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275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275B1
KR101216275B1 KR1020110055760A KR20110055760A KR101216275B1 KR 101216275 B1 KR101216275 B1 KR 101216275B1 KR 1020110055760 A KR1020110055760 A KR 1020110055760A KR 20110055760 A KR20110055760 A KR 20110055760A KR 101216275 B1 KR101216275 B1 KR 101216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housing
terminal
connect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680A (ko
Inventor
이수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to KR102011005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2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고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터미널; 상기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일 방향으로 결합되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위한 공간 확보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커넥터의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미널과 터미널에 대응하는 접촉자간 접촉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양 커넥터 상호간의 접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 시 체결에 따른 체결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고, 커넥터의 접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져서 상호 결합되며, 리셉터클 터미널과 플러그 터미널이 서로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케이블과 회로기판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종래에는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움 결합 구조를 형성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식은 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 작업의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커넥터의 파손 문제와 접촉 불량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했다.
이에, 커넥터간 결합 방식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방식이 제안되기도 했다.
즉, 액츄에이터는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또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 방식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상에 별도로 요구됨으로써, 전체 커넥터 크기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액츄에이터는 양단의 돌기 부분만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식으로서, 하우징으로부터 액츄에이터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고, 커넥터의 접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고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터미널, 상기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일 방향으로 결합되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접지 연결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접촉되어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부, 상기 접점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솔더링되는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접촉부가 적어도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회로기판 상에 솔더링되는 리드부 및 상기 터미널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는 각각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아암부에 의해 상기 리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양단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 종료 시점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안착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챔퍼 형상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위한 공간 확보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커넥터의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미널과 터미널에 대응하는 접촉자간 접촉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과 액츄에이터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상호간의 접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 커넥터의 체결 시 체결에 따른 체결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전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 후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중의 커넥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완전히 삽입된 후의 커넥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커넥터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결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커버와 접촉하는 접지 연결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삽입홈(110)이 형성된 하우징(102), 하우징 내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터미널(104), 플러그 커넥터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06) 및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108)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2)에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홈(110)은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0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의 삽입홈(110) 내부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고, 일정한 피치를 갖고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04)의 삽입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104)은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06)는 하우징(102)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힌지축(20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부(204)의 회전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액츄에이터(106)는 액츄에이터(106)의 회전을 위한 공간 확보를 최소화하여 전체 커넥터의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결부(108)는 하우징(102)의 양단에 일 방향으로 결합되며,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고정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접지 연결부(108)는 상기 터미널(104)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전의 사시도와, 삽입되어 결합된 후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FFC 필름(302), 이를 감싸는 하우징(304) 및 하우징(304)에 결합되는 커버(306)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04)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04)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미널(104)은 리드부(502), 제1접촉부(504), 제2접촉부(506) 및 리드부(502)와 제1접촉부(504), 제2접촉부(506)를 연결하는 탄성 아암부(508)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리드부(502)는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솔더링되어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된 소자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접촉부(504)와 제2접촉부(506)는 터미널(104)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04)은 터미널(104)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접촉부가 적어도 2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접촉부는 터미널(104)과 접촉자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촉부(504)와 제2접촉부(506)는 탄성 아암부(508)에 의해 리드부(502)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아암부(508)는 플러그 커넥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누름부(204)에 의해 눌릴 때, 접촉부(504, 506)에 탄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탄성 아암부(508)는 접촉부(504, 506)와 접촉부(504, 506)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 사이의 접촉세기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탄성 아암부(508)는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액츄에이터(106)의 회전 종료시점에서 사용자에게 회전이 종료되었다는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04)은 힌지축(20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02)에 결합되는 액츄에이터(106)를 위한 고정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터미널(104)의 고정부(510)는 액츄에이터(106)의 힌지축(202)을 하우징(102)에 직접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액츄에이터(106)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최종적으로 커넥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06)의 역할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106)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미널(104)의 고정부(510)에 의해 힌지축(20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02)에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20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6)의 하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힌지축(202)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를 누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액츄에이터(106)의 회전과 함께, 액츄에이터(106)의 하단부에 형성된 누름부(204)가 함께 회전하여 플러그 커넥터를 누름으로써,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전의 커넥터 단면도를, 도 7b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중의 커넥터 단면도를, 도 7c는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된 후의 커넥터 단면도를, 도 7d는 플러그 커넥터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커넥터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부는 삽입홈(110)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삽입되며,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부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까지, 사용자는 삽입에 따른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 후,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04)의 회전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가 눌리게 되고, 터미널(104)과 이에 대응하는 접촉자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플러그 커넥터 상에 액츄에이터(106)의 회전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전체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따른 저항을 수반하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은 액츄에이터(106)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06)가 열린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는 액츄에이터(106)가 닫힌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액츄에이터(106)가 닫힌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경우, 액츄에이터(106)의 하단부에 형성된 누름부(204)가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따라 역으로 회전하면서 액츄에이터(106)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204)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에 따라 역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챔퍼 형상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06)는 액츄에이터(106)가 닫힌 상태에서도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종료 시점에서 하우징(102)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돌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206)는 액츄에이터(106)의 양단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체결감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2)은 액츄에이터(106)의 회전 종료 시점에서 걸림돌기(206)의 안착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홈(20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결부(108)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결부(108)는 접점부(802), 접점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804) 및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솔더링되는 리드부(80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부(802)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접촉되어 접점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접점부(802)의 일단에는 탄성부(804)가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804)는 접점부(802)에 탄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탄성부(804)에 의해, 접점부(802)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적정 수준의 접촉세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접점부(802)와 플러그 커넥터 접지단자의 접지 시, 접지되어 있다는 체결감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804)는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삽입부의 양단부에 탄성력으로 작용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플러그 커넥터 삽입부의 양단부에 작용되는 탄성력의 균형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올바른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리드부(806)는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솔더링되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결부(108)는 플러그 커넥터의 커버(306)와 접촉됨으로써, 간접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결부(108)는 플러그 커넥터의 커버(306)와 먼저 접촉된 후, 결과적으로 커버(306)에 연결된 FPC/FFC 필름(302)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FPC/FFC 필름(302)의 손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연결부(108)는 기존의 리셉터클 터미널의 접지부에 비해, 접지되었다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접지의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리셉터클 커넥터 102 : 하우징
104 : 터미널 106 : 액츄에이터
108 : 접지 연결부 110 : 삽입홈
202 : 힌지축 204 : 누름부
206 : 걸림돌기 208 : 가이드홈
302 : FPC/FFC 필름 304 : 하우징
306 : 커버 502 : 리드부
504 : 제1접촉부 506 : 제2접촉부
508 : 탄성 아암부 510 : 고정부
802 : 접점부 804 : 탄성부
806 : 리드부

Claims (8)

  1.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고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터미널;
    상기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일 방향으로 결합되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 연결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접촉되어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부;
    상기 접점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솔더링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접촉부가 적어도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회로기판 상에 솔더링되는 리드부; 및
    상기 터미널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는 각각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아암부에 의해 상기 리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홈 내부에 일 방향으로 삽입되고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터미널;
    상기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눌러 고정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일 방향으로 결합되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양단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 종료 시점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안착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챔퍼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10055760A 2011-06-09 2011-06-09 리셉터클 커넥터 KR101216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60A KR101216275B1 (ko) 2011-06-09 2011-06-09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60A KR101216275B1 (ko) 2011-06-09 2011-06-09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680A KR20120136680A (ko) 2012-12-20
KR101216275B1 true KR101216275B1 (ko) 2012-12-28

Family

ID=4790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760A KR101216275B1 (ko) 2011-06-09 2011-06-09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521B1 (ko) 2013-09-02 2015-01-27 주식회사 신화콘텍 플랫 케이블 및 접촉단자 고정용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35B1 (ko) * 2021-02-08 2021-12-13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0280A1 (en) * 2008-11-11 2010-05-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0280A1 (en) * 2008-11-11 2010-05-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521B1 (ko) 2013-09-02 2015-01-27 주식회사 신화콘텍 플랫 케이블 및 접촉단자 고정용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680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7530839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2780106B (zh) 带开关的同轴连接器
US7534131B2 (en)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US10819062B2 (en) Waterproof connector
JP2007517356A (ja) 電気コネクタ
US931885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765657A1 (en) Usb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101357439B1 (ko) 전기 커넥터
KR10121627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TWM320206U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184251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669906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00285692A1 (e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with Improved Grounding
KR101216830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부착 보조 브래킷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CN201038461Y (zh) 电连接装置
KR200471031Y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0472617Y1 (ko) PCB 및 땜을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용 microUSB 플러그 조립체
CN219809172U (zh) 一种无线安装的风扇框架
JP200316850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7611648B (zh) 音频连接器
KR101544906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N106921067B (zh) 电池连接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