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505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505B1
KR101360505B1 KR1020120080976A KR20120080976A KR101360505B1 KR 101360505 B1 KR101360505 B1 KR 101360505B1 KR 1020120080976 A KR1020120080976 A KR 1020120080976A KR 20120080976 A KR20120080976 A KR 20120080976A KR 101360505 B1 KR101360505 B1 KR 10136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ctuator
contact
sig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807A (ko
Inventor
진 타테이시
요시노부 시마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캠부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으로 한다.
<해결 수단> 절연 하우징(11) 내에 장착된 콘택트(13)를 요동시키는 액츄에이터(12)의 캠부(12a)에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2의 콘택트 빔(13a)의 캠 계지 돌기(13a)에 대향 배치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 계합면(12a2)을 설치하고,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캠부(12a)가 캠 회동 오목부(13b3)로부터 벗어나가는 것 같은 외력 등이 작용해도 캠부(12a)의 캠 계합면(12a2)이 캠 계지 돌기(13a2)에 맞닿아 계지 상태로 함으로써 액츄에이터(12)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이동 조작함으로써 신호 전송 매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의 각종 신호 전송 매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전기 커넥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 등과 같이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어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FPC나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가 절연 하우징(절연체(insulator))의 전단측 개구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고, 이 삽입 시점에 있어서 신호 전송 매체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보유되어 있는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커넥터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폐색 위치」를 향해, 예를 들면 넘어뜨려지도록 하여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가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挾持)하는 「폐색 위치」까지 회동 조작되면, 당해 액츄에이터에 설치된 캠부(cam portion)가 도전 콘택트에 일단부를 압압하고, 이에 의해 도전 콘택트의 타단부가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에 압접하도록 변위하여 신호 전송 매체의 고정을 한다. 한편, 이러한 「폐색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가 원래의 「개방 위치」를 향해, 예를 들면 상방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회동되면, 도전 콘택트가 자신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FPC, FFC 등)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이에 의해 신호 전송 매체가 개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도전 콘택트의 탄성 변위를 행하게 하는 캠부는,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을 이루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도전 콘택트의 고정측 빔에 설치된 캠 회동 오목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고정측 빔과 가동측 빔의 사이에서 직경 변화를 하도록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캠부에 대해서, 가동 빔의 일단부에는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으로 캠부와 대향하도록 하여 캠 계지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액츄에이터에 외력이 부가된 경우 등에 캠부가 캠 회동 오목부로부터 벗어나가려고 해도 캠부의 일부가 캠 계지 돌기에 맞닿아 커넥터 외방으로 캠부가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계지된다.
그렇지만, 액츄에이터가 특히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대략 타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캠부가 드러누운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전 콘택트에 대한 캠부의 접촉압이 작아져, 캠 회동 오목부에 있어서의 캠부의 보유력이 작아짐과 아울러, 캠 계지 돌기부에 계지되기 어려워져 버린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액츄에이터(1)에 작은 외력이 부가된 경우라도, 캠 회동 오목부(2)를 구성하고 있는 단부(3)를 넘도록 하여 캠부(4)가 커넥터 외방측(도 12의 우방측)으로 이동하고, 도전 콘택트(5)의 단부에 설치된 캠 계지 돌기부(6)의 계지 작용에 관계없이 커넥터 외방으로 캠부(4)가 발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30037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8-00440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8-192408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캠부의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 내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요동시키는 캠부를 가지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빔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의 콘택트 빔을 가지고, 상기 제1의 콘택트 빔의 일단부에 상기 캠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캠 회동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일단부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캠부와 대향하는 캠 계지 돌기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캠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콘택트 빔이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하는 폐색 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의 콘택트 빔이 상기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이간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캠부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캠 계지 돌기에 대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 계합면이 설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 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캠 계합면은, 상기 캠부가 상기 캠 회동 오목부로부터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때에, 상기 캠 계지 돌기에 맞닿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캠부를 커넥터 외방으로 압출하는 방향으로 외력 등이 작용함으로써 캠부가 캠 회동 오목부로부터 벗어나가려고 해도 캠부의 캠 계합면이 캠 계지 돌기에 맞닿아 계지 상태로 되어 액츄에이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일단부에는, 상기 캠 계지 돌기로부터 대략 직선 모양으로 뻗어 나가는 캠 규제 단연부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캠부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상기 캠 규제 단연부(端緣部)에 면접촉 가능한 캠 보유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가 커넥터 외방으로 눌려진 경우, 우선 캠부의 캠 보유면이, 제2의 콘택트 빔의 캠 규제 단연부에 맞닿고, 캠 회동 오목부측에 캠부가 꽉 눌린 상태가 유지되어, 캠부가 본래의 위치에 보유되기 때문에, 상술한 캠 계합면과의 협력에 의해 액츄에이터의 탈락이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 내에 장착된 콘택트를 요동시키는 액츄에이터의 캠부에,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2의 콘택트 빔의 캠 계지 돌기에 대향 배치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 계합면을 설치하고,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캠부를 커넥터 외방으로 압출하는 방향으로 외력 등이 작용하여 캠부가 캠 회동 오목부로부터 벗어나가려고 해도 캠부의 캠 계합면이 캠 계지 돌기에 맞닿아 계지 상태로 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캠부의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저렴하게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 신호 전송 매체가 미삽입의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개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개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폐색 위치까지 넘어뜨리도록 회동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전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개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 중의 V-V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VI로 나타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개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를 폐색 위치까지 넘어뜨리도록 회동한 상태의 도 5에 상당한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 중의 VIII로 나타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개방 상태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후방측으로의 외력이 부가된 상태의 도 5에 상당한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 중의 X로 나타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도 10에 나타난 전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을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캠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 설명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의 접속을 행하기 위해서 배선 기판 상에 실장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도 1~도 11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가장자리 부분(도 5의 우단 가장자리 부분)에 접속 조작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12)를 구비하는, 이른바 백 플립(back flip)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술한 액츄에이터(12)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삽입하는 커넥터 전단측(도 5의 좌단측)과는 반대측의 커넥터 후방측(도 5의 우방측)을 향해 넘어뜨려지도록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상기 절연 하우징(11)은 가늘고 긴 모양으로 뻗어 있는 중공 프레임 형상의 절연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횡폭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의 긴 방향이라고 부르고, 또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단말 부분을 삽입 또는 이탈시킬 방향을 커넥터 전후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적당한 형상을 이루는 박판 금속제 부재에 의해 형성된 2종류의 다른 형상을 가지는 도전 콘택트(13, 14)가 복수체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13, 14)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있어서 커넥터의 긴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다극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른 형상을 가지는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와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가 다극 배열의 방향인 커넥터의 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도전 콘택트(13, 14)의 각각은 신호 전송용 또는 그라운드(ground) 접속용의 어느 것으로서 주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형성된 도전로(도시 생략)에 대해서 땜납 접합에 의해 실장된 상태로 사용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 하우징(11)의 전단 가장자리 부분(도 5의 좌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술한 것처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단말 부분이 삽입되는 매체 삽입구(11a)가 커넥터의 긴 방향으로 가늘고 긴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반대측의 커넥터 전후 방향의 후단 가장자리 부분(도 5의 우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술한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나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 등을 장착하기 위한 부품 부착구(11b)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일방측의 도전 콘택트(13)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후단측에 설치된 부품 부착구(11b)로부터 전방측(도 5의 좌방측)을 향해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지만, 타방측의 도전 콘택트(14)는 절연 하우징(11)의 커넥터 전단측에 설치된 매체 삽입구(11a)로부터 후방측(도 5의 우방측)을 향해 삽입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장착된 각 도전 콘택트(13, 14)는 매체 삽입구(11a)를 통해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배선 패턴 Fa(도 11 참조)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신호 전송 매체 F에 형성된 배선 패턴 Fa는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선 패드(pad)) 또는 쉴드용 도전로(쉴드선 패드)를 적당한 피치(pitch)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다.
또한, 도전 콘택트(13, 14)는 상술한 것처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해서는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은 일방의 도전 콘택트(13)에 대해서만 하고 타방의 도전 콘택트(14)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즉, 상술한 각 도전 콘택트(13)는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발탈 방향(도 5의 좌우 방향)인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에 뻗어 있는 한 쌍의 가늘고 긴 모양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콘택트 빔(제2의 콘택트 빔)(13a) 및 고정 콘택트 빔(제1의 콘택트 빔)(13b)을 각각 가지고 있다. 이들 가동 콘택트 빔(13a) 및 고정 콘택트 빔(13b)은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도시 상하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중의 고정 콘택트 빔(13b)은 상기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을 따라 대략 부동 상태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고정 콘택트 빔(13b)의 도시 상방 위치에 대략 평행에 뻗어 있는 가동 콘택트 빔(13a)이 연결 지주 빔(13c)을 통해 고정 콘택트 빔(13b)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지주 빔(13c)은 가는 폭의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쪽 콘택트 빔(13a, 13b)의 뻗어 있는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도시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연결 지주 빔(13c)의 도시 상단 부분에 연결된 가동 콘택트 빔(13a)은 상기 연결 지주 빔(13c)의 탄성 가요성에 기초하여, 상술한 고정 콘택트 빔(13b)에 대해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가동 콘택트 빔(13a)이 연결 지주 빔(13c) 또는 그 근방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의 가동 콘택트 빔(13a)의 요동은 도 5의 지면(紙面) 내에 있어서 상하의 방향으로 행해지게 된다.
또,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제2의 콘택트 빔)(13a)의 전단측 부분(도 5의 좌단측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시 상면측에 형성된 배선 패턴(신호 전송용 또는 쉴드용의 도전로) Fa의 어느 것인가에 접속되는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가 도시 하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 콘택트 빔(제1의 콘택트 빔)(13b)은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고정 콘택트 빔(13b)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도 5의 좌방측 부분)에는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도시 하면측에 형성된 배선 패턴(도시되지 않는 신호 전송용 또는 쉴드용의 도전로) Fa의 어느 쪽인가에 접속되는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가 도시 상향의 돌출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는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3a)측의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의 도시 직하 위치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와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의 사이에 신호 전송 매체 F가 협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가동 콘택트 빔(13a)의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및 고정 콘택트 빔(13b)의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는 서로의 위치를 커넥터 전방측(도 5의 좌방측) 혹은 커넥터 후방측(도 5의 우방측)에 비켜 놓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고정 콘택트 빔(13b)은 기본적으로 부동 상태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지만,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삽입을 용이하게 위한 목적으로, 선단 부분이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당해 고정 콘택트 빔(13b)의 전단 부분을 절연 하우징(11)의 저면판의 내벽면으로부터 약간 부상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각 고정 콘택트 빔(13b)의 후단측 부분(도 5의 우단측 부분)에는 주인쇄 배선 기판(도시 생략) 상에 형성된 도전로에 땜납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b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 콘택트 빔(13b)의 후단측 부분(도 5의 우단측 부분)에 오목한 모양의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캠 회동 오목부(13b3)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동 콘택트 빔(13a)의 후단측 부분(도 5의 우단측 부분)에 캠 계지 돌기(13a2)가 도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들 캠 회동 오목부(13b3)와 캠 계지 돌기(13a2)의 사이 부분에,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에 장착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개폐 캠부(12a)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에 설치된 개폐 캠부(12a)는 종단면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타원에 있어서 가장 긴 직경의 양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한 쌍의 캠면(12a1, 12a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캠면(12a1)은 상술한 고정 콘택트 빔(13b)의 캠 회동 오목부(13b3)에 거의 따른 만곡측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들 양쪽 캠면(12a1, 12a1) 중의 일방(도 6의 하방측 부분)이 고정 콘택트 빔(13b)의 캠 회동 오목부(13b3)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 양쪽 캠면(12a1, 12a1) 중의 타방(도 6의 상방측 부분)은 가동 콘택트 빔(13a)의 후단 가장자리 부분에 활동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있다. 즉, 가동 콘택트 빔(13a)의 후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술한 캠 계지 돌기(13a2)로부터 대략 직선 모양으로 뻗어 나가는 캠 규제 단연부(13a3)가 당해 가동 콘택트 빔(13a) 하연(下緣)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캠 규제 단연부(13a3)에 대해서 상술한 개폐 캠부(12a)의 캠면(12a1)이 활동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캠 회동 오목부(13b3) 및 캠 규제 단연부(13a3)에 대한 개폐 캠부(12a)의 접촉 배치 관계에 의해 당해 개폐 캠부(12a)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액츄에이터(12)의 전체가 개폐 캠부(12a)의 회동 중심의 주위에 회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하우징(11)의 후단 부분(도 5 및 도 7의 우단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전체는 커넥터의 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모양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절연 하우징(11)의 전체 폭과 거의 같은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 액츄에이터(12)는 상술한 것처럼 개폐 캠부(12a)의 회동 중심의 주위에 회동되도록 장착되어 있지만, 이 때의 회동 반경의 외방측에 상당하는 부분(도 7의 우단측 부분)이 개폐 조작부(12b)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개폐 조작부(12b)에 대해서 작업자에 의한 적당의 조작력이 부여됨으로써 액츄에이터(12)의 전체가 도 5와 같이 거의 직립한 상태의 「개방 위치」와, 도 7과 같이 커넥터 후방측을 향해 거의 수평으로 넘어뜨려진 상태의 「폐색 위치」이 사이에서 왕복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에 개폐 조작부(12b)가 상술한 개폐 캠부(12a)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는 도전 콘택트(13)(14)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슬릿 모양 관통 구멍부(12c)가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도 5 참조)까지 회동되었을 때에는, 이 슬릿(slit) 모양 관통 구멍부(12c)의 내방으로 도전 콘택트(13)의 가동 콘택트 빔(13a)의 후단 부분이 비집고 들어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의 개폐 조작부(12b)를 작업자가 손가락에 의해 「개방 위치」(도 5 참조)로부터 「폐색 위치」(도 7 참조)를 향해 넘어뜨리도록 하여 회동 조작을 하면, 상술한 개폐 캠부(12a)의 회전 반경이 고정 콘택트 빔(13b)과 가동 콘택트 빔(13a)의 사이에 있어서 증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개폐 캠부(12a)의 직경이 증대하는 변화에 따라서 가동 콘택트 빔(13a)의 후단측에 설치된 캠 규제 단연부(13a3)가 도시 상방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변위하고, 이에 의해 캠 규제 단연부(13a3)와 반대측(커넥터 전단측)에 설치된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져 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12)가 최종 회동 위치인 「폐색 위치」까지 회동된 때에는(도 7 참조),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3a)의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와 고정 콘택트 빔(13b)의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가, 이들 양자 사이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에 상하로부터 압접하여 신호 전송 매체 F의 협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에 특히 도 11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신호 전송 매체 F의 배선 패턴(신호 전송용 및 쉴드용의 도전로) Fa에 대해서, 상단자 접촉 볼록부(13a1) 및 하단자 접촉 볼록부(13b1)가 압접되고, 이에 따라 전기적인 접속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도 5 참조)로부터 후방측으로 넘어뜨리도록 회동되어 「폐색 위치」(도 7 참조)까지 이동된 상태에 있어서는, 당해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도시 하면측 부분이 주배선 기판(도시 생략)에 대면하도록 근접하는 배치 관계로 되지만, 이 때의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하면측 부분에는 주배선 기판을 향해 돌출되는 보호 돌기부(12d)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 돌기부(12d)는 전술한 도전 콘택트(13, 14)의 다극 배열의 방향(커넥터의 긴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복수 배치되어 있고, 각각 대략 사각기둥 모양의 블록체로서 형성된 각 보호 돌기부(12d)가 액츄에이터(12)의 회동 조작에 수반하여 일체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개폐 조작부(12b)의 커넥터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중앙 부분의 주된 조작부로부터 완만하게 하강하는 경사면부(12e, 12e)가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3a)에 설치된 캠 계지 돌기(13a2)는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5 및 도 6 참조),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캠부(12a)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당해 캠 계지 돌기(13a2)가 개폐 캠부(12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액츄에이터(12)가 「폐색 위치」로 회동된 경우에는(도 7 및 도 8 참조), 상술한 개폐 캠부(12a)가 세로로 길게 일어난 상태로 되고, 당해 세로로 길게 일어난 상태에 있는 개폐 캠부(12a)에 있어서의 상방측(도 7의 상방측) 부분의 캠면(12a1)이 캠 계지 돌기(13a2)에 근접한 위치에 대향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폐색 위치」에서의 배치 관계로 액츄에이터(12)에 후방측(도 7의 우방측)으로의 외력이 부가되어 개폐 캠부(12a)가 후방측으로 위치 어긋나려고 하면, 액츄에이터(12)의 캠면(12a1)이 캠 계지 돌기(13a2)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12)의 후방측으로의 탈락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도 5 및 도 6 참조)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12)의 탈락 방지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즉, 액츄에이터(12)에 설치된 개폐 캠부(12a)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한 쌍의 캠면(12a1, 12a1)끼리의 사이에 상당하는 부위에 캠 계합면(12a2) 및 캠 보유면(12a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 계합면(12a2) 및 캠 보유면(12a3)은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5 및 도 6 참조), 개폐 캠부(12a)의 상반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그 중의 캠 보유면(12a3)은 전술한 가동 콘택트 빔(13a)의 캠 규제 단연부(13a3)에 대면하여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5 및 도 6 참조), 이 개폐 캠부(12a)의 캠 보유면(12a3)이 가동 콘택트 빔(13a)의 캠 규제 단연부(13a3)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면 모양으로 압접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1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력이 개폐 캠부(12a)에 생기게 된다.
한편, 개폐 캠부(12a)에 설치된 캠 계합면(12a2)은 마찬가지로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5 및 도 6 참조), 상술한 캠 보유면(12a3)의 후단부(도 5의 우단부)로부터 대략 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뻗어 나가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가동 콘택트 빔(13a)의 캠 계지 돌기(13a2)에 대해서 신호 전송 매체 F의 삽입 방향의 전방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액츄에이터(12)에 대해서 후방측(도 5의 우방측)으로의 외력이 부가되면,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개폐 캠부(12a)의 캠면(12a1)이 고정 콘택트 빔(13b)의 캠 회동 오목부(13b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후방측으로 위치 어긋나서 가고, 캠 회동 오목부(13b3)의 후방측에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고정 콘택트 빔(13b) 상연(上緣)에 올라앉으려고 한다. 즉, 이 경우의 개폐 캠부(12a)는 후방측의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위치 어긋나려고 하지만, 이들 개폐 캠부(12a)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액츄에이터(12)의 캠 계합면(12a2)이 가동 콘택트 빔(13a)의 캠 계지 돌기(13a2)에 대해서 밀어 올리도록 압접하게 되어, 이 캠 계합면(12a2)에 대한 캠 계지 돌기(13a2)의 계지 작용에 의해 액츄에이터(12)의 후방측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액츄에이터(12)가 「폐색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7 및 도 8 참조), 상술한 개폐 캠부(12a)의 캠 계합면(12a2)은 고정 콘택트 빔(13b) 상연(上緣)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2)가 「폐색 위치」를 넘어 과잉으로 회동되려고 한 때에는, 당해 개폐 캠부(12a)의 캠 계합면(12a2)이 상술한 개폐 조작부(12b)와 함께 고정 콘택트 빔(13b) 상연에 맞닿고, 이들 양쪽 부재의 스토퍼 기능에 의해 액츄에이터(12)의 과도한 회동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개폐 캠부(12a)를 커넥터 외방으로 압출하는 방향으로 외력 등이 작용함으로써 개폐 캠부(12a)가 캠 회동 오목부(13b3)로부터 벗어나가려고 해도 개폐 캠부(12a)의 캠 계합면(12a2)이 가동 콘택트 빔(13a)의 캠 계지 돌기(13a2)에 맞닿아 계지 상태로 되어 액츄에이터(12)의 탈락이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12)가 외방으로 눌려진 경우에, 우선 개폐 캠부(12a)의 캠 보유면(12a3)이 가동 콘택트 빔(13a)의 후단 부분에 설치된 캠 규제 단연부(13a3)에 맞닿고, 개폐 캠부(12a)가 캠 회동 오목부(13b3)측으로 꽉 눌린 상태가 유지되어, 개폐 캠부(12a)가 본래의 위치에 보유되기 때문에, 상술한 개폐 캠부(12a)의 캠 계합면(12a2)과의 협력에 의해 액츄에이터(12)의 탈락이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된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는 커넥터의 긴 방향을 따라 장척 모양으로 뻗어 있지만, 당해 개폐 조작부(12b)의 회동 중심에 관한 반경 방향의 외방측에 배치된 조작측의 단면, 즉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도 4 및 도 5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상단면에는 커넥터의 긴 방향의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12e, 12e)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경사면부(12e, 12e)는 액츄에이터(12)의 뻗어 있는 방향인 커넥터의 긴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의 긴 방향에 대해서 적당한 각도를 이루어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양쪽 경사면부(12e, 12e)끼리의 사이 부분에는 액츄에이터(12)의 뻗어 있는 방향인 커넥터의 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평탄면부가 장척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의 긴 방향의 양단측에 배치된 경사면부(12e, 12e)는 커넥터의 긴 방향의 중앙측에 설치된 평탄면부의 양단부로부터 매끈하게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쪽 면부끼리의 경계 부분에 각부(角部)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2)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회동할 때에는 액츄에이터(12)가 「개방 위치」(도 5 참조)에 세워진 상태에 있어서의 전단면(도 5 좌측 단면)인 정면측의 입상(立上) 벽면부를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후방측으로 압압하게 되지만, 전술과 같이 액츄에이터(12)의 개폐 조작부(12b)의 양단 부분에 경사면부(12e)를 설치해 두면, 긴 방향 양단측의 경사면부(12e)가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 작업자의 압압력이 걸리기 어려워져, 액츄에이터(12)의 긴 방향 중앙 부분에 대해서 압압력이 부가되는 경향으로 된다.
한편, 액츄에이터(12)의 긴 방향 양측의 경사면부(12e)에 대해서 부가된 압압력은 당해 경사면부(12e)를 구성하는 경사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부가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2)의 긴 방향 양단측으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압압력이 전체적으로는 액츄에이터(12)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작용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액츄에이터(12)가 궁리된 상태로 압압되는 것 같은 사태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액츄에이터(12)의 전체가 대략 평면을 유지하면서 회동됨으로써 당해 액츄에이터(12)의 회동에 의한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의 협지 작용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된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및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FFC)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신호 전송용 매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액츄에이터는 절연 하우징의 후단 부분에 배치된 것이지만, 전단측 부분에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전기 커넥터나 전단측 부분과 후단측 부분의 사이 부분에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전기 커넥터에는 형상이 다른 도전 콘택트를 이용한 것이지만, 동일 형상의 도전 콘택트를 이용한 것이라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하는 다종의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전기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매체 삽입구 11b 부품 부착구
12 액츄에이터(접속 조작 수단)
12a 개폐 캠부 12a1 캠면
12a2 캠 계합면 12a3 캠 보유면
12b 개폐 조작부
12c 슬릿(slit) 모양 관통 구멍부
12d 보호 돌기부 12e 경사면부
13, 14 도전 콘택트(contact)
13a 가동 콘택트 빔(제2의 콘택트 빔)
13a1 상단자 접촉 볼록부
13a2 캠 계지 돌기 13a3 캠 규제 단연부
13b 고정 콘택트 빔(제1의 콘택트 빔)
13b1 하단자 접촉 볼록부
13b2 기판 접속부 13b3 캠 회동 오목부
13c 연결 지주 빔
F 신호 전송 매체(FPC 또는 FFC 등) Fa 배선 패턴

Claims (3)

  1.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 내에 장착된 도전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요동시키는 캠부를 가지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신호 전송 매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빔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의 콘택트 빔을 가지고,
    상기 제1의 콘택트 빔의 일단부에 상기 캠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캠 회동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일단부에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캠부와 대향하는 캠 계지 돌기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캠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콘택트 빔이 상기 신호 전송 매체를 협지하는 폐색 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의 콘택트 빔이 상기 신호 전송 매체로부터 이간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캠부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캠 계지 돌기에 대해서,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캠 계합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 계합면은, 상기 캠부가 상기 캠 회동 오목부로부터 상기 신호 전송 매체의 삽입 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때에, 상기 캠 계지 돌기에 맞닿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일단부에는, 상기 캠 계지 돌기로부터 직선 모양으로 뻗어 나가는 캠 규제 단연부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캠부에는, 당해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의 콘택트 빔의 상기 캠 규제 단연부에 면접촉 가능한 캠 보유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20080976A 2011-09-02 2012-07-25 전기 커넥터 KR101360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1585A JP5799679B2 (ja) 2011-09-02 2011-09-02 電気コネクタ
JPJP-P-2011-191585 2011-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807A KR20130025807A (ko) 2013-03-12
KR101360505B1 true KR101360505B1 (ko) 2014-02-07

Family

ID=4775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976A KR101360505B1 (ko) 2011-09-02 2012-07-25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41439B2 (ko)
JP (1) JP5799679B2 (ko)
KR (1) KR101360505B1 (ko)
CN (1) CN102983450B (ko)
TW (1) TWI505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39282U (en) * 2012-03-13 2012-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8827732B2 (en) * 2012-10-03 2014-09-09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JP5872510B2 (ja) * 2013-08-08 2016-03-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362028B2 (ja) * 2014-07-09 2018-07-2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090341B2 (ja) *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342342B2 (ja) * 2015-01-26 2018-06-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93680B2 (ja) * 2015-04-15 2019-10-2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575898B2 (ja) * 2015-06-26 2019-09-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1161B2 (ja) * 2015-10-07 2020-09-23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接続機構
US10200308B2 (en) 2016-01-27 2019-02-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of link stability and availability in a high performance computing environment
CN107871942A (zh) * 2016-09-26 2018-04-03 东莞市好电子有限公司 单扣双面接触fpc转接连接器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996521B2 (ja) *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47195B2 (ja)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41290B2 (ja) 2019-02-20 2021-03-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4665306B (zh) * 2022-03-25 2024-02-20 鹤山市得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2590A1 (en) 2005-02-01 2006-08-03 Quasar System Inc. Electric connector
US20070032115A1 (en) 2005-08-08 2007-02-08 Hirose Electrical Co., Ltd. Flat cable electrical connector
JP2009129860A (ja) * 2007-11-27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3338B2 (ja) *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707597B2 (ja) * 2006-04-13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755539B2 (ja) * 2006-06-23 2011-08-24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38738B2 (ja) * 2007-02-02 2009-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070884B2 (ja) * 2007-03-06 2012-11-1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76427A (ja) * 2008-01-21 2009-08-06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09277398A (ja) * 2008-05-13 2009-11-26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4579322B2 (ja) 2008-09-18 2010-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5391104B2 (ja) * 2010-02-12 2014-01-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2590A1 (en) 2005-02-01 2006-08-03 Quasar System Inc. Electric connector
US20070032115A1 (en) 2005-08-08 2007-02-08 Hirose Electrical Co., Ltd. Flat cable electrical connector
JP2009129860A (ja) * 2007-11-27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83450A (zh) 2013-03-20
TW201315037A (zh) 2013-04-01
CN102983450B (zh) 2015-04-01
US20130059476A1 (en) 2013-03-07
JP2013054881A (ja) 2013-03-21
JP5799679B2 (ja) 2015-10-28
KR20130025807A (ko) 2013-03-12
US8641439B2 (en) 2014-02-04
TWI505570B (zh)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505B1 (ko) 전기 커넥터
CN101971429A (zh) 电缆连接器
US7179107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TWI687001B (zh) 電連接器
KR20180066822A (ko) 커넥터 장치
TWI496361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onductors
KR101668186B1 (ko) 전기 커넥터
KR101001738B1 (ko) 커넥터
TW200402174A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101451532B1 (ko) 전기 커넥터
KR101357439B1 (ko) 전기 커넥터
TWI437768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359784B1 (ko) 전기 커넥터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32492A (ja) 電気コネクタ
JP6929546B2 (ja) コネクタ
JP5218441B2 (ja) 電気コネクタ
JP6593680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7091600A (ja) 電気コネクタ
JP2011060433A (ja) 電気コネクタ
KR1011134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2017004814A (ja) 電気コネクタ
JP2013134870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