자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3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3의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3의 E-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F-F'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전원 단자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의 부피, 길이 및 비율 등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는 하우징(100), 액츄에이터(200), 커넥터 전원 단자(300), 커넥터 신호 단자(400), 및 메탈 피팅(5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플렉시블 케이블(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X)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전원 단자부(110) 및 신호 단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단자부(110)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가 배치되는 하우징(100)의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하우징(100)의 전원 단자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원 단자부(110)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가 배치되는 하우징(100)의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와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전원 단자부(110)에서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원 단자부(110)는 하부 전원 단자부(112) 및 상부 전원 단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하부 전원 단자부(112)보다 제1 방향(X)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8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신호 단자부(120)는 커넥터 신호 단자(400)가 배치되는 하우징(100)의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신호 단자부(120)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신호 단자가 배치되는 하우징(100)의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의 신호 단자와 커넥터 신호 단자(400)는 신호 단자부(120)에서 접촉할 수 있다.
신호 단자부(120)는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가 배치되는 제1 신호 단자부(120a)와,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가 배치되는 제2 신호 단자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단자부(120)는 복수 개로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신호 단자부(120)는 하우징(100)의 가운데에서 제2 방향(Y)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전원 단자부(110)는 신호 단자부(120)의 적어도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전원 단자부(110)는 각각 신호 단자부(120)의 제2 방향(Y)으로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신호 단자부(120)는 2개의 전원 단자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제2 방향(Y)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0)는 지지축(210), 지지 고리(220), 가압부(230) 및 회전 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200)는 하우징(100) 상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이 때, 제1 방향(X)으로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은 하우징(100)과 액츄에이터(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00)는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200)의 지지축(210), 지지 고리(220) 및 회전 돌기(240)는 제2 방향(Y)을 따라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고, 가압부(230)는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200)는 회전하는 가압부(230)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상술한 것처럼, 하우징(100)의 전원 단자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하우징(100)의 전원 단자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전원 단자부(110)가 각각 신호 단자부(120)의 제2 방향(Y)으로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2개의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각각 신호 단자부(120)의 제2 방향(Y)으로의 양측에 인접하여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제1 접촉부(310), 제1 벤딩부(320), 제1 연장부(330) 및 제1 실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3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전원 단자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촉부(310)는 하부 전원 단자부(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촉부(310)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와 접촉하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접촉부(310)는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와 연결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는 서로 이격되어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는 하우징(100)에 의해 분리되어 제1 방향(X)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접촉부(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은 3.5mm 내지 4.0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은 약 3.7mm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은 각각 1.25mm 내지 1.35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의 제1 폭(W1)은 1.30mm일 수 있다.
연결부(314)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는 연결부(314)로부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310)는 제1 접촉 돌기(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돌기(316)는 제1 접촉부(3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촉 돌기(316)는 제1 접촉부(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촉 돌기(316)는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와 직접(directly)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 접촉 돌기(316)의 두께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벤딩부(320)는, 제1 접촉부(310)로부터 제1 및 제2 방향(X, Y)과 교차하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벤딩부(320)는 제1 접촉부(310)의 제2 방향(Y)으로의 적어도 일측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벤딩부(320)는 제1 및 제2 서브 벤딩부(320a, 32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서브 벤딩부(320a, 320b)는 연결부(314)의 제2 방향(Y)으로의 양측으로부터 제3 방향(Z)으로 각각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장부(33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벤딩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장부(330)는 제1 벤딩부(320)로부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장부(330)는 제1 및 제2 서브 연장부(330a, 33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연장부(330a)는 제1 서브 벤딩부(320a)로부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연장부(330b)는 제2 서브 벤딩부(320b)로부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330)는 제1 오목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부(332)는 제1 연장부(330)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오목부(332)는 제1 연장부(330)의 말단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실장부(340)는 제1 접촉부(31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장부(340)는 연결부(314)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더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실장부(340)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미도시)에 커넥터 전원 단자(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장부(340)는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 신호 단자(400)는, 상술한 것처럼, 하우징(100)의 신호 단자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신호 단자(400)는 하우징(100)의 신호 단자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신호 단자부(120)가 2개의 전원 단자부(110)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 복수의 커넥터 신호 단자(400)는 2개의 커넥터 전원 단자(300) 사이에서 제2 방향(Y)을 따라 하우징(100)에 나란히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 신호 단자(400)는 제1 및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a, 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a, 400b)는 제1 및 제2 신호 단자부(120a, 120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는 제2 접촉부(410a), 제2 연장부(420a) 및 제2 실장부(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부(410a)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신호 단자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촉부(410a)는 제1 신호 단자부(12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부(410a)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신호 단자와 접촉하는 커넥터 신호 단자(400)의 부분일 수 있다.
이 때, 제2 접촉부(410a)는 제2 접촉 돌기(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 돌기(412a)는 제2 접촉부(410a)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촉 돌기(412a)는 제2 접촉부(410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2 접촉 돌기(412a)는 다중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연장부(420a)는 제2 접촉부(410a)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420a)는 제2 오목부(4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목부(422a)는 제2 연장부(420a)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오목부(422a)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제1 오목부(332)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장부(430a)는 제2 접촉부(410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더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2 실장부(430a)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미도시)에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장부(430a)는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는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 등의 전기 소자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는 제3 접촉부(410b), 제3 연장부(420b) 및 제3 실장부(4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는 제3 연장부(42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2 오목부(422a)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의 제2 연장부(420a)와 달리,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의 제3 연장부(420b)는 고리부(42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422b)는 제3 연장부(420b)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고리부(422b)는 제3 연장부(420b)의 말단이 말려 올라간 형상을 갖는 부분일 수 있다.
메탈 피팅(500)은 바디부(510), 제1 커버부(520) 및 제2 커버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탈 피팅(500)은 하우징(100)의 제2 방향(Y)으로의 양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5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커버부(520)는 바디부(510)의 상부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고, 제2 커버부(530)는 바디부(510)의 하부로부터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3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3의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3의 E-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F-F'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A-A'선을 따라 절단된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를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는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액츄에이터(200)의 지지축(210)과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의 제2 연장부(420a)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장부(420a)의 제2 오목부(422a)는 지지축(210)의 상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액츄에이터(200)는 지지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2 오목부(422a)는 액츄에이터(200)의 회전 운동 시에 지지축(210)의 상면 상에서 지지축(2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B-B'선을 따라 절단된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를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는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액츄에이터(200)의 지지 고리(220)와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의 제3 연장부(420b)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연장부(420b)의 고리부(422b)는 지지 고리(220)의 하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액츄에이터(200)는 지지 고리(2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고리부(422b)는 액츄에이터(200)의 회전 운동 시에 지지축(210)의 하면 상에서 지지축(2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넥터 신호 단자(400)의 제1 및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a, 400b)는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200)의 상방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420a)와, 액츄에이터(200)의 하방으로 연장된 고리부(422b)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축(210) 및 지지 고리(2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200)는, 지지축(210) 위에서 액츄에이터(200)를 지지하는 제2 오목부(422a)와, 지지 고리(220)의 아래에서 액츄에이터(200)를 지지하는 고리부(422b)에 의해 구조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의 액츄에이터(200)는 안정적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C-C'선을 따라 절단된 메탈 피팅(500)을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메탈 피팅(500)은 하우징(100)의 제2 방향(Y)으로의 양 말단에 삽입되어, 액츄에이터(200)의 제2 방향(Y)으로의 양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탈 피팅(500)은 하우징(100)과 액츄에이터(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탈 피팅(500)의 제1 커버부(520)는 하우징(100)의 상면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메탈 피팅(500)의 제2 커버부(530)는 하우징(100)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커버부(520, 530)는 서로 대향되어 하우징(100)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탈 피팅(500)은 하우징(100)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520)는 제2 커버부(530)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00)의 회전 돌기(240)는 메탈 피팅(500)의 바디부(510)와 제1 커버부(5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00)는 회전 돌기(2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바디부(510)는 회전 돌기(240)의 하면 상에서 회전 돌기(24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고, 제1 커버부(520)는 회전 돌기(240)의 상면 상에서 회전 돌기(240)를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200)의 회전 운동 시에, 바디부(510)와 제1 커버부(520)는 액츄에이터(200)를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회전 돌기(240)의 단면은 다각형일 수 있다. 회전 돌기(240)의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에는, 그 단면이 원형인 경우보다 액츄에이터(200)의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D-D'선을 따라 절단된 커넥터 전원 단자(300)를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제1 연장부(330)는,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의 제2 연장부(도 4의 420a)와 마찬가지로, 액츄에이터(200)의 지지축(210)과 서로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330)의 제1 오목부(332)는 지지축(210)의 상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액츄에이터(200)는 지지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1 오목부(332)는 액츄에이터(200)의 회전 운동 시에 지지축(210)의 상면 상에서 지지축(2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오목부(332)는 지지축(210)의 하면의 일부를 감쌀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오목부(332)는 액츄에이터(200)의 회전 운동 시에 지지축(210)의 하면 상에서 지지축(2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전원 단자부(110) 상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200)의 부분은 지지 고리(도 5의 2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연장부(330)는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의 제3 연장부(도 5의 420b)와 마찬가지로, 지지 고리(220)와 서로 맞물리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E-E'선을 따라 절단된 커넥터 전원 단자(300)를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F-F'선을 따라 절단된 커넥터 전원 단자(300)를 포함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하우징(100)은 하부 전원 단자부(112) 및 상부 전원 단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원 단자부(112)는 제1 접촉부(도 2의 31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전원 단자부(도 1의 110)의 영역이고,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제1 접촉부(310)보다 위에 배치되는 전원 단자부(110)의 영역이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전원 단자부(112)는 제2 서브 접촉부(312b) 및 연결부(314)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제2 서브 접촉부(312b) 및 연결부(314)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것처럼,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하부 전원 단자부(112)보다 제1 방향(도 1의 X)으로 더 연장되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하부 전원 단자부(112)는 제1 접촉부(310)보다 아래에 배치되되, 연결부(314) 아래에는 미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전원 단자부(112)는 제2 서브 접촉부(312b)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연결부(314) 아래에는 미배치될 수 있다. 반면,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연결부(3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제1 접촉부(310)의 제1 방향(도 3의 X)으로의 말단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제1 접촉부(310) 상에 배치되고, 연결부(314)의 상면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돌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5)는 상부 전원 단자부(114)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5)의 하면은 연결부(314)의 상면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실장부(340)는 연결부(314)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장부(340)는 연결부(314)와 연결되어 아래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실장부(340)의 최하면은 연결부(314)의 최하면보다 낮을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상부 전원 단자부(114)가 하부 전원 단자부(112)보다 돌출되고, 제1 실장부(340)가 아래로 휘어짐에 따라, 연결부(314) 아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납땜 불량에 의한 하우징(100)의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전원 단자(300)가 납땜에 회로 기판에 실장될 때, 땜납 페이스트(paste)가 하우징(100) 아래로 인입되는 현상으로 인해 하우징(100)의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314) 아래의 빈 공간은, 땜납 페이스트가 하우징(100) 아래로 인입되지 않게끔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하우징(100)의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연결부(314)의 상면을 지지하여, 커넥터 전원 단자(300)를 고정시키고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연결부(314)의 상면이 지지되지 않는 경우에, 납땜 과정에서 연결부(314) 아래에 인입되는 땜납 페이스트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를 들뜨게 하거나 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불량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의 접촉 불량을 야기하거나,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기계적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가 하우징(10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guide)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세한 크기의 커넥터 전원 단자(300)는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꺾임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된 형상의 상부 전원 단자부(114)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가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여, 커넥터 전원 단자(300)가 하우징(100)에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의 제2 접촉부(410a)의 최상면의 높이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제1 접촉부(310)의 최상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촉 돌기(412a)의 최상면의 높이는, 제1 접촉 돌기(316)의 최상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접촉 돌기(412a)의 최상면의 높이는, 제1 접촉 돌기(316)의 최상면의 높이보다 제1 높이(H)만큼 높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의 제3 접촉부(410b)의 최상면의 높이 또한, 제1 접촉부(310)의 최상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는 두꺼운 두께의 전원 단자를 갖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은 대용량의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해, 두꺼운 두께의 전원 단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커넥터 전원 단자가 플렉시블 케이블의 두꺼운 두께의 전원 단자와 접촉하는 동안, 커넥터 신호 단자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얇은 두께의 신호 단자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신호 단자는 접촉부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서 액츄에이터(도 1의 200)를 제외하고 도시된 상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도 10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일부 영역(R)을 확대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케이블 전원 단자(600) 및 케이블 신호 단자(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전원 단자(600)는 제1 및 제2 케이블 전원 단자(600a, 600b)를 포함할 수 있고, 케이블 신호 단자(700)는 제1 및 제2 케이블 신호 단자(700a, 70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제1 방향(X)으로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 전원 단자(600)는 하우징(100)의 전원 단자부(110)에 삽입될 수 있고, 케이블 신호 단자(700)는 하우징(100)의 신호 단자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케이블 신호 단자(700a, 700b)는 각각 제1 및 제2 신호 단자부(120a, 120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케이블 전원 단자(600a)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제1 서브 접촉부(312a)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케이블 전원 단자(600b)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의 제2 서브 접촉부(312b)와 접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케이블 신호 단자(700a)는 제1 커넥터 신호 단자(400a)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케이블 신호 단자(700b)는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b)와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케이블 전원 단자(600a, 600b)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은 각각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의 제1 폭(도 2의 W1)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폭(W2)은 제1 폭(W1)과 동일한 3.7mm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케이블 신호 단자(700a, 700b)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은 각각 제1 및 제2 커넥터 신호 단자(400a, 400b)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케이블 신호 단자(700a, 700b)의 제3 폭(W3)은 약 0.3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확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130)는 전원 단자부(110) 또는 신호 단자부(120)와 중첩되지 않는 하우징(100)의 영역이다. 즉, 확장부(130)에는 커넥터 전원 단자(300) 또는 커넥터 신호 단자(40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단자부(120)는 전원 단자부(110)의 제2 방향(Y)으로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확장부(130)는 전원 단자부(110)의 제2 방향(Y)으로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케이블 전원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전원 단자(600')는 제3 케이블 전원 단자(600a', 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케이블 전원 단자(600a')의 제2 방향(Y)으로의 폭은, 대용량의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해, 제1 또는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의 제2 방향(Y)으로의 폭보다 클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케이블 전원 단자(600a')의 제4 폭(W4)은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312a, 312b)의 제1 폭(도 2의 W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폭(W4)은 약 2.0mm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확장부(130)는 넓은 폭을 갖는 제3 케이블 전원 단자(600a')를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부(130)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L)는 0.2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는, 확장부(13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을 이용하여, 넓은 폭의 전원 단자를 갖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20: 플렉시블 케이블
100: 하우징 200: 액츄에이터
300: 커넥터 전원 단자 400: 커넥터 신호 단자
500: 메탈 피팅

Claims (15)

  1.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를 연결하고 상기 실장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 아래에 미배치되는 하부 전원 단자부와, 상기 제1 접촉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전원 단자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원 단자부는, 상기 상부 전원 단자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연결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전원 단자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서브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서브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서브 연장부와, 상기 제2 서브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연장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의 최하면은 상기 연결부의 최하면보다 낮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전원 단자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3.5mm 내지 4.0mm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접촉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각각 1.25mm 내지 1.35mm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8. 플렉시블 케이블의 전원 단자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전원 단자부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신호 단자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신호 단자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전원 단자부에 배치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전원 단자; 및
    상기 신호 단자부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지지축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제1 접촉부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전원 단자부와, 상기 제1 접촉부 상에 배치되는 상부 전원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전원 단자부는 상기 하부 전원 단자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촉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말단을 지지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원 단자부는, 상기 상부 전원 단자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제1 접촉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말단의 상면을 지지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의 최하면은 상기 제1 접촉부의 최하면보다 낮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 전원 단자 및 상기 커넥터 신호 단자가 배치되지 않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 단자부는 상기 전원 단자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전원 단자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신호 단자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0.2mm 내지 0.5mm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 돌기의 최상면의 높이는 상기 제1 접촉 돌기의 최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말단에 상기 지지축의 일부를 감싸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170021233A 2017-02-16 2017-02-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58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233A KR102584709B1 (ko) 2017-02-16 2017-02-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233A KR102584709B1 (ko) 2017-02-16 2017-02-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729A KR20180094729A (ko) 2018-08-24
KR102584709B1 true KR102584709B1 (ko) 2023-10-05

Family

ID=6345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233A KR102584709B1 (ko) 2017-02-16 2017-02-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216B1 (ko) 2019-07-10 2021-06-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4265A (ja) 2015-01-19 2016-07-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38B1 (ko) * 2010-04-01 2013-09-23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357439B1 (ko) * 2011-12-19 2014-02-03 주식회사 후성테크 전기 커넥터
KR102165737B1 (ko) * 2015-01-16 2020-10-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커넥터용 홀드다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60146107A (ko) * 2015-06-11 2016-12-2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4265A (ja) 2015-01-19 2016-07-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729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7840B2 (ja) 挿入位置決め構造を有する回路配線
JP4391975B2 (ja) 電気コネクタ
JP3122673U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686633B2 (ja) コネクタ
JP2000223218A (ja) 小型コネクタ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KR10263855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00223215A (ja) 小型コネクタ
JP2014165084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7559772B2 (en) Multi-conductor flat cable connector
US20080026609A1 (en) Low profile connector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JP7467236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KR102584709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08235272A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221506B1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JP5408433B2 (ja) 電気コネクタ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JP2017147171A (ja) コネクタ
KR20130034418A (ko) 연성 회로케이블 커넥터
US7104824B2 (en) Connectors for connecting mating connectors to connection objects
CN101442160B (zh) 连接器
TWI754925B (zh) 連接器
JP5059712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