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235B1 -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235B1
KR102338235B1 KR1020210017315A KR20210017315A KR102338235B1 KR 102338235 B1 KR102338235 B1 KR 102338235B1 KR 1020210017315 A KR1020210017315 A KR 1020210017315A KR 20210017315 A KR20210017315 A KR 20210017315A KR 102338235 B1 KR102338235 B1 KR 102338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ub
housing
elastic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1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전선이 인입되는 커넥터체와 허브체에 의해 입출력 단자대에 커넥터체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어 단자대의 복수개 접지단자가 필요치 않음에 따라 복수개 접지단자의 볼트를 일일이 풀어주고 조여주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커넥터체와 허브체의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 조립성 향상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커넥터체와 허브체와의 견고한 체결에 의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커넥터와 허브체가 서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Connector with simple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대와 커넥터를 쉽고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대는 접속단자부가 일렬로 배열된 단층단자대와 접속부가 복층으로 배열된 복층단자대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기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의 케이블접속을 위해 복층 단자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층 단자대는 복수개 접속단자부가 다단측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대는, 입력 및 출력에 사용되는 각종 소자를 입출력 모듈에 부착된 볼트형 단자대에 압착터미널을 이용하여 직접 결선하거나, 또는 입출력 모듈에서 압착터미널을 이용한 배선을 빼내어 기기의 전면 패널에 플러그 삽입형 원형 단자대로 연결하고 결선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입출력 모듈에 부착된 볼트형 단자대에 결선하는 경우는 복수개 단자 각각에 구비된 볼트를 풀어서 터미널을 물리고 다시 볼트를 조여 터미널과 단자를 연결함에 따라 터미널과 단자와의 연결작업 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작업성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 단자 각각에 구비된 볼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볼트나 너트의 나사산이 훼손되거나 망가지는 문제점은 물론 이에 따른 접점불량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단자대를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64029호인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제1단자공간부와 제2단자공간부를 분리하여 합선을 방지하는 절연벽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벽은 접속단자의 접속단자삽입부를 접속단자삽입공으로 유도되게 유도벽이 상부에서 지그재그로 형성되고 상기 제1단자공간부의 접속단자홈은 케이블이 앞에서 연결되게 앞면이 열려 2개 내지 30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공간부의 접속단자홈은 케이블이 뒤에서 연결되게 뒷면이 열려 2개 내지 30개로 형성되어 케이블이 양방향으로 연결되는 단자대와, 상기 접속단자홈에 삽입결합되는 탄성편은 접속단자삽입부의 하부의 양측면에서 돌출하여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은 단자핀을 접속면으로 유도하는 유도면이 형성돼며 상기 면접속유도부는 상기 단자핀을 접속되게 유도하는 유도면이 형성되며 상기 유도면의 상면으로 단자핀과 접속되는 면이 확장되어 접속면이 형성되는 단자핀과 접속이 용이한 접속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자핀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물리적인 외력의 변형을 최적화하며 접속을 극대화하고 지속시키는 단자간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역시 복수개 단자와 터미널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개 단자에 각각 구비된 볼트를 일부 풀어준 상태에서 터미널 케이블을 연결한 다음 다시 풀어진 복수개 볼트를 각각 조여주어야 함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과 작업성 저하에 의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단자대와 단자대가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자대에 각각 구비된 접속단자부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접속단자부와 케이블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인 합선이 발생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4029호(2012.11.30.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96752호(2002.11.20. 등록)
본 발명은 단자대와 커넥터를 쉽고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 단자와 터미널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개 단자에 각각 구비된 볼트를 일부 풀어준 상태에서 터미널 케이블을 연결한 다음 다시 풀어진 복수개 볼트를 각각 조여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는, 인입되는 입출력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 접지단자를 갖는 커넥터체와, 상기 커넥터체가 체결되어 복수개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입출력단자를 갖는 허브체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체는, 인입되는 케이블 상부가 위치되는 제1케이블인입부와 제1볼트체결부를 갖는 제1커넥터하우징과 인입되는 케이블 하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1케이블인입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케이블인입부와 상기 제1볼트체결부와 대응되는 제2볼트체결부를 갖는 제2커넥터하우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에는 제1커넥터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에는 제1커넥터수용부와 대응되는 제2커넥터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케이블인입부와 제2케이블인입부에 위치되는 케이블의 전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접지단자부를 갖는 커넥터로 구비되며, 상기 허브체는, 상기 커넥터의 복수개 접지단자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접점단자부와 상기 접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단자부를 갖는 허브하우징과; 상기 허브하우징을 덮어주고 허브하우징과 볼트고정되는 허브덮개로 구비되고, 상기 허브덮개에는 상기 커넥터가 인입되어 복수개 접지단자가 허브하우징의 접점단자부에 건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점단자부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커넥터끼움부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허브하우징의 상단 둘레부에는 복수개 탄성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허브덮개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복수개 탄성체결홈에 각각 탄성체결되는 것에 의해 허브하우징과 허브덮개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수개 탄성체결돌기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허브덮개의 상면에는 제1볼트체결부와 제2볼트체결부가 볼트체결되는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과 제2커넥터하우징이 안착 수용되는 커넥터안착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안착수용부에는 탄성커넥터걸림부와 상기 탄성커넥터걸림부가 젖혀지는 탄성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 또는 제2커넥터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터체가 허브체에 체결될 때 상기 탄성커넥터걸림부가 탄성공간부측으로 젖혀졌다가 커넥터체가 허브체에 체결되면 젖혀진 탄성커넥터걸림부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탄성 체결되는 커넥터체결홈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전선이 인입되는 커넥터체와 허브체에 의해 입출력 단자대에 커넥터체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어 단자대의 복수개 접지단자가 필요치 않음에 따라 복수개 접지단자의 볼트를 일일이 풀어주고 조여주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커넥터체와 허브체의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 조립성 향상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커넥터체와 허브체와의 견고한 체결에 의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커넥터와 허브체가 서로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나타낸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커넥터체와 허브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일부생략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입되는 입출력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 접지단자를 갖는 커넥터체(10)와, 상기 커넥터체(10)가 체결되어 복수개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입출력단자를 갖는 허브체(20)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체(10)는 허브체(20)에 탄성 체결 고정됨에 따라 커넥터체(10)를 허브체(20)에 쉽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커넥터체(10)를 허브체(20)의 쉽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체결작업성과 분리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커넥터체(10)를 허브체(20)에 체결한 후 허브체(20)를 단자대와 전기적으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단자대의 복수개 접지단자가 필요치 않음에 따라 복수개 접지단자의 볼트를 일일이 풀어주고 조여주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체(10)는, 인입되는 케이블 상부가 위치되는 제1케이블인입부(11)와 제1볼트체결부(12)를 갖는 제1커넥터하우징(13)과 인입되는 케이블 하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1케이블인입부(11)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케이블인입부(14)와 상기 제1볼트체결부(12)와 대응되는 제2볼트체결부(15)를 갖는 제2커넥터하우징(16)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13)에는 제1커넥터수용부(17)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16)에는 제1커넥터수용부(17)와 대응되는 제2커넥터수용부(18)가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블인입부(11)와 제2케이블인입부(14)에 위치되는 케이블의 전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접지단자부(31)를 갖는 커넥터(30)로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30)의 복수개 접지단자부(31)는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13)과 제2커넥터하우징(16)측으로 인입되는 케이블(101)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어 상기 커넥터(30)와 제1커넥터하우징(13)과 제2커넥터하우징(16)를 갖는 커넥터체(10)가 일체로 모듈화된다.
상기 커넥터체(10)의 제1커넥터하우징(13)과 제2커넥터하우징(16)은 상기 제1볼트체결부(12)와 제2볼트체결부(15)를 관통하는 볼트(B) 및 상기 제2볼트체결부(15)의 외측면에 밀착 위치되는 너트(N)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체(10)에 인입되는 케이블(101)의 타측에는 입출력커넥터(102)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따라 2개의 입출력단자대를 상기 커넥터체(10)와 입출력커넥터(102)로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본 발명의 커넥터체(10) 역시 입출력커넥터로 이루어짐이 당연하다.
본 발명의 허브체(20)는, 상기 커넥터(30)의 복수개 접지단자부(31)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접점단자부(21)와 상기 접점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단자부(22)를 갖는 허브하우징(23)과, 상기 허브하우징(23)을 덮어주고 허브하우징(23)과 볼트고정되는 허브덮개(24)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허브덮개(24)에는 상기 커넥터(30)가 인입되어 복수개 접지단자부(31)가 허브하우징(23)의 접점단자부(21)에 건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점단자부(21)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커넥터끼움부(25)가 구비된다.
상기 허브체(20)의 허브하우징(23)과 허브덮개(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체결볼트(B1)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허브체결볼트(B1)의 하단이 씨링(C)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허브하우징(23)과 허브덮개(24)가 허브체결볼트(B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허브하우징(23)의 상단 둘레부에는 복수개 탄성체결홈(26)이 구비되고, 상기 허브덮개(24)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복수개 탄성체결홈(26)에 각각 탄성체결되는 것에 의해 허브하우징(23)과 허브덮개(24)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수개 탄성체결돌기(27)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허브체(20)의 허브하우징(23)과 허브덮개(24)가 허브체결볼트(B1)와 씨링(C)은 물론 상기 탄성체결홈(26) 및 탄성체결돌기(27)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음에 따라 허브체(20)의 허브하우징(23)과 허브덮개(24)가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접점단자부(21)로부터 커넥터(30)의 접지단자부(31)를 분리할 때 허브하우징(23)과 허브덮개(24)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허브체(20)의 커넥터끼움부(25)측으로 커넥터체(10)와 일체로 모듈화 된 커넥터(30)를 끼워 허브체(20)의 접점단자부(21)에 커넥터(30)의 접지단자부(31)를 끼워줌에 따라 허브체(20)와 커넥터(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허브체(20)의 입출력단자부(22)를 단자대에 끼워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단자대와 단자대를 쉽고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기존 단자대의 복수개 접지단자의 볼트를 일일이 풀어주고 조여주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허브덮개(24)의 상면에는, 제1볼트체결부(12)와 제2볼트체결부(15)가 볼트체결되는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13)과 제2커넥터하우징(16)이 안착 수용되는 커넥터안착수용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안착수용부(41)에는 탄성커넥터걸림부(42)와 상기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젖혀지는 탄성공간부(4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13) 또는 제2커넥터하우징(16)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터체(10)가 허브체(20)에 체결될 때 상기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탄성공간부(43)측으로 젖혀졌다가 커넥터체(10)가 허브체(20)에 체결되면 젖혀진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탄성 체결되는 커넥터체결홈(4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커넥터체(10)를 허브체(20)에 체결할 때 상기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탄성공간부(43)측으로 젖혀졌다가 커넥터체(10)가 허브체(20)에 체결되면 젖혀진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탄성 체결되기 때문에, 커넥터체(10)와 허브체(20)의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 조립성 향상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커넥터체 11 : 제1케이블인입부
12 : 제1볼트체결부 13 : 제1커넥터하우징
14 : 제2케이블인입부 15 : 제2볼트체결부
16 : 제2커넥터하우징 17 : 제1커넥터수용부
18 : 제2커넥터수용부
20 : 허브체 21 : 접점단자부
22 : 입출력단자부 23 : 허브하우징
24 : 허브덮개 25 : 커넥터끼움부
26 : 탄성체결홈 27 : 탄성체결돌기
30 : 커넥터 31 : 접지단자부
41 : 커넥터안착수용부 42 : 탄성커넥터걸림부
43 : 탄성공간부 44 : 커넥터체결홈

Claims (3)

  1. 인입되는 입출력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 접지단자를 갖는 커넥터체(10)와, 상기 커넥터체(10)가 체결되어 복수개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입출력단자를 갖는 허브체(20)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체(10)는,
    인입되는 케이블 상부가 위치되는 제1케이블인입부(11)와 제1볼트체결부(12)를 갖는 제1커넥터하우징(13)과 인입되는 케이블 하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1케이블인입부(11)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케이블인입부(14)와 상기 제1볼트체결부(12)와 대응되는 제2볼트체결부(15)를 갖는 제2커넥터하우징(16)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13)에는 제1커넥터수용부(17)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16)에는 제1커넥터수용부(17)와 대응되는 제2커넥터수용부(18)가 구비되며,
    상기 제1케이블인입부(11)와 제2케이블인입부(14)에 위치되는 케이블의 전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접지단자부(31)를 갖는 커넥터(30)로 구비되며,
    상기 허브체(20)는,
    상기 커넥터(30)의 복수개 접지단자부(31)가 각각 끼워져 체결되는 접점단자부(21)와 상기 접점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단자부(22)를 갖는 허브하우징(23)과;
    상기 허브하우징(23)을 덮어주고 허브하우징(23)과 볼트고정되는 허브덮개(24)로 구비되고,
    상기 허브덮개(24)에는 상기 커넥터(30)가 인입되어 복수개 접지단자부(31)가 허브하우징(23)의 접점단자부(21)에 건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점단자부(21)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커넥터끼움부(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하우징(23)의 상단 둘레부에는 복수개 탄성체결홈(26)이 구비되고,
    상기 허브덮개(24)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복수개 탄성체결홈(26)에 각각 탄성체결되는 것에 의해 허브하우징(23)과 허브덮개(24)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복수개 탄성체결돌기(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덮개(24)의 상면에는 제1볼트체결부(12)와 제2볼트체결부(15)가 볼트체결되는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13)과 제2커넥터하우징(16)이 안착 수용되는 커넥터안착수용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안착수용부(41)에는 탄성커넥터걸림부(42)와 상기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젖혀지는 탄성공간부(4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13) 또는 제2커넥터하우징(16)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터체(10)가 허브체(20)에 체결될 때 상기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탄성공간부(43)측으로 젖혀졌다가 커넥터체(10)가 허브체(20)에 체결되면 젖혀진 탄성커넥터걸림부(42)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탄성 체결되는 커넥터체결홈(4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KR1020210017315A 2021-02-08 2021-02-08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KR102338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15A KR102338235B1 (ko) 2021-02-08 2021-02-08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15A KR102338235B1 (ko) 2021-02-08 2021-02-08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235B1 true KR102338235B1 (ko) 2021-12-13

Family

ID=7883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315A KR102338235B1 (ko) 2021-02-08 2021-02-08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2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752Y1 (ko) 2002-08-28 2002-12-05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력 단자대의 구조
KR200464029Y1 (ko)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KR20120136680A (ko) * 2011-06-09 2012-12-20 주식회사 후성테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30049326A (ko) *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 이티에이 피엘씨 입출력 모듈용 케이블 커넥터 커버장치
KR20130081511A (ko) * 2012-01-09 2013-07-17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1769399B1 (ko) * 2017-05-15 2017-08-18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752Y1 (ko) 2002-08-28 2002-12-05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전력 단자대의 구조
KR20120136680A (ko) * 2011-06-09 2012-12-20 주식회사 후성테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30049326A (ko) *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 이티에이 피엘씨 입출력 모듈용 케이블 커넥터 커버장치
KR20130081511A (ko) * 2012-01-09 2013-07-17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0464029Y1 (ko)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KR101769399B1 (ko) * 2017-05-15 2017-08-18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41937U (zh) 电连接器
KR102422384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것의 조립 방법
US8662920B2 (en) Device connector and device connector system
US6257918B1 (en) Wire harness connector having a contact retention plate
CN102037611A (zh) 引线端子
US7210954B2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with lock screws
JP2002313496A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
US9484174B2 (en) Fuse unit
US6083031A (en) Cable end connector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102338235B1 (ko)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EP3796497B1 (en) Communication module and inverter
US11489296B2 (en) Power supply
US6494752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KR102338305B1 (ko) 모듈화 세팅구조를 갖는 커넥터
WO2023082761A1 (zh) 一种充电桩
US20240128698A1 (en) Adapter connector assembly, electrical connector plug, and electrical connector kit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US4466691A (en) Connecting terminal for circuit interrupter
US9071024B2 (en) Shield shell with first and second attachment pieces
KR102022820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CN217087067U (zh) 连接器转接装置和连接器组件
CN220147477U (zh) 一种单车组件及单车
KR200173974Y1 (ko) 컨넥터의 기판고정구조
CN213816460U (zh) 一种接线结构以及盘式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